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415A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415A
KR20130122415A KR1020120045720A KR20120045720A KR20130122415A KR 20130122415 A KR20130122415 A KR 20130122415A KR 1020120045720 A KR1020120045720 A KR 1020120045720A KR 20120045720 A KR20120045720 A KR 20120045720A KR 20130122415 A KR20130122415 A KR 20130122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bottom chassis
liquid crystal
flow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일
유승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415A/ko
Publication of KR2013012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 후방측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이 수용되는 바텀 새시를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조사하도록 전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바텀 새시는 인쇄회로기판을 바텀 새시로 탄성 지지하는 탄지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은 탄지돌기에 의해 바텀 새시에 탄성지지되므로 추가적인 부재없이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새시에 밀착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MODULE AND DISPLY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을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유닛을 갖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액정표시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액정표시패널은 2매의 투명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하고,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분자의 방향을 바꾸어 광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상을 광학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은 스스로 발광할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표시패널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근래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추가적인 부재 없이도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새시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 후방측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이 수용되는 바텀 새시를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조사하도록 전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바텀 새시는 인쇄회로기판을 바텀 새시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지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탄지돌기가 관통하여 걸리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탄지돌기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탄지돌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바텀 새시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탄지돌기는 안착홈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다.
또한 탄지돌기는 바텀 새시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탄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텀 새시는 인쇄회로기판의 유동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돌기가 설치되는 유동방지홀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홀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유동방지홀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돌기는 복수의 유동방지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유동방지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바텀 새시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유동방지돌기는 안착홈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액정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판과,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액정표시패널로 전달하는 신호처리기판과,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기판 및 신호처리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새시에는 인쇄회로기판을 바텀 새시로 탄성지지하는 탄지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부재의 사용없이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새시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된 기판 및 발광 다이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된 기판 및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된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새시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된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새시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 내에 수용되며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120)를 통해 선반 등의 상측에 얹혀져 사용되거나, 벽에 고정되는 브래킷(130) 등을 통해 벽걸이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며 사이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설치되는 프론트 케이스(100F)와 리어 케이스(100R)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방측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기판(140)과, 각종 입력단자가 마련되며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후술할 액정표시패널(10)에 전달하는 신호처리기판(150)이 배치된다. 이때,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바텀 새시(50)에는 신호처리기판(150)과 액정표시패널(10)을 연결하는 전선의 설치를 위해 홀이 마련되며, 전원기판(140) 및 신호처리기판(150)는 리어 케이스(100R)에 의해 덮여 가려진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0)과,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20)과, 액정표시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미들 몰드(30)와, 액정표시패널(10)및 백라이트 유닛(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탑 새시(40) 및 바텀 새시(50)를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과 대면하고 있는 컬러필터 기판(12)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과 컬러필터 기판(12) 사이에 마련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의 일측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3)과, 연성인쇄회로기판(13)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칩(14)과, 연성 인쇄회로기판(13)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패널 회로기판(15)을 포함한다.
상술한 액정표시패널(10)은 액정층의 배열을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지만,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는 없기 때문에 배면에 위치한 백라이트 유닛(20)로부터 광을 공급 받아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며 액정표시패널(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21)과, 액정표시패널(10)의 후면과 대향되도록 인쇄회로기판(21)의 전면 상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22, 도 8 참조)와, 발광 다이오드(22)에 설치되어 발광 다이오드(22)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원형의 렌즈(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1)은 액정표시패널(10)과 대응하도록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길게 연장되며,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21)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1)들의 일단측에는 인쇄회로기판(21)들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기판(24)이 배치되어 연결기판(24)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1)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1)들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변형 범위가 크지는 않으나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2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2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렌즈(23)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2)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22)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1)의 전면에는 방열을 위해 구리 등과 같이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층(21a, 도 8 참조)이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 사이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액정표시패널(10)에 조사되는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시트(60, 70)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시트(60, 70)들은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확산시트(60)와, 확산시트(60)에 의해 확산된 광이 액정표시패널(10)에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광의 방향을 정렬하는 집광시트(70)를 포함한다.
탑 새시(40)는 액정표시패널(1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베젤부(41)와, 베젤부(41)의 단부에서 절곡된 탑 측면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젤부(41)는 액정표시패널(10)의 외곽 라인과 실제로 화면이 표시되는 유효표시영역(Active Area)까지의 폭을 의미한다.
바텀 새시(5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백라이트 유닛(20)이 안착되는 하면부(51)와, 하면부(5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바텀 측면부(52)를 포함한다. 바텀 새시(50)는 열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발광다이오드 모듈(26)에서 전달된 열을 방열한다.
또한 바텀 새시(50)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들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1)들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홈(51a)들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복수의 안착홈(51a)들의 일측에는 연결기판(24)과 대응하는 형상의 연결기판 안착홈(51b)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은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안착홈(51a)들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며, 연결기판 안착홈(51b)은 안착홈(51a)들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안착홈(51a)들의 일측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1)들 및 연결기판(24)은 추가적인 부품없이 안착홈(51a) 및 연결기판 안착홈(51b)을 통해 바텀 새시(50)에 안착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51a)들은 바텀 새시(50)의 장변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연결기판 안착홈(51b)은 바텀 새시(50)의 단변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미들 몰드(30)는 액정표시패널(10) 및 광학시트(60, 70)들을 지지한다. 액정표시패널(10)과 광학시트(60, 70)들은 탑 새시(40)와 미들 몰드(30) 사이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22)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0)과 대응하도록 길게 연장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넓은 면적 및 많은 수량의 인쇄회로기판(21)이 필요하며 이는 원가 증가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20)에는 금속 등에 비해 저렴한 재질인 수지 재질의 기판에 도전성 패턴을 인쇄하여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21)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1)은 수지 재질의 특성 상 열을 분산시키지 못하므로, 발광 다이오드(22)에서 인쇄회로기판(21)으로 전달된 열은 분산되지 못하여 인쇄회로기판(21)의 발광 다이오드(22)가 실장된 부위의 온도는 다른 부위에 비해 높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의 배면에는 발광 다이오드(22)에서 인쇄회로기판(21)에서 전달된 열이 보다 용이하게 방열될 수 있도록 하는 방열부(21b)가 마련된다. 방열부(21b)는 인쇄회로기판(21)과 대응하도록 인쇄회로기판(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21)의 후면에 배치되어 바텀 새시(50)에 마련된 안착홈(51a)의 내면에 접한다. 이때 방열부(21b)는 인쇄회로기판(21)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1)과 연결기판(24)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방열부(21b)가 배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1)과 연결기판(24)이 직접 접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1) 및 방열부(21b)가 안착되는 안착홈(51a)의 깊이는 인쇄회로기판(21)의 두께와 방열부(21b) 두께의 합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21b)는 그래파이트 재질로 형성된 그래파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그래파이트 시트는 열을 인쇄회로기판(21)의 길이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1)으로부터 전달된 열은 그래파이트 시트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1)의 길이 방향으로 분산된 후, 바텀 새시(50)의 안착홈으로 전달되어 방열된다.
이러한 방열부(21b)는 코팅이나 접착 또는 도포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2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1)과 함께 안착홈(51a) 내에 안착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1)의 배면측으로 전달된 열은 방열부(21b)를 따라 인쇄회로기판(21)의 길이 방향으로 분산된 후 방열부(21b)가 접하고 있는 안착홈(51a)을 통해 바텀 새시(50)로 방열되므로, 방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1)의 부위에 따른 온도 편차는 감소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 형태로 형성된 방열부(21b)의 표면에는 방열부(21b)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보완층(21c)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완층(21c)은 전기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방열부(21b)가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층이나, 방열부(21b)에 비해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방열부(21b)의 방열효과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한 보조 방열층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51a)들은 바텀 새시(50)의 장변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연결기판 안착홈(51b)은 바텀 새시(50)의 단변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으로 안착홈(51a)들이 바텀 새시(50)의 단변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연결기판 안착홈(51b)이 바텀 새시(50)의 장변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텀 새시(50)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을 바텀 새시(50)로 탄성 지지하여 인쇄회로기판(21)이 바텀 새시(50)의 하면(51)에 밀착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지돌기(5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1)에는 탄지돌기(51c)가 관통하여 걸리는 관통공(21d)이 마련된다.
탄지돌기(51c)는 바텀 새시(50)의 하면(5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51c-1)와, 인쇄회로기판(21)을 탄성지지하는 탄지부(51c-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지부(51c-2)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지돌기(51c)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각 인쇄회로기판(21)의 복수 개소를 각각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 인쇄회로기판(21)에는 복수의 탄지돌기(51c)와 대응하도록 복수의 관통공(21d)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1)은 바텀 새시(50)의 하면(51)에 마련된 안착홈(51a) 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탄지돌기(51c)는 안착홈(51a)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텀 새시(50)의 하면(51)에는 인쇄회로기판(21)이 탄지돌기(51c) 및 관통공(21d)을 통해 바텀 새시(5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21)이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방지돌기(51d)가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21)에는 유동방지돌기(51d)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동방지돌기(51d)가 삽입되는 유동방지홀(21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홀(21e)은 복수 개가 각 인쇄회로기판(21)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으며, 유동방지돌기(51d)는 바텀 새시(50)의 하면(51)에 복수의 유동방지홀(21e)과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1)은 안착홈(51a) 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유동방지돌기(51d)는 안착홈(51a)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탄지돌기(51c)가 관통공(21d)을 관통하도록 한 후, 인쇄회로기판(21)을 측방으로 이동시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의 관통공(21d) 인접부에 탄지돌기(51c)의 탄지부(51c-2)가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1)이 탄지돌기(51c)에 의해 바텀 새시(50)의 하면(51)에 밀착되어 진다. 또한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을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21)이 일시적으로 탄성변형 하면서 유동방지홀(21e)에 유동방지돌기(51d)가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21)의 유동은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 새시(50)의 후면(51)에는 안착홈(51a)들이 마련되어 안착홈(51a)들 내에 인쇄회로기판(21)들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에 대응하는 구성없이 바텀 새시(50)의 후면(51)에 탄지돌기(51c) 및 유동방지돌기(51d)가 형성되도록 하여, 탄지돌기(51c) 및 유동방지돌기(51d)를 통해서만 인쇄회로기판(21)이 바텀 새시(50)의 하면(51)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1)에는 관통공(21d)이 마련되어 탄지돌기(51c)가 관통공(21d)을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21)의 관통공(21d) 인접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공에 해당하는 구성없이 복수의 탄지돌기가 인쇄회로기판의 외곽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21b)는 그래파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부(21b)가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루미늄 방열판은 인쇄회로기판(21)에서 전달된 열을 인쇄회로기판(21)으로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직접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액정표시패널 20: 백라이트유닛
21: 인쇄회로기판 21a: 방열층
21b: 방열부 21c: 보완층
21d: 관통공 21e: 유동방지홀
22: 발광 다이오드 23: 렌즈
24: 연결기판 30: 미들몰드
40: 탑 새시 50: 바텀 새시
51a: 안착홈 51b: 연결기판 안착홈
51c: 탄지돌기 51d: 유동방지돌기
60: 확산시트 70: 집광시트
100: 케이스 1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스탠드 130: 브래킷
140: 전원기판 150: 신호처리기판

Claims (9)

  1.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후방측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용되는 바텀 새시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조사하도록 전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텀 새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바텀 새시로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지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탄지돌기가 관통하여 걸리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탄지돌기는 하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탄지돌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통공은 하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새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지돌기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돌기는 상기 바텀 새시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호 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새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유동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동방지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동방지돌기가 설치되는 유동방지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홀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유동방지홀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복수의 유동방지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유동방지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새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판과,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전달하는 신호처리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전원기판 및 상기 신호처리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45720A 2012-04-30 2012-04-30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22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20A KR20130122415A (ko) 2012-04-30 2012-04-30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20A KR20130122415A (ko) 2012-04-30 2012-04-30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415A true KR20130122415A (ko) 2013-11-07

Family

ID=4985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20A KR20130122415A (ko) 2012-04-30 2012-04-30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4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93A (ko) *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119979A (ko)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93A (ko) *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119979A (ko)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494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546741B1 (ko) 광 출사 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5506483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20110110046A1 (en) Reinforcement frame, component unit, and display
JP2009014900A (ja) 半導体素子の放熱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3225107A (ja) 表示装置
US854041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831490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5530778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40046377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10023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US8953323B2 (en) Display device
KR20130122415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4790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샤시 구조물
KR20110099449A (ko)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장치
KR101283068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20095625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US927426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6711575B2 (ja) 表示装置
KR20110127549A (ko) 백라이트 유닛
JP2010191247A (ja) 液晶表示装置
KR102057990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39646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7474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19069400A1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