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515A -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515A
KR20130121515A KR1020120044779A KR20120044779A KR20130121515A KR 20130121515 A KR20130121515 A KR 20130121515A KR 1020120044779 A KR1020120044779 A KR 1020120044779A KR 20120044779 A KR20120044779 A KR 20120044779A KR 20130121515 A KR20130121515 A KR 2013012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metal
hexacyanoperate
lithium ion
electro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택환
모하메드레자 쇼코히메르
성영은
유승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1515A/ko
Publication of KR2013012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9Compounds containing, besides iron,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Electrode Composition for Lithium Ion Battery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전자장치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전지이다. 전기적 저장장치에서 가역적으로 이온을 삽입/제거(insertion/extraction)할 수 있는 저비용의 전극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 전지에 대한 연구 및 상업적 개발은 저비용이면서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새로운 음극 및 양극 전극 재료를 도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리튬 이온 전지용 잠재적 전극으로서 다양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들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지만[(a) Bruce, P. G.; Scrosati, B.; Tarascon, J. -M. Angew. Chem. Int. Ed. 2008, 47, 2930-2946. (b) Piao, Y.; Kim, H. S.; Sung, Y.-E.; Hyeon, T. Chem. Commun. 2010, 46, 118-120. (c) Han, S.; Jang, B.; Kim, T.; Oh, S. M.; Hyeon, T. Adv. Funct. Mater. 2005, 15, 1845-1850], 이러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의 경우에는 어렵고 복잡한 제조 공정과 느린 충전속도로 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a) Zhang, W.-M.; Wu, X.-L.; Hu, J.-S.; Guo, Y.-G.; Wan, L.-J. Adv. Funct. Mater. 2008, 18, 3941-3946. (b) Scrosati, B.; Hassoun, J.; Sun, Y.-K. Energy Environ. Sci. 2011, 4, 3287-3295. (c) Liu, Y.; Liu, D.; Zhang, Q.; Cao, G. J. Mater. Chem. 2011, 21, 9969-9983].
또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LiCoO2를 포함하는 일부 양극 재료는 비용과 안전의 측면에서 볼 때 고전력(high power) 분야에 대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a) Zhou, Y.; Wang, J.; Hu, Y.; O'Hayre, R.; Shao, Z. Chem. Commun. 2010, 46, 7151-7153. (b) Choi, S. H.; Kim, J.; Yoon, Y. S. J. Power Sources 2004, 138, 360-363. (c) Nazri, G.-A.; Pistoia, G. Lithium Batteries: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2009].
다양한 나노구조 재료 중에서, 나노미터 크기의 금속-유기물 프레임웍(metal-organic framework (MOF))이 독특한 물성 및 촉매, 약물 전달, 가스 저장 및 정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으로 인하여 점점 관심을 끌고 있다[(a) Murray, L. J.; Dinca, M.; Long, J. R. Chem. Soc. Rev. 2009, 38, 1294-1314. (b) Dhakshinamoorthy, A.; Alvaro, M.; Garcia, H. Catal. Sci. Technol. 2011, 1, 856-867. (c) Yoon, M.; Srirambalaji, R.; Kim, K. Chem. Rev. 2012, 112, 1196-1231. (d) Rocca, J. D.; Liu, D.; Lin, W. Acc. Chem. Res. 2011, 44, 957-968].
MOF는 분자나 이온이 삽입될 수 있는, 조절가능한 기공(pore)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새로운 전극 후보로 인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공은, 리간드 분자나 금속 이온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들(Prussian blue analogues), 혼성원자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mixed-valence metal hexacyanoferrate (MHCF))와 같은 다공성 배위중합체(coordination polymer)는, 이러한 개방형 프레임웍 구조체에 대한 기본형(prototype) 재료이다. 이러한 MHCF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합성 과정을 통해 제조되고, MHCF의 물리적 성질은 잘 밝혀져 있다.
MHCF는 화학식 KxMII y[FeIII(CN)6]로 표시되는, 물을 포함하는 고체상 화합물이다. MHCF의 구조는 면심입방구조이고, 두 가지 다른 금속(M) 중심인 M2 +와 M3 +가 CN-에 의해 브리지되어 있다[(a) Uemura, T.; Kitagawa, S. J. Am. Chem. Soc. 2003, 125, 7814-7815. (b) MacGillivray, L. R. Metal-Organic Frameworks: Design and Application, Wiley 2010. (c) Larionova, J.; Guari, Y.; Sangregorio, C.; Guerin, C. New J. Chem. 2009, 33, 1177-1190].
3차원적으로 연결된 다공성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 내부로 다양한 양이온들(예를 들면, K+, Na+ 및 Li+)의 삽입 및 제거는 여러 가지 전기화학반응에 있어서 중요하다[(a) Neff, V. D. J. Electrochem. Soc. 1978, 125, 886-887. (b) Eftekhari, A. J. Power Sources 2004, 132, 291-295. (c) Itaya, K.; Uchida, I.; Neff, V. D. Acc. Chem. Res. 1986, 19, 162-168. (d) Stilwell, D. E.; Park, K. H.; Miles, M. H. J. Appl. Electrochem. 1992, 22, 325-331].
단단한(rigid) MHCF의 개방형 프레임웍 구조는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하는데, 실리콘 합금 및 금속 산화물과 같이 더 광범위하게 연구된 대체 전지 전극 재료와 대비하여 더 큰 내구성 및 더 빠른 반응속도(kinetics)가 이에 해당한다[(a) Okubo, M.; Asakura, D.; Mizuno, Y.; Kim, J.-D.; Mizokawa, T.; Kudo, T.; Honma, I. J. Phys. Chem. Lett. 2010, 1, 2063-2071. (b) Karyakin, A. A. Electroanalysis 2001, 13, 813-819. (c) Eftekhari, A. J. Power Sources 2004, 126, 221-228].
또한, 이러한 특성은, 그리드-스케일(grid-scale) 전지 및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의 중요한 특징인 신속한 충전 속도를 가능케 한다[(a) Kang, B.; Ceder, G. Nature 2009, 458, 190-193. (b) Yang, Z.; Zhang, J.; Kintner-Meyer, M. C. W.; Lu, X.; Choi, D.; Lemmon, J. P.; Liu, J. Chem. Rev. 2011, 111, 3577-3613. (c) Zhang, H.; Yu, X.; Braun, P. V. Nat. Nanotech. 2011, 6, 277-281].
실제로, 저렴한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프레임웍은 대규모 고정형 에너지 저장 및 상업적 관점에서의 전지의 응용을 위한 전극으로서 사용되기에 매우 유망한 재료이다[(a) Xu, K. Chem. Rev. 2004, 104, 4303-4417. (b) Soloveichik, G. L. Annu. Rev. Chem. Biomol. Eng. 2011, 2, 503-527. (c) Dunn, B.; Kamath, H.; Tarascon, J.-M. Science 2011, 334, 928-935. (d) Lee, H.-W.; Muralidharan, P.; Ruffo, R.; Mari, C. M.; Cui, Y.; Kim, D. K. Nano. Lett. 2010, 10, 3852-3856. (e) Hochbaum, A. I.; Yang, P. Chem. Rev. 2010, 110, 527-546].
그러나 현재까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리튬 이온 전지에 적용한 예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 재료로 사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금속염와 헥사시아노퍼레이트를 물 내에서 반응시켜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단계; 및 (ii)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나노입자를 전도성 입자 및 결합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은, 메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높은 속도 용량(rate capability)으로 인하여 그리드-스케일 전지 및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용 전극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조성물은 리튬 이온 전지의 양극과 음극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는 니켈, 코발트, 망간, 아연, 철 또는 구리의 헥사시아노퍼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를 달리 하여도 리튬 이온 전지의 성능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가 25 nm 내지 50 nm이다.
본 발명의 전극 조성물은,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전도성 입자 및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 블랙일 수 있고,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금속염와 헥사시아노퍼레이트를 물 내에서 반응시켜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단계; 및 (ii)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나노입자를 전도성 입자 및 결합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염은 금속 아세테이트(metal acetate)일 수 있고, 상기 금속은 니켈, 코발트, 망간, 아연, 철 또는 구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는 K3[Fe(CN)6]일 수 있다.
상기 (i)단계에서, 상기 금속염과 상기 헥사시아노퍼레이트와의 비율과 무관하게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나노입자에 포함되는 원소들의 비율이 달라질 뿐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i)단계에서, 물의 양을 변화시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는 25 nm 내지 50 nm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i)단계에서 반응물들에 대한 물의 상대적인 비율을 늘리면, 생성되는 금속 헥사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때, 상기 (i)단계의 반응온도는 3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전도성 물질은 카본 블랙일 수 있고,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에 의해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다양한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조성물을 사용하면, 매우 높은 전류 밀도에서 매우 안정한 용량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조성물은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상업적 규모로 스케일-업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은 아무런 제약 없이 대량생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합성한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도 1a) 및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도 1b)에 대한 T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 및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X-선 회절 패턴을 보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도 3a) 및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도 3b)에 대한 XPS 스펙트럼을 보여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 및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에 대한 ATR-IR 스펙트럼이다.
도 5 본 발명의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도 5a) 및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도 5b)에 대한 열중량 분석(TGA) 곡선이다.
도 6a는 1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초기 3 사이클 이후, 10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사이클 성능(Cycling performance)을 보여 준다. 도 6a의 삽입도는 초기 10 사이클을 보여 준다. ○은 리튬첨가(lithiation) 과정이고, ●은 리튬제거(delithiation) 과정을 나타낸다. 도 6b는 100 mA g-1의 전류 밀도(적색, 두번째 사이클) 및 1000 mA g-1의 전류 밀도(청색, 다섯번째 사이클)에서의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충전-방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7a는, 0.1 mV s-1의 스캐닝 속도(scanning rate)에서 2.0 V 내지 4.3 V(vs. Li/Li+) 전압 범위에서의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ogram) 결과이고, 도 7b는 0.01 V 내지 3.0 V(vs. Li/Li+) 전압 범위 및 2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충전-방전 프로파일이다.
도 8a는 1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초기 3 사이클 이후, 10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사이클 성능(Cycling performance)을 보여 준다. ○은 리튬첨가(lithiation) 과정이고, ●은 리튬제거(delithiation) 과정을 나타낸다. 도 8b는 100 mA g-1의 전류 밀도(적색, 두번째 사이클) 및 1000 mA g-1의 전류 밀도(청색, 다섯번째 사이클)에서의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충전-방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을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니켈 헥사시아노퍼레이트 ( NiHCF ) 나노입자의 합성
100 ml의 0.1 M Ni(OCOCH3)2 및 이와 동일 당량의 K3[Fe(CN)6] 용액을, 50℃의 탈이온수 100 ml 내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원심분리를 통하여 분리하였고, 물로 수차례 세척하였으며, 90℃ 및 감압하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CoHCF) 나노입자의 합성
100 ml의 0.1 M Co(OCOCH3)2 및 이와 동일 당량의 K3[Fe(CN)6] 용액을, 50℃의 탈이온수 100 ml 내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원심분리를 통하여 분리하였고, 물로 수차례 세척하였으며, 90℃ 및 감압하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3. 니켈 및 코발트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특성 평가
200 kV에서 JEOL EM-2010 현미경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은 나노입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얻었다(도 1a 및 1b).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나노입자들의 평균 크기는 약 20 nm 내지 50 nm이다.
Rigaku Dmax 2500 회절분석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은 나노입자의 X-선 회절 패턴을 얻었다(도 2). 도 2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보면, 면심입방체인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에 대한 지수 200, 220, 400, 420, 422, 440, 600 및 620에서 회절 피크를 나타내었다.
또한, X-선 광전자 분광계(XPS) 데이터를 보면, 상기 나노입자들이 Ni2 + 및 Fe3+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도 3a 및 3b).
NiHCF 나노입자 및 CoHCF 나노입자에 대한 ATR-IR 스펙트럼은, 배위 고분자 격자(coordination polymer lattice)에서 특징적인 강한 C≡N 신축 진동(streching vibration)이 2075 cm-1에서 나타남을 보여 준다(도 4).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ICP-MS)를 사용한 원소 분석 결과, CHN 분석 및 열질량분석법(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은 NiHCF 및 CoHCF의 형성을 확인해 주었다(도 5a 및 5b).
실시예 4. 전지의 제작 및 평가
양극(cathode)에 적용하기 위하여, 중량비 70:15:15의 NiCHF 나노입자, 카본 블랙(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n-메틸-2-피롤리디논(n-methyl-2-pyrrolidinone)에 용해시킨 슬러리(slurry)를 알루미늄 포일 집전장치(aluminium foil current collector) 위에 코팅하였다.
음극(anode)에 적용하기 위하여, 중량비 70:15:15의 CoHCF 나노입자, 카본 블랙(Super P®)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n-메틸-2-피롤리디논(n-methyl-2-pyrrolidinone)에 용해시킨 슬러리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구리 포일(copper foil) 위에 코팅하였다.
상대 전극 및 기준 전극으로서 리튬 포일(lithium foil)을 사용하고 전해질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1:1 v/v) 내의 1.0 M의 LiPF6를 사용하여 코인형 반쪽전지(coin-type half cell: 2016형)를 제작하였다.
2.0 V 내지 4.3 V 및 0.01 V 내지 3.0 V의 전압 범위 각각(vs. Li/Li+)에서 정전류 충전-방전 사이클링(galvanostatical charge-discharge cycling)에 의해 NiHCF 나노입자와 CoHCF 나노입자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1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초기 3 사이클 이후, 10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상기 전지를 충전 및 방전시켰다. 양극에 대해 1000 mA g-1의 매우 높은 전류 밀도를 적용하였는데, NiHCF 나노입자의 이론적 용량이 60 mA g-1임을 고려하면, 이는 약 17 C과 동등하다. 1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NiCHF 나노입자의 가역용량(reversible capacity)은 약 56 mAh g-1이었다. 놀랍게도, 10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35 mAh g-1에 달하는 가역용량을 달성하였다(도 6). 초기 200 사이클 동안에 비용량(specific capacity)이 감소하였고, 이후에 안정화되었다. 초기 사이클 동안에, 반응 전위(reaction potential)가 더 낮은 전위로 이동(shift)하였는데, 이는 리튬과 포타슘 간의 반응 전위차로 설명될 수 있다. 리튬의 반응 전위는 포타슘의 반응 전위보다 더 낮고, 용량에 대한 리튬의 상대적인 기여도는 사이클 횟수가 늘어날수록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총 반응 전위는 사이클이 진행함에 따라 더 낮은 전위로 이동하였다(도 7a).
음극 재료로서 CoHCF 나노입자를 적용하는 경우, 100 mA g-1의 전류 밀도에서 가역용량이 약 544 mAh g-1이었다. 상기 CoHCF 나노입자는 1000 mA g-1의 매우 높은 전류 밀도에서 544 mAh g-1의 매우 안정한 가역용량을 나타내었다(도 8). 첫번째 사이클에서의 비가역적 용량 손실은 전해질 분해 및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층의 형성에 기인한다. CoHCF 나노입자의 충전-방전 프로파일은, 종래에 보고된 금속-유기물 프레임웍-기반 음극 재료에 대한 충전-방전 프로파일과 매우 유사하다(도 7b).

Claims (15)

  1.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니켈, 코발트, 망간, 아연, 철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는 25 nm 내지 50 n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전도성 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 블랙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7. (i) 금속염와 헥사시아노퍼레이트를 물 내에서 반응시켜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단계; 및
    (ii)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나노입자를 전도성 입자 및 결합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금속 아세테이트(metal acetate)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니켈, 코발트, 망간, 아연, 철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는 K3[Fe(CN)6]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반응온도는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이 카본 블랙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가 25 nm 내지 50 n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물의 양을 변화시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퍼레이트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0120044779A 2012-04-27 2012-04-27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21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79A KR20130121515A (ko) 2012-04-27 2012-04-27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79A KR20130121515A (ko) 2012-04-27 2012-04-27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15A true KR20130121515A (ko) 2013-11-06

Family

ID=4985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79A KR20130121515A (ko) 2012-04-27 2012-04-27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15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404A1 (ko) * 2018-11-27 2020-06-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러시안 블루 아날로그를 사용한 리튬-전이금속 산화물 제조 방법, 리튬-전이금속 산화물,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2050769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404A1 (ko) * 2018-11-27 2020-06-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러시안 블루 아날로그를 사용한 리튬-전이금속 산화물 제조 방법, 리튬-전이금속 산화물,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2050769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823B (zh) 负极活性物质、二次电池、负极材料和二次电池制造方法
KR101577180B1 (ko) 고에너지 밀도의 혼합 양극활물질
Lee et al. Heteroepitaxial growth of ZnO nanosheet bands on ZnCo 2 O 4 submicron rods toward high-performance Li ion battery electrodes
Shi et al. Catalytic cobalt phosphide Co2P/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as host material for high performance lithium-sulfur battery cathode
Wang et al. Charge-driven self-assembly synthesis of straw-sheaf-like Co3O4 with superior cyclability and rate capability for lithium-ion batteries
Shokouhimehr et al. Metal hexacyanoferrate nanoparticles as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WO2013035572A1 (ja) リチウムもしくはナトリウム含有酸素酸塩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367577B1 (ko) 폴리도파민을 이용한 카본/촉매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에 따라 제조되는 카본/촉매 복합체 및 이를 공기극으로 이용한 리튬/공기 이차전지
CN106887575B (zh) 一种钴酸锌/石墨烯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Tian et al. Highly porous MnO/C@ rGO nanocomposite derived from Mn-BDC@ rGO as high-performance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CN113611833A (zh) 一种阳离子插层改性的CuS@CTAB电极材料在锌离子电池中的应用
CN103137969B (zh) 二次电池用阴极材料及其制造方法
Wei et al. Facile synthesis of hollow MnO microcubes as superior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EP3627611A1 (en) Zinc salts which can be used as liquid electrolyte of zinc-ion battery
Zhang et al. Tailoring the (Ni1/6Co1/6Mn4/6) CO3 precursors of Li-rich layered oxides for advanced lithium-ion batteries with the seed-mediated method
Tong et al. Synthesis of hierarchical mesoporous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oxide spheres with high rate capability for lithium-ion batteries
CN102340000B (zh) 用于锂二次电池的正极材料和制备该材料的方法
Xu et al. Hollow and hierarchical Li1. 2Mn0. 54Ni0. 13Co0. 13O2 micro-cubes as promising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y
Wang et al. Micro/nanostructured MnCo2O4. 5 anodes with high reversible capacity and excellent rate capability for next generation lithium-ion batteries
US20140199595A1 (en) Method of Synthesis of a Compound LiM1-x-y-zNyQzFexPO4 and Use Thereof as 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Wang et al. Metal oxides in batteries
CN108923046A (zh) 一种纳米多孔富锂磷酸铁锂材料的制备方法
JP2013060319A (ja) リチウムマンガン(iv)ニッケル(iii)系酸化物、その酸化物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正極活物質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を搭載した車両
Zhang et al. Synthesis of LiNi 1/3 Co 1/3 Mn 1/3 O 2 cathode material by a modified sol–gel method for lithium-ion battery
KR20130121515A (ko)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