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343A -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and electronic play apparatus for body static sense training contain the same - Google Patents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and electronic play apparatus for body static sense training contain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343A
KR20130122343A KR1020120045600A KR20120045600A KR20130122343A KR 20130122343 A KR20130122343 A KR 20130122343A KR 1020120045600 A KR1020120045600 A KR 1020120045600A KR 20120045600 A KR20120045600 A KR 20120045600A KR 20130122343 A KR20130122343 A KR 2013012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measurement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3761B1 (en
Inventor
원영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61B1/en
Publication of KR2013012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body balance measuring device and an electronic play device for training body balance. The body balanc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body balanc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a load which is applied to a detection unit through a measuring unit and displays the measured balance to be recognized by a user.

Description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and electronic play apparatus for body static sense training contain the same}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and electronic play apparatus for body static sense training contain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 균형감각 측정을 위한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두 발을 모으거나 벌리고 선 상태에서 측정패널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균형감각을 측정하고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body balance sense, in detail, the body balance to measure the body balance sense based on the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measurement panel in the state of gathering or spreading the two feet and expresses the user recogniz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y measuring device and an electronic swimming pad for training the body's sense of balance.

사람이 제자리에 서 있더라도 무게중심 및 균형감각의 불균형으로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균형감각(均衡感覺)이 떨어지면 서있거나 보행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낙상(落傷)의 원인 중 신체 균형감각이 밀접하게 관련된다. 즉 낙상의 원인으로 바닥이 미끄럽거나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것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있겠지만, 신체 평형유지 기능 등이 약해짐에 따라 신체의 조정능력이 떨어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Even when a person is in place, there is a case where it is inclined to one side due to the imbalance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ense of balance. Loss of balance can significantly affect standing or walking. In particular, the sense of balance among the causes of falls is closely related. In other words, there may b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lippery floors or uneven ground due to falls, but the body's ability to adjust is poor due to the weakening of body balance function.

더욱이 노인들에게 낙상이 많이 발생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노화에 의한 신경계의 기능저하이다. 이와 같은 낙상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신체의 근력과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낙상 예방을 위한 규칙적인 운동은 우리 몸의 근력과 심폐 기능을 강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것은 물론 평형기능을 향상시킴에 있어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Moreover,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falls in the elderly is the deterioration of the nervous system due to aging. In order to prevent such fall accidents in advance, it is very important to exercise regularly to improve the strength and balance of the body. Regular exercise to prevent falls is not only important for strengthening our body's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but also for improving balance function.

낙상예방을 위한 간단한 운동으로는, 한 쪽 발만 지면에 댄 상태로 수 초간 서있거나, 양 쪽 발을 번갈아 지면으로부터 떼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운동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동은 신체 균형감각을 향상시킴에 있어 분명 도움은 되지만, 신체 균형감각이 어떠한 형태로 어느 만큼 취약한 지에 대한 구체적 정보 없이 행해지는 단순 운동으로, 취약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보완이 미흡한 실정이다.
A simple exercise to prevent falls, for example, stands on the ground with only one foot on the ground for a few seconds, or keeps both feet off the ground and keeps balance. However, such exercise is certainly helpful in improving the body's sense of balance, but it is a simple exercise performed without specific information on how and how weak the body's balance is, and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of vulnerabilities.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발을 모으거나 벌리고 서 있으면, 발바닥을 통해 측정패널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무게중심 및 균형감각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함으로써, 신체 균형감각에 대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center of gravity and balance of the body based on the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measurement panel through the sole, when the feet are gathered or standing apart, the user can recognize the measurement data expressed By doing so, it is intende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management of the body bal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자식 유희장치(게임기)에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측정된 균형감각 데이터를 기초로 균형감각이 취약한 부분에 대한 체계적이면서도 흥미유발을 통해 트레이닝의 지속성을 도모하고자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an electronic game device (game machine), to promote the continuity of training through systematic and interesting induction for the weak part of balance based on the measured balance sensory data Would.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르면, 발로 디딜 수 있는 디딤면을 형성한 측정부와, 디딤면을 딛고 상기 측정부 위에 올라 섰을 때 발바닥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하중 분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을 통해 획득된 신호를 기초로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신체 정보 결과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정부를 통해 검출수단으로 전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밸런싱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detection unit for forming a stepping surface that can step with the foot, and detecting the user load distribution input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sole when stepping on the measuring unit on the stepping surface Means,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body information based on th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means, and a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the body information result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nd is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means through the measur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balance sensor that measures body balancing based on load distribution and expresses the measured body balancing information so as to be recognized by a user.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에서, 상기 측정부는 여러 개로 분리 구획된 측정영역을 형성한 구성의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사이로 쿠션체가 충전되어 쿠션층을 형성한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각각의 측정영역에 속하는 측정패널 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해당 측정영역의 측정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하중을 검출하는 센서부재 예컨대, 로드 셀(road cell) 일 수 있다.In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asuring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ushioning body is filled between the measuring panel and the base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to form a measurement area divided into several partitions to form a cushion layer, the detection means is It may be a sensor member, for example, a load cell, installed in at least one bottom of a measurement panel belonging to each measurement area to detect a load input through the measurement panel of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area.

이와는 다르게, 상기 측정부는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가 그 사이의 중앙 굴절형 연결부를 매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연결된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굴절형 연결부 외곽의 측정패널과 베이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굴절형 연결부를 기준으로 한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굴절된 움직임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재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easuring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se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panel and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central refractive connection portion therebetween, and the detec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measuring panel outside the refractive connection portion. It may be a plurality of sensor mem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base to detect the refracted movement of the measuring panel relative to the base relative to the refractive connection.

이때 상기 중앙 굴절형 연결부는 측정패널과 베이스에 각각 설치되는 볼부분과 이 볼부분을 감싸는 하우징으로 된 볼 조인트와, 상기 볼 조인트 주변에 배치되어 베이스와 측정패널을 상호 탄성 연결하며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굴절된 움직임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로 된 구성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articulation typ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ball joint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easuring panel and the base and the housing surrounding the ball portion, and is disposed around the ball joint and elastically connects the base and the measuring panel to each other and measures the base. It may be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o provid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restoring the refracted movement of the panel.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볼 조인트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는 복수 쌍의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may be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spring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all joint therebetween.

다른 예로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가 같은 극성의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척력(斥力)에 의해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측정패널과 베이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재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easuring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se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panel and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s made of an electromagnet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repulsive force, and the detecting means includes the measuring panel and the base. It may be a plurality of sensor mem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det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measuring panel relative to the base by the load.

일 측면에서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은, 측정부 일 측으로 연결되며 다양한 입력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The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the body balancing information measured in one aspect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may be a display panel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easurement unit and having various input keys.

이와는 다르게,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은, 상기 측정부와 인터페이스 수단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의 모니터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the measured body balancing information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may be a monitor of the P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interface means.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갖춘 상기한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와, 다양한 트레이닝용 프로그램이 입력된 저장수단과 그 저장수단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되는 안내지시에 따라 상기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측정부를 동작시키면서 게임을 즐기듯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는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having an interface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 storage means input a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and the program input to the storage means It consists of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expressing, to provide an electronic play device for physical balance sensory training that can be trained as if playing a game while operating the measuring unit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에 따르면, 측정부 위에 두 발을 모으거나 벌리고 서 있으면, 발바닥을 통해 측정패널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균형감각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출한다. 즉, 신체 균형감각이 어느 정도 부족하고 어느 쪽으로 편중되는 지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체 균형감각에 대한 관리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According to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one aspect, when the feet are gathered or standing apart on the measuring unit, the body balance sense is measured based on the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measuring panel through the sole and the user recognizes the measured data. Express as possible. In other words, b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on how much lack of body balance and how it is biased, management of the body balance can be made more systematic.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는, 이와 같은 다른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되는 안내지시에 따라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의 측정부를 동작시키면서 마치 게임을 즐기듯 트레이닝이 체계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장치가 구현됨에 따라, 측정된 균형감각 데이터를 기초로 균형감각이 취약한 부분에 대한 체계적인 트레이닝과 흥미유발을 통해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balance device for body balance train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lectronic play device for body balance training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the measuring unit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instruction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the device is implemented so that the training can be conducted systematically as if playing a game, the continuous training can be promoted through systematic training and interest in the areas of weak balance based on the measured balance sensory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나타난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 사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ter shown in one embodiment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ter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ter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FIG. 6.
Figure 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lay device for body balance training,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lay device for body balance training that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는, 신체 무게중심 및 균형감각을 측정하여 그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함으로써, 획득된 균형감각과 관련한 정보를 기초로 신체 균형에 대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신체 균형과 관련하여 취약한 부분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and the sense of balance and expresses the measurement data so that the user recognizable, the management of the body bal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quired sense of balance systematically In this way,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on the vulnerable parts related to the body balance can be perform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공지된 구성에 대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a configuration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1)는, 측정부(10), 상기 측정부(10) 위에 올라 섰을 때 발바닥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하중 분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2) 및 제어부(14)로 포함하고, 측정부(10)를 통해 검출수단(12)으로 전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균형감각을 측정하며 그 측정된 정보가 표출수단(16)을 통해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되는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1, the body balance sensor 1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user load distribution that is input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sole when the user stands on the measuring unit 10 and the measuring unit 10. It comprises a means 12 and the control unit 14, and measures the body balance sense based on the load distribution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means 12 through the measuring unit 10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to express the display means 16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expressed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측정부(10)는 사용자가 안정되게 발로 딛고 설 수 있는 디딤면을 제공하며, 검출수단(12)은 측정부(10)의 상기 패널을 통해 전해지는 하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능한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상기 검출수단(12)을 통해 획득된 신호를 기초로 미리 입력된 정상적인 값(표준 값)과 비교하는 분석을 행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자 신체 밸런싱 불균형과 관련된 정보를 신호로서 출력한다.The measuring unit 10 provides a stepping surface on which the user can stably stand, and the detecting unit 12 functions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panel of the measuring unit 10. The controller 14 performs an analysis comparing the normal value (standard value) previously input based on th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means 12,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roller 14 signal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dy balancing imbalance of the operator. Output as.

신체 밸런싱 불균형과 관련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4)는, 표준 값과 측정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140)와, 측정 값과 표준 값을 비교 연산하고 보정 값 등을 산출하는 연산부(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를 통해 제공되는 신체 밸런싱 불균형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표출수단(16)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도형이나 그림, 또는 문자, 숫자 등으로 변환되어 표출된다.In order to calcul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dy balancing imbalance, the controller 14 may include a data memory 140 storing a standard value and a measured value, and an operation unit 142 that compares the measured value and the standard value and calculates a correction value. ) May be include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dy balancing imbalance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is converted into a figure, a picture, a letter, a number, or the like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6.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의 구성을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나타난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도 5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그 개략 단면도이며, 도 6, 도 7은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asuring device shown in an embodiment of FIG.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dy balance sensor, Figures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dy balance sensor.

먼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측정부(10)는, 도 2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여러 개로 분리 구획된 측정영역을 형성한 구성의 측정패널(100-1)과 설치 대상면 예컨대, 바닥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02-1)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패널(100-1)과 베이스(102-1) 사이로 솜(cotton)과 같은 쿠션체가 충전됨으로써 외향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쿠션층(101)을 형성한 구성일 수 있다.First,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unit 10, as shown in Figs. 1) and a base 102-1 in contact with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and outwardly by filling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cotton between the measurement panel 100-1 and the base 102-1.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cushion layer 101 having elasticity to be restored is formed.

측정기(1)의 측정부(10)를 구성하는 측정패널(100-1)이 위와 같이 여러 개로 분리 구획된 측정영역을 형성한 구조라면, 각각의 측정영역에 속하는 측정패널(100-1) 저부에 센서부재 예컨대, 로드 셀(road cell)을 하나 이상 설치한 구성이 검출수단(12)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각 측정영역의 측정패널(100-1)에 센서부재가 하나씩 설치되면, 측정영역별로 다르게 입력되는 하중정보를 기초로 신체 밸런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If the measuring panel 100-1 constituting the measuring unit 10 of the measuring device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ivided measurement area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f the measuring panel 100-1 belonging to each measuring area The detection means 12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member, for example, a load cell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hen one sensor member is installed in the measurement panel 100-1 of each measurement area, body balancing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ased on load information input differently for each measurement area.

다른 예로서 상기 측정부(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평평한 디딤면을 형성한 측정패널(100-2)과 설치 대상면 예컨대, 바닥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02-2)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패널(100-2)과 베이스(102-2)가 그 사이의 중앙 굴절형 연결부(103)를 매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연결됨으로써, 신체 균형에 따라 바닥상에 놓인 상기 베이스(102-2)에 대해 측정패널(100-2)이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10 includes a measurement panel 100-2 having a flat step surface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a base 102-2 contacting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for example, a floor surface. The measurement panel 100-2 and the base 10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center deflection connecting portion 103 therebetween, thereby placing the base on the floor according to body balance. The measurement panel 100-2 may be configured to be refracted in various directions with respect to 102-2.

측정부(10)가 위와 같은 구성인 경우에는, 굴절형 연결부(103) 외곽의 측정패널(100)과 베이스(10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전술한 로드 셀(load cell)과 같은 센서부재를 배치한 구성이 검출수단(12)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굴절형 연결부(103) 외곽으로 일정 간격으로 센서부재가 배치되면, 자세 불균형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측정패널(100-2)이 기울진 경우, 센서부재에 의해 획득되는 그 기울어짐 정도 및 방향과 관련한 정보를 기초로 신체 밸런싱을 파악할 수 있다. When the measuring unit 1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ensor member such as the above-described load cell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measuring panel 100 and the base 102 outside the refractive connector 103. One configuration may be the detecting means 12. As such, when the sensor member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utside the refractive connection 103, when the measurement panel 100-2 is inclined due to posture imbalance, the degree of inclination and direction obtained by the sensor member and Based on the relevant information, body balancing can be identified.

본 실시예에서 중앙 굴절형 연결부(103)는 바람직하게, 측정패널(100)과 베이스(102)에 각각 설치되는 볼부분과 이 볼부분을 감싸는 하우징으로 된 볼 조인트(103a)와, 이 볼 조인트 주변으로 탄성부재(103b)가 복수 배치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03b)는 볼 조인트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게 베이스(102)와 측정패널(100)을 상호 탄성 연결하는 복수 쌍의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ral articulation type connecting portion 103 is preferably a ball joint 103a consisting of a ball portion provided on the measurement panel 100 and the base 102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ball portion, and the ball joint.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103b are disposed around the periphery.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03b may be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springs that elastically connect the base 102 and the measurement panel 100 to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all joint therebetween.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측정부(10)는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평평한 디딤면을 형성한 측정패널(100-3)과 베이스(102-3)가 같은 극성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척력(斥力)에 의해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검출수단(12)은 측정패널(100-3)과 베이스(102-3)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102-3)에 대한 측정패널(100-3)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재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measuring unit 10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measuring panel 100-3 and the base 102-3 having the flat step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by a certain distance by the force. And the detection means 12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measurement panel 100-3 and the base 102-3 to move the measurement panel 100-3 relative to the base 102-3 by the load. It may be a plurality of sensor members to detect.

이때 자성체는 바람직하게 전자석일 수 있다. 전자석을 채택하면,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102-3)에 대해 측정패널(100-3)이 이격되는 세기 즉,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탄성강도 조정이 가능하며,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후술하게 될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3)를 구현하는 경우,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기초로 자세 불균형 정도에 따라 트레이닝의 강도를 조절 가능하게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etic body may be an electromagnet. When the electromagnet is adop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measurement panel 100-3 with respect to the base 102-3, that is, the elastic strength of the measurement panel with respect to the base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nd to connect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implementing the electronic game device 3 for the sense of balance training to be described later,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sture imbalance based on the measured body balancing information.

도 2, 4, 6에서 도면부호 16은 제어부(14)에서 제공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상기 표출수단(16)을 가리킨다. 일 측면에서 상기 표출수단은 도면과 같이 측정부(10) 일 측으로 부착되며 다양한 입력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부(10)와 인터페이스 수단 예컨대, USB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의 모니터가 표출수단이 될 수도 있다.2, 4 and 6,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the expression means 16 for expressing the body balanc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ler 14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In one aspect, the display means may be a display pane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easuring unit 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having various input key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nitor of the P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10 and an interface means, for example, a USB cable may be a display means.

이상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정기를 구성하는 측정패널이 하나의 측정패널로 이루어져 그 하나의 측정패널 상으로 양 발을 딛고 올라 설 수 있는 구성을 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기를 구성하는 측정패널이 두 개로 독립된 구성을 이룸으로써 두 발이 각각의 측정패널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easurement panel constituting the measuring device is composed of one measuring panel,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a configuration that can stand on both feet on the measurement panel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easurement panel constituting the measuring device is divided into two independent configurations so that the two feet can be positioned on each measurement pane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1)에 의하면, 측정부(10) 위에 두 발을 모으거나 벌리고 서 있으면, 발바닥을 통해 측정패널(100)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균형감각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한다. 즉, 신체 균형감각이 어느 정도 부족하고 어느 쪽으로 편중되는 지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체 균형감각에 대한 관리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According to the measur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eet are gathered or standing on the measuring unit 10, the body balance based on the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measuring panel 100 through the sole The senses are measured and the measured data are displayed in a user perceptible manner. In other words, b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on how much lack of body balance and how it is biased, management of the body balance can be made more systematic.

다음은 상기한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of the electronic play device for the body sensation train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measuring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 사시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play device for body balance training,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lay device for body balance training,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식 유희장치(3)는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1)와 본체(2)로 구성된다. 측정기(1)는 외부기기 예컨대,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갖고, 본체(2)는 다양한 트레이닝용 프로그램이 입력된 저장수단(20)과 그 저장수단(20)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onic play device 3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composed of a measuring device 1 and the main body 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measuring device 1 has an interface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2 is provided in the storage means 20 and the storage means 20 to which various training programs are input.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splay unit 22 for displaying the input program.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식 유희장치(3)는, 상기 본체(2)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22) 예컨대, 모니터를 통해 표출되는 안내지시에 따라 발로서 측정기(1)를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마치 게임을 즐기듯 취약한 부분에 대해 트레이닝이 흥미롭게 행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electronic play device 3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measuring device 1 as a foot in accordance with a display unit 22 constituting the main body 2, for example, a guide instruction displayed through a monitor. This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training can be done interestingly on vulnerable areas as if playing a game.

저장수단(20)의 상기 트레이닝용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 측정기(1)를 통해 측정된 신체 밸런싱 데이터를 기초로 난이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안내지시 예컨대, 화살표 표출을 통해 신체의 기울임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입력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training program of the storage means 20 may preferably indicate the tilt direction of the body through various types of guidance instructions having different difficulty levels, for example, arrow expressions, based on the body balancing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 It may be a program entered to be.

신체 균형감각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을 행함에 있어 그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따라서 보다 집중력 있고 지속적인 트레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저장수단(20)은 재생 가능한 동화상 정보 및 음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training for improving the body's sense of balance, the storage means 20 may further include reproducible moving pictur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so as to induce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training and thus to concentrate more intensively and continuously. Can be.

이을 위해 상기 본체(2)는, 스피커(24)와 같은 음향 정보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이닝 도중 사용자가 직접 트레이닝의 강약 및 강제 종료 음향 크기 등을 직접 조절 가능하도록, 다양한 입력버튼을 갖춘 입력장치(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동화상 정보나 음향 정보에 맞춰 발광 점멸함으로써 흥미유발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도시 생략)을 갖출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sound information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24, and various input buttons ar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strength and force of the training and the sound termination force during training.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device 26 provided. In some cases, it may be provided with lighting means (not shown) to maximize the induction of interest by flashing light e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or sound information.

이상과 같은 다른 측면에 따른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되는 안내지시에 따라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의 측정부를 동작시키면서 마치 게임을 즐기듯 트레이닝이 체계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측정된 균형감각 데이터를 기초로 균형감각이 취약한 부분에 대한 체계적인 트레이닝과 흥미유발을 통해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도모할 수 있다.Electronic play device for training body balance sense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so that the training can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as if playing a game while operating the measuring unit of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guide according to the guidanc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Therefore, based on the measured balance sensory data, continuous training can be promoted through systematic training and interest in the areas of weak balance.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 : 측정기
10 : 측정부
12 : 검출수단
14 : 제어부
16 : 표출수단
100-1, 100-2, 100-3 : 측정패널
102-1, 102-2, 102-3 : 베이스
2 : 본체
3 : 전자식 유희장치
1: Meter
10: measuring unit
12: detection means
14:
16: expression means
100-1, 100-2, 100-3: Measurement panel
102-1, 102-2, 102-3: base
2: Body
3: electronic play device

Claims (10)

발로 디딜 수 있는 디딤면을 형성한 측정부와,
디딤면을 딛고 상기 측정부 위에 올라 섰을 때 발바닥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하중 분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을 통해 획득된 신호를 기초로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신체 정보 결과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정부를 통해 검출수단으로 전해지는 하중 분포를 기초로 신체 밸런싱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A measuring unit having a stepping surface that can be treaded with a foo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user load distribution input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on the measuring unit on a stepping surface;
A controller for analyzing body information based on a signal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means;
It consists of a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the body information results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so as to recognize the user,
And a body balance sensor that measures body balancing based on a load distribution transmitted to the detection unit through the measuring unit and expresses the measured body balancing information so as to be recognized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여러 개로 분리 구획된 측정영역을 형성한 구성의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사이로 쿠션체가 충전되어 쿠션층을 형성한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각각의 측정영역에 속하는 측정패널 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해당 측정영역의 측정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하중을 검출하는 센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ement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ushioning body is filled between a measurement panel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easurement area divided into several parts and a base in contact with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to form a cushion layer.
The detection means is a body bal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member is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at the bottom of the measurement panel belonging to each measurement area to detect the load input through the measurement panel of the measurement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가 그 사이의 중앙 굴절형 연결부를 매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연결된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굴절형 연결부 외곽의 측정패널과 베이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굴절형 연결부를 기준으로 한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굴절된 움직임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ement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se in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panel and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central refractive connection between them,
The detecting means is a plurality of sensor membe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base and the measurement panel outside the refractive connection portion for detecting the refracted movement of the measurement panel relative to the base relative to the refractive connection portion Balance me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굴절형 연결부는 측정패널과 베이스에 각각 설치되는 볼부분과 이 볼부분을 감싸는 하우징으로 된 볼 조인트와, 상기 볼 조인트 주변에 배치되어 베이스와 측정패널을 상호 탄성 연결하며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굴절된 움직임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entral articulated connection part includes a ball joint formed of a ball portion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easurement panel and the base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ball portion, and disposed around the ball joint to elastically connect the base and the measurement panel to each other and to measure the base panel. Body bal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o provid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of restoring the refracted movement of th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볼 조인트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는 복수 쌍의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astic member is a body bal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springs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with a ball joint therebetw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패널과 설치 대상면과 접촉하는 베이스가 같은 극성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척력(斥力)에 의해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검출수단은 측정패널과 베이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측정패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un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se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panel and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repulsive force.
The detecting means is a body bal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nsor membe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measuring panel and the bas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easuring panel relative to the base due to the loa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gnetic body is a body bal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은, 측정부 일 측으로 부착되며 다양한 입력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the measured body balanc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body bal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anel attached to one side and having a variety of input keys.
제 1 항에 있어서,
측정된 신체 밸런싱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는 표출수단은, 상기 측정부와 인터페이스 수단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의 모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the measured body balancing information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is a monitor of a P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and an interface means.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갖춘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와, 다양한 트레이닝용 프로그램이 입력된 저장수단과 그 저장수단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출되는 안내지시에 따라 상기 신체 균형감각 측정기의 측정부를 동작시키면서 게임을 즐기듯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는 신체 균형감각 트레이닝용 전자식 유희장치.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having an interfac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a storage means into which various training programs are input and a program input to the storage means. An electronic play device for body balance sensory training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which can perform training as if playing a game while operating the measuring unit of the body balance sensor according to a guide instruc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KR1020120045600A 2012-04-30 2012-04-30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KR101373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00A KR101373761B1 (en) 2012-04-30 2012-04-30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600A KR101373761B1 (en) 2012-04-30 2012-04-30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343A true KR20130122343A (en) 2013-11-07
KR101373761B1 KR101373761B1 (en) 2014-03-13

Family

ID=4985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600A KR101373761B1 (en) 2012-04-30 2012-04-30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6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13A (en) 2014-08-26 2016-03-07 문동철 Dynamic balance
KR20170080133A (en) *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ose balance judgment device
KR20170080141A (en) *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ose balance judgment method
CN110639174A (en) * 2019-11-12 2020-01-03 山东欣悦健康科技有限公司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20200069164A (en) * 2018-12-06 2020-06-16 이정우 Pressure measuring foot plate, and exercise device for correcting body unbalance compring the same
KR20210047236A (en) * 2019-10-18 2021-04-29 주식회사 네오펙트 Balance trai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609B1 (en) * 2020-02-25 2021-06-01 (주)디자인스튜디오에이 Wireless connection type physical strength measuring system and physical strength measu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73B1 (en) * 1999-07-29 2001-12-12 차기철 Apparatus for Body Composition Analysis and for Postural Balance Measur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879052B1 (en) * 2007-01-29 2009-01-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raining balan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13A (en) 2014-08-26 2016-03-07 문동철 Dynamic balance
KR20170080133A (en) *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ose balance judgment device
KR20170080141A (en) *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ose balance judgment method
KR20200069164A (en) * 2018-12-06 2020-06-16 이정우 Pressure measuring foot plate, and exercise device for correcting body unbalance compring the same
WO2020116970A3 (en) * 2018-12-06 2020-07-30 이정우 Pressure-measuring foot board, and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same for correcting state of imbalance of body
CN113164100A (en) * 2018-12-06 2021-07-23 李井宇 Pressure measuring pedal and exercise apparatus for correcting body imbalance including the same
JP2022513183A (en) * 2018-12-06 2022-02-07 イ ジュン ウ Pressure measurement scaffolding and exercise equipment for correcting physical imbalance including this
JP7168783B2 (en) 2018-12-06 2022-11-09 イ ジュン ウ Pressure-measuring scaffolds and exercise equipment for correcting body imbalances including the same
KR20210047236A (en) * 2019-10-18 2021-04-29 주식회사 네오펙트 Balance training apparatus
CN110639174A (en) * 2019-11-12 2020-01-03 山东欣悦健康科技有限公司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761B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761B1 (en) Body static sense measure device
JP5321002B2 (en) Body motion balance detection device, body motion balance detection program, body motion balance detection method
US10192454B2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 person and for partially limiting the freedom of movement of the person
US87645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ll and/or concussion prediction
JP6275321B2 (en) trampoline
US9669254B2 (en) Integrated exercise mat system
US81314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mproved weight distribution sensory device with integrated controls
US201800554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sole
KR101695365B1 (en) Treadmill motion tracking device possible omnidirectional awarenessand move
US20120021873A1 (en) Arrangement for Gait Training
US9782116B2 (en) Stability-assessing system
KR102093185B1 (en) Berg bal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10247626B2 (en)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12883B1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KR102014530B1 (en) Walkng mat for fall prevention
KR101368637B1 (en) Balance training system for rehabilitation patient based active control base of support and method for balance training using the same
KR101910277B1 (en) Balance practi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5496B1 (en) An apparatus of motion sensing for control of virtual reality character
JP5992698B2 (en) Load measur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65944B1 (en) Motion analysis system for golf swing
KR101869696B1 (en) The omnidirectional treadmills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US9539463B1 (en) Exercise mat
KR101932553B1 (en) Fall risk assessment system
WO2020209595A2 (en) Analysis device based on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bout treadmill
CN110354459B (en) Old person's proprioception promotes training interactive installation based on sole pressure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