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298A -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 Google Patents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298A
KR20130125298A KR1020130045299A KR20130045299A KR20130125298A KR 20130125298 A KR20130125298 A KR 20130125298A KR 1020130045299 A KR1020130045299 A KR 1020130045299A KR 20130045299 A KR20130045299 A KR 20130045299A KR 20130125298 A KR20130125298 A KR 2013012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rane
connection terminal
assembled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자
Original Assignee
김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자 filed Critical 김미자
Publication of KR2013012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기레일을 설치함에 있어, 개선된 연결단자를 제공하여 레일과 레일을 효율적으로 연결 설치함은 물론, 레일 마모에 따라 레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설치작업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 소켓이 끼워져 조립된 레일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과 레일이 연결되는 부위로 위치하여 볼트에 의해 조립연결되어 상기 레일과 레일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단자와,
타측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하는 피복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Trolley bar}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크레인용 전기레일(일명:트로리바 Trolley ba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레일의 일방에 평행으로 설치되어 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는 전기레일 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제철, 제련등 대형공장에서 50ton 이상의 물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100ton 이상의 크레인이 공장의 천정에 설치되며, 크레인에 연결되는 전기레일(트로리바)은 알미늄 또는 철 소재의 레일의 상단에 요홈을 갖는 동 소재의 레일을 끼워서 압착으로 제조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전기레일은 천정크레인의 지지대가 이동되는 레일의 일방에 평행으로 설치되어 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며 일정기간을 사용하게 되면 마모등의 요인으로 전도율이 떨어져 교체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레일은 크레인의 이동 경로에 따라서 길게는 30M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십미터의 길이로 설치시에는 전기레일은 상호 연결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종래의 전기레일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전기레일을 첨부 도면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전기레일(10)은 단면상 오뚜기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의 중공부로 전류가 통하는 동 재질의 소켓(12)이 끼워져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12)의 타단에는 또 다른 레일(11)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수십미터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된 레일(11)은 상호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단자(13)와 볼트(b)에 의해 결속된다.
한편, 레일(11)의 중공부에 끼워지는 소켓(12)은 레일과 레일로 전류가 잘 전가될수 있도록 중공부의 내경과 소켓의 외경이 대등소위하도록 구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일(11)의 중공부의 내경과 소켓(12)의 외경이 동일소위하게 구성되어 있어, 소켓(12)의 반대편으로 또 다른 레일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집게 공구를 이용하여 소켓(12)에 레일을 억지끼워 조립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단자(13)을 밀착시켜 볼트(B)에 의해 레일과 레일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기레일(10)을 설치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전기레일을 현장 설치 시 반듯이 연결공구로 체결해야 하므로 레일 시공에 따른 불편성과 조립에 따른 정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공구에 의해 조립되는 레일은 해체시 제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일부 마모된 레일의 교체사용이 용이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레일 시공을 다시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8770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기레일을 설치함에 있어, 개선된 연결단자를 제공하여 레일과 레일을 효율적으로 연결 설치함은 물론, 레일 마모에 따라 레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설치작업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조립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써, 일부 마모된 레일을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크레인이 이송방향으로 평행지게 설치되어 크레인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에 소켓이 끼워져 조립된 레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과 레일이 연결되는 부위로 외주연으로 볼트에 의해 조립연결되어 상기 레일과 레일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단자와,
타측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재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연결단자는 레일이 외형 형태와 동일하게 단면상 오뚜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는 개구되어 이루어지며, 레일과 레일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며, 레일이 끼워져 조립되게 통공된 조립홀이 형성되되, 상기 조립홀은 좌측과 우측의 지름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레일 중앙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에 끼워지는 연결단자에는 상기 체결공으로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과 레일을 연결함에 있어, 좌.우측의 조립홀이 서로 상이한 연결단자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레일과 레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립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설치 후에도 레일 마모시 마모된 레일의 교체가 편리하며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용 전기레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는 조립된 상태의 각각 A-A선, B-B선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일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일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일(100) 구조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레일(101)과 레일(101)을 상호 반복적으로 연결구성된다.
이때, 일정길이로 절단된 레일(101)은 단면상 오뚜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소켓(102)이 끼워지게 중공부(101b)를 이루고 있다. 일정길이로 절단된 레일의 중공부(101b)에는 전류가 잘 통하는 재질의 소켓(102)이 한쪽에만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레일은 연속적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일의 중앙에는 체결공(101a)이 형성되되, 그 위치는 끝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된 레일(101)과 레일(101)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이 맞닿는 부위의 외주연으로는 연결단자(103)가 끼워져 볼트(b)에 의해 조립된다.
이러한 연결단자(103)는 일측부는 크레인의 접속단자가 지나도록 개구부(104)가 형성되며, 레일(101)이 끼워지게 조립홀(106)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좌측 조립홀(106a)과 우측조립홀(106b)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다.
즉, 좌측조립홀(106a)은 오뚜기 형상의 레일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측조립홀(106b)은 오뚜기 형상의 레일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좌측 조립홀(106a)과 우측조립홀(106b)의 내경을 달리하므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레일과 레일을 쉽게 조립설치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단자(103)는 레일(101)에 조립되되, 소켓(102)이 끼워진 레일의 외주연으로 우측조립홀(106b)이 끼워져 조립된다. 이때, 우측조립홀(106b)과 소켓이 끼워져 있는 레일의 외주연이 동일하며, 우측조립홀(106b)에서 레일이 빠지지 않도록 볼트(b)에 의해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조립된 단품의 레일은 시공현장에서 서로 조립하여 사용하여 사용된다. 한편, 시공현장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품 레일의 조립은 좌측조립홀(106a) 소켓이 없는 부분의 레일이 끼워져 조립되는데, 레일의 외경보다 좌측조립홀(106a)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레일과 레일이 맞닿아 조립되는 부위에 연결단자(103)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조립되는 레일을 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레일의 상단에서 볼트로 조여 조립할 수 있어 전기레일 공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단자(103)의 일 방향은 크레인의 접지단자가 이동할 수 있게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일(101)의 외부로는 피복재(110)가 결합되되, 크레인의 접지단자가 이동하는 부위는 개구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레일 상에는 체결공(101a)이 형성하고, 연결단자(103)의 내측에는 레일이 끼워져 조립될 시 상기 체결공(101a)으로 끼워지게 체결돌기(103a)가 구성된다.
즉, 레일(101)과 연결단자(103)의 조립시 체결돌기(103a)가 체결공(101a) 위치까지 향하면 체결돌기(103a)가 체결공(101a)으로 유입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체결공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조립시 별도의 볼트 조립이 불필요하여 전기레일 공사 시간을 더욱 더 단축 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공은 볼트 대신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예컨데 일측은 체결공과 체결돌기로 결합되게 구성하고 타측은 볼트로 조립할 시 연결단자의 체결공과 레일의 체결공을 정확하게 위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일측을 쐐기형상으로 돌출시켜 조립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일은 종래의 레일 공사를 함에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설치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설치후에도 마모 교체에 따른 요부 교체 및 전부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첨부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일이 장작된 것으로, 전기레일 천정용 크레인은 양 측벽에 전기레일 설치대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레일 설치되며 상부에는 크레인이 이동하는 크레인 레일이 설치되고, 전기레일 설치대의 측벽에는 상기 크레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레일(10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크레인의 이동방향으로 전기레일이 설치되어 크레인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전기레일 101: 레일
102: 소켓 103: 연결단자
104: 개구부 103a: 체결돌기
106:조립홀 106a: 좌측조립홀
106b:우측조립홀

Claims (3)

  1. 천정크레인이 이송방향으로 평행지게 설치되어 크레인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에는 소켓(102)이 끼워져 조립되는 단품 레일(101)과,
    상기 소켓(102)이 끼워진 부위에 볼트에 의해 조립설치되어 레일과 레일이 이탈되는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단은 조립홀(106)이 관통형성되고 타단은 크레인의 접속단자가 지나도록 개구부(104)가 형성된 연결단자(103)와,
    타측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101)의 외부를 감싸 피복하는 피복재(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103)는 레일이 외형 형태와 동일하게 단면상 오뚜기 형상으로 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레일(101)이 끼워져 조립되게 조립홀(106)이 구성되되, 내경이 서로 상이한 좌측조립홀(106a)과 우측조립홀(106b)로 나누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3. 제 1하에 있어서,
    상기 레일(101) 중앙에는 체결공(101a)이 형성되며 이에 끼워지는 연결단자(103)에는 상기 체결공으로 끼워지는 체결돌기(10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KR1020130045299A 2012-05-08 2013-04-24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KR20130125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450 2012-05-08
KR20120048450 2012-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98A true KR20130125298A (ko) 2013-11-18

Family

ID=4985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299A KR20130125298A (ko) 2012-05-08 2013-04-24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38B1 (ko) 2016-01-15 2016-06-08 최덕환 천정크레인용 레일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38B1 (ko) 2016-01-15 2016-06-08 최덕환 천정크레인용 레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174B1 (ko) 전력구의 지중송전케이블 유지 관리용 배열대
CN104175278A (zh) 拔销器
KR20130125298A (ko)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KR100986307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130006596U (ko) 천정크레인용 전기레일 연결단자
CN203247925U (zh) 一种可组装的水泥电线杆
KR20140145838A (ko) 크레인용 트로리바
KR101178177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120095092A (ko) 송전 철탑 인상 장치
KR101694466B1 (ko) 통스크레인의 다단 분리형 통키
CN201065640Y (zh) 建筑施工用组合模板
KR101666992B1 (ko) 연결 조립형 케이블 트레이
CN204492327U (zh) 一种组合式安全围栏
KR101691357B1 (ko) 트롤리바 전력공급용 레일 연결구조
CN207848589U (zh) 一种线管提前预埋结构
CN202703163U (zh) 一桥左右板簧后支架
KR100890559B1 (ko) 배전용 전주 조립체.
CN204627100U (zh) 一种配电线路施工用组合式抱箍
KR20160003445A (ko) 크레인용 트로리바
CN204441815U (zh) 电缆桥架用吊框及使用该吊框的桥架组件
CN213814100U (zh) 用于地铁盾构区间的棱镜连接装置及棱镜结构
CN213341541U (zh) 便于电缆排布的户外端子箱基座
CN203394007U (zh) 便携式变台操作平台
CN104358467A (zh) 砼电杆横担安装辅助工具
CN210875739U (zh) 一种立磨风箱耐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