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807A -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 Google Patents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807A
KR20130120807A KR1020120043967A KR20120043967A KR20130120807A KR 20130120807 A KR20130120807 A KR 20130120807A KR 1020120043967 A KR1020120043967 A KR 1020120043967A KR 20120043967 A KR20120043967 A KR 20120043967A KR 20130120807 A KR20130120807 A KR 20130120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der
groove
coupling groove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165B1 (ko
Inventor
김배남
김영철
이진호
민지홍
박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2004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1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8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for holding or compacting items by creating vacuum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로써, 휴대단말기 커버에 일체로 결합된 젠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젠더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젠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젠더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 Portable device with gender }
본 발명은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로써, 휴대단말기 커버에 일체로 결합된 젠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발전되고 다양한 모바일용 인터넷 컨텐츠의 공급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휴대단말기를 활용하기 편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활용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력소모가 증가하여 휴대단말기를 더욱 자주 충전할 필요가 있다.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용 케이블이 필요하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156호에는 다용도 휴대단말기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포트(101)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휴대단말기로 공급하며, USB 포트(104)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포트(101)로 전달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를 수시로 충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종래의 통신 케이블을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고, 휴대단말기는 이어폰 등과 같은 부가적인 액세서리들을 함께 휴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통신 케이블을 주머니나 가방에 보관시 선이 꼬이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단말기와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충전시 통신 케이블을 찾아야 하고, 필요시 휴대단말기와 함께 소지하지 않아 휴대단말기를 충전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휴대단말기용 커버와 휴대단말기 충전용 젠더를 일체로 형성하여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면서 휴대가 편리하고, 휴대단말기를 수시로 충전하기 편리한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젠더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젠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젠더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2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젠더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를 고정시키는 제2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 및 제2젠더는 배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젠더에는 제1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1단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젠더에는 제2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2단자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젠더는 상기 제1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젠더는 상기 제2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젠더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2젠더에서 상기 제2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제1젠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젠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제2젠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된다.
상기 전선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걸림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는 각각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선에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접하여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장착된 다.
본 발명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우징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제1젠더와 외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제2젠더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보호하면서 휴대단말기의 휴대 및 충전이 편리하다.
또한, 제1젠더에는 제1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1젠더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에는 제1돌출부가 결합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제2젠더에는 제2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젠더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에는 제2돌출부가 결합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젠더 및 제2젠더를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이 형성된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제1젠더와 제2젠더는 배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젠더와 제2젠더의 배면을 밀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전선에 스토퍼가 장착되어 전선으로 연결된 제1젠더와 제2젠더의 인출시 스토퍼가 제1걸림부 또는 제2걸림부에 접하게 됨으로써, 제1젠더와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USB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제1젠더(200), 제2젠더(300) 및 전선(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가 결합되고, 전방에 수용홈(103)이 형성되어 휴대단말기(P)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전방에 상기 수용홈(103)이 형성된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10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제1결합홈(110)과 제2결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젠더(200)가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110)은 후방, 좌측부 및 하단부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결합홈(110)에는 상기 제1젠더(200)에서 돌출 형성된 제1접속단자(210)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1단자홈(11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자홈(111)은 상기 제2하우징(102)에 형성되고 하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110)에는 상기 제1젠더(200)에 형성된 제1돌출부(220)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홈(1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110)과 연통되고 상기 제1젠더(200)가 삽입되는 방향인 하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220)가 삽입된다.
상기 제2결합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300)가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홈(120)은 후방, 우측부 및 상단부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3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결합홈(120)에는 상기 제2젠더(300)에서 돌출 형성된 제2접속단자(310)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2단자홈(1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자홈(121)은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102) 사이에 형성되고 상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홈(120)에는 상기 제2젠더(300)에 형성된 제2돌출부(320)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홈(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120)과 연통되고 상기 제2젠더(300)가 삽입되는 방향인 상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돌출부(320)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400)이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걸림부(131)는 상기 제1결합홈(1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선(400)이 삽입되는 인출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제2결합홈(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걸림부(131)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31)와 같이 상기 전선(400)이 삽입되는 인출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는 상기 전선(400)에 장착된 스토퍼와 접하여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전선(400)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40)는 상기 수용홈(103)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구(140)를 통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에 결합된다.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1젠더(200)에는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단자(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1단자홈(111)에 삽입된다.
상기 제1접속단자(210)는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는 30pin단자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젠더(200)에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2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220)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220)가 임의로 인출 길이 않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20)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제1고정홈(112)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제1접속단자(210)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돌출부(220)가 형성된 면이 수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젠더(200)를 상기 제1단자홈(111)이 형성된 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1돌출부(220)가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210)가 상기 제1단자홈(111)에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1젠더(200)는 상기 제1고정홈(112)에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220)에 의해 임의로 상기 제1결합홈(1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210)가 상기 제1단자홈(111)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서 좌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를 분리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을 밀어(또는 당겨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젠더(200)를 파지하거나 가압할 수 있는 면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젠더(200)를 분리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제1젠더(200)가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있을 경우에는 휴대단말기 커버의 휴대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젠더(200)가 다른 소지품이나 외부 물체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고,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젠더(200)가 흔들리면서 휴대단말기나 휴대단말기 커버를 손상시거나 상기 제1젠더(200)의 제1접속단자(2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20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젠더(220)를 분리시키기 용이하다.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2젠더(300)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31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접속단자(310)는 USB단자가 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C)는 USB포트가 장착된 컴퓨터나 차량 등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접속단자(210)와 제2접속단자(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103)에 삽입되는 휴대단말기(P) 및 외부 전원공급장치(C)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310)는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2단자홈(1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젠더(300)에는 상기 제2고정홈(122)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300)를 고정시키는 제2돌출부(3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돌출부(320)는 상기 제1돌출부(220)와 같이 상기 제2고정홈(122)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제2고정홈(122)에 삽입된 상기 제2돌출부(320)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제2접속단자(310)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돌출부(320)가 형성된 면이 수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젠더(300)를 상기 제2단자홈(121)이 형성된 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2돌출부(320)가 상기 제2고정홈(122)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접속단자(310)가 상기 제2단자홈(121)에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제2고정홈(122)에 삽입된 상기 제2돌출부(320)에 의해 임의로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접속단자(310)가 상기 제2단자홈(121)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2결합홈(120)에서 우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 제2결합홈(1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300)를 분리할 때는 전술한 상기 제1젠더(200)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젠더(300)의 배면을 밀어(또는 당겨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전선(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에 형성된 인출공(13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400)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젠더(200)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400)의 타단은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젠더(3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전선(400)에는 스토퍼가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걸림부(131)와 제2걸림부(132) 사이에 배치된 전선(400)에 장착되고, 제1스토퍼(401)와 제2스토퍼(402) 2개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젠더(200)를 상기 제1결합홈(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400)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선(400)이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제1걸림부(131)에 상기 제1스토퍼(401)가 접하여 상기 제1젠더(200)의 인출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젠더(300)를 상기 제2결합홈(120)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400)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선(400)이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제2걸림부(132)에 상기 제2스토퍼(402)가 접하여 인출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는 상기 전선(4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선(400)에 상기 스토퍼(401,402)가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 중 어느 하나를 계속 잡아당기면 다른 하나가 함께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선(400)에 상기 스토퍼(401,402)를 장착하여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의 인출시 상기 스토퍼(401,402)가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에 접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1젠더(200)와 제2젠더(300)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된 상기 제1젠더(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40)를 통해 상기 수용홈(103)에 결합된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3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P)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P)의 충전 케이블을 별도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휴대단말기(P)가 결합된 휴대단말기 커버의 젠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P)를 편리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별도의 권취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전선(400)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젠더(200) 또는 제2젠더(30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03)에 휴대단말기(P)가 결합되고, 휴대단말기(P)에 연결되는 상기 제1젠더(200)와 외부 전원공급장치(C)에 연결되는 상기 제2젠더(300)가 상기 제1결합홈(110) 및 제2결합홈(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기(P)의 외관을 보호하면서 휴대단말기(P)의 휴대 및 충전이 편리하다.
본 발명인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01 : 제1하우징, 102 : 제2하우징, 103 : 수용홈, 110 : 제1결합홈, 111 : 제1단자홈, 112 : 제1고정홈, 120 : 제2결합홈, 121 : 제2단자홈, 122 : 제2고정홈, 131 : 제1걸림부, 132 : 제2걸림부, 133 : 인출공, 140 : 연결구,
200 : 제1젠더, 210 : 제1접속단자, 220 : 제1돌출부,
300 : 제2젠더, 310 : 제2접속단자, 320 : 제2돌출부,
400 : 전선, 401 : 제1스토퍼, 402 : 제2스토퍼,

Claims (5)

  1.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젠더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젠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젠더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젠더는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2젠더가 삽입 배치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홈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젠더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를 고정시키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젠더에는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2젠더를 고정시키는 제2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젠더 및 제2젠더는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젠더에는 제1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1단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젠더에는 제2접속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제2접속단자가 삽입 배치되도록 개방된 제2단자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젠더는 상기 제1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젠더는 상기 제2단자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젠더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고,
    상기 제2젠더에서 상기 제2접속단자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면은 상호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제1젠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젠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홈은 상기 제2젠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젠더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결합홈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걸림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는 각각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선에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접하여 상기 제1젠더와 제2젠더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KR1020120043967A 2012-04-26 2012-04-26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KR10133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967A KR101331165B1 (ko) 2012-04-26 2012-04-26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967A KR101331165B1 (ko) 2012-04-26 2012-04-26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07A true KR20130120807A (ko) 2013-11-05
KR101331165B1 KR101331165B1 (ko) 2013-11-19

Family

ID=4985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967A KR101331165B1 (ko) 2012-04-26 2012-04-26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1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789A (ko)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05249U (ko) * 2008-11-12 2010-05-20 (주)중앙티앤씨 배터리 충전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수납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165B1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4265A1 (en) Battery charger
US20030117104A1 (en) Multi-function charger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CA2793120A1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assembly
KR20140004290U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CN113471997A (zh) 储能设备
US5998964A (en) Portable appliance charging system
JP3127310U (ja) マルチコンセント電気装置
KR200484178Y1 (ko) 다중 충전 시스템
US6604951B2 (en) Adapting head having a charging mechanism
US20130342158A1 (en) In-vehicle charging adaptor device
KR101417739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KR101331165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CN213584506U (zh) 插座
KR20120008082U (ko)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CN107565647B (zh) 便携式移动电源
KR20110062038A (ko) 일체형 포토블 전원장치
KR101483780B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US6403254B1 (en) Battery means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CN212162850U (zh) 一种便携式移动电源
CN208299449U (zh) 一种便于携带的移动电源
CN217984007U (zh) 自带线移动电源
CN212304807U (zh) 移动电源及电子设备
CN212012270U (zh) 一种多功能充电器
CN213754608U (zh) 电子设备保护壳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