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637A - 과열방지 퓨즈 - Google Patents

과열방지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637A
KR20130121637A KR1020120045954A KR20120045954A KR20130121637A KR 20130121637 A KR20130121637 A KR 20130121637A KR 1020120045954 A KR1020120045954 A KR 1020120045954A KR 20120045954 A KR20120045954 A KR 20120045954A KR 20130121637 A KR20130121637 A KR 2013012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terminal
heating wire
heating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옥
Original Assignee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1637A/ko
Publication of KR2013012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열선의 전체 또는 특정 부위가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에 발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과열방지 퓨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는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선이 가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구성된 퓨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발열선과 발열선 사이 또는 발열선과 전원공급선 사이에 접속하게 되면, 발열선이 비정상적으로 가열될 경우 제1 단자부 또는 제2 단자부로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퓨즈체가 제거 또는 분리 되면서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단락시키게 되므로 발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서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열방지 퓨즈{FUSE AGAINST OVERHEATING}
본 발명은 과열방지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선의 전체 또는 특정 부위가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에 발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과열방지 퓨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열선은 발열매트나, 활동성 의류, 장구 등에 배치되어 온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선은 주로 구리선 등과 같은 금속선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금속선으로 된 발열선은 발열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되거나 과부하가 걸릴 경우 과열에 의해 물성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전열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었고, 또한 장시간 사용에 따른 산화로 저항치가 불안정해지고 자장의 크기가 증가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부분 카본섬유를 도전선으로 하는 발열선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발열선은 카본섬유사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도전선과, 이 도전선의 외주면에 덧씌워지는 절연층과, 이 절연층의 외주면에 감싸지는 외피층으로 구성된다.
한편, 발열선은 전원이 인가되면 도전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특정 주파수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주파수의 공진에 의해 발열현상이 발생되고 아울러 이 주파수의 공진에 따른 공진소음으로 전열기 사용시에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전선을 일정 간격으로 별도의 선을 이용하여 묶어주어 공진소음을 차단하는 발열선이 안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발열선은 그 작업공정이 매우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결속선이 요구되므로 생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발열선은 견고한 도전선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신축성이 없고 이에 따라 발열선을 전기장판이나 전기담요 등과 같이 신축성을 요하지 않는 전열기에만 적용할 수 있는 사용상에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본 출원인 한국 등록특허 제66332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신축성 발열선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663328호에 따른 신축성 발열선은 내선, 도전선 및 외피층 등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선은 신축성 발열선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되며, 도전선은 내선의 외주면에 다수 가닥이 권취된다. 외피층은 복수의 섬유사로 형성되어 내선과 도전선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전선은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는 도전성 금속사의 외면에 절연코팅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성 발열선은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며, 이러한 신축성을 이용하여 면상발열체를 구성한 후 발열매트나, 활동성 의류, 장구 등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신축성 발열선은 장시간의 사용이나 충격 등의 외력으로 인해 내선에 감김된 도전선 중 일부 가닥이 손상이나 단선 될 경우 남아 있는 나머지 도전선에 저항이 집중되므로 급격하게 국부 가열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신축성 발열선을 면상체에 배치하여 구성한 면상발열체는 발열매트 등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면상체의 특정 부분이 접혀져 포개어지면 발열선이 서로 근접하게 되어 양쪽 발열선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에 의해 접혀진 부위가 급격하게 국부 가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국부가열은 사용자에게 화상 등을 유발시키거나 화재를 유발하게 되므로 신뢰성의 저하는 물론이고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열선의 전체 또는 특정 부위가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에 발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과열방지 퓨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는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선이 가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구성된 퓨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퓨즈체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에 도전성 물질이 포함되어 일체로 성형된 구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도전성 용액으로 이루어진 구조;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도전부재로 이루어진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는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퓨즈체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체는 상기 발열선이 가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수축되어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도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절연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기 퓨즈편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는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퓨즈체; 및 상기 발열선의 가열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상기 퓨즈체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와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상기 퓨즈체를 이동 또는 단락시키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퓨즈체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퓨즈튜브와, 상기 제2 단자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퓨즈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퓨즈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퓨즈작동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열시에 팽창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튜브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체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고 도전성 선형부재로 형성된 퓨즈선, 상기 퓨즈선의 양쪽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링, 및 상기 퓨즈선 및 상기 걸림링을 감싸도록 덧씌워져 설치되는 외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퓨즈작동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링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퓨즈선의 외부에 배치되고, 가열시에 팽창되면서 상기 퓨즈선을 단락시키도록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퓨즈체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이 접속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외통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에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가동단자, 상기 가동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도전선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외통체의 양측 관통홀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퓨즈작동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시에 수축되면서 상기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의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는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박막 튜브 형태의 퓨즈체; 및 상기 퓨즈체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선의 가열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팽창되는 기체 또는 액체로 구성되고 팽창과정에서 상기 퓨즈체를 파손시켜 전기의 도통 상태를 차단시키는 팽창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퓨즈체는 상기 팽창물질의 팽창시에 파단되도록 두께 얇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단홈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퓨즈체가 수용되도록 절연 물질로 형성된 퓨즈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퓨즈수용부재는 상기 퓨즈체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통 형상의 수용몸체와, 상기 발열선이 접속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양쪽에 형성되는 열선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는 절개공이 형성되거나, 상기 열선접속부는 상기 발열선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퓨즈수용부재는 불화 케톤 화합물 또는 상기 불화 케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된 소화용 조성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발열선과 발열선 사이 또는 발열선과 전원공급선 사이에 접속하게 되면, 발열선이 비정상적으로 가열될 경우 제1 단자부 또는 제2 단자부로 전달되는 열기에 의해 퓨즈체가 제거 또는 분리 되면서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단락시키게 되므로 발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서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단자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퓨즈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낸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7a 내지 도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낸 도면,
도8a 내지 도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a 내지 도10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a 내지 도10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단자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1)는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발열선과 발열선 사이 또는 발열선과 전원공급선 사이에 배치되어 발열선의 가열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 전원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제1 단자부(11), 제2 단자부(12), 및 퓨즈체(1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부(11)는 동(Cu)과 같은 도전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이 결속되거나 납땜 될 수 있도록 연결공(111)을 갖는 단자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부(11)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의 중앙에 발열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압지될 수 있도록 절개슬릿(112)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자부(12)는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대응하는 제1 단자부(11)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퓨즈체(13)는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열선이 가열되어 제1 및 제2 단자부(11,12)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퓨즈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a에 나타난 퓨즈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1a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퓨즈체(13)는 제1 및 제2 단자부(11,12)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에 도전성 물질이 포함되어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퓨즈체(13)는 입자 형태의 도전성 물질을 고분자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에 혼합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한 후,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이 적용된 이유는 그 융점이 165℃ 내지 173℃ 정도이므로 발열선의 최대 가열온도가 165℃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퓨즈체가 녹아내려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에 연결되어 있던 전기적 접속관계가 단락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통전상태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발열선의 최대 가열온도를 165℃ 정도로 설정한 이유는 발열선이 직물지에 배치될 경우 직물지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직물지는 그 제직에 이용되는 섬유사의 물성이나 종류에 따라 내열특성이 서로 다르긴 하지만 대개의 섬유사는 200℃ 이상에서 변형이 발생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대 가열온도 범위를 설정한 것이다.
그리고, 고분자 수지는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발열선이 설치되는 피설치부의 물성, 조건 등에 따라 융점이 폴리프로필렌 보다 낮거나 높은 고분자 수지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은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 탄소나노입자 등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퓨즈체(13)는 도2a와 유사하게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성형물로 형성되되, 제1 및 제2 단자부(11,12)에 연장단자(113,123)가 형성되고 이 연장단자(113,123)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부분에 도전성 물질의 밀도가 높게 형성된 도전층(131)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퓨즈체(13)는 도전성 물질의 밀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 단자부(11,12)와 도전층(131)의 저항값을 서로 근사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류의 안정된 통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2c를 참조하면, 퓨즈체(13)는 제1 및 제2 단자부(11,12)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체(132)와, 이 중공체(132)의 중공부(132a)에 수용되는 도전성 용액(133)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체(132)는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에 연결되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도전성 용액(133)은 도전성고분자물질이 포함된 졸(sol)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부(132a)내에 채워지게 된다.
예컨대, 도전성용액(133)은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 탄소나노입자 등의 도전성 물질이 수용성 폴리아닐린용액 또는 수용성 폴리머용액이 혼합 구성된 것이다.
도2d를 참조하면, 퓨즈체(13)는 제1 및 제2 단자부(11,12)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134a)가 형성된 중공체(134)와, 이 중공체(134)의 중공부(134a)에 수용되는 도전성 물질(13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체(134)는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에 연결되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135)은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 탄소나노입자 등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a)이 면상체(b)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고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각 발열선(11)의 연결접점 부위(c)에 과열방지 퓨즈(1)가 제1 및 제2 단자부(11,12)에 결속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발열선(a)은 면상체(b)에 파형으로 배치되어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한다. 발열선(a)은 탄소섬유사, 도전성물질(도전성폴리머,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등)이 코팅된 섬유사, 도전성물질을 함유한 선사,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사 등과 같이 도전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도전선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의 부드러움을 제공하면서 발열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3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사(a1), 다수 가닥의 도전사(a2) 및 다수 가닥의 외피섬유사(a3)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발열선(a)에 배치되는 도전사(a2)는 15 내지 30 가닥 정도가 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중심사(a1)는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다수개의 도전사(a2)는 각각 중심사(a1)의 외주면에 엮음이나 감김 되며, 외피섬유사(a3)는 도전사(a2)의 외주면을 따라 엮음이나 감김되어 절연외피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사(a1)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는 신축성 고분자사(발열선을 신축구조로 형성할 경우에 적용함, 스판사와 같이 신축성 섬유사를 적용할 수 있음)나 아라미드사와 같은 장력이 큰 섬유사 등이 사용되고, 도전사(a2)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20 내지 60㎛의 직경을 갖는 것이 적당함)의 직경을 갖는 금속사의 외면에 절연피복층(불소나 에나멜 등이 코팅되어 형성됨)이 형성된 것이 적용되며, 외피섬유사(a3)는 통상의 천연 또는 인조섬유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되어 파형으로 배치되는 발열선(a)은 특정 부위에 과도한 물리적인 힘이 작용될 경우 일부 도전사(a2)가 단락된다. 이와 같이 일부 도전사(a2)가 손상되면 손상되지 않은 나머지 도전사(a2)에 저항이 집중되므로 손상부위가 급격히 가열된다. 또한, 면상체(b)의 특정 부분이 접혀져 포개어지면 발열선(a)이 서로 근접하게 되어 양쪽 발열선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에 의해 접혀진 부위가 급격하게 국부 가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열선(a)이 국부 가열되면 그 열기가 제1 단자부(11) 또는 제2 단자부(12)로 전달되고 그 가열온도가 특정 온도(165℃ 정도)에 도달되면 퓨즈체(13)가 열기에 의해 융융되면서 흘러 내리게 되고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단락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단자부(11,1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발열선(a)의 발열 현상이 정지되므로 과열되어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1)는 제1 단자부(11) 및 제2 단자부(12)를 포함하는 퓨즈체(13)의 수용을 위한 퓨즈수용부재(14)가 더 구비되어 있다.
퓨즈수용부재(14)는 절연수지(절연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와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퓨즈체(13)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141a)이 형성된 통 형상의 수용몸체(141)와, 발열선이 접속 고정되도록 수용몸체(141)의 양쪽에 형성되는 열선접속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수용몸체(141)는 반원 통 형상을 갖는 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밀폐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반원통의 서로 마주보는 접촉부위에는 걸림돌기(141b)와 이 걸림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141c)이 형성되어 있다.
열선접속부(142)는 발열선(a)이 삽입되어 기밀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 봉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반원 봉의 내주면에는 발열선을 압박하는 동시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돌출링(14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용몸체(141)는 가열시에 퓨즈체(13)에서 용융되어 녹아내리는 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열선접속부(142)는 발열선(a)의 단부가 접속되고 제1 및 제2 단자부(11,12)가 접속되는 별도의 연결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퓨즈수용부재(14)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불꽃, 화염의 소화능력이 우수한 절연유, 파라핀, 불화 케톤 화합물 등의 다양한 소화용 조성물이 주입될 수 있다.
불화 케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공지된 통상의 소화제 화합물(예컨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류,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 퍼플루오로카본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류, 하이드로플루오로폴리에테르류,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류, 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 브로모플루오로카본류, 브로모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 하이드로브로모카본류, 요오도플루오로카본류 및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카본류)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2)는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발열선(a)과 발열선 사이 또는 발열선과 전원공급선(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가열시 전원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제1 단자부(21), 제2 단자부(22), 및 퓨즈체(23)로 구성되되, 퓨즈체(23)는 제1 및 제2 단자부(21,22)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발열선이 가열되어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수축되어 제1 및 제2 단자부(21,22) 사이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도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편(2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자부(21,22)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의 중앙 격벽(211,221)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발열선(a)이 삽입된 상태에서 압지될 수 있도록 절개슬릿(212a,222a)이 형성된 발열선접속부(212,222)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에 퓨즈체(23)가 삽입되는 퓨즈접속부(213,22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퓨즈편(231)은 코일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그 양단 부가 퓨즈접속부(213,223)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퓨즈편(231)의 제조에 이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은 정상적인 접속상태에서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도전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예컨대 퓨즈편은 동-아연 합금, 금-카드뮴 합금을 이용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것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편(231)이 퓨즈접속부(213,223)에 끼워져 정상적으로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열선의 손상 등에 따른 국부가열로 제1 단자부(21) 또는 제2 단자부(21)에 열기가 전달되면 그 전달된 열기에 의해 퓨즈편(231)이 다시 가열되면서 설정된 온도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퓨즈편(231)이 가열되면 저온 상태에서 늘어나 있던 권취부가 수축되면서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퓨즈접속부(213,223)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자연히 전원의 통전상태가 차단되면서 이상과열을 차단할 수 있고, 가열에 따른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6a는 정상상태에서의 단면도, 도6b는 퓨즈편이 가열되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퓨즈체(23)는 도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편(232)과, 절연물질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단자부(21,22)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퓨즈편(232)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3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233)는 절연특성과 함께 가열에 따라 퓨즈편(232)이 수축되더라도 제1 및 제2 단자부(21,22) 사이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에 변형되지 않고, 발열선(a)의 가열에 따라 제1 및 제2 단자부(21,22) 가열되면 함께 가열될 수 있도록 열의 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소재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관통공를 갖는 튜브 형태로 성형 및 소성하여 형성한 것을 적용한다.
그리고, 퓨즈편(232)은 도6a 및 도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구성되거나, 코일 스프링 형태(별도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음)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7a 내지 도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7a는 사시도이고, 도7b는 단면도이다.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3)는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발열선(a)과 발열선 사이 또는 발열선과 전원공급선(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가열시 전원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31),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32), 제1 및 제2 단자부(31,32)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퓨즈체(33)를 구비하고, 이 퓨즈체(33)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제어하는 퓨즈작동부재(34)를 구비한다.
퓨즈체(33)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되, 제1 단자부(3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퓨즈튜브(331)와, 제2 단자부(32)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제1 퓨즈튜브(33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퓨즈튜브(332)로 구성되어 있다.
퓨즈작동부재(34)는 발열선(a)의 가열에 따른 제1 및 제2 단자부(31,32)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퓨즈체(33)와 제1 및 제2 단자부(31,32)와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퓨즈체(33)를 이동 또는 단락시키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퓨즈작동부재(3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퓨즈튜브(331,332)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열시에 팽창되어 제1 퓨즈튜브(331) 또는 제2 퓨즈튜브(332)의 내면에 팽창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퓨즈튜브의 결합상태 즉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밀어내어 이탈시킨다.
첨부도면, 도8a 내지 도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8a는 사시도이고, 도8b는 단면도이다.
도8a 및 도8b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3)는 제1 단자부(31), 제2 단자부(32), 퓨즈체(33), 및 퓨즈작동부재(34)를 구비하되, 퓨즈체(33)는 제1 및 제2 단자부(31,32)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고 도전성 선형부재로 형성된 퓨즈선(333), 이 퓨즈선(333)의 양쪽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링(334)과, 퓨즈선(333) 및 걸림링(334)을 감싸도록 덧씌워져 설치되는 외통체(33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퓨즈선(333)은 동선과 같은 도전성 선형부재로 형성되되 중앙 부분에 퓨즈작동부재(34)로부터 팽창력이 작동되면 쉽게 단락될 수 있도록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홈(33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체(335)는 퓨즈체(33) 및 퓨즈작동부재(34)가 삽입, 수용되는 본체(335a)와 이 본체에 결합되고 제1 단자부(31)의 삽입을 위한 단자삽입홀(335c)을 갖는 뚜껑(335b)으로 구성되어 있다.
퓨즈작동부재(3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링(334) 사이에 해당되는 퓨즈선(333)의 외부에 배치되고, 가열시에 팽창되면서 퓨즈선(333)을 단락시키게 된다.
첨부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3)는 제1 단자부(31), 제2 단자부(32), 퓨즈체(33), 및 퓨즈작동부재(34)를 구비하되, 퓨즈체(33)는 일측 및 타측에 제1 및 제2 단자부(31,32)가 접속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외통체(336), 제1 및 제2 단자부(31,32)에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가동단자(337), 및 가동단자(337) 사이에 연결되고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도전선(33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선(338)은 통상의 전선을 퓨즈작동부재(34)의 최대 길이(퓨즈작동부재가 팽창된 상태에서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거나 신축성을 갖는 전선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신축성을 갖는 전선은 도3의 확대부에 나타난 형태와 유사한 구조로서 중심에 스판사와 같은 신축성 고분자사로 형성된 중심사와, 이 중심사의 외면에 권취되는 도전사를 포함하는 도전선을 배치함으로써 퓨즈작동부재(34)의 팽창 및 수축시에 함께 신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단자부(31,32)는 외통체(336)의 양측 관통홀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퓨즈작동부재(3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가동단자(33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퓨즈작동부재(3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형상기억합금의 양단을 각각 가동단자(337)에 결합함으로써 특정 온도로 가열시에 수축되면서 가동단자(337)와 고정단자(제1 및 제2 단자부,31,32)와의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고, 냉각시에 원위치되면서 가동단자(337)와 고정단자가 서로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에서 퓨즈작동부재(34)를 형성하는 형상기억합금은 저온에서 변형시킨 후 특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1방향 형상기억합금이나, 특정 고온에서의 형상과 가열되기 전의 형상을 동시에 기억하는 2방향 형상기억합금 중에서 선택하여 적절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첨부도면,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0a는 사시도이고, 도10b는 단면도이다.
도10a 및 도10b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4)는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는 발열선과 발열선 사이 또는 발열선과 전원공급선 사이에 배치되어 가열시 전원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제1 단자부(41), 제2 단자부(42), 퓨즈체(43), 및 팽창물질(44)로 구성되어 있다.
퓨즈체(43)는 제1 및 제2 단자부(41,42)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박막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퓨즈체(43)는 팽창물질(44)의 팽창시에 신속하게 파단 될 수 있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단홈(431)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파단홈(431)은 팽창물질(44)의 팽창에 따른 압력이 작용될 경우 쉽게 파단될 수 있도록 박막 튜브의 외주면에 톱니 형상으로 두께가 얇은 파단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팽창물질(44)은 퓨즈체(43)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발열선의 가열에 따른 제1 및 제2 단자부(41,42)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팽창되는 기체 또는 액체로 구성되고 팽창과정에서 상기 퓨즈체(43)를 손상, 분리시켜 전기의 도통 상태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팽창물질(44)은 대표적으로 공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퓨즈체(43)는 제1 및 제2 단자부(41,42)의 온도가 165℃ 전후로 가열될 경우 공기의 팽창압에 의해 톱니형 파단선으로 형성된 파단홈(431)이 파단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팽창물질은 쉽게 구할 수 있고 100℃에서 기화하면서 팽창되는 물을 적용할 수 있지만, 발열선이 인체와 접촉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화시 뜨거운 수증기로 인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물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퓨즈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2,3,4:과열방지 퓨즈
11,21,31,41:제1 단자부
12,22,32,42:제2 단자부
13,23,33,43:퓨즈체
14:퓨즈수용부재
34:퓨즈작동부재
44:팽창물질

Claims (15)

  1.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선이 가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전기적인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구성된 퓨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체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에 도전성 물질이 포함되어 일체로 성형된 구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도전성 용액으로 이루어진 구조;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용융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도전부재로 이루어진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3.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퓨즈체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체는 상기 발열선이 가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수축되어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도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4. 제3항에 있어서,
    절연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기 퓨즈편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5.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퓨즈체; 및
    상기 발열선의 가열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상기 퓨즈체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와의 전기적 접속관계가 차단되도록 상기 퓨즈체를 이동 또는 단락시키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퓨즈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체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퓨즈튜브와, 상기 제2 단자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퓨즈튜브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퓨즈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퓨즈작동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열시에 팽창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튜브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체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고 도전성 선형부재로 형성된 퓨즈선, 상기 퓨즈선의 양쪽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링, 및 상기 퓨즈선 및 상기 걸림링을 감싸도록 덧씌워져 설치되는 외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퓨즈작동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링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퓨즈선의 외부에 배치되고, 가열시에 팽창되면서 상기 퓨즈선을 단락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체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이 접속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외통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에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가동단자, 상기 가동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도전선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외통체의 양측 관통홀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퓨즈작동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시에 수축되면서 상기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의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9. 발열선에 설치되는 과열방지 퓨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의 일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발열선의 타측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박막 튜브 형태의 퓨즈체; 및
    상기 퓨즈체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상기 발열선의 가열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의 가열온도가 설정된 임계점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팽창되는 기체 또는 액체로 구성되고 팽창과정에서 상기 퓨즈체를 파손시켜 전기의 도통 상태를 차단시키는 팽창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체는 상기 팽창물질의 팽창시에 파단되도록 두께 얇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단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체가 수용되도록 절연 물질로 형성된 퓨즈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수용부재는 상기 퓨즈체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통 형상의 수용몸체와, 상기 발열선이 접속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양쪽에 형성되는 열선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는 절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접속부는 상기 발열선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수용부재는 불화 케톤 화합물 또는 상기 불화 케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된 소화용 조성물이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퓨즈.
KR1020120045954A 2012-04-27 2012-04-27 과열방지 퓨즈 KR20130121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954A KR20130121637A (ko) 2012-04-27 2012-04-27 과열방지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954A KR20130121637A (ko) 2012-04-27 2012-04-27 과열방지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637A true KR20130121637A (ko) 2013-11-06

Family

ID=4985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954A KR20130121637A (ko) 2012-04-27 2012-04-27 과열방지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16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11Y1 (ko) * 2014-01-27 2014-06-20 (주)금화전선 발열 방지용 전선
KR20170076772A (ko) * 2014-11-14 2017-07-04 리텔퓨즈 인코퍼레이티드 엔드벨 조립체를 가진 고전류 퓨즈
US10224166B2 (en) 2014-11-14 2019-03-05 Littelfuse, Inc. High-current fuse with endbell assembly
WO2020153684A3 (ko) * 2019-01-22 2020-09-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11Y1 (ko) * 2014-01-27 2014-06-20 (주)금화전선 발열 방지용 전선
KR20170076772A (ko) * 2014-11-14 2017-07-04 리텔퓨즈 인코퍼레이티드 엔드벨 조립체를 가진 고전류 퓨즈
US10224166B2 (en) 2014-11-14 2019-03-05 Littelfuse, Inc. High-current fuse with endbell assembly
WO2020153684A3 (ko) * 2019-01-22 2020-09-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1637A (ko) 과열방지 퓨즈
JP3023332B2 (ja) 電気加熱装置の安全回路
KR100948223B1 (ko) 열 퓨즈를 가지는 유체 가열 기기
TWI494965B (zh) 用於切斷過電流及吸收浪湧之合成保護組件
KR101207581B1 (ko)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반복형 퓨즈
CN1823661B (zh) 电热毯/电热垫
WO2009140650A2 (en) Heating cable
TW201209875A (en) Double wound fusible element and associated fuse
HU226191B1 (hu) Olvadóbetét-szerelvény széles áramtartományban használható olvadóbiztosítóhoz, valamint ilyen olvadóbiztosító
KR20110053864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 상의
US7949238B2 (en) Heating element for appliance
CN102714079A (zh) 具有热元件的电阻器
KR100900001B1 (ko) 금속관 히터를 이용하는 전열 장치
JP5054438B2 (ja) コード状ヒータ
KR200458888Y1 (ko) 아크 방지가 가능한 탄소발열선과 전선의 연결구조
JP2010097809A (ja) 電熱ヒーター
KR101914498B1 (ko) 자가 진단 및 치료기능을 구비한 도전선
CN116018878A (zh) 绳状加热器与面状加热器
CN210641091U (zh) 一种加热装置
RU2400943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с термопредохранителем (варианты)
KR20130106055A (ko) 온수 보일러용 가열 장치
RU2041573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от перегре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614192A (en) Fuse link
CN220652963U (zh) 分断器及防雷装置
CN220065610U (zh) 分断器及浪涌保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