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128A - 중공이 있는 칼 - Google Patents

중공이 있는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128A
KR20130124128A KR1020120071699A KR20120071699A KR20130124128A KR 20130124128 A KR20130124128 A KR 20130124128A KR 1020120071699 A KR1020120071699 A KR 1020120071699A KR 20120071699 A KR20120071699 A KR 20120071699A KR 20130124128 A KR20130124128 A KR 2013012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blade
hollow
joine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식
김정화
송찬우
송원경
Original Assignee
송정식
김정화
송찬우
송원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식, 김정화, 송찬우, 송원경 filed Critical 송정식
Publication of KR2013012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칼은 칼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두꺼운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무거우며 또한 칼날을 갈아내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중공이 있도록 접하여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합하거나 또는 복수의 금속 판재들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접합하여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서 통상의 칼보다 더 얇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칼을 제조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하고, 또한 칼날을 용이하게 갈아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중공이 있는 칼{A Hollow Knife}
본 발명은 물체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칼에 관한다.
통상적인 칼의 주요 구조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평평하면서도 두툼하여 칼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몸체(11)와, 자르기 힘든 물체를 자를 때 칼을 누룰 수 있는 칼등(12), 그리고 칼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단면이 쐐기 형태인 칼날 형성 부분(13), 물체를 자를 때 직접적으로 이용되는 부분인 칼날과(14), 칼의 가장 날카로운 부분인 칼날 끝(15), 그리고 사용자가 칼을 잡는 손잡이(16)의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의 칼은 물체를 눌러 자를 때 휘어지지 않도록 어느 정도의 강성이 필요하므로 몸체(11)가 두텁게 되어있어 칼 전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몸체가 두터우면 이 몸체 부분을 갈아서 쐐기 모양의 칼날을 형성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므로 대부분의 칼에는 도 2 에 확대된 단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몸체(21) 아래에 완만한 각도의 쐐기꼴 모양의 칼날 형성 부분(22)이 있다. 이처럼 쐐기꼴의 칼날 형성 부분이 있으면 이 부분을 갈아서 칼날(23)을 만들기가 용이하다. 하지만 칼날 끝(24)이 무디어짐에 따라 칼날을 반복적으로 갈게 되면 칼날 형성 부분(22)이 닳아지게 되며, 이처럼 칼날 형성 부분이 많이 닳아진 후에 칼날을 갈기 위하여서는 칼날 형성 부분(22)의 두꺼운 부분을 갈아야 하거나 또는 결국은 칼의 두꺼운 몸체 부분(21)을 갈아내야 하므로 칼날을 갈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 다른 통상의 칼은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별도의 칼날 형성 부분이 아예 없이 몸체(31)의 단면을 완만한 쐐기 형상으로 하여 칼날을 갈기가 용이하도록 하나 이 역시 칼이 휘어지지 않도록 강성을 주기 위하여서는 칼등 부분이 두꺼워야 하므로 칼 전체의 무게는 역시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칼날 끝이 무디어짐에 따라 칼날을 반복적으로 갈게 되면 칼의 몸체 부분이 닳아지게 되며, 이처럼 몸체 부분이 많이 닳아지면 칼날을 갈기 위하여서는 몸체의 두꺼운 부분까지 갈아서 많은 부분을 갈아내야 하므로 결국은 칼날을 갈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통상의 칼은 몸체 부분이 두꺼워서 무거우며 또한 칼날을 갈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칼은 칼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두꺼운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무거우며 또한 칼날을 갈아내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칼을 제조하면 칼을 가볍게 만들 수 있고 또한 칼날을 용이하게 갈아낼 수도 있다. 하지만 얇은 금속 판재를 단순히 그대로 이용하여 칼을 제조하면 칼이 쉽게 휘어지는 등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얇은 금속 판재를 중공이 있도록 접은 후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합하여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서 통상의 칼보다 더 얇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칼을 제조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한다.
통상의 칼보다 더 얇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칼을 제조하여도 이처럼 칼에 중공이 있는 구조를 갖추어 강성을 증대시키면, 더 가벼우면서도 사용시에 칼이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칼날을 쉽게 갈 수 있는 편리성을 부여하면서, 또한 통상의 칼의 무거운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칼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두께가 0.1 mm 내지 1.5 mm 정도인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칼을 제조할 때도 충분한 강성을 갖게되므로 사용시에 쉽게 휘어지지 않게 된다.
우선 이하 본 발명의 설명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칼의 각 부분의 명칭을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1), 칼등(12), 칼날 형성 부분(13), 칼날(14), 칼날 끝(15), 손잡이(16), 길이(17), 넓이(18), 두께(19)로 정의하며, 손잡이 속에 들어 있는 금속 부분은 슴베로 정의한다.
도 4 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얇은 금속 판재를 한 쪽이 더 길도록 접어 서로 만나는 부분은 접합하고 길게 나온 부분은 연마하여 칼날을 형성한 칼로서 내부에 중공(41)이 형성되어 있고 칼등(42)은 금속 판재가 둥글게 접혀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서로 만나는 부분이 접합되어 있는 접합 부분(43)이 있으면 강성이 증가하여 사용시에 칼이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둥글게 접혀 형성된 칼등(42)은 자르기 힘든 물체를 자를 때 칼을 누를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면서 추가로 칼에 강성을 증가시켜 칼이 쉽게 휘어지는 것을 더욱 방지시켜 주고, 한 쪽이 더 길도록 나온 부분(44)은 한 겹의 얇은 금속 판재이므로 쉽게 연마하여 칼날(45)을 형성시켜 줄 수 있다.
도 5 는 도 4 의 칼의 단면을 보여주는 확대도로서, 얇은 금속 판재를 한 쪽이 더 길도록 접어 서로 만나는 부분은 접합하고 길게 나온 부분은 연마하여 칼날을 형성한 칼로서, 이처럼 얇은 금속 판재를 접어서 칼을 제조하면 별도의 칼날형성부분이 없어도 길게 나온 부분의 두께가 얇으므로 칼날(51)을 쉽게 갈아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5 에서 52 는 칼등이며 53 은 접합부분이고 54 는 접혔을 때 더 길게 나온 부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로서,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진 다음 서로 만나는 부분이 모두 다 접합되는 접합부분(61)이 있어 폐쇄된 중공이 형성되어 제조된 칼을 보여준다. 이처럼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진 다음 서로 만나는 부분이 모두 다 접합되어 폐쇄된 중공이 형성되면 칼에 강성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도 6 에서 62 는 칼날이며, 63 은 칼의 손잡이 속으로 들어가는 슴베이다.
도 7 은 도 6 의 칼에 손잡이가 달려져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로서, 끝이 뾰족한 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에서는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져 서로 만나 접합되는 접합부분이 띠 모양의 면적을 같는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져 서로 만나는 부분이 선의 형상을 갖고, 또한 접합되는 부분이 선의 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 는 접합되는 부분이 선의 형상을 갖는 칼의 단면도로서, 91 의 부분이 선으로 만나 접합되는 부분이다.
도 10 은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져 서로 만나는 부분이 선의 형상을 갖고, 또한 서로 접합되는 부분(101)이 선의 형상을 갖는 칼의 개략도이다.
상기의 칼들로 물체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부분이 칼의 접합부분을 만나면 이에 걸릴 수가 있다. 도 5 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물체의 절단되는 부분이 접합부분(53)의 아래 끝(55)을 만나면 걸릴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접합부분의 아래 끝의 바로 아래를 볼록하게 만들면 된다.
도 11 은 접합부분의 아래 끝의 바로 아래에 볼록한 부분이 형성된 중공이 있는 칼의 단면도로서, 이처럼 접합부분(111)의 아래 끝(112)의 바로 아래에 볼록한 부분(113)이 형성되어 있으면 물체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부분이 접합부분(111)의 아래 끝(112)에 걸리지 않게 된다.
도 1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의 칼의 단면도로서, 얇은 금속 판재가 중공(121)이 있도록, 그리고 어느 한 쪽이 더 길지 않도록 균등하게 접혀진 다음 서로 만나는 부분이 접합되는 접합부분(122))이 있고 이 접합부분의 아래 끝에 칼날(123)이 형성되어진 칼을 보여준다. 이처럼 접합부분의 아래 끝에 칼날이 형성되면 물체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부분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게 된다.
도 1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의 칼의 개략도로서, 얇은 금속 판재를 한 쪽이 더 길도록, 그리고 중공이 거의 없도록 밀착시켜 접은 후 길지 않은 쪽의 아래 부분(131)은 접합하고, 길게 나온 부분(132)의 아래 끝은 연마하여 칼날(133)을 형성한 칼을 보여 준다. 도 13 에서는 길지 않은 쪽의 아래 부분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 주지만, 접혀져 만나는 모든 부분을 접합하여 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4 는 도 13 의 칼의 단면도로서, 141 은 길지 않은 쪽의 아래 부분을 접합한 접합부분이고, 142 는 접을 때 더 길게 나온 부분이며, 143 은 더 길게 나온 부분의 아래 끝을 연마하여 형성한 칼날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얇은 금속 판재들을 중공이 있도록 서로 접합하여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서 통상의 칼보다 더 얇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칼을 제조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한다.
도 1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의 칼의 단면도로, A는 접합을 하기 전의 금속 판재들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금속 판재 151 은 칼의 왼쪽 면의 형상을 갖도록 소성가공이 되어 있고 금속 판재 152 는 칼의 오른쪽 면의 형상을 갖도록 소성가공이 되어 있다. 이들을 B에서와 같이 서로 만나는 지점인 153 과 154 에서 접합을 하면 칼의 내부에 중공(155)이 형성된다.
도 16 은 도 15 에서 설명한 소성가공이 되어 있는 금속 판재들 151 과 152 의 개략도로서, 161 은 칼의 왼쪽 부분이고 162 는 칼의 오른쪽 부분이다.
도 17 은 칼의 왼쪽 부분과 칼의 오른쪽 부분이 서로 만나 접합이 되는 부분을 보여 주는 개략도로서, 사선으로 표시된 171 과 172 의 부분이 서로 만나 접합이 되는 부분이다.
도 18 은 서로 접합이 된 후의 칼의 모양을 보여 주는 개략도로서, 181 과 182 부분이 접합이 된 부분이다.
도 19 는 복수의 금속 판재들이 여러 다른 형태들로 접합되어 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예들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A는 3 개의 금속 판재들, 즉 칼의 왼쪽 면과 오른쪽 면의 형상을 같는 금속 판재들 191 과 192 그리고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같는 금속 판재 193 이 194 의 부분에서 접합되어 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반원의 형상의 금속 판재 193 은 칼등이 되는 것을 보여 주고, B는 칼의 왼쪽과 오른쪽의 형상을 같는 금속 판재들이 파이프 195 와 196 의 부분에서 서로 접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파이프 195 는 칼등이 되며, C는 칼의 왼쪽과 오른쪽의 형상을 같는 금속 판재들이 금속 봉재 197 과 198 의 부분에서 서로 접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금속 봉재 197 은 칼등이 되는 것을 보여 준다.
본 발명과 같이 얇은 금속 판재를 중공이 있도록 접은 후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합하거나, 또는 복수의 금속 판재들을 중공이 있도록 접합하여 칼을 제조하면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얇은 금속 판재를 사용할 수 있고, 칼의 내부에 중공이 있어 통상의 칼보다 가벼우므로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칼끝이 닳았을 때 칼날을 용이하게 갈아낼 수 있다. 또한 칼 제조회사가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같이 칼을 제조하면 원재료를 적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칼날을 용이하게 갈아낼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칼날을 가는데 필요한 연마석 등의 부자재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칼의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통상의 칼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 통상의 칼의 칼날형성 부분과 칼날 부분의 단면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 몸체의 단면이 완만한 쐐기 형상을 갖는 통상의 칼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 본 발명의 한 예로서, 얇은 금속 판재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접어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합하여 제조된 칼의 개략도.
[도 5] 도4의 칼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로서,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진 다음 서로 만나는 부분이 모두 다 접합됨으로서 폐쇄된 중공이 형성되어진 칼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 도6의 칼에 손잡이가 달려져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로서, 끝이 뾰족한 칼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9] 본 발명이 적용된 또 다른 한 실시 예로서, 접합되는 부분이 선의 형상을 갖는 칼의 단면도.
[도 10] 접합되는 부분이 선의 형상을 갖는 칼의 개략도.
[도 11] 접합부분의 바로 아래에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어진 칼의 단면도.
[도 12] 서로 균등하게 접혀진 후 접합되어진 부분의 아래쪽 끝에 칼날이 형성되어진 칼의 단면도.
[도 13] 중공이 거의 없도록 접혀져 형성된 칼의 개략도.
[도 14] 중공이 거의 없도록 접혀져 형성된 칼의 단면도.
[도 15] 복수의 금속 판재들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접합되어 제조되는 칼의 단면도.
[도 16]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칼의 구성 성분인, 소성가공이 되어 있는 복수의 금속 판재들을 보여 주는 개략도.
[도 17]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칼의 구성 성분인, 소성가공이 되어 있는 복수의 금속 판재들의 접합되는 부분을 보여 주는 개략도.
[도 18] 복수의 금속 판재들이 서로 접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칼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9] 복수의 금속 판재들이 여러 다른 형태로 접합되어 칼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 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얇은 금속 판재에 주름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칼들은 다음과 같은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긴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형성된 중공(41)이 보여지는 형상.
도 6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진 다음 서로 만나는 부분이 모두 다 접합되어 폐쇄된 중공이 형성되어진 형상.
도 8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칼끝이 뾰족한 형상.
도 10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얇은 금속 판재가 접혀져 서로 만나는 부분이 선의 형상을 갖고, 또한 서로 접합되는 부분(101)이 선으로 되어 있는 형상.
도 11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접합부분(111)의 아래 끝(112)의 바로 아래에 볼록한 부분(113)을 갖추고 있는 형상.
도 12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서로 균등하게 접혀진 후 접합되어진 부분의 아래 쪽 끝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
도 13 에 보여지는바와 같이, 중공이 거의 없도록 접혀져 접합되고, 더 길게 나온 부분의 아래 끝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
도 17 과 도 18 의 개략도에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금속 판재들이 서로 접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형상.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금속 판재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접고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쪽이 더 길도록 접어 서로 만나는 부분은 접합하고 길게 나온 부분은 연마하여 칼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3. 제 2 항에 있어서 접합부분의 아래에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4.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이 더 길지 않도록 균등하게 접고, 접합된 부분의 아래 끝을 연마하여 칼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5.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0.1 mm 내지 1.5 mm 인 금속 판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6. 금속 판재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접어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7. 복수의 금속 판재들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접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KR1020120071699A 2012-05-04 2012-06-29 중공이 있는 칼 KR201301241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99 2012-05-04
KR20120047999 2012-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28A true KR20130124128A (ko) 2013-11-13

Family

ID=4985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699A KR20130124128A (ko) 2012-05-04 2012-06-29 중공이 있는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87327A1 (ko) * 2020-03-19 2021-09-2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87327A1 (ko) * 2020-03-19 2021-09-23
WO2021187327A1 (ja) * 2020-03-19 2021-09-23 京セラ株式会社 刃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8914B (zh) 辦公用剪刀
CN101104276B (zh) 刀具鼓及包含该刀具鼓的旋转切削设备
CN107378009B (zh) 一种用于碳纤维复合材料制孔的多阶梯多刃渐变微齿刀具
CN102554945A (zh) 厨刀
CN105269282B (zh) 制造切削刀具的方法以及切削刀具
JP2007061991A (ja) やすり
CN104209565B (zh) 一种三刃成型刀
CN207077048U (zh) 一种铝棒剥皮机刀具
CN204867584U (zh) T型刀
KR20130124128A (ko) 중공이 있는 칼
JP6399468B1 (ja) 縦積層刃先部材とその製造方法
CN205834329U (zh) 一种用于加工cfrp的折线型不等刃倾角pcd铣刀
CN206104983U (zh) 一种高光铝用立铣刀具
CN206316466U (zh) 一种带锯条
US20120230782A1 (en) Rasp for smoothing irregularly shaped surfaces
CN204819606U (zh) 纸板开槽刀
CN201192818Y (zh) 抛光机布轮
CN207735690U (zh) 一种90°固定角度槽锯
KR20130030162A (ko) 복수의 주름들이 형성되어 있는 칼
CN205021320U (zh) 一种可完成菜刀曲面制作的磨削装置
JP2016144595A (ja) 刃物および刃物の再研磨方法
CN109109102A (zh) 组合式侧面焊接毛引开槽刀
CN203818000U (zh) 一种磨石
CN103624813A (zh) 一种民用剪及其制造方法
CN205766908U (zh) 一种耐用的石材锯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