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962A -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 절개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눈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 절개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눈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962A
KR20130122962A KR1020137017979A KR20137017979A KR20130122962A KR 20130122962 A KR20130122962 A KR 20130122962A KR 1020137017979 A KR1020137017979 A KR 1020137017979A KR 20137017979 A KR20137017979 A KR 20137017979A KR 20130122962 A KR20130122962 A KR 20130122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eye
cornea
cross
human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954B1 (ko
Inventor
요하네스 크라우제
마티아스 보엘펠
크리스토프 도니즈키
Original Assignee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36Flap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97Scanning mechanisms or algorith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31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눈의 각막(44)의 후면(48)으로부터 전면(46)까지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슬릿형 절개부(42)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으로 절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장치는 초점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부품들과, 이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컴퓨터와, 제어 컴퓨터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각막의 후면(48)으로부터 시작하는 절개부(42)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지시를 포함하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절개부의 적어도 그 일부분은 눈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60)으로부터 편향된 단면 윤곽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부의 단면 윤곽은 다수의 직선부(50, 52, 54)를 가지며, 이 직선부들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고, 직선부의 각 쌍은 절곡부(56, 58)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Description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 절개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눈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THE CORNEA OF A HUMAN EYE BY MEANS OF CUTS USING FOCUSED PULSED LASER RADIATION}
본 발명은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을 이용하여 인간의 각막에 절개부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막을 통과하는 통로를 개방하는 절개부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집속 레이저 방사선을 이용하여 (레이저 방사선에 대해 투명한) 투명한 물질에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해, 소위 레이저 유도 광학 돌파가 물리적 효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는 광파괴라고 하는 조사된 물질의 국소적 기화를 초래한다. 실질적으로, 광파괴는 초점 영역에 공간적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광파괴를 나란히 복수로 배치함으로써, 대부분의 다양한 절개부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펨토초 범위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가진) 초단펄스 집속 레이저 방사선을 이용하여 인간의 각막에 절개부를 광파괴로 생성하는 것이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이 절개부 형성 기술은 라식(LASIK: 레이저 인시츄 굴절 교정 각막 형성술) 수술시 플랩을 만들기 위해 종종 제안되었다.
그러나, 각막 절개부는 라식 수술에서만 필요한 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모든 일련의 수술에서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각막내 조직편 추출에서는 주변부에서 서로 접촉하는 2개의 상측(superjacent) 평면 절개부들을 이용하여 각막 내부의 조직편을 분리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막의 후면에서 전면까지 관통하는 슬릿형 절개부가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절개부는 눈의 내부 영역에 대한 액세스 채널을 개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간의 수정체에 대한 수술에서, 또는 각막 내피의 층판각막이식에서, 의료 기기 및/또는 의료 용품(예를 들어, 인공 대체 렌즈, 기증자의 조직 등)을 도입 및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스를 사용하여 각막에 연속적인 절개부를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대안으로서 최소 절개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간의 눈의 각막의 후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슬릿형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으로 절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장치는 방사선 초점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부품들과, 이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컴퓨터와, 제어 컴퓨터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각막의 후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절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지시를 포함하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절개부의 적어도 그 일부분은 눈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으로부터 편향된 단면 윤곽을 나타낸다.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방사선은 1펨토초 미만의 범위 내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갖는다. 레이저 방사선의 파장은 각막에 대해 충분한 침투 깊이를 허용하는 한, 예컨대, 근적외선 범위 내에 또는 자외선 범위 내에 놓인다.
여기서, 용어 "슬릿형 절개부"는 두께가 작은, 특히 평면의 크기에 비해 매우 두께가 작은 2차원적으로 연장된 절개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컨대, 절개부의 두께는 오직 단일의 광파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즉, 단일 평면에서 광파괴들이 나란히 배열된다.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되는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의 단면 윤곽은 종방향 단면에서의 윤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절개부의 길이는 각막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며, 이 선 구간에서 절개부의 선택된 단면 윤곽에 의해 결정된다. 절개부는 각막을 통해 눈의 내부로 슬릿형 액세스를 개방하며, 이와 관련하여, 이 슬릿은 각막의 전면의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선이거나 심지어 다소 심하게 만곡될 수 있다. (절개부의 폭에 대응하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슬릿의 길이는, 예컨대, 수밀리미터에 불과하다. 상기 길이는 구체적인 응용예의 요건에 따라, 특히 도입되거나 제거될 기구 또는 물질의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각막에 다수의 연속적인 절개부가 형성되면, 이 절개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각막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서로 다른 단면 윤곽 및/또는 서로 다른 폭을 나타낼 수 있다. 절개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단면 윤곽과 아울러 동일한 폭을 동일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절개부에 의해 개방된 각막의 우수한 자가 밀봉을 위해,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적어도 하나의 급격한 절곡부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개부의 단면 윤곽은 급격한 절곡부의 양측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단일 또는 다중의 절곡부의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절개부의 종방향 단면이 하나 이상의 궁형 또는 파형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막의 우수한 자가 밀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우수한 자가 밀봉을 위해,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다수의 급격한 절곡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2개의 급격한 절곡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를 나타내며, 상기 직선부는 눈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인간의 눈의 표면은 곡선이고, 이에 따라, 눈의 표면상의 서로 다른 지점들에서 수선은 서로 다르게 배향되기 때문에, 눈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단면 윤곽 또는 그 일부의 특정 배향을 언급하는 경우에는 해당 절개부의 지점에서의 수선을 항상 의미한다.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적어도 3개의 직선부를 나타내는 경우, 이 부분들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는 것이 추천된다.
눈에서 절개부의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절개부는 눈의 동공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가상의 원형의 선을 따라 또는 그 선에 교차하여 연장할 수 있다. 즉, 그 폭이 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절개부는, 예컨대, 원형의 선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할 수 있으나, 원형의 선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연장할 수도 있다. 가상의 원형의 선은 (동공 축을 따르는 눈의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동공 가장자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놓일 수 있으나, 모든 경우에서, 눈의 가장자리의 내부에 놓인다. 폭 방향으로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 절개부의 윤곽은 편의상 직선이다.
절개부는 각막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전체 길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후면을 향해 테이퍼진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이는 후면을 향해 (예컨대,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물론, 절개부가 후면을 향해 증가하는 폭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절개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는 다수의 절개부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형성하도록 우선적으로 설계된다.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절개부들 중 적어도 일부가 눈의 동공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가상의 원형의 선을 따라 분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개부들은 눈의 동공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다수의 가상의 원형의 선들 위에 분포될 수 있다. 여기서, 동공의 중심점에 대한 전술한 원형의 선들의 센터링은 눈의 동공 축을 따른 눈의 평면도에서의 관찰 모드와 관련되며, 이와 관련하여, 변형예에서는 여기서 언급한 원형의 선들이 동공 중심점에 대해 편심되게 배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레이저 장치로 완전히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이 구성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가 제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각막의 후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절개부를 그 연속된 전체 길이에서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인 구성예에서, 레이저 장치는 각막의 후면으로부터 시작하지만 각막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종료하는 절개부의 일부만을 형성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 기술로 형성되는 절개부의 이 부분은 각막의 전면 아래의 최대 약 100㎛에서,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70㎛에서 종료된다. 예컨대, 이 부분은 각막의 전면 아래의 약 50㎛에서 종료되며, 각막 상피가 연장되는 지점에서 종료된다. 레이저 기술로 형성되는 절개부의 그 부분이 각막의 전면으로부터 훨씬 짧은 거리에서, 단지 약 20㎛ 또는 30㎛에서 종료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에서, 각막의 나머지 부분은 레이저 기술로 형성된 절개부의 부분에 의해 천공된 각막의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더 얇다. 레이저 기술로 절개부를 형성한 후, 이 나머지 부분은 통상적인 기계적 절개 기구(메스)로 집도의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이는, 비무균 환경에서 아직 눈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자를 특별히 감염시킬 우려 없이 비무균 환경에서 레이저 기술로 형성되는 절개부의 부분을 먼저 형성하는 치료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무균 환경에서 집도의가 각막의 나머지 잔여 부분을 손으로 절개함으로써 절개부가 완성될 수 있으며, 눈에 액세스 채널이 필요한 실제 수술이 또한 실시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레이저 장치 이외에, 집도의가 각막의 전면까지 절개부를 완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인간의 각막에 연속적인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수의 연속적인 각막 절개부들의 예시적인 배열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각막의 x-z 단면에서 본 예시적인 각막 절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각막의 y-z 단면에서 본 도 3의 절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레이저 장치는 참조번호 "10"으로 포괄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펨토초 범위 내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가진 레이저 빔(14)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소오스(12)를 포함한다. 레이저 빔(14)의 빔 경로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통합된 기능 블록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스캐너(16), 고정된 편향 미러(17) 및 집속 대물렌즈(18)가 배열되어 있다. 스캐너(16)는 레이저 빔(14)의 초점 위치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횡방향"은 눈의 영역 내에서 레이저 빔(14)의 전파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하며, "종방향"은 빔의 전파 방향에 대응한다. 일반적인 표기법에서, 횡방향 평면은 x-y평면이라 하는 반면, 종방향은 y방향이라 한다. 예시를 위해, 이에 대응하는 x-y-z 좌표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 빔(14)의 횡방향(즉, x-y 평면에서) 편향을 위해, 스캐너(16)는, 예컨대, 서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배열된 한 쌍의 검류계로 측정되어 작동되는 스캐너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전기 광학 크리스탈을 이용한 횡방향 편향을 고려할 수 있다. 초점 위치의 z-제어를 위해, 스캐너(16)는, 예컨대, 종방향으로 조절가능한 렌즈들 또는 가변 굴절력을 가진 렌즈들 또는 변형가능한 미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집속 대물렌즈(18)의 초점 설정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레이저 빔(14)의 발산과 그에 따른 빔 초점의 z-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횡방향 초점 제어 및 종방향 초점 제어를 위한 스캐너(16)의 부품들이, 특히, 다양한 모듈 유닛으로 분할되어, 레이저 빔(14)의 빔 경로를 따라 분포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z-초점 조절 기능은 빔 확장기(예컨대, 갈릴레오 망원경) 내에 배열된 렌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반면, 횡방향 초점 제어를 위한 부품들은 빔 확장기와 집속 대물렌즈(18) 사이의 별도의 모듈 유닛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스캐너(16)를 통합된 기능 블록으로 표시한 것은 단지 레이아웃을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초점 대물렌즈(18)는 f-세타 대물렌즈이며, 치료할 눈(22)의 각막에 대한 접촉 계면을 형성하는 환자 어댑터(20)와 빔 출사측이 우선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이를 위해, 환자 어댑터(20)는 레이저 방사선에 대해 투명한 접촉 요소(24)를 노출하고 있으며, 상기 접촉 요소는 눈을 향하고 있는 하부면이 각막에 대한 접촉면(26)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경우에서, 접촉면(26)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촉 요소(24)가 적당한 압력으로 눈(22)에 압착됨으로써, 또는 감압에 의해 각막이 접촉면(26)으로 흡인됨으로써, 각막을 평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 요소(24)(평행 평면 구조인 경우, 일반적으로, "압평판"이라 함)는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캐리어 슬리브(28)의 좁은 단부에 부착된다. 접촉 요소(24)와 캐리어 슬리브(28)는, 예컨대, 접착제 결합으로 분리할 수 없도록 연결되거나, 대안적으로, 예컨대, 나사 결합으로 분리가능할 수 있다. 캐리어 슬리브(28)는 집속 대물렌즈(18)에 커플링하기 위한 적당한 커플링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방식으로 넓은 슬리브 단부에 포함한다.
레이저 소오스(12)와 스캐너(16)는 메모리(3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34)에 따라 작동하는 제어 컴퓨터(3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프로그램(34)은 제어 컴퓨터(30)에 의해 실행될 때 레이저 빔(14)의 빔 초점 위치의 제어를 유발하여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슬릿형 절개부가 접촉 요소(24)에 대해 지지된 눈(22)의 각막에 형성되도록 하는 지시(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 절개부들의 가능한 배열 패턴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동공(36)이 동공 가장자리로 표시되어 있다. 동공(36)은 동공 중심(38)을 포함한다. 동공 중심(38)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간격으로 외측으로 동공(36)을 둘러싼 가상의 원형의 선(40)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원형의 선(40)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분포된 3개의 슬릿형 절개부(42)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들은 눈(22)의 각막의 전체 두께를 관통하여 전안방과 눈의 나머지 내부 영역에 대한 액세스 채널을 각각 개방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 경우에서, 절개부(42)들은 거의 동일한 폭을 갖고, 그 폭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이들은 원형의 선(40)에 대해 거의 접선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일부의 절개부(42)가 원형의 선(40)에 (임의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향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절개부(42)의 개수가 가변적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하고자 하는 수술에 따라, 단일의 절개부(42)만으로 충분하거나, 다수의 절개부(42)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절개부(42)들을 동일한 원형의 선(40)을 따라 분산 배치할 필요는 없다. 동공 중심(38)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상 간격으로 적어도 일부 절개부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동공 중심(38)에 대해 원형의 선(40)을 편심되게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점선으로 도시된 추가적인 원형의 선(40a, 40b)들과 추가적인 절개부(42a, 42b)들에 기초하여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동심으로 배열된 원형의 선들 위에 절개부들을 분포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눈의 가장자리가 참조번호 "43"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반드시 원형 경로를 따라 절개부를 분포시킬 필요도 없다.
대체로, 반경 방향 분포와 관련하여 그리고 원주 방향 분포와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절개부(42)의 배열 패턴에 대한 제한이 없다.
절개부(42)들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절개부들 중 하나의 가능한 구조에 대해,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들은, 삽입된 xyz 좌표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방향에서 본 동일한 절개부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치료하고자 하는 눈의 각막이 도 3 및 도 4에 참조번호 "44"로 표시되어 있다. 각막은 전면(46)과 후면(48)을 포함한다. 양 도면에는, 각막이 이완되어 압평되지 않은 상태(즉, 접촉 요소(24)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시적 절개부(42)는, 좁은 슬릿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봤을 때, 급격한 절곡부(56, 58)에 의해 각각 쌍으로 분리된 다수(여기서는, 3개)의 직선부(50, 52, 54)를 구비하고 전면(46)으로부터 후면(48)까지 연장하는 지그재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중간부(52)는 점선으로 도시된 눈의 표면의 법선(60)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여기서, 눈의 표면은 각막의 전면(46)과 동의어이다). 눈의 전면의 다른 영역에서는 표면의 각 법선이 도시된 법선(60)과는 공간적으로 다르게 배향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찰은 절개부(42)의 영역에 있는 표면의 법선에 대해서만 유효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지그재그 또는 톱니 패턴 대신, 절개부(42)를 파형 프로파일로 형성하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급격한 절곡부(56, 58)가 라운드형 아치로 대체된다.
도 4에 따라 넓은 슬릿 측면으로부터 본 절개부(42)의 횡단면은, 예시적인 경우에서 절개부(42)가 그 전체 길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다는 것을 또한 나타내고 있다(따라서, 여기서, 대안적으로, 후면(48)을 향한 테이퍼를 생각할 수 있다). 절개부(4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빔의 초점이 선형 격자의 연속적인 주사선 내에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능한 차폐 효과를 피하기 위해, 절개부의 형성은 편의상 각막(44)의 후면(48)에서 시작된다. 여기서부터, 각각의 주사선들이 전면(46)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진행한다. 도 4에 슬릿 폭 내부에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된 굵은 선들은 절개부(42)를 형성하는 동안 빔 초점이 주사되는 선을 나타낸다.

Claims (25)

  1. 인간의 눈의 각막(44)의 후면(48)으로부터 전면(46)까지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슬릿형 절개부(42)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으로 절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장치는 방사선 초점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부품(16)들과, 이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컴퓨터(30)와, 제어 컴퓨터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3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각막의 후면(48)으로부터 시작하는 절개부(42)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지시를 포함하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절개부의 적어도 그 일부분은 눈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60)으로부터 편향된 단면 윤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개부(42)의 단면 윤곽이 적어도 하나의 급격한 절곡부(56, 58)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절개부(42)의 단면 윤곽이 급격한 절곡부(56, 58)의 양측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부분(50, 52, 54)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절개부(42)의 단면 윤곽이 다수의 급격한 절곡부(56, 58)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절개부의 단면 윤곽(42)이 2개의 급격한 절곡부(56, 58)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52)를 나타내며, 상기 직선부는 눈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절개부(42)의 단면 윤곽이 적어도 3개의 직선부(50, 52, 54)를 나타내며, 이 직선부들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개부(42)가 눈의 동공(36)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가상의 원형의 선(40)을 따라 또는 그 선에 교차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개부(42)가 각막(44)의 전면(46)으로부터 후면(48)까지 전체 길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거나, 후면을 향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9.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가 다수의 절개부(42)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형성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절개부들 중 적어도 일부가 눈의 동공(36)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가상의 원형의 선(40)을 따라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절개부(42)들이 눈의 동공(36)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다수의 가상의 원형의 선들 위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12.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방사선이 1펨토초 미만의 범위 내의 펄스 지속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부 형성 장치.
  13.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각막의 후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연속적인 적어도 하나의 슬릿형 절개부를 인간의 각막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a) 방사선 초점을 가진 펄스 레이저 방사선을 제공하는 단계와,
    (b) 레이저 방사선을 각막에 조사하는 단계와,
    (c) 각막의 후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절개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방사선의 방사선 초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절개부의 적어도 그 일부분은 눈의 표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으로부터 편향된 단면 윤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 절개부를 통해 눈의 내부로 의료 기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또는
    - 절개부를 통해 안구 조직을 도입 또는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적어도 하나의 급격한 절곡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급격한 절곡부의 양측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인 부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다수의 급격한 절곡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2개의 급격한 절곡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를 나타내며, 상기 직선부는 눈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절개부의 단면 윤곽이 적어도 3개의 직선부를 나타내며, 이 직선부들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절개부가 눈의 동공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가상의 원형의 선을 따라 또는 그 선에 교차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절개부가 원형의 선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절개부가 각막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전체 길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거나, 후면을 향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다수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절개부들 중 적어도 일부가 눈의 동공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가상의 원형의 선을 따라 분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절개부들이 눈의 동공과 실질적으로 동심인 다수의 가상의 원형의 선들 위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눈을 외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17979A 2010-12-10 2010-12-10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 절개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눈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29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07533 WO2012076033A1 (de) 2010-12-10 2010-12-10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neidenden bearbeitung der kornea eines humanen auges mit fokussierter gepulster laserstrah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962A true KR20130122962A (ko) 2013-11-11
KR101529954B1 KR101529954B1 (ko) 2015-06-18

Family

ID=4448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79A KR101529954B1 (ko) 2010-12-10 2010-12-10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 절개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눈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2648667B1 (ko)
JP (1) JP5898228B2 (ko)
KR (1) KR101529954B1 (ko)
CN (1) CN103327941B (ko)
AU (1) AU2010365354B2 (ko)
BR (1) BR112013013775A2 (ko)
CA (1) CA2818594C (ko)
DK (1) DK2648667T3 (ko)
ES (1) ES2606941T3 (ko)
MX (1) MX355503B (ko)
PL (1) PL2648667T3 (ko)
PT (1) PT2648667T (ko)
RU (1) RU2559020C2 (ko)
WO (1) WO2012076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4465B2 (en) * 2013-07-29 2017-12-19 Lensar, Inc. Second pass femtosecond laser for incomplete laser full or partial thickness corneal incisions
KR101875569B1 (ko) 2013-10-28 2018-07-06 노바르티스 아게 내피 각막 이식편을 레이저-절단하기 위한 기술
US9339414B2 (en) 2014-04-29 2016-05-17 Chukyo Medical Co., Inc. Irradiating device and program
JP2016158670A (ja) 2015-02-26 2016-09-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用レーザ手術装置および収差補償方法
RU2604381C1 (ru) * 2015-12-17 2016-12-10 Маатауй Лейла Мохамедовна Эль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поверхностей лентикула во врем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аметропии с помощью фемтосекундного лазера методом smile
DE102018203358A1 (de) * 2018-03-07 2019-09-12 Carl Zeiss Meditec Ag Plan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Steuerdaten für ein ophthalmologisches Lasertherapiegerät für eine Zugangs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8877A1 (en) * 1991-11-06 1993-05-13 Lai Shui T Corneal surgery device and method
DE10124358C1 (de) * 2001-05-18 2002-10-17 Wavelight Laser Technologie Ag Lasersystem für die Hornhauttransplantation
DE10237945A1 (de) * 2002-08-20 2004-03-11 Quintis Gmbh Laserbasierte Vorrichtung zur nichtmechanischen, dreidimensionalen Trepanation bei Hornhauttransplantationen
US20080082086A1 (en) * 2006-09-05 2008-04-03 Kurtz Ronald M System and method for resecting corneal tissue
US20080058841A1 (en) * 2006-09-05 2008-03-06 Kurtz Ronald M System and method for marking corneal tissue in a transplant procedure
US7887532B2 (en) * 2006-09-05 2011-02-15 Amo Develo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resecting corneal tissue using non-continuous initial incisions
US20080114386A1 (en) * 2006-11-09 2008-05-15 Bernardino Iliakis Method of providing corneal tissu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bioburden of laboratory providing same
JP2010520801A (ja) * 2007-03-13 2010-06-17 オプティメディカ・コーポレイション 眼球手術及び減張切開部を作成するための装置
RU2361553C2 (ru) * 2007-08-29 2009-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высокотехнологич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астигматизма в процессе выполнения факоэмульсификации катаракты с имплантацией эластичной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DE112008002511T5 (de) * 2007-09-18 2010-07-15 LenSx Lasers, Inc., Aliso Viejo Verfahren und Vorrichtungen für integrierte Kataraktchirurg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8667A1 (de) 2013-10-16
KR101529954B1 (ko) 2015-06-18
PL2648667T3 (pl) 2017-04-28
MX355503B (es) 2018-04-19
MX2013006532A (es) 2014-01-08
WO2012076033A1 (de) 2012-06-14
DK2648667T3 (en) 2017-01-09
RU2013130386A (ru) 2015-01-20
CN103327941A (zh) 2013-09-25
JP2014503259A (ja) 2014-02-13
CA2818594C (en) 2016-02-02
EP2648667B1 (de) 2016-12-07
CA2818594A1 (en) 2012-06-14
AU2010365354A1 (en) 2013-06-27
ES2606941T3 (es) 2017-03-28
PT2648667T (pt) 2016-12-28
AU2010365354B2 (en) 2015-08-13
RU2559020C2 (ru) 2015-08-10
JP5898228B2 (ja) 2016-04-06
BR112013013775A2 (pt) 2016-09-13
CN103327941B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216B2 (en) Photodisruptive laser treatement of crystalline lens
RU25807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ъедин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катаракты с хирургическим лечением глаукомы или астигматизма
US6610050B2 (en) Laser beam delivery system with multiple focal points
KR101753710B1 (ko) 안과 수술용 시스템, 인터페이스 장치, 인터페이스 장치의 용도 및 방법
JP5030785B2 (ja) 基質内の走査パターン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576422B2 (ja) レーザ放射によって材料を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10058453B2 (en) Extracting lenticules for refractive correction
KR101529954B1 (ko) 집속 펄스 레이저 방사선 절개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눈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24460A (ko) 인간의 각막을 절개하기 위한 장치
CN103415268B (zh) 辅助在人眼中移植角膜假体的装置
KR20120039538A (ko) 안과 레이저 수술 장치
US20110184394A1 (en) Apparatus for Cutting a Human Cornea
KR101644503B1 (ko) 인간의 각막에 절개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374548A1 (en) Ophthalmic surgery method
US9877869B2 (en) Device and process for machining the cornea of a human eye with focused pulsed laser radiation
US9968484B2 (en) Device and process for machining the cornea of a human eye with focused pulsed laser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