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677A -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677A
KR20130123677A KR1020120046987A KR20120046987A KR20130123677A KR 20130123677 A KR20130123677 A KR 20130123677A KR 1020120046987 A KR1020120046987 A KR 1020120046987A KR 20120046987 A KR20120046987 A KR 20120046987A KR 20130123677 A KR20130123677 A KR 20130123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source unit
touch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숙
하리다스 발라지
쿠마르 싱흐 비네이
쿠마르 포누세미 란지쓰
찬드라 싱흐 해리시
친두푸라기 사다쉬반 체탄
알 라제쉬
하리프라사드 티 스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677A/ko
Publication of KR2013012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색상의 제1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부와, 제2 색상의 제2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부와,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고, 제1 광과 제2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제3 광을 출력하는 도광부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와,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도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제3 광을 조절하는 광원 제어부와,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 설정 또는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시간 온도 설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이러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을 통해, 동작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시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줄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색상의 제1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부와, 제2 색상의 제2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부;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고, 제1 광과 제2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제3 광을 출력하는 도광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도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제3 광을 조절하는 광원 제어부; 및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 설정 또는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시간 온도 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색상의 제1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부와, 제2 색상의 제2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부,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고, 제1 광과 제2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제3 광을 출력하는 도광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제1 광 또는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제2 광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입력 장치; 및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온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 사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정보에 따라, 제1 광원부로 전달되는 제1 전기 신호 또는 제2 광원부로 전달되는 제2 전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함으로써, 제1 광원부의 광량 또는 제2 광원부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키며, 터치 정보에 따라,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장치가 원형인 경우, 특히, 원형 타입의 도광부를 이용하여, 방출되는 광이 곡선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터치 입력시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 또는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제1 광원부의 광량과 제2 광원부의 광량을 서로 반비례하게 가변시킴으로써,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터치 정보 중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에 따라, 제1 광원부의 광량 또는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피드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터치 정보 중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에 따라,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 가변 또는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 가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터치 입력시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의 위치 또는 이동 거리 등의 터치 정보에 따라, 입력장치를 통해,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 또는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여 출력하며,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시 인터액티브한 효과, 및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 3b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체결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입력 장치의 동작을 간단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입력 장치의 동작을 간단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 위치에 따른 광 표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입력 장치의 체결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8은 도 18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 위치에 따른 광 표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일예로서, 조리기기를 예시하며, 입력 장치(200)가 조리기기에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원형 형상의 도광부와 복수의 광원부를 구비하고, 각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광이 도광부를 통해 곡선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특히 입력 장치(200)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여, 각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가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서의 광량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인터액티브(interactive)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정보 중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서의 광량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정보 중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서의 광 색상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인터액티브(interactive)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터치 입력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여, 온도 설정 또는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터치 정보 중 터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 또는 설정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원하는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 장치(200)는, 다양한 입력 동작을 입력 가능하도록 복수의 입력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복수의 입력키는, 입력 장치(200)의 기판 상에, 인쇄 기법 등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의 위치는 복수의 입력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입력 장치(200)는, 원형 형상의 입력 장치를 예시하나, 이와 달리, 바(bar) 형상, 반원 형상, 다각형 형상, 십자가 형상, ㄱ 자 형상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는, 시간 설정 온도 설정이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조리기기,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전기 다리미, 정수기, 전기 주전자, 전기 장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그 밖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상술한 전자 장치들 외에, 보일러, 가스레인지, 자동차 내부 전장부, 디지털 도어락 등 온도 설정 또는 시간 설정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장치는, 조리기기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0)는, 본체의 전면부에 조리창이 부착된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의 전면 일측부에는 입력 장치(200)와 디스플레이(105)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는, 캐비티를 개폐하며, 캐비티는, 가열 대상, 예를 들어 음식물이 수용되어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에 의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조리 대상물에 따라, 조리 시간 설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입력 장치(2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의 입력 장치(200)를 통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200)에는, 터치 입력에 따라, 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특히,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광량 또는 그 색상이 가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5)는, 조리기기의 동작 상황, 사용자 설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조리기기 내의 입력 장치(200)를 통해 설정된, 설정 시간, 또는 설정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의 제어부(31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조리기기 설정 시간 정보 또는 설정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정보 또는 온도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시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캐비티 내부가 해당 온도에 대응하도록,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시간 또는 온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조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의 제어부(31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리기기 설정 시간 정보 또는 설정 온도 정보 대신에, 터치 입력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조리기기의 제어부(310)는, 터치 입력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여, 온도 설정 또는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정보 중 터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 또는 설정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원하는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제어부(310)는,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는, 마그네트론 또는 고체 전력 모듈(Solid State Power Module; SSP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전력 모듈(SSPM)은, 대략, 900MHz ~ 2500Hz 부근의 복수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조리기기 내의 입력 장치(200)를 통해,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마이크 웨이브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조리기기 내의 입력 장치(200)를 통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서 출력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도 커질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부(112)는,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134)로 전송한다.
전원 공급부(114)는, 조리기기(100)에 입력되는 전원을 고압으로 승압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공급하는 고압 트랜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한 약 3500V이상의 고출력 전압을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110)에 공급하는 인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기판(205), 제1 광원부(210), 제2 광원부(215), 터치 감지부(220), 도광부(230), 및 광원 제어부(250), 및 시간/온도 설정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는, 동일한 색상의 광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광부(230)는,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광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광부(230)는, 원형 형상을 가지거나,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며, 각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도광부를 통해 합성된 광을 곡선 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광부(230)는, 제1 광원부(210)에서 제2 광원부(215) 방향의 제1 방향 패턴 또는 제2 광원부(215)에서 제1 광원부(210) 방향의 제2 방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패턴은, 복수의 도광층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방향 패턴은 제1 도광층(230a)에 형성되고, 제2 방향 패턴은 제2 도광층(23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광원부(210)에서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터치 입력 이동시, 합성되는 광량의 가변은 물론, 방향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터치 감지부(22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감지된 터치 정보는, 광원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감지된 터치 정보는, 터치 위치 정보,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감지를 위해, 정전식 또는 정압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정압식 터치 감지부를 예시하며, 도 6에서는 정전식 터치 감지부를 예시한다.
광원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를 제어한다. 특히,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에 따라, 제1 광원부(210)로 전달되는 제1 전기 신호(S1) 또는 제2 광원부(215)로 전달되는 제2 전기 신호(S2)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한다.
예를 들어,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가, 제1 광원부(210) 보다 제2 광원부(215)에 더 가까워질수록,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증가시키거나,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감소시키거나,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증가시키면서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가, 제1 광원부(210) 보다 제2 광원부(215)에 더 가까워질수록,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하거나,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감소하도록 하거나,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증가하면서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광량 가변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실감할 수 있게 된다.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광원부의 광량과 제2 광원부의 광량을 서로 반비례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 중,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에 따라,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 펄스폭 또는 주기를 가변시키거나,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 펄스폭, 또는 주기를 가변시키거나,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 펄스폭 또는 주기를 가변시키면서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 펄스폭 또는 주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제어부(250)는, 감지된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가, 제1 광원부(210) 보다 제2 광원부(215)에 더 가까운 상태에서, 터치 횟수, 터치 강도, 또는 터치 지속 기간이 증가하는 경우,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증가시키거나,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감소시키거나,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증가시키면서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 또는 펄스폭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하거나,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감소하도록 하거나,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증가하면서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횟수, 터치 강도, 또는 터치 지속 기간이 증가하는 경우,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더욱 증가하도록 하거나,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더욱 감소하도록 하거나,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더욱 증가하면서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더욱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광량 가변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더 실감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광원 제어부(250)는, 감지된 터치 정보 중 터치 횟수, 터치 강도, 또는 터치 지속 기간이 가변하는 경우, 제1 전기 신호(S1)의 주기 또는 제2 전기 신호(S2)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가변하거나,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가변하거나, 제1 광원부(210) 및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광의 색상을 가변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색상 가변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인터액티브한 효과를 더 실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를 터치 위치 정보, 터치 횟수 정보, 터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 신호들 중 레벨이 변환된 터치 위지 정보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파악하거나,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 신호들의 펄스 개수에 따라, 터치 횟수 정보, 터치 강도 정보 또는 터치 지속 기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시간/온도 설정부(260)는, 터치 입력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여, 온도 설정 또는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정보 중 터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 또는 설정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원하는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간/온도 설정부(260)에서 설정된 시간 정보 또는 설정된 온도 정보는, 입력 장치(200)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제어부(310)로, 설정된 시간 정보 또는 설정된 온도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도 3b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b의 입력 장치는, 도 3a의 입력 장치와 거의 유사하나, 접근 감지부(240)가 더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기술한다.
접근 감지부(24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소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광을 이용한 센서(포토 센서 등) 방식 또는 고주파 발진 회로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된 신호는, 광원 제어부(250)로 입력된다.
광원 제어부(250)는, 사용자가 소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광원부(210) 또는 제2 광원부(215)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지 않는 경우,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해, 제1 광원부(210) 및 제2 광원부(215)가 광을 방출하지 않도록 대기 상태(idlae state)로 있다가, 접근 감지부(240)에 의해, 소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1 광원부(210) 또는 제2 광원부(215)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 광원부(210) 또는 제2 광원부(215)가 활성화(active)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체결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는,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구현 가능한 터치 감지부(22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220)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원부(210)는, 소정 색상의 제1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원부(215)는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색상과 다른 제2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각 광원부(210,215)는, 광 방출을 위해, 복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무기물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물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한편,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각 광원부(210,215)는 조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제1 광원부(210)가 적색(R)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210a,210b,210c,210d)을 구비하고, 제2 광원부(215)가 녹색(G)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215a,215b,215c,215d)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른 예로, 제1 광원부(210)가 청색(B)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15)가 백색(B)광을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광원부(210)는, 적색(R)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기술하며, 제2 광원부(215)는 녹색(G)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터치 감지부(220)는, 원형 형상의 도광부(2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원형 형상의 기판(205) 아래에, 원형 형상의 도광부(230)가 배치되고, 원형 형상의 도광부(230) 아래에 원형 형상의 터치 감지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터치 감지부(220)의 양측에,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터치 감지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감지를 위해, 정압식 방법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는, 광원 제어부(250)로 전달된다.
도광부(230)는, 원형 형상을 가지거나,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며,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도광부(230)를 통해 합성된 광을 곡선 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광부(230)는,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에 각각 대응하는 홀에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를 결합시키며, 제1 광원부(210)의 광을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전달하고, 제2 광원부(215)의 광을 제1 광원부(210) 방향으로 전달한다.
도 4는, 기판(205)과, 복수의 광원부(210,215)가 부착된 터치 감지부(230) 사이에, 도광부(230)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터치 감지부(220)의 양측 종단부에 설치된 적색 광원들(210a,210b,210c,210d)과, 녹색 광원들(215a,215b,215c,215d)이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대응 영역에 삽입 홀(Hole)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광부(230)과 터치 감지부(220) 사이에는, 도광부(230)에서 합성하여 출력되는 광이 터치 감지부(220)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반사층(23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231)에 의해, 도광부(230)에서 합성된 광은 기판(205)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광부(230)는, 제1 광원부(210)에서 제2 광원부(215) 방향의 제1 방향 패턴 또는 제2 광원부(215)에서 제1 광원부(210) 방향의 제2 방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광원부(210)에서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터치 입력 이동시, 합성되는 광량의 가변은 물론, 방향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기판(205), 도광부(230), 및 터치 감지부(230) 순서로 결합된, 입력 장치(200)의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입력 장치(200)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모듈 형태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광원 제어부(250)와 접근 감지부(240)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현되는 터치 감지부(230)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5)은, 도광부(230)에서 합성된 광을 투과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기판(205)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판(205)은, 유리 재질로 구현되거나 투명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5) 상에는, 복수의 입력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Time), 온도(Thermal), 파워(Power) 등과 같은 다수의 입력키들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한 기판(205) 상에 다수의 입력키들이 인쇄기법 등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기판(205) 상에 표시되는 입력키는, 방출되는 합성 광으로부터 용이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판 상에 표시되는 입력키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210) 보다 제2 광원부(215)에 더 가까워질수록, 제1 광원부(210)의 광량이 제2 광원부(210)의 광량 보다 더 증가하게 되어, 가변된 광량에 의한 광 합성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 위치 이동시, 무빙 효과(moving)를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와 반대로,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210) 보다 제2 광원부(215)에 더 가까워질수록, 제1 광원부(210)의 광량을 더 감소시키거나, 제2 광원부(210)의 광량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 위치 이동시, 무빙 효과(moving)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의 입력 장치의 구조는, 도 4의 입력 장치의 구조와 유사하나, 터치 감지부(220)의 위치가, 도 4와 같이, 맨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 기판(205)과 도광부(230)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한편, 반사층(231)은, 도광부(230) 뒷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부(220)는 정전식 터치 감지부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는, 광원 제어부(240)에 전달된다.
한편, 도 4 및 도 6과 달리, 터치 감지부(220)의 위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입력 장치의 동작을 간단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의 입력 장치의 구조는, 도 4의 입력 장치의 구조와 유사하나, 도광부(430)가 복수의 도광 패턴(430a,430b,...)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4의 도광부(230)는, 일체형으로서 그 자체로, 원형 형상을 가지나, 도 7의 복수의 도광 패턴(430a,430b,...)은, 반사층(431) 상에 호 형상을 가지며, 원형 형상의 반사층(431) 상에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부(430)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각 광원부(410,415)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도광부(430)를 통해 합성된 광을 곡선 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제1 광원부(410)는, 복수의 광원(410a,410b)과, 각 광원이 제1 방향(하부 방향)으로만 방출되고, 제1 방향(하부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상부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광원 반사부(410c,410d)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제2 광원부(415)는, 복수의 광원(415a,415b)과, 각 광원이 제2 방향(상부 방향)으로만 방출되고, 제2 방향(상부 방향)과 반대인 제1 방향(하부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광원 반사부(415c,415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입력 장치는, 햅틱부(440a,440b)(haptic unit)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햅틱부(440a,440b)는, 터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진동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햅틱부(440a,440b)에서 출력되는 진동의 세기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햅틱부(440a,440b)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른 피드백을 더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도 7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하부 영역의 제1 지점(P1)을 터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410)와 제2 광원부(415) 중 제1 광원부(410)만이 광을 방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1 광원부(410)와 제2 광원부(415) 중 제1 광원부(410)만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출되는 광은, 복수의 도광 패턴(430a,430b,...)을 통해, 곡선 형태로 도광되어, 제2 광원부(415) 부근까지 전달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8(b)는, 도 7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상부 영역의 제2 지점(P2)을 터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410)와 제2 광원부(415) 중 제2 광원부(415)만이 광을 방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1 광원부(410)와 제2 광원부(415) 중 제1 광원부(410)만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출되는 광은, 복수의 도광 패턴(430a,430b,...)을 통해, 곡선 형태로 도광되어, 제1 광원부(410) 부근까지 전달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입력 장치의 동작을 간단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의 입력 장치의 구조는, 도 7의 입력 장치의 구조와 유사하게, 도광부(530)가 복수의 도광 패턴(530a,530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도광부(530)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각 광원부(510,515)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도광부(430)를 통해 합성된 광을 곡선 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입력 장치는, 도 7과 달리, 광원 반사부를 구비하지 않고, 그 위치에 광원이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9의 제1 광원부(510)는, 제1 방향(하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510a,510b), 제2 방향(상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510c,510d)을 구비한다.
또한, 도 9의 제2 광원부(515)는, 제2 방향(상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515a,515b), 제1 방향(하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515c,515d)을 구비한다.
한편, 도 9의 입력 장치는, 도 7과 유사하게, 햅틱부(540a,540b)(haptic unit)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9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하부 영역의 제1 지점(P1)을 터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510)와 제2 광원부(515) 모두에서 각각 해당하는 광을 방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1 광원부(510)의 광량과 제2 광원부(515)의 광량이 반비례하여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광원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510) 중 일부 광원(510a,510b)을 턴 온시켜, 광이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하고, 제2 광원부(515) 중 일부 광원(515c,515d)을 턴 온시켜, 광이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광원부(510)에서 방출되는 광과 제2 광원부(515)에서 방출되는 광은, 각각, 복수의 도광 패턴(530a,530b,...)을 통해, 곡선 형태로 도광되어, 제1 지점(P1) 부근에서 합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0(b)는, 도 9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상부 영역의 제2 지점(P2)을 터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510)와 제2 광원부(515) 모두에서 각각 해당하는 광을 방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1 광원부(510)의 광량과 제2 광원부(515)의 광량이 반비례하여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광원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510) 중 일부 광원(510c,510d)을 턴 온시켜, 광이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하고, 제2 광원부(515) 중 일부 광원(515a,515d)을 턴 온시켜, 광이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광원부(510)에서 방출되는 광과 제2 광원부(515)에서 방출되는 광은, 각각, 복수의 도광 패턴(530a,530b,...)을 통해, 곡선 형태로 도광되어, 제2 지점(P2) 부근에서 합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0(a)과 도 10(b)는, 제1 광원부(51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 제2 광원부(515)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이 변화 없이 동일할 수 있으나,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원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510)와 제2 광원부(520)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인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에, 각각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제1 광원부(510)와 제2 광원부(520)에서, 해당 위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도록, 제1 광원부(510)와 제2 광원부(5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하부 영역의 제1 지점(P1)을 터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510)는 적색(R)광을 방출하며, 제2 광원부(515)는 녹색(G)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상부 영역의 제2 지점(P2)을 터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510)는 녹색(G)광을 방출하며, 제2 광원부(515)는 청색(B)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광원부(510) 중 하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광원(510a,510b)은 적색 광원이며, 상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제3 및 제4 광원(510c,510d)은 녹색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부(515) 중 하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제3 및 제4 광원(515a,515b)은 녹색 광원이며, 상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광원(515a,515b)은 청색 광원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은 도 1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 위치에 따른 광 표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광원부(210)에 근접한 제1 위치(610)에 있다가, 제2 시간(T2)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광원부(210)에서 제2 광원부(215)로 일부 이동한 제2 위치(620)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시간(T3)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 사이의 중간 위치(630)로 이동하고, 제4 시간(T4)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2 광원부(215)에 일부 근접한 제4 위치(640)으로 이동하고, 제5 시간(T5)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2 광원부(215)에 근접한 제5 위치(650)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과 같이, 터치 입력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 제1 광원부(210)의 광량 또는 제2 광원부(215)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하도록, 광원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210) 또는 제2 광원부(21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 즉,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가 가변하는 경우, 설정되는 시간 값 또는 설정되는 온도 값이 가변되어 설정된다.
도 11과 같이,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으로 갈수록,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커지므로, 입력 장치(200)를 통해,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원하는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부(210)에서 출력되는 광과, 제2 광원부(215)에서 출력되는 광의 합성 원리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빛의 삼원색인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광을 각각 합성하면, 적색+녹색=노랑색(Yellow), 녹색+청색=청록색(Cyan), 적색+청색=자홍색(Magenta), 그리고 적색+청색+녹색=흰색(White)이 되는 빛의 합성 원리를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210)가 적색(R)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15)가 녹색(G)광을 방출하는 경우, 도광부(220)는, 각각 적색광을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녹색광을 제1 광원부(210) 방향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광원부(210)의 광량과 제2 광원부(215)의 광량이 동일한 경우, 도면과 같이 입력 장치(200)의 중간 위치(630)에,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랑색이 표시되게 된다.
즉,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적색광이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전달되면서 그 세기가 점점 약해지고,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녹색광이 제1 광원부(210) 방향으로 전달되면서 그 세기가 점점 약해져, 입력 장치(200)의 중간 위치(630)에,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랑색이 표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도광층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가, 제1 광원부에서 적색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에서 녹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13은, 도 11의 제1 시간(T1)에 대응하여, 입력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광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위치(610)인 경우, 제1 광원부(210)의 광량이 작아지게 하거나, 제2 광원부(215)의 광량이 커지게 하여,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1 위치(610)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 제어부(250)는, PAM 방식으로 광원부(210,215)의 광량을 조절하는 경우, 제1 광원부(210)에 입력되는 신호 레벨의 크기를 작게하거나, 제2 광원부(210)에 입력되는 신호 레벨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다.
또는, 광원 제어부(250)는, PWM 방식으로 광원부(210,215)의 광량을 조절하는 경우, 제1 광원부(210)에 입력되는 신호의 펄스폭을 작게하거나, 제2 광원부(210)에 입력되는 신호의 펄스폭을 크게할 수 있다.
도 13(a)는, PAM 방식에 따라, 제1 광원부(210)에 제1 레벨(V1)을 갖는 제1 전기 신호(S1)가 인가되어,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광이 도광부를 통해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레벨(V1)은 최소 레벨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광이 일부만 도광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3(a)에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적색광을 +45도 방향으로의 사선으로 표시하고, 제1 광원부(210)에 근접할수록, 사선의 간격이 더 좁은 것으로 도시한다.
도 13(b)는, PAM 방식에 따라, 제2 광원부(215)에 소정 레벨(Va)을 갖는 제2 전기 신호(S2)가 인가되어,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광이 도광부를 통해 제1 광원부(210)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예시한다. 소정 레벨(Va)은 최대 레벨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광의 광량이 큰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3(b)에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녹색광을 -45도 방향으로의 사선으로 표시하고, 제2 광원부(210)에 근접할수록, 사선의 간격이 더 좁은 것으로 도시한다.
도 13(c)는, 도 13(a)에 의한 적색광과 도 13(b)에 의한 녹색광이 합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1 위치(610)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14는, 도 11의 제2 시간(T2)에 대응하여, 입력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광을 예시한다.
도 13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4(a)는, 제1 광원부(210)에 제2 레벨(V2)을 갖는 제1 전기 신호(S1)가 인가되어,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광이 도광부를 통해 제2 광원부(215)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2 레벨(V2)은, 도 13(a)의 제1 레벨 보다 큰 레벨로서, 이에 따라,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도 13에 비해 증가한 것을 예시한다.
도 14(b)는, 제2 광원부(215)에 소정 레벨(Vb)을 갖는 제2 전기 신호(S2)가 인가되어,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광이 도광부를 통해 제1 광원부(210)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소정 레벨(Vb)은, 도 13(b)의 레벨(Va) 보다 작은 레벨로서, 이에 따라,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도 13에 비해 감소한 것을 예시한다.
도 14(c)는, 도 14(a)에 의한 적색광과 도 14(b)에 의한 녹색광이 합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2 위치(620)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제1 광원부(210)에 입력되는 제1 전기 신호(S1)의 레벨이, V3,V4,V5로 점차 증가하면서, 점점 광량이 증가하는 것을 예시하며, 제2 광원부(2150)에 입력되는 제2 전기 신호(S2)의 레벨이, Vc,Vd,Ve로 점차 감소하면서, 점점 광량이 감소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3 위치(630), 제4 위치(640), 제5 위치(650)로 각각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3 내지 도 17에 따르면, 터치 입력 위치 이동시, 광량 조절에 따른 무빙 효과(moving effect)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effect)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의해, 인터액티브(interactive)한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7은, 터치 입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역으로 터치 입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는 경우, 제5 시간(T5) 부터 제1 시간(T1)까지 역으로, 그 광량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광원 제어부(250)는,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210)에 위치하거나, 제2 광원부(215)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광원부(210) 또는 제2 광원부(215) 중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210)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210)에서의 적색 광이 방출되지 않도록 오프 신호를 제1 광원부(2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광원부(215)는 해당 광을 그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광부(230)는, 제2 광원부(215)에서 방출되는 녹색 광만이 방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210)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 제어부(250)는, 제2 광원부(215)에서의 녹색 광이 방출되지 않도록 오프 신호를 제2 광원부(215)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광원부(210)는 해당 광을 그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광부(230)는, 제1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적색 광만이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2 광원부(215)에 위치하는 경우, 적색 광만이 방출될 수 있다. 또는, 녹색 광만이 방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 또는 도 6의 도광부(230)는, 제1 광원부(210)에서 제2 광원부(215) 방향의 제1 방향 패턴 또는 제2 광원부(215)에서 제1 광원부(210) 방향의 제2 방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 패턴 또는 제2 방향 패턴은, 도광부(230) 상에 홈 형상 또는 삽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5) 상에 제1 방향 패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광부(230)와 접촉하는 기판(205)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방향 패턴에 의해, 광 출력의 방향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인터액티브한 효과가 더욱 증대되게 된다.
한편,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각각 구비하는 경우, 터치 입력의 강도에 따라, 제1 광원부(210)와 제2 광원부(215)가, 각각 서로 다른 광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강도를 가장 세게 하는 경우(제3 회의 터치에 대응 가능함), 제1 광원부(210)는 청색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15)는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색광과 적색광이 합성되는 중간 위치에서는, 자홍색(Magenta)광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입력의 강도를 중간으로 하는 경우(제2 회의 터치에 대응 가능함), 제1 광원부(210)는 녹색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15)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녹색광과 청색광이 합성되는 중간 위치에서는, 청록색(Cyan)광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터치 입력의 강도를 가장 작게 하는 경우(제1 회의 터치에 대응 가능함), 제1 광원부(210)는 적색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15)는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색광과 녹색광이 합성되는 중간 위치에서는, 노랑색(Yellow)광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8의 전자 장치는, 조리기기로서, 도 1과 동일하나, 입력 장치의 형상이 다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1과 같이 원형 타입이 아닌 바(bar)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그 외의, 입력 장치(200)의 터치 입력의 터치 정보에 대응하여, 광을 가변하여 출력하면서, 온도 설정 또는 시간 설정을 수행하는 것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9는 도 18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는,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구현 가능한 터치 감지부(320)의 양측 종단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310)는, 제1 색상의 제1 광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315)는 제2 색상의 제2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색상과 제2 색상은, 다른 것이 바람직하나,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각 광원부(310,215)는, 광 방출을 위해, 복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각 광원부(310,215)는 조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9는, 제1 광원부(310)가 적색(R)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310a,210b)을 구비하고, 제2 광원부(315)가 녹색(G)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315a,215b)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터치 감지부(320)는, 도광부(3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305) 아래에, 도광부(330)가 배치되고, 도광부(330) 아래에 터치 감지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터치 감지부(320)의 양측 종단에,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의 터치 감지부(3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감지를 위해, 정압식 방법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3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는, 광원 제어부(350)로 전달된다.
도광부(330)는,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에서 방출되는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광을 출력한다.
도광부(330)는,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에 각각 대응하는 홀에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를 결합시키며, 제1 광원부(310)의 광을 제2 광원부(315) 방향으로 전달하고, 제2 광원부(315)의 광을 제1 광원부(310) 방향으로 전달한다.
도 19는, 기판(305)과, 복수의 광원부(310,315)가 부착된 터치 감지부(330) 사이에, 도광부(330)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터치 감지부(320)의 양측 종단부에 설치된 적색 광원들(310a,310b)과, 녹색 광원들(315a,315b)이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대응 영역에 삽입 홀(Hole)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광부(330)과 터치 감지부(320) 사이에는, 도광부(330)에서 합성하여 출력되는 광이 터치 감지부(320)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반사층(32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321)에 의해, 도광부(330)에서 합성된 광은 기판(305)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광부(330)는, 제1 광원부(310)에서 제2 광원부(315) 방향의 제1 방향 패턴 또는 제2 광원부(315)에서 제1 광원부(310) 방향의 제2 방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광원부(310)에서 제2 광원부(315) 방향으로 터치 입력 이동시, 합성되는 광량의 가변은 물론, 방향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5), 도광부(330), 및 터치 감지부(330) 순서로 결합된, 입력 장치(300)의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입력 장치(300)는 모듈 형태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광원 제어부(350)와 접근 감지부(340)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현되는 터치 감지부(330)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판(305)은, 도광부(330)에서 합성된 광을 투과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기판(305)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판(305)은, 유리 재질로 구현되거나 투명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310) 보다 제2 광원부(315)에 더 가까워질수록, 제1 광원부(310)의 광량이 제2 광원부(310)의 광량 보다 더 증가하게 되어, 가변된 광량에 의한 광 합성 표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 위치 이동시, 무빙 효과(moving)를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와 반대로, 광원 제어부(350)는, 터치 입력의 위치가, 제1 광원부(310) 보다 제2 광원부(315)에 더 가까워질수록, 제1 광원부(310)의 광량을 더 감소시키거나, 제2 광원부(310)의 광량을 더 증가시키거나, 제1 광원부(310)의 광량을 더 감소시키면서 제2 광원부(310)의 광량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터치 입력 위치 이동시, 무빙 효과(moving)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도 18의 입력 장치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1의 입력 장치의 구조는, 도 20의 입력 장치의 구조와 유사하나, 터치 감지부(320)의 위치가, 도 20와 같이, 맨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닌, 기판(305)과 도광부(330)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한편, 반사층(331)은, 도광부(330) 뒷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는, 도광부(330) 상에, 특히 도광부(330)의 양측 종단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부(320)는 정전식 터치 감지부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32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는, 광원 제어부(340)에 전달된다.
한편, 도 19 및 도 21과 달리, 터치 감지부(320)의 위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2 내지 도 28은 도 18의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 위치에 따른 광 표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광원부(310)에 근접한 제1 위치(1610)에 있다가, 제2 시간(T'2)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광원부(310)에서 제2 광원부(315)로 일부 이동한 제2 위치(1620)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시간(T'3)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광원부(310)와 제2 광원부(315) 사이의 중간 위치(1630)로 이동하고, 제4 시간(T'4)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2 광원부(315)에 일부 근접한 제4 위치(1640)으로 이동하고, 제5 시간(T'5)에, 터치 입력 위치가 제2 광원부(315)에 근접한 제5 위치(1650)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2와 같이, 터치 입력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 제1 광원부(310)의 광량 또는 제2 광원부(315)의 광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하도록, 광원 제어부(350)는 제1 광원부(310) 또는 제2 광원부(315)를 제어한다.
한편, 터치 입력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 즉,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가 가변하는 경우, 설정되는 시간 값 또는 설정되는 온도 값이 가변되어 설정된다.
즉, 도 22와 같이,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으로 갈수록,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커지므로, 입력 장치(300)를 통해,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원하는 시간 또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제1 광원부(310)에서 출력되는 적색(R)광과, 제2 광원부(315)에서 출력되는 녹색(G)광의 합성 원리를 예시한다.
도 24는, 도 22의 제1 시간(T'1)에 대응하여, 입력 장치(300)에서 표시되는 광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시간(T'1)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입력 위치가, 제1 위치(1610)인 경우, 제1 광원부(310)의 광량이 작아지게 하거나, 제2 광원부(315)의 광량이 커지게 하여,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1 위치(1610)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25는, 도 22의 제2 시간(T'2)에 대응하여, 입력 장치(300)에서 표시되는 광을 예시한다.
도 24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 25(a)는, 제1 광원부(31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한 것을 예시하며, 도 25(b)는, 제2 광원부(315)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도 24에 비해 감소한 것을 예시하며,
도 25(c)는, 도 25(a)에 의한 적색광과 도 25(b)에 의한 녹색광이 합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2 위치(1620)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26 내지 도 28의 도 26(a), 도 27(a), 도 28(a)는, 각각 제1 광원부(31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6(b), 도 27(b), 도 28(b)는, 제2 광원부(3150)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적색과 녹색의 합성색인 노란색의 위치가 제3 위치(1630), 제4 위치(1640), 제5 위치(1650)로 각각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4 내지 도 28에 따르면, 터치 입력 위치 이동시, 광량 조절에 따른 무빙 효과(moving effect)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 effect)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의해, 인터액티브(interactive)한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4 내지 도 28은, 터치 입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역으로 터치 입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는 경우, 제5 시간(T'5) 부터 제1 시간(T'1)까지 역으로, 그 광량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전자 장치의 일예로서, 공기조화기(2900)를 예시한다. 공기조화기(2900)는, 온도 설정 또는 운전 시간 설정 등을 위한, 원형 형상의 입력 장치(200), 및 설정된 온도 또는 운전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9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200)는,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서의 광량이 가변되며, 터치 정보 중 터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 또는 설정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이동 거리에 대응해서, 제1 운전 시간으로 설정되면서, 제1 색상의 광이 입력 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터치 이동 거리 보다 더 큰, 제2 터치 이동 거리에 대응해서, 제2 운전 시간으로 설정되면서, 제2 색상의 광이 입력 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색상과 제2 색상은 다른 색상일 수 있다.
한편, 입력 장치(300) 전반에 걸쳐 동일한 색상의 광이 출력될 수 있으며, 터치 이동 거리 등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색상이 가변될 수 있다.
도 30은, 전자 장치의 일예로서, 냉장고(3000)를 예시한다. 냉장고(3000)는, 온도 설정 또는 운전 시간 설정 등을 위한, 바(bar) 형상의 입력 장치(300), 및 설정된 온도 또는 운전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0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300)는,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서의 광량이 가변되며, 터치 정보 중 터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 또는 설정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1은, 전자 장치의 일예로서, 세탁기(3100)를 예시한다. 세탁기(3100)는, 온도 설정 또는 운전 시간 설정 등을 위한, 원형 형상의 입력 장치(200), 및 설정된 온도 또는 운전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200)는, 터치 정보 중 터치 위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에서의 광량이 가변되며, 터치 정보 중 터치 이동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 또는 설정되는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설정되는 시간 또는 설정되는 온도가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색상의 제1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부와, 제2 색상의 제2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광과 상기 제2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제3 광을 출력하는 도광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제3 광을 조절하는 광원 제어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 설정 또는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시간 온도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온도 설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입력의 횟수, 터치 입력의 기간, 터치 입력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설정 또는 상기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온도 설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상기 시간 설정 또는 상기 온도 설정이 커지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광원부 보다 상기 제2 광원부에 더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의 상기 제1 광의 광량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의 상기 제2 광의 광량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제1 광의 광량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 광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의 광량과 상기 제2 광원부의 광량을 서로 반비례하게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입력의 횟수, 터치 입력의 기간, 터치 입력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도광부로부터의 제3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는, 각각 복수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의 횟수, 상기 터치 입력의 강도 또는 터치 입력의 지속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제1 광의 색상 가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제2 광의 색상 가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서 합성된 광을 투과하여 출력하는, 원형 형상의 기판; 및
    상기 도광부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부에서 합성된 광을 상기 기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접근 감지부에서 감지된 접근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제2 광원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각각 서로 반대인 제1 위치와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서, 해당 위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과 상기 제2 색상은 동일한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4. 디스플레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색상의 제1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부와, 제2 색상의 제2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광과 상기 제2 광을 합성하여, 합성된 제3 광을 출력하는 도광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1 광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2 광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 설정 또는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시간 온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온도 설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입력의 횟수, 터치 입력의 기간, 터치 입력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설정 또는 상기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 설정 또는 온도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 터치 입력의 횟수, 터치 입력의 기간, 터치 입력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도광부로부터의 제3 광의 세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 정보, 상기 터치 입력의 횟수, 상기 터치 입력의 강도 또는 터치 입력의 지속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 가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 가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과 상기 제2 색상은 동일한 색상인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20046987A 2012-05-03 2012-05-03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30123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987A KR20130123677A (ko) 2012-05-03 2012-05-03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987A KR20130123677A (ko) 2012-05-03 2012-05-03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677A true KR20130123677A (ko) 2013-11-13

Family

ID=4985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987A KR20130123677A (ko) 2012-05-03 2012-05-03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6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3213B (zh) 光源控制裝置與方法
AU2017248267B2 (en) Appliance with electrovibration user feedback in a touch panel interface
US2020032092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Photodiodes
US8907884B2 (en) LED backlight system
KR102508072B1 (ko)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967893A (zh) 胞内式触控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驱动电路
JP5600673B2 (ja) コンシューマ負荷を制御する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ような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を使用したライトシステム
US20160172147A1 (en) Display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JP5022277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901790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JP2014031932A (ja) 冷蔵庫及び操作装置
KR102407943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및 그 표시 제어방법
KR20130123677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2768588A (zh) 触控面板
WO2017177463A1 (zh) 一种发光装置
WO2010131163A1 (en) Audio feedback and dependency on light functionality and setting
JP6870946B2 (ja) 照明装置
JP5228573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1845370U (zh) 发光显示包装盒
WO2012023222A1 (ja) 加熱調理器
CN213601062U (zh) 设置有控制面板的家具
JP2008292049A (ja) 冷蔵庫
JP2018191216A (ja) リニアタッチスイッチ
KR101836844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TWI620106B (zh) Linear touch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