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19A -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19A
KR20130125119A KR1020120048626A KR20120048626A KR20130125119A KR 20130125119 A KR20130125119 A KR 20130125119A KR 1020120048626 A KR1020120048626 A KR 1020120048626A KR 20120048626 A KR20120048626 A KR 20120048626A KR 20130125119 A KR20130125119 A KR 20130125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ents
evaluation target
dispute
index
po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욱
민정호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주) 아이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피아이 filed Critical (주) 아이피아이
Priority to KR102012004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119A/ko
Publication of KR2013012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2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특허 평가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Patent evaluation and fore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특허 분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심 대상 특허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관심 대상 특허에 대하여 분쟁예보지수 등을 통하여 특허분쟁을 예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등록특허에 대하여 기술평가를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특허분쟁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 또한 제안되고 있다.
기존 방법들은 주로 평가하고자 하는 특허의 서지사항 및 특허정보 또는 그 특허가 인용하거나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의 서지사항 및 특허정보만을 가지고 평가 또는 분쟁예측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사 기술군에 있는 특허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고려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결과만을 제공하며,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평가 내지 분쟁예측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허에 대한 평가 또는 분쟁예측에 있어서,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을 프로파일링함으로써 유사 기술군에 있는 특허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고려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평가 및 특허분쟁 예측을 수행하는 특허 평가 시스템 및 방법과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허 평가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정보는 청구범위의 수, 특허패밀리의 수, 인용특허의 수, 피인용특허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허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에 따라 상기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속한 특허들로서 소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술혁신주기 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추출하여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특허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대상 특허에 해당하는 특허분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특허분류 중 일부의 특허분류를 바탕으로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포함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구간 별로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상기 소정 기준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구간마다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해당 구간의 특허건수가 많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의 특허등록으로부터 분쟁발생까지의 기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의 기술혁신주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술혁신주기는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해당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대상인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의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의 고소경험 또는 피고소경험 여부에 따른 가중치를 더 구할 수 있다.
상기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특허분쟁 예보 방법은, 상기 산출된 분쟁예보지수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추출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분쟁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허 평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특허 모집단 생성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특허파워지수 산정부;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하는 기준등급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하는 평가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특허 모집단 생성부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속한 특허들로서 소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술혁신주기 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추출하여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특허파워지수 산정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포함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구간 별로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상기 소정 기준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구하는 정성지수 산출부; 및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분쟁예보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의 특허등록으로부터 분쟁발생까지의 기간, 해당 특허의 기술혁신주기,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대상인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정성지수 산출부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의 고소경험 또는 피고소경험 여부에 따른 가중치를 더 구할 수 있다.
상기 분쟁예보지수 산출부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에 대한 평가 또는 분쟁예측에 있어서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을 프로파일링함으로써 유사 기술군에 있는 특허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고려할 수 있고,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평가 및 특허분쟁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레이더 차트를 통하여 특허파워지수가 산출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특허파워지수의 분포도 및 각 구간 별 등급과 특허파워지수의 범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입력된 특허들의 특허분류를 표시하고 원하는 특허분류를 입력받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와 등급 및 순위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추출된 분쟁특허들과 해당 분쟁정보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분쟁예보지수와 분쟁 위험도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와 분쟁예보지수, 그리고 그 순위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특정 특허의 분쟁예보지수와 분쟁 위험도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를 타나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특허 데이터베이스(15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특허 데이터베이스(150)는, 적어도 하나의 국가에 대한 특허들의 특허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특허정보 DB(151), 적어도 하나의 국가에서의 특허분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특허분쟁정보 DB(152), 특허패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특허패밀리 DB(153)를 포함한다. 특허정보 DB(151)에 유지되는 특허정보로는 특허등록번호, 등록일자, 출원인, 출원일자, 특허분류, 인용특허, 피인용특허, 청구범위, 소유권 변동 사항, 연차등록료 납부 사항 등이 있다. 특허분쟁정보 DB(152)에 유지되는 특허분쟁정보로는 특허분쟁사건의 분쟁당사자, 해당 특허정보, 분쟁발생시기 등이 있다. 특허패밀리 DB(153)에 유지되는 특허패밀리 정보로는 특허의 패밀리 수, 출원국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허정보 DB(151)와 특허분쟁정보 DB(152)는 편의상 미국특허 데이터베이스와 미국특허 분쟁정보 데이터베이스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은 물론 다른 국가의 특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나아가 여러 국가들의 특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이거나 혹은 각 국가의 특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특허패밀리 DB(153)는 잘 알려진 INPADOC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평가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를 입력받고, 특허정보 DB(151), 특허패밀리 DB(153)로부터 필요한 특허들의 특허정보, 특허패밀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대상 특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해당 특허의 평가등급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모집단 생성부(110),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 기준등급 결정부(130), 평가등급 결정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허모집단 생성부(110)는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평가대상 특허에 대하여 산출한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특허 모집단은 이후에 평가등급 결정부(140)가 평가대상 특허의 평가등급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기준이 된다. 이러한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은 평가대상 특허와 유사 기술군에 있는 특허들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속한 특허들을 가지고 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여기서 특허분류는 예를 들어 잘 알려진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코드 또는 UPC(U.S. Patent Classes) 코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IPC 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평가대상 특허의 IPC 코드가 'G11C 11/00'이라면, 그것의 서브클래스 분류인 G11C에 해당하는 특허들로 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만일 평가대상 특허의 IPC 코드가 여러 개이거나 평가대상 특허가 여러 개라면(이 경우, 평가대상은 '특허군'이라 할 수 있다), 평가대상 특허의 모든 IPC 코드에 해당하는 특허들로 특허 모집단을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요한 일부 IPC 코드에 해당하는 특허들로 특허 모집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평가 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속한 특허들을 모두 특허 모집단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하여 소정 시점(예컨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기술혁신주기 내에 등록된 특허들로 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특허 모집단은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바, 비교적 오래된 특허들은 고려할 필요가 없고 해당 기술의 기술혁신주기 안에 있는 특허들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평가대상 특허의 IPC 코드가 G11C에 해당하고,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가 1년으로 산출된다면, 특허모집단 생성부(110)는 특허정보 DB(151)로부터 IPC 코드가 G11C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현재로부터 과거 1년 이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추출하여 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는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해당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인용특허의 등록일로부터 해당 특허의 등록일까지의 기간을 구하고, 그 기간의 1/2을 해당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로 할 수 있다. 인용특허가 여러 개인 경우 각 인용특허마다 구해지는 기간의 평균을 사용할 수 있다.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는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또한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는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특허파워지수란 해당 특허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인 권리의 포괄성, 권리의 파급력, 기술의 차별성, 기술의 원천성 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일종의 지표이다. 예컨대, 권리의 포괄성은 청구범위의 수로, 권리의 파급력은 특허패밀리 수로, 기술의 차별성은 인용특허의 수로, 기술의 원천성은 피인용특허의 수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특허파워지수는 특허정보 중 청구범위의 수, 특허패밀리 수, 인용특허의 수, 피인용특허의 수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그밖에, 최근의 특허의 경우 피인용특허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고려하여 인용, 피인용특허 수의 합산의 1/2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보정계수 항목을 마련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허패밀리, 인용, 피인용특허가 없는 경우 최소값을 부여하여 특허파워지수가 산정되지 않는 경우를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범위의 수, 특허패밀리 수, 인용특허의 수, 피인용특허의 수, 보정계수를 레이더 차트 상에 표시하고, 각 항목의 표시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의 면적을 특허파워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기준등급 결정부(130)는 특허 모집단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한다. 예컨대, 구해진 특허파워지수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다음, 상위 0%에서 100%까지의 구간을 복수 개의 퍼센트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마다 특허파워지수의 범위를 대응시키고 등급을 부여한다. 여기서, 각 퍼센트 구간의 범위는 구간 별 특허건수의 분포가 정규분포와 유사한 형태를 띠도록 결정할 수 있다. 각 구간의 등급은 예컨대 0~1% 구간은 최고 등급인 A+를, 1~7%의 구간은 그 다음 등급인 A를, 7~19% 구간은 그 다음 등급인 B+를, 마지막으로 99~100% 구간은 최하 등급인 F 등급을 부여하는 식으로 할 수 있다.
평가등급 결정부(140)는 기준등급 결정부(130)에서 결정된 특허파워지수의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삼아,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가 산정한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한다. 예컨대,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등급 B+에 대응하는 구간에 속한다면,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은 B+로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 역시 전술한 특허 평가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특허 데이터베이스(15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 특허 데이터베이스(150)에 관하여는 도 1을 참조로 이미 설명하였는 바,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평가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를 입력받고, 특허정보 DB(151), 특허분쟁정보 DB(152), 특허패밀리 DB(153)로부터 필요한 특허들의 특허정보, 특허분쟁정보, 특허패밀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대상 특허에 대한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여기서 분쟁예보지수는 평가대상 특허가 특허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210), 특허파워지수 산정부(220), 정성지수 산출부(230), 분쟁예보지수 산출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전술한 특허 평가 시스템(100)과 통합되어 특허 평가 및 특허분쟁예보를 모두 수행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허파워지수 산정부(220)와 전술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의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특허파워지수 산정부(220)는 전술한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로 통합될 수 있다.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210)는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로 구성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여기서 특허분류는 예를 들어 잘 알려진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코드 또는 UPC(U.S. Patent Classes) 코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IPC 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평가대상 특허의 IPC 코드가 'G11C 11/00'이라면,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210)는 특허분쟁정보 DB(152)에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 중 'G11C 11/00'의 서브클래스 분류인 G11C에 해당하는 특허들의 특허번호를 추출하여 이 특허들로 이루어지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만일 평가대상 특허의 IPC 코드가 여러 개이거나 평가대상 특허가 여러 개라면(이 경우, 평가대상은 '특허군'이라 할 수 있다), 평가대상 특허의 모든 IPC 코드에 해당하는 특허들로 분쟁특허 모집단을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요한 일부 IPC 코드에 해당하는 특허들로 분쟁특허 모집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허파워지수 산정부(220)는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특허파워지수의 산정은 전술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의 특허파워지수 산정부(120)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성과 평가대상 특허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가능성을 반영하는 정성지수로서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특허정보 또는 분쟁정보에 기초한 소정 기준에 따라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구간 별로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가중치를 부여하고, 평가대상 특허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그 기준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중치 산출의 기준은 네 가지로서, 첫째, 특허등록으로부터 분쟁발생까지의 기간(이하 '분쟁발생기간'이라 한다), 둘째, 기술혁신주기, 셋째, 해당 특허가 원천기술과 응용기술 중 어느쪽에 해당하는지의 기술성향(이하 '기술성향'이라 한다), 넷째,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의 분쟁민감도이다.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이들 네 가지 가중치를 모두 산출하여 특허파워지수에 적용할 수도 있고, 이들 네 가지 가중치 중 일부만을 산출하여 특허파워지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먼저, 분쟁발생기간에 따른 제1 가중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에 대하여 특허분쟁정보 DB(152)로부터 특허등록일과 분쟁발생일을 추출하고, 특허등록일로부터 분쟁발생일까지의 기간을 계산하여 분쟁발생기간을 구한다. 그리고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분쟁발생기간의 소정 구간에 따라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특허건수를 구하고, 각 구간마다 해당 특허건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쟁발생기간 테이블을 생성한다. 다음 표는 이렇게 생성된 분쟁발생기간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분쟁발생기간 특허건수 가중치
등록후 2년 내
등록 후 2년∼5년
등록 후 5년∼8년
등록 후 8년∼12년
등록 후 12년 이상
가중치는 최고값을 1로 하여 해당 특허건수가 많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컨대, 해당 특허건수가 많은 순으로 각 구간마다 가중치 1.0, 0.9, 0.8, 0.7 0.6, 0.5를 부여한다. 분쟁발생기간의 구간 별 범위와 부여되는 가중치는 분쟁발생기간의 분포 또는 분쟁발생기간의 반영 정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등록일을 추출하고, 특허등록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기간을 계산한다. 이렇게 구해진 평가대상 특허의 기간이 분쟁발생기간 테이블의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찾아서, 해당 구간에 부여된 가중치를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발생기간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술혁신주기에 따른 제2 가중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기술혁신주기는, 전술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의 특허모집단 생성부(110)가 산출하는 기술혁신주기와 동일한 개념이다. 즉,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에 각각에 대하여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해당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을 이용하여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한다. 그리고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기술혁신주기의 소정 구간에 따라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특허건수를 구하고, 각 구간마다 해당 특허건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술혁신주기 테이블을 생성한다. 다음 표는 이렇게 생성된 기술혁신주기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기술혁신주기 특허건수 가중치
1년 이내
1년∼5년
5년∼10년
10년∼20년
20년 이상
가중치는 분쟁발생기간과 마찬가지로 최고값을 1로 하여, 해당 특허건수가 많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기술혁신주기의 구간 별 범위와 부여되는 가중치는 기술혁신주기의 분포 또는 기술혁신주기의 반영 정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평가대상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을 이용하여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한다. 이렇게 구해진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가 기술혁신주기 테이블의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찾아서, 해당 구간에 부여된 가중치를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에 대응하는 제2 가중치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기술성향에 따른 제3 가중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형적으로, 미국특허의 인용문헌은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예컨대, 논문 등의 과학기술문헌)으로 구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용문헌으로서 비특허문헌이 많을수록 해당 특허기술은 기초/기반 기술, 즉 원천기술로 분류할 수 있고, 특허문헌이 많을수록 해당 특허기술은 응용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용특허문헌 수 대비 인용비특허문헌 수의 비율을 가지고 해당 특허의 기술성향을 표현한다. 따라서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에 대하여 {인용특허문헌 수/(인용특허문헌 수 + 인용비특허문헌 수)}를 계산하여 기술성향 지수로서 산출한다. 따라서 기술성향 지수가 높을수록 응용기술 쪽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기술성향 지수의 소정 구간에 따라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특허건수를 구하고, 각 구간마다 해당 특허건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술성향 지수 테이블을 생성한다. 다음 표는 이렇게 생성된 기술성향 지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기술성향 지수 특허건수 가중치
0.8 이상
0.6∼0.8
0.4∼0.6
0.2∼0.4
0.2 미만
가중치는 분쟁발생기간과 마찬가지로 최고값을 1로 하여, 해당 특허건수가 많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기술성향 지수의 구간 별 범위와 부여되는 가중치는 기술성향 지수의 분포 또는 기술성향 지수의 반영 정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평가대상 특허에 대하여 {인용특허문헌 수/(인용특허문헌 수 + 인용비특허문헌 수)}를 계산하여 기술성향 지수를 산출한다. 이렇게 구해진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성향 지수가 기술성향 지수 테이블의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를 찾아서, 해당 구간에 부여된 가중치를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성향에 대응하는 제3 가중치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분쟁민감도에 따른 제4 가중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상 특허분쟁사건의 경우 출원인의 성향에 따라 분쟁민감도가 결정된다. 예컨대, 고소인으로서 소송경험이 있는지 여부, 피고소인으로서 소송경험이 있는지 여부, 그밖에 해당 특허기술군의 경쟁 과소, 해당 특허기술군의 시장성, 해당 특허기술군에 참여하는 업체의 규모 등이 분쟁민감도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분쟁민감도는 위와 같은 요소들을 종합하여 사용자가 소정 기준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다만 간편하게는,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가 고소인 또는 피고소인으로서 소송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가지고 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 표와 같이 네 가지 케이스로 나누어 각 케이스 별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분쟁민감도 가중치
고소와 피고소 경험
고소경험
피고소경험
경험없음
예컨대 가중치는 최고값을 1로 하여, 고소와 피고소경험, 고소경험, 피고소경험, 경험없음 순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가 고소경험 또는 피고소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특허분쟁정보 DB(152)를 통하여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민감도에 대응하는 제4 가중치를 결정한다.
이상과 같이, 정성지수 산출부(230)는 평가대상 특허에 대하여 분쟁발생기간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 기술혁신주기에 대응하는 제2 가중치, 기술성향에 대응하는 제3 가중치, 분쟁민감도에 대응하는 제4 가중치를 구한다.
분쟁예보지수 산출부(240)는 특허파워지수 산정부(220)에서 구해진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정성지수 산출부(230)에서 구해진 가중치들을 이용하여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이 평가대상 특허에 구해진 가중치들을 각각 곱하여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나아가, 분쟁예보지수 산출부(240)는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유사 기술군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에 대비한 결과를 나타내는 분쟁 위험도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특허 평가 시스템(210)의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210)가 전술한 기능 외에 특허 평가 시스템(110)의 특허 모집단 생성부(110)가 가지는 기능을 더욱 보유하거나, 전술한 특허 모집단 생성부(110)가 특허 평가 시스템(210)에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즉,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210) 또는 더욱 포함된 특허 모집단 생성부(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하고,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그리고 특허파워지수 산정부(220)는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이렇게 산출된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가 상기 분쟁위험도 산출의 기초가 된다. 분쟁예보지수 산출부(240)는 다음과 같이 분쟁예보지수와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평균의 비율을 분쟁 위험도로서 산출한다.
Figure pat0000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방법의 흐름도로서,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를 입력으로 하여 특허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31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대상 특허를 입력받는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사용자로터 미국특허번호 6,801,451("Magnetic memory devices having multiple bits per memory cell")을 입력받은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32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특허정보 DB(151)에서 미국특허번호 6,801,451을 검색하여, 해당 특허의 청구범위 수, 특허패밀리 수, 인용특허 수, 피인용특허 수를 추출하고, 추가적으로 인용특허 수와 피인용 특허 수의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33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예컨대,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의 청구범위 수, 특허패밀리 수, 인용특허 수, 피인용특허 수를 권리의 포괄성, 권리의 파급력, 기술의 차별성, 기술의 원천성으로 환산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포함하여 각 항목을 레이더 차트 상에 표시한 다음 각 항목의 표시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의 면적을 특허파워지수로 산출한다. 도 4는 미국특허 6,801,451호에 대하여 레이더 차트를 통하여 특허파워지수가 산출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허파워지수는 54로 산출된다.
34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한다. 예컨대,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미국특허 6,801,451호의 인용특허의 등록일로부터 해당 특허의 등록일까지의 기간을 구하고, 그 기간의 1/2을 기술혁신주기로 산정한다. 그 결과 미국특허 6,801,451호의 기술혁신주기는 0.5년으로 산정된다.
35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위에서 산출된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예컨대 미국특허 6,801,451호의 IPC 분류는 'G11C 11/00'인 바,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IPC 코드가 G11C에 해당하고 현재로부터 최근 0.5년 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특허정보 DB(151)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허들로 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36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위에서 추출된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특허파워지수 산정을 위한 해당 특허들의 특허정보는 물론 특허정보 DB(151)에서 가져온다.
37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한다. 도 5는 IPC 코드가 G11C에 해당하고 현재로부터 최근 0.5년 내에 등록된 미국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분포도 및 각 구간 별 등급과 특허파워지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8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위에서 결정된 특허파워지수의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국특허 6,801,451호의 특허파워지수는 54로 산정되었는 바, 도 5를 참조하면 이 값은 등급 B+에 해당하는 특허파워지수 범위(116~50)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미국특허 6,801,451호의 등급은 B+로 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 평가 방법의 흐름도로서, 여러 개의 특허들로 이루어지는 평가대상 특허군을 입력으로 하여 특허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주제와 관련된 특허들의 특허평가를 수행하여 상대적인 평가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61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대상 특허군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기술에 대한 특허 100건을 평가대상 특허군으로서 입력한다. 이때 입력되는 특허번호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6393341, 6396839, 6424270, 6429642, 6434493, 6437692, 6459258, 6462713, 6553353, 6553418, 6564159, 6574610, 6577961, 6603218, 6611772, 6611922, 6657552, 6671586, 6671636, 6681154, 6684245, 6687627, 6694270, 6697951, 6700902, 6710721, 6732019, 6734806, 6737855, 6737984, 6737985, 6745138, 6747981, 6751562, 6751563, 6778099, 6778882, 6785592, 6792337, 6792364, 6798353, 6801865, 6813571, 6819098, 6836737, 6847300, 6862498, 6867707, 6868293, 6885302, 6988182, 6996154, 6996215, 6998963, 6999567, 7006934, 7012546, 7043380, 7043459, 7046682, 7053767, 7053790, 7058524, 7064675, 7064679, 7065457, 7068184, 7075414, 7076504, 7088239, 7089089, 7091878, 7098783, 7103511, 7106044, 7109882, 7116243, 7119713, 7123994, 7126493, 7126494, 7127328, 7127330, 7130832, 7142106, 7145474, 7202800, 7209049, 7209840, 7216021, 7216108, 7216145, 7218223, 7222111, 7224740, 7228726, 7230544, 7256709, 7259547, 7262709
62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위에서 입력된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특허정보 DB(151)에서 입력된 특허들을 검색하여, 각 특허의 청구범위 수, 특허패밀리 수, 인용특허 수, 피인용특허 수를 추출하고, 추가적으로 인용특허 수와 피인용 특허 수의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625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입력된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분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특허분류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특허분류는 후술할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도 7은 입력된 특허들의 특허분류를 표시하고 원하는 특허분류를 입력받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특허분류마다 해당 특허건수를 표시하고, 특허분류를 3개까지 입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63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예컨대,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의 청구범위 수, 특허패밀리 수, 인용특허 수, 피인용특허 수를 권리의 포괄성, 권리의 파급력, 기술의 차별성, 기술의 원천성으로 환산하고, 상기 보정계수를 포함하여 각 항목을 레이더 차트 상에 표시한 다음 각 항목의 표시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의 면적을 특허파워지수로 산출한다.
64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입력된 특허군의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한다. 예컨대,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들 100건 각각에 대하여 인용특허의 등록일로부터 해당 특허의 등록일까지의 기간의 1/2을 해당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로 산출하고, 이들 100건의 기술혁신주기의 평균을 입력된 특허군의 기술혁신주기로 결정한다. 위에서 입력된 특허군의 기술혁신주기는 3.5년으로 산출된다.
65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상기 625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특허분류와 상기 640단계를 통하여 산출된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주된 특허분류는 IPC 코드 G08B로 확인되는 바, 사용자로부터 G08B를 입력받은 것으로 가정하면,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G08B 분류에 해당하고 현재로부터 최근 3.5년 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특허정보 DB(151)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특허들로 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66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위에서 추출된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67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한다. 아래 표는 IPC 코드가 G08B에 해당하고 현재로부터 최근 3.5년 내에 등록된 미국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구간 별 등급과 특허파워지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표이다.
등급 등급기준(상위) 파워지수값 범위(G08B)
A+ 0-1% 8419~1301
A 1-7% 1301~235
B+ 7-19% 235~85
B 19-37% 85~42
C+ 37-63% 42~20
C 63-81% 20~11
D+ 81-93% 11~5
D 93-99% 5~1
F 99-100% 1~0
680단계에서,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위에서 결정된 특허파워지수의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의 등급을 결정한다. 그리고 특허 평가 시스템(100)은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와 등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도 8은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와 등급, 나아가 그 순위를 함께 표시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파워지수가 높은 특허들부터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평가대상 특허들 중 특허번호 7,103,511호가 특허파워지수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방법의 흐름도로서,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를 입력으로 하여 특허분쟁을 예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91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대상 특허를 입력받는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사용자로부터 미국특허번호 6,801,451("Magnetic memory devices having multiple bits per memory cell")을 입력받은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92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정보 DB(151)로부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추출하고, 930단계에서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920단계 및 930단계는 전술한 320단계 및 330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935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포함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예컨대,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분쟁정보 DB(152)를 검색하여 미국특허 6,801,451호의 IPC 분류인 G11C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추출하여 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94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분쟁정보 DB(152)에서 위에서 추출된 특허들의 특허정보 및 분쟁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특허정보의 경우 특허분쟁정보 DB(152) 외에 특허정보 DB(151)를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C 분류인 G11C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은 128건이 추출되며,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들과 해당 분쟁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95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성과 평가대상 특허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가능성을 반영하는 정성지수로서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에 적용할 가중치들을 산출한다. 예컨대,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미국특허 6,801,451호에 대하여 전술한 분쟁발생시기, 기술혁신주기, 기술성향, 분쟁민감도 각각에 따른 가중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하여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정보 및 분쟁정보를 바탕으로 전술한 분쟁발생기간 테이블, 기술혁신주기 테이블, 기술성향 지수 테이블, 분쟁민감도 테이블을 작성한다.
다음 표는 위에서 추출된 128건의 분쟁특허를 대상으로 생성된 분쟁발생기간 테이블을 나타낸다.
분쟁발생기간 특허건수 가중치
등록후 2년 내 44건 0.9
등록 후 2년∼5년 65건 1.0
등록 후 5년∼8년 13건 0.8
등록 후 8년∼12년 4건 0.7
등록 후 12년 이상 2건 0.6
예컨대 현재 평가 시점이 2012년 4월이라면, 미국특허 6,801,451호는 등록일이 2004년 10월 5일이므로, 특허등록일로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은 7.5년이 된다. 따라서 분쟁발생기간이 등록 후 5년~8년에 해당하므로, 미국특허 6,801,451호의 분쟁발생기간에 대한 가중치는 0.8로 결정된다.
다음 표는 위에서 추출된 128건의 분쟁특허를 대상으로 생성된 기술혁신주기 테이블을 나타낸다.
기술혁신주기 특허건수 가중치
1년 이내 52건 1.0
1년∼5년 47건 0.9
5년∼10년 22건 0.8
10년∼20년 7건 0.7
20년 이상 0건 0.6
전술한 바와 같이 미국특허 6,801,451호의 기술혁신주기는 0.5년으로 산출되므로, 이 값은 기술혁신주기 1년 이내에 해당한다. 따라서 미국특허 6,801,451호의 기술혁신주기에 대한 가중치는 1.0으로 결정된다.
다음 표는 위에서 추출된 128건의 분쟁특허를 대상으로 생성된 기술성향 지수 테이블을 나타낸다.
기술성향 지수 특허건수 가중치
0.8 이상 118건 1.0
0.6∼0.8 2건 0.8
0.4∼0.6 6건 0.9
0.2∼0.4 2건 0.8
0.2 미만 0 0.6
미국특허 6,801,451호는 인용특허가 6개이고, 비특허문헌을 인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술성향 지수는 6/(6+0)=1이 된다. 따라서 미국특허 6,801,451호는 기술성향 지수 0.8 이상에 해당하여 기술성향에 대한 가중치는 1.0으로 결정된다.
다음 표는 분쟁민감도에 따른 가중치 테이블을 나타낸다.
분쟁민감도 가중치
고소와 피고소 경험 1.0
고소경험 0.9
피고소경험 0.8
경험없음 0.7
미국특허 6,801,451호의 출원인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이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분쟁정보 DB(152)를 통하여 상기 출원인의 고소경험 여부와 피고소경험 여부를 확인한다.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는 고소경험과 피고소경험이 모두 있는 출원인으로 확인되어, 분쟁민감도에 대한 가중치는 1.0으로 결정된다.
96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950단계를 통하여 산출된 가중치들을 이용하여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중치들은 0.8, 1.0, 1.0, 1.0으로 산출되었는 바, 미국특허 6,801,451호의 분쟁예보지수는 54*0.8*1.0*1.0*1.0=43.2로 산출된다.
나아가, 97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상기 산출된 분쟁예보지수를 평가대상 특허와 유사 기술군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에 대비하여 분쟁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들을 추출하여 그들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출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도 3의 350단계와 360단계가 970단계에 앞서 수행된다. 예컨대 미국특허 6,801,451호의 IPC 코드인 G11C에 해당하고 기술혁신주기 0.5년에 해당하는 현재로부터 최근 0.5년 내에 등록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평균은 22로 산출된다. 따라서 미국특허 6,801,451호의 분쟁 위험도는 (43.2/22)*100=195%로 산출된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위와 같이 산출한 분쟁예보지수와 분쟁 위험도를 대시보드 타입 또는 적절한 그래픽 표현 방식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미국특허 6,801,451호에 대하여 산출된 분쟁예보지수와 분쟁 위험도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허분쟁 예보 방법의 흐름도로서, 여러 개의 특허들로 이루어지는 평가대상 특허군을 입력으로 하여 특허분쟁을 예보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주제와 관련된 특허들의 분쟁예보지수와 분쟁 위험도를 산출하여 상대적인 평가 결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121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대상 특허군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전술한 610단계와 동일하게,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기술에 대한 특허 100건을 평가대상 특허군으로서 입력받는다.
122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위에서 입력된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추출한다. 1220단계는 전술한 620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25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입력된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분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특허분류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특허분류는 후술할 특허 모집단과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1225단계는 전술한 625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3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한다. 1230단계는 전술한 630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35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1225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특허분류에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포함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평가대상 특허들의 주된 특허분류는 IPC 코드 G08B로 확인되는 바, 1225단계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G08B를 입력받은 것으로 가정하면,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분쟁정보 DB(152)를 통하여 G08B 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 315건을 추출하여 분쟁특허 모집단을 구성한다.
124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분쟁정보 DB(152)에서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정보 및 분쟁정보를 추출한다. 필요에 따라, 특허정보의 경우 특허분쟁정보 DB(152) 외에 특허정보 DB(151)를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125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전술한 950단계와 마찬가지로,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정보 및 분쟁정보를 바탕으로 전술한 분쟁발생기간 테이블, 기술혁신주기 테이블, 기술성향 지수 테이블, 분쟁민감도 테이블을 작성하고, 작성된 테이블들에 기초하여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에 대하여 분쟁발생기간에 대한 가중치, 기술혁신주기에 대한 가중치, 기술성향에 대한 가중치, 분쟁민감도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한다.
126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위에서 산출된 가중치들을 이용하여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한다.
나아가, 1270단계에서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평가대상 특허군과 유사 기술군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에 대비하여 분쟁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225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특허분류와 평가대상 특허군의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들을 추출하여 그들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출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도 6의 640단계 내지 660단계가 1270단계에 앞서 수행된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평균을 산출하고, 평가대상 특허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특허의 분쟁예보지수와 상기 산출된 특허파워지수의 평균을 가지고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분쟁 위험도를 산출한다.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위와 같이 산출한 평가대상 특허들의 분쟁예보지수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도 13은 평가대상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와 분쟁예보지수, 그리고 그 순위를 함께 표시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쟁예보지수가 높은 특허들부터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나아가,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표시된 특허번호 리스트에서 특정 특허를 선택하면(예컨대, 해당 특허의 분쟁예보지수 또는 순위를 클릭하면), 선택한 특허의 분쟁예보지수와 분쟁 위험도를 대시보드 타입 또는 적절한 그래픽 표현 방식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6,437,632호 특허를 선택하는 경우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특허 평가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정보는 청구범위의 수, 특허패밀리의 수, 인용특허의 수, 피인용특허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에 따라 상기 기술혁신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속한 특허들로서 소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술혁신주기 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추출하여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 특허에 해당하는 특허분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특허분류 중 일부의 특허분류를 바탕으로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방법.
  7. 특허분쟁 예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포함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구간 별로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상기 소정 기준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간마다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해당 구간의 특허건수가 많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의 특허등록으로부터 분쟁발생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의 기술혁신주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혁신주기는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해당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대상인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의 비율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의 고소경험 또는 피고소경험 여부에 따른 가중치를 더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분쟁예보지수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추출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분쟁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방법.
  16. 특허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와 기술혁신주기를 바탕으로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특허 모집단 생성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고,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 각각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허들 각각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특허파워지수 산정부;
    상기 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의 특허파워지수의 분포에 따라 특허파워지수의 구간에 따른 등급을 결정하는 기준등급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구간 및 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등급을 결정하는 평가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기술혁신주기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인용하는 인용특허의 공개일 또는 등록일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일 또는 등록일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 모집단 생성부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속한 특허들로서 소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술혁신주기 내에 등록된 특허들을 추출하여 상기 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 평가 시스템.
  19.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를 산정하는 특허파워지수 산정부;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분류에 해당하는 특허들로서 분쟁이 발생한 특허들을 포함하는 분쟁특허 모집단을 생성하는 분쟁특허 모집단 생성부;
    소정 기준에 따라 상기 분쟁특허 모집단에 속한 특허들을 구간 별로 분류하여 각 구간마다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평가대상 특허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상기 소정 기준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구하는 정성지수 산출부; 및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분쟁예보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은, 해당 특허의 특허등록으로부터 분쟁발생까지의 기간, 해당 특허의 기술혁신주기, 해당 특허가 인용하는 대상인 특허문헌과 비특허문헌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성지수 산출부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출원인 또는 특허권자의 고소경험 또는 피고소경험 여부에 따른 가중치를 더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쟁예보지수 산출부는 상기 평가대상 특허의 특허파워지수와 상기 구해진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분쟁예보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분쟁 예보 시스템.
KR1020120048626A 2012-05-08 2012-05-08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30125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26A KR20130125119A (ko) 2012-05-08 2012-05-08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26A KR20130125119A (ko) 2012-05-08 2012-05-08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19A true KR20130125119A (ko) 2013-11-18

Family

ID=4985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626A KR20130125119A (ko) 2012-05-08 2012-05-08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1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74A1 (ko) * 2013-12-30 2015-07-0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특허 분쟁 리스크 계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N112667691A (zh) * 2021-03-16 2021-04-16 中汽数据有限公司 基于数据库的专利标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74A1 (ko) * 2013-12-30 2015-07-0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특허 분쟁 리스크 계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N112667691A (zh) * 2021-03-16 2021-04-16 中汽数据有限公司 基于数据库的专利标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0476B2 (ja) 文書分別システム及び文書分別方法並びに文書分別プログラム
KR100921618B1 (ko) 기술창업기업에 대한 기술평가방법
JP5603468B1 (ja) 文書分別システム及び文書分別方法並びに文書分別プログラム
RU2010125682A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системы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групповой торговли
US20120296835A1 (en) Patent scoring and classification
KR101851136B1 (ko) 글로벌 특허가치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4065223A (zh) 一种基于cvss的多维度软件安全风险评估方法
Su et al. Integrated evaluation of urban energy supply security: A network perspective
KR101067846B1 (ko) 특허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디지털 처리장치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81721A (ko)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중요 키워드 도출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JP5622969B1 (ja) 文書分析システム、文書分析方法、および、文書分析プログラム
CN112950086B (zh) 民航企事业单位绩效考核指标体系的动态构建方法及系统
US20150088876A1 (en) Forensic system, forensic method, and forensic program
JPWO2015030112A1 (ja) データ分別システム、データ分別方法、データ分別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20130125119A (ko) 특허 평가 및 분쟁예보 시스템과 그 방법
Marks et al. Constructing a health and social indicator framework for indigenous community health research
KR101376112B1 (ko) 경쟁자 논문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50004A (zh) 电力信用报告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Mirghaderi et al. Meas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linear regression approach
Hussain et al. Accuracy of commercial reporting systems to monitor quality of care in burns
CN114219245B (zh) 基于大数据的乡村电力指数评价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796665A (zh) 一种绿色能源发电项目多指标碳效分级评估方法及装置
Gashniani Decision making criteria for optimal selection of innovative daylighting systems in buildings, using integrated Delphi/Dematel/AHP approach
Vidyattama et al. The challenges of combining two databases in small-area estimation: an example using spatial microsimulation of child poverty
WO2015025978A1 (ja) 文書分別システム及び文書分別方法並びに文書分別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