KR20130125647A -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647A
KR20130125647A KR1020120049335A KR20120049335A KR20130125647A KR 20130125647 A KR20130125647 A KR 20130125647A KR 1020120049335 A KR1020120049335 A KR 1020120049335A KR 20120049335 A KR20120049335 A KR 20120049335A KR 20130125647 A KR20130125647 A KR 2013012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gistration
network
information
messag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738B1 (ko
Inventor
서종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738B1/ko
Priority to US13/888,662 priority patent/US9474097B2/en
Publication of KR2013012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위치등록 결과정보 전달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위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등록을 실패한 경우, 위치 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를 포함한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 수신 후,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위치 등록 실패사유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LOC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위치등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실패한 경우에 실패한 위치등록 결과 정보를 접속하고자 하는 다른 네트워크에 전달하여 네트워크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망은 세대를 거듭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는 3세대(3G) 네트워크 및 4세대(4G) 네트워크`가 공존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4세대 네트워크는 현재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하며, 3세대 네트워크와 서비스 영역이 중첩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네트워크에서 사용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개발되고 있다. 즉, 상기 3, 4세대 네트워크 가 중첩된 형태로 운영되는 현실을 감안하여 현재는 일반적으로 3세대 및 4세대 네트워크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을 통해 세대가 다른 네트워크 영역에서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4세대와 3세대 네트워크가 중첩되고 있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위치등록을 시도하고, 이후 상기 4세대 네트워크 영역에 위치등록이 성공되면, 상기 휴대 단말은 4세대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반면 가입자가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한 경우, 3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여 3세대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 3세대 네트워크는 위치등록을 요구하는 휴대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에서 위치등록 실패한 결과를 알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상기 3세대 네트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의 망 전환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4세대 네트워크는 LTE이고 상기 3세대 네트워크는 3G라 칭하기로 한다.
일 예로 단말이 LTE 망에서 위치등록을 실패하고 3G망에서 위치등록을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은 LTE망과 3G 망의 중첩 영역에서 3G망에 머물기만 하려고 하지 않고 3G망의 명령에 의해 또는 단말 스스로 다시 LTE망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이 LTE망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반복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위치등록 실패에는 다양한 사유가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이 일정 기간 동안 계속하여 실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도, 단말이 계속하여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시도를 하게 됨으로써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가중되고, 잦은 접속 전환 시도로 서비스에 지연 또는 끊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멀티 태스킹 중인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부담을 주기도 한다.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경우의 반대 상황으로, 3세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 위치 등록이 실패하여, 4세대 네트워크에 다시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이 특정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여 실패하면,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구시 상기 위치등록 실패 사유를 포함하는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여 실패한 경우에 4세대 네트워크는 위치등록 실패 사유를 단말에 알려주며, 단말은 3세대 네트워크에 상기 4세대 네트워크의 위치등록 실패사유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단말이 단말 스스로 또는 3세대 네트워크의 명령을 통해 접속 불가 상태의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전환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3세대 네트워크에 머물게 하거나 적절한 환경에서 4세대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재시도 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위치등록 결과정보 전달방법은, 휴대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하면, 상기 제1네트워크로부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한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 수신 후,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등록 결과정보를 전달하는 휴대 단말은,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 2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와,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등록을 실패한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통신부를 통해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3세대 및 4세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특정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하면 휴대 단말이 접속을 시도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전송 받으며, 상기 휴대단말이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할 때 상기 수신된 거절 정보를 포함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런 경우 상기 위치등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는 네트워크는 상기 휴대단말의네트워크 접속 실패 정보 및 접속 장애 사유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은 단말 스스로 또는 네트워크의 명령을 통해 접속 불가 상태의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전환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고, 접속된 네트워크에 머물게 하거나 적절한 환경에서 접속을 실패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재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세대 네트워크 위치 등록을 실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실패사유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3세대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3세대 네트워크는 휴대 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재시도 명령을 내리거나 접속 불가능한 경우 3세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따라서 휴대단말이 반복해서 4세대 네트워크에 재접속 시도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휴대 단말의 하나의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실패한 경우 또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시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실패한 경우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위치등록 결과정보 전달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위치등록 거절 정보는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및 거절 메시지의 송수신이 있는 경우에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휴대 단말과 위치등록을 거절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모든 정보일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의 버전 정보, 네트워크의 제공 가능 서비스 정보, 위치등록 실패 시간, 위치등록 실패 지역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실패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당해 실패사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실패사유의 구체적인 발생 원인, 위치등록 실패 복구 방안, 네트워크의 종류, Cell ID, 전계 등의 전파환경 및 접속이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4세대(4G) 네트워크와 3세대(3G) 네트워크가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하고 3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하는 경우, 휴대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한 정보를 전송하여 3세대 네트워크가 휴대 단말이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실패한 원인을 알고 있도록 하는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4세대(4G) 네트워크와 3세대(3G) 네트워크가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이 3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하고 4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하는 경우, 휴대단말이 3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한 정보를 전송하여 4세대 네트워크가 휴대 단말이 3세대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실패한 원인을 알고 있도록 하는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전송시 접속 실패 사유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구 메시지를 접속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접속 실패 사유 외에 휴대단말의 전파환경(전파 세기, 접속 가능여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더 포함시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1 네트워크(100), 휴대 단말(400) 및 제2 네트워크(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100)는 4세대 네트워크로 가정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는 LTE, WiBro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110)는 3세대 네트워크로 가정한다. 상기 3세대 네트워크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PRS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네트워크(100)는 4세대 네트워크 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110)는 3세대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휴대 단말(110)은 적어도 듀얼밴드 듀얼모드(DBDM, Dual Band Dual Mode)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제1 네트워크(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제2 네트워크(1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단말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400)은 제1 네트워크(100)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인 모뎀부, 제2 네트워크(110)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인 모뎀부 및 휴대 단말(400)의 전반적인 기능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 등을 포함하며, 제1 네트워크(100) 및 제2 네트워크(110)와 각각 무선 접속하여 제공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100)는 휴대 단말(40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인 eNB(enhanced Node B), 이동성 관리부(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서빙 게이트 웨이(S-GW, Serving Gateway),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 웨이(P-GW, PDN Gateway)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110)는 휴대 단말(40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인 노드 B(Node B), 상기 노드 B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및 상기 무선망 제어기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40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Call)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a 의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400)은 제1 네트워크(100)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며, 위치등록 시도시 휴대 단말(400)은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제1네트워크(100)에 전송한다. 이때 제1 네트워크(100)에 위치등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는 위치등록 거절메세지에 접속 실패사유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400)은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할 때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100)에 위치등록 실패한 경우, 휴대 단말(400)은 제2 네트워크(110)에 위치등록을 시도하게 되며, 상기 위치 등록 요청시 휴대 단말(400)은 제1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신한 위치등록 거절정보를 포함시켜 제2 네트워크(110)에 대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는 위치등록 거절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등록 시도 및 거절 메시지 송수신 시간, 위치등록 실패 지역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실패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당해 실패사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종류, Cell ID, 전계 등의 전파환경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 <표 1>은 위치 등록 실패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위치등록 실패 사유들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다른 실패사유들이 존재하며, 하기 <표 1>은 가능한 위치등록 실패사유에 대한 몇 가지 예시의 소개에 불과하다.
Figure pat00001
상기 도 1b 는 도 1a와 반대 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상기 도 1b는 상기 휴대단말이 제2 네트워크(110)에 위치등록을 시도하였으나 위치등록 실패한 경우에 제1 네트워크(100)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400)은 제2 네트워크(110)에 위치등록을 시도하여 실패하면, 상기 제2네트워크(110)은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에 접속 실패사유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2 네트워크(110)에 위치등록 실패한 경우, 휴대 단말(400)은 제1 네트워크(100)에 위치 등록 요청시 제2 네트워크(110)로부터 수신한 위치등록 거절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도2a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라 위치 등록 거절 정보에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가 존재하는 경우의 네트워크들과 휴대단말 간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상기 도2b는 위치 등록 거절 정보에 위치등록 실패 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네트워크들과 휴대단말 간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도 2a 및 도 2b는 휴대단말이 LTE 망에 접속을 시도하여 실패한 후 3G 망에 접속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이 위치등록을 시도하고,400 LTE 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이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하기 위하여 제2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이에 따른 UMTS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위해 제2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동작은 동일 PLMN 내에서 cell selection동작, camping할 수 있는 suitable cell search동작 또는 다른 PLMN selection 동작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동작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기재로 휴대 단말의 제2 네트워크 탐색을 위한 동작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2a는 위치 등록 거절 정보에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실패사유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휴대 단말이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휴대단말이 210단계에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PDN CONNECTIVITY REQUEST)를 LTE 망에 전송한 후, 220단계에서 상기 LTE 망으로부터 실패사유 #12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수신된 실패사유를 분석한 후, 230단계에서 실패사유에 대응하여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Routing Area Update Request)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위치등록 요청메세지에 LTE 망의 접속 실패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cell selection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실패사유와 실패사유 분석에 따른 제2 네트워크 선택 동작은 도2a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패사유와 제2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동작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2b는 위치 등록 거절 정보에 위치등록 실패 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휴대 단말이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상기 휴대 단말은 위치 등록 거절 정보가 Authentication Reject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휴대단말이 250단계에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PDN CONNECTIVITY REQUEST)를 LTE 망에 전송한 후, 260단계에서 상기 LTE 망으로부터 실패사유를 포함하지 않지만 위치등록이 거절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270단계에서 제2 네트워크에 실패사유를 포함하지 않는 위치등록 요청하는 메시지(Routing Area Update Request)를 전송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여 제2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도2b는 휴대 단말이 Limited Service status or search other network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위치등록 거절 정보에 위치 등록 실패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위치 등록 거절 정보 분석에 따른 제2 네트워크 선택 동작은 도2b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위치 등록 실패 사유 부존재 경우와 제2 네트워크 선택하는 동작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의 과정을 통해 휴대 단말이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완료하게 되면, 제2 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 단말은 제1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받는 것이 훨씬 유리하며,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것은 제1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부득이한 경우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네트워크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요금제를 가입하였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서비스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자신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이 제1 네트워크 위치등록이 가능한 종류라면 상기 휴대 단말에 위치등록 전환 명령을 내리기도 하며, 휴대 단말이 스스로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재시도하는 경우도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이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완료한 경우라도, 상기 휴대 단말이 추후 제2 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등록 전환 정보를 분석하여 제1 네트워크로의 위치등록을 재시도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위치등록 전환 정보는 제1 네트워크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재전송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이 제1 네트워크로의 위치등록이 가능한 조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후자의 정보는 결국 휴대 단말이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재시도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휴대 단말은 상기 위치등록 전환 정보가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재전송 명령인 경우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위치등록이 가능한 조건에 대한 정보이면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의 위치등록 전환 정보는 본 기재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네트워크에 접속을 재시도할 시기 및/또는 기간 정보 등을 포함 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기타 제3의 네트워크에 대하여 위치등록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등록 전환 정보는 제2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의 전파환경 및 위치등록 장애 사유 해소 여부 등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휴대 단말이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실패한 경우에, 즉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네트워크에 이러한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알리는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과,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2 네트워크로 위치등록 거절정보를 전송하여 알리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의 위치등록 결과 전송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은 300단계에서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세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때 위치등록에 성공한 경우(즉,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90단계에서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위치등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위치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위치등록이 실패하여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0단계에서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분석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330단계에서 상기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에 접속할 제2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접속할 제2네트워크가 탐색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340단계에서 탐색된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거절정보를 포함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네트워크에서 접속 성공을 나타내는 메시지(예를 들면 3G 네트워크의 경우 Routing Area Update Accep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350단계에서 상기 제2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한다. 그 후 제2 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36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00단계로 되돌아가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시도하는 절차(즉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재 전송하는 과정)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한 상태에서 제2네트워크의 서비스를 받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특정 시스템들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상기 특정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현재 상용화 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앞으로 개발 및 전개될 통신 시스템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다중모드 휴대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은 적어도 듀얼밴드 듀얼모드(DBDM)를 지원하는 다중모드 휴대 단말이며, 이러한 휴대 단말의 예시로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에 적용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통신 단말과, 상기한 통신 시스템들과 같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개인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휴대전화기(mobile phone),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등록 결과 전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400)은 두 개 이상의 통신 접속 모드를 지원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400)은 상기 제1 통신부(40)과 제2 통신부(430)를 동시에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1 통신부(420)과 제2 통신부(430) 중 어느 하나의 통신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통신모듈을 활성화한 후 해당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그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400)은 4세대 네트워크와 3세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서비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은 상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400)은 4세대 네트워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1 통신부(420), 3세대 네트워크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2 통신부(430), 위치등록 거절 정보 및 이에 대응하여 제2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동작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40) 및 휴대 단말(4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기능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위치등록 정보 전달 방법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420)는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듀플렉서,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4세대 네트워크와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모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430)는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듀플렉서,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3세대 네트워크와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모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420)는 제1 네트워크와 위치등록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통신부(430)는 제2 네트워크와 위치등록에 대한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440)는 위치등록 과정 수행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휴대 단말(400)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440)는 제1 네트워크(또는 제2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위치등록 거절정보 또는 위치등록 실패사유를 저장하고 위치등록 거절정보에 대응하여 제2 네트워크(또는 제1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동작을 저장한다. 상기 실패사유에 대응하여 제2 네트워크(또는 제1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동작은 동일 PLMN 내에서 cell selection동작, camping 가능한 suitable cell search동작 또는 다른 PLMN selection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440)는 휴대 단말(4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SIM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SIM카드 기능과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가 결합되어 UICC 기능까지 겸용하며 통상적으로 3세대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USIM 카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40)는 4세대 통신망에서 사용 가능한 모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40)는 휴대 단말(400)에 장착/탈착이 가능한 카드 형태의 모듈일 수도 있고, 메모리칩(Memory chip)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칩에는 사용자의 개인 전화번호, 비밀번호, 과금 정보 등과 같은 각종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 고유 식별 정보로서 상기 가입자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이하 'IMSI'라 칭함), 그리고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망으로부터 할당되는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 또는 패킷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Packet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 등 휴대 단말(400)가 작동하는 동안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요구되는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460)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 등에 의한 입력키 조작 상태를 표시한다. 표시부(46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부(460)는 입력부(470)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47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4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470)는 단말(4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일반적인 키 배열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제1 통신모듈(420)과 제2 통신모듈(430)의 제어 및 휴대 단말(4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입출력부와, 저장부(440) 및 상기 각 구성간의 신호 흐름 및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휴대 단말(400)의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 및 이에 포함된 거절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2 네트워크 탐색동작을 처리한다. 즉, 상기 분석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제2 네트워크 탐색 동작을 저장부(440)에서 확인하여 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를 탐색하고 휴대 단말이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 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에 거절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는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시도 및 거절 메시지 송수신 시간, 위치등록 실패 지역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실패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당해 실패사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종류, Cell ID, 전계 등의 전파환경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430)를 통해 제2 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가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전송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부(450)는 제1네트워크로 위치등록 전환 명령을 내린다. 즉 제1 통신부(420)를 통해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위치등록 전환 정보메시지가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이 가능한 조건에 대한 정보인 경우 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 위치등록 전환 명령을 내릴지에 대한 결정을 한다. 즉,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재시도할 지에 대하여 판단하고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전송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제어부(450)은 소정의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예컨대, 호(Call) 수신)가 요청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네트워크로의 서비스(예컨대, 호 연결)가 요청되는 경우, 요청되는 해당 무선 네트워크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은 상기 판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부(제1 통신부(420) 또는 제2 통신부(430))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50)은 3세대 네트워크 또는 4세대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획득할 시,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부(420)(430)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 접속을 제어한다. 또한 3세대 네트워크 및 4세대 네트워크를 동시에 획득할 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모드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50)은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420)(4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50)은 소프트웨어 엔티티(entity)들로 설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엔티티들의 예시로는 3세대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를 처리를 위한 엔티티와, 4세대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 처리를 위한 엔터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420)과 제2 통신부(430)는 상기 제어부(450)의 제어 하에 상기 휴대 단말(400)이 4세대 네트워크와 3세대 네트워크 각각과 통신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휴대 단말의 위치등록 결과정보 전달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위한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등록을 실패시, 상기 제1네트워크로부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한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 수신시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는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는 제1 네트워크의 전파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 후
    상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등록 거절 정보에 대응하여 제2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 PLMN 내에서 cell selection단계, camping할 수 있는 suitable cell search 단계 또는 다른 PLMN selection 단계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네트워크에 위치등록 허용 메시지 수신시 제2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을 완료한 후, 상기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등록 전환정보에 의해 제1네트워크로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로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가 제1 네트워크로의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 재전송 명령 메시지이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로 접속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가 제1 네트워크로의 위치등록이 가능한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이면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4세대 네트워크(또는 3세대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3세대 네트워크(또는 4세대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 2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등록을 실패한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통신부를 통해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거절 정보는 위치등록 실패사유(Cause Number)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 등록 거절 정보는 제1 네트워크의 전파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4. 제11항 또는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등록 거절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네트워크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선택 동작은 동일 PLMN 내에서 cell selection동작, camping 가능한 suitable cell search동작 또는 다른 PLMN selection 동작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제2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1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위치등록 전환 명령을 내리는 휴대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제2네트워크로부터 위치등록 전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위치등록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휴대 단말.
KR1020120049335A 2012-05-09 2012-05-09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191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35A KR101916738B1 (ko) 2012-05-09 2012-05-09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US13/888,662 US9474097B2 (en) 2012-05-09 2013-05-07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loc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335A KR101916738B1 (ko) 2012-05-09 2012-05-09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47A true KR20130125647A (ko) 2013-11-19
KR101916738B1 KR101916738B1 (ko) 2018-11-08

Family

ID=4954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335A KR101916738B1 (ko) 2012-05-09 2012-05-09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74097B2 (ko)
KR (1) KR101916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0556B2 (en) 2013-10-09 2016-08-1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ircuit switched calls at a user equipment
CN104581876A (zh) * 2013-10-18 2015-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接入网信息管理方法及装置
US10455490B2 (en) * 2013-12-19 2019-10-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Network access through a second wireless network
US9955386B2 (en) * 2014-02-26 2018-04-24 Cellco Partnership Switchover service for network selection fallback
EP3253172B1 (en) * 2016-06-01 2019-12-11 Intel I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services from network rejections t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678291B2 (en) * 2016-08-21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upport of lo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11405863B2 (en) 2016-10-05 2022-08-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CN110313167B (zh) * 2017-02-21 2021-03-23 京瓷株式会社 无线电通信设备及其控制方法
WO2018194125A1 (ja) 2017-04-21 2018-10-2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8209619A1 (en) * 2017-05-17 2018-11-22 Tink Labs Limi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via a current state of the computing device and signals received by and/or from other computing devices
TWI713375B (zh) * 2018-04-23 2020-12-11 新加坡商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非完整性保護拒絕訊息之處理方法及其使用者設備
JP6635525B1 (ja) 2018-10-29 2020-01-2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交換機、通信システム、登録方法及び登録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83B1 (ko) 2006-06-21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피엘엠앤 재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582530B2 (en) * 2010-12-30 2013-11-12 Intel Corporation Expedited reporting of neighbor cell signal strength
TWI442806B (zh) * 2011-03-03 2014-06-21 Acer Inc 行動通訊裝置以及位置註冊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3164A1 (en) 2013-11-14
KR101916738B1 (ko) 2018-11-08
US9474097B2 (en)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738B1 (ko) 위치등록 결과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1593591B1 (ko) 멀티 심 단말기의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0884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15023007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creasing a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Calls on a Service Subscription of a Multi-SIM Device
CN110431913B (zh) 连接管理方法、用户设备、核心网实体及系统
KR1015876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Home PLMN 검색 방법
CN101198136A (zh) 双卡双待手机的小区重选方法
US20170230904A1 (en) Carrier Network Access for Multi-SIM Devices
EP4132039A1 (en) User equipment hav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s with improved suspend / resume operation
CN111698772B (zh) 5g系统的注册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730484B (zh) 一种双卡4g多模移动终端及其实现方法
EP3179754B1 (en) Controlling e-utra capability of user equipment in a visited network
CN112640552A (zh) 一种显示5g状态标识的方法和终端
CN104144528A (zh) 一种用于解决多模多卡冲突的方法、设备和装置
JP6518731B2 (ja) マニュアルパブリックランド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サーチの優先順位付け
US895405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nd testing of called terminal and long term evolution system
US813128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504055B1 (en) Scheduling receive chain activities on a mobile device
CN108464038B (zh) 电路域回落的方法、基站、移动管理实体和终端
CN111565479A (zh) 通信方法及其装置、系统
WO2017166278A1 (en) Check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availability in mobile devices
KR20230048529A (ko) 네트워크 선택 방법, 정보 송신 방법,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7083094A1 (en) Retriev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mobile devices
KR2008009159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로밍방법
TWI503015B (zh) 雙模雙待雙通的行動通訊裝置與動態切換天線之耦接路徑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