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716A -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716A
KR20130120716A KR1020120043825A KR20120043825A KR20130120716A KR 20130120716 A KR20130120716 A KR 20130120716A KR 1020120043825 A KR1020120043825 A KR 1020120043825A KR 20120043825 A KR20120043825 A KR 20120043825A KR 20130120716 A KR20130120716 A KR 2013012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tube
hot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인
Original Assignee
진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광인 filed Critical 진광인
Priority to KR102012004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716A/ko
Publication of KR2013012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최소화하고 소음저감효과를 극대화한 온수공급 장치이다.
본 발명은 저수조(20)의 내벽에 급수관(21)과 연통하는 급수함(30)을 장착하되 급수함(31)에는 통공(33)을 가진 격판(32)를 수평으로 가설하고, 격판의 중심에는 상, 하로 작동하는 캡밸브(34)를 유동되게 결합한 구조이다.
격판(32)의 중앙에는 수직의 유동공(32-2)이 형성된 유동관(32-1)이 돌출되고, 유동관(32-1)의 주위에는 통공(32-3)이 천공되어 있으며, 격판(32)의 유동공(32-2)에 끼워 결합되는 캡밸브(34)는 삽입부(34-1)과 연결부(34-2) 그리고 삿갓모양의 덮개부(34-3)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수관(22)은 수위와 같은 높이로 저수조(20)에 인입되며, 회수관(22)의 단부에T자형 관(25)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판밸브나 볼밸브와 달리 온수가 역류해도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어 정숙성이 높고 더욱이 저수조로 인입된 회수관 단부에 장착된 T자형 관이 기포가 혼합된 온수에서 온수는 아래로, 수증기는 위로 분리해주므로 저수조에서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구조가 간명하여 제작비용이 낮고 고장발생률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Boiling and Recirculating Device for Hot-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최소화하고 소음저감효과를 극대화한 온수공급 장치이다.
전통적인 전기매트는 전열선이 갖는 유해 전자파의 발생 그리고 합선에 의한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간헐적으로 제기되므로 근래에는 온수매트로 교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온수매트는 순환펌프의 구동 또는 히터의 가열만으로 매트의 온수튜브에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 펌프의 소음이 커서 외면되고 후자의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히터의 가열만으로 작동되는 온수공급 장치는 필연적으로 역류방지를 위한 판밸브나 볼밸브를 장착해야 하는데, 히터에서 발생하는 순간적 증기압으로 밸브에 진동이나 유동이 발생한다. 이것이 소음발생의 주원인이 되며, 또 다른 소음발생의 원인으로는 수증기 기포가 혼합된 온수가 저수조로 회수될 때 물거품이 발생하는 현상을 들 수 있다.
한편, 온수공급장치는 시간이 경과하면 밸브에 물때가 끼어 개폐효과가 저하되거나 순환장애로 인한 순환수의 역류가 발생하여 소음이 더욱 커지게 된다. 절대적 정숙성이 요구되는 취침 시에는 작은 소음이라도 결코 간과될 수 없으므로 밸브의 정숙성을 높이는 일과 더불어 원가절감 면에서나 고장발생률을 낮춘다는 의미에서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종래의 복잡한 구성을 극히 단순화하고 밸브의 작동조건을 변화시켜 정숙성이 뛰어난 온수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밸브와 회수관의 구조개선이 기술적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 하부 케이스(10)(11)안에 저수조(20)가 거치되고 저수조(20)에는 전기히터(24)가 장착된 급수관(21)은 급수튜브(15), 회수튜브(16)를 거쳐 회수관(22)으로 연통되며, 컨트롤 박스(17)에 의하여 수위감지센서와 온도 조절기, 저수량부족 경고등이 작동되는 통상의 온수공급 장치의 구성을 따른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저수조(20)의 내벽에 급수관(21)과 연통하는 급수함(30)을 장착하되 급수함(31)에는 통공(32-3)을 가진 격판(32)를 수평으로 가설하고, 격판의 중심에는 상, 하로 작동하는 캡밸브(34)를 유동되게 결합한 구성이다.
격판(32)의 중앙에는 수직의 유동공(32-2)이 형성된 유동관(32-1)이 돌출되고 유동관(32-1)의 주위에는 통공(32-3)이 천공되며, 격판(32)의 유동공(32-2)에 끼워 결합되는 캡밸브(34)는 삽입부(34-1)과 연결부(34-2) 그리고 삿갓모양의 덮개부(34-3)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수관(22)은 수위와 같은 높이로 저수조(20)에 인입되며, 회수관(22)의 단부에 T자형 관(25)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판밸브나 볼밸브와 달리 온수가 역류해도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어 정숙성이 높고, 더욱이 저수조로 인입된 회수관 단부에 장착된 T자형 관이 기포가 혼합된 온수에서 온수는 아래로, 수증기는 위로 분리해주므로 저수조에서 물거품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구조가 간명하여 제작비용이 낮고 고장발생률이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급수함 세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급수함 가로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급수함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수매트(40)과 연통된 구조이다. 상, 하부 케이스(10)(11)안에는 저수조(20)가 거치되고 저수조(20)에는 전기히터(24)가 장착된 급수관(21)이 급수튜브(15)와 회수튜브(16)를 거쳐 회수관(22)으로 연통된다. 스위치(41)과 컨트롤 박스(42)로 제어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온도 조절기, 저수량부족 경고등의 필수적인 부분은 통상의 구성을 따르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를 생략했다.
저수조(20)에는 냉수가 저장되어 있고 입수구(35)와 회수관(22)이 서로 연통해 있다. 입수관(21)과 입수구(35)사이에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급수함(30)이 장착된다. 또한 입수관(21)의 둘레에는 전기히터(24)가 설치되어 저수조(20)의 냉수가 수압에 의하여 충전된 상태이다.
전기히터(24)가 가열되면 냉수는 서서히 뜨거워지면서 부피가 팽창하는데 팽창된 수압은 급수함(30) 내부의 캡밸브(34)에 의하여 저수조(20)로 역류되지 아니하고 급수튜브(14)로 진출하게 된다. 급수튜브(14)를 통과한 온수는 온수매트(40)을 거친 다음 회수튜브(15)와 회수관(22), T자형 관(25)을 통하여 저수조(20)로 회수된다.
급수함((30)에 연통된 급수관(21)의 단부는 회수관(22) 직경면적의 1/2만큼 협소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가열에 의하여 팽창된 냉수가 입구가 아니라 출구 방향으로 쉽게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부케이스(10)의 상면에는 마개(14)로 개폐될 수 있는 보충수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개(14)에는 통상적으로 증기배출구가 천공되어 있다. 온수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증기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결손된 양만큼의 냉수가 보충수 주입구(13)로 투입된다.
격판(32)은 급수함(30)의 내벽 양편에 설치된 레일(31)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되며, 중앙에는 수직의 유동공(32-2)이 형성된 유동관(32-1)이 돌출되고 유동관(32-1)의 주위에는 통공(32-3)이 천공되어 있다. 통공(32-2)으로 냉수가 급수관(21)로 공급되거나 가열된 온수가 역류되기도 하는 통로이다.
격판(32)의 유동공(32-2)에 끼워 결합되는 캡밸브(34)는 삽입부(34-1)과 연결부(34-2) 그리고 삿갓모양의 덮개부(3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34-1)는 유동관(32-1)에 끼워져 상, 하만 움직이도록 제한되며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직경이 굵다.
연결부(34-2)는 잘록한 허리부분으로 삽입부(34-1)와 덮개부(34-3)을 이어주는데, 덮개부(34-3)의 탄력성을 크게 하기 위하여 직경을 감소시킨 것이다. 덮개부(34-3)은 흡착구를 연상시키는 형상으로 입수구(35)의 상부 주위를 긴밀하게 밀폐시킨다. 캡밸브(34)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수밀효과가 크고 상, 하 작동 시 충돌이 발생해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회수관(22)은 수위와 같은 높이로 저수조(20)에 인입되며, 회수관(22)의 단부에는 T자형 관(25)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수증기포가 혼합된 온수는 T자형 관(25)에 이르러 수증기포는 공기 중으로 배출되고 온수는 저수조(20)로 유입되므로 수중에서 수증기포가 올라오면서 생기는 소음이 전혀 없다.
10: 상부 케이스 11: 하부 케이스 12: 보충수 주입구
13: 마개 14: 급수튜브 15: 회수 튜브
20: 저수조 21: 급수관 22: 회수관
23: 조인트 24: 전기히터 25: T자형 관
30: 급수함 31: 레일 32: 격판
32-1: 유동관 32-2: 유동공 32-3: 통공
34: 캡 밸브 34-1 삽입부 34-2: 연결부
34-3: 덮개부 35: 입수구 36: 플렌지
40: 온수매트 41: 스위치 42: 컨트롤박스
50: 냉수

Claims (3)

  1. 상, 하부 케이스(10)(20)안에 저수조(20)가 거치되고 저수조(20)에는 전기히터(24)가 장착된 급수관(21)으로부터 급수튜브(15)와 회수튜브(16)를 거쳐 회수관(22)으로 연통되며, 스위치(41)와 컨트롤 박스(42)에 의하여 제어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온도 조절기, 저수량부족 경고등을 가진 통상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에 있어서,
    저수조(20)의 내벽에 급수관(21)과 연통하는 급수함(30)을 장착하되 급수함(31)에는 통공(33)을 가진 격판(32)를 수평으로 가설하고, 격판의 중심에는 상, 하로 작동하는 캡밸브(34)를 유동되게 결합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격판(32)의 중앙에는 수직의 유동공(32-2)이 형성된 유동관(32-1)이 돌출되고 격판(32)의 유동공(32-2)에는 삽입부(34-1)과 연결부(34-2) 그리고 삿갓모양의 덮개부(34-3)으로 이루어진 캡밸브(34)가 끼워 결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회수관(22)은 수위와 같은 높이로 저수조(20)에 인입되며, 회수관(22)의 단부에T자형 관(25)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KR1020120043825A 2012-04-26 2012-04-26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KR20130120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25A KR20130120716A (ko) 2012-04-26 2012-04-26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25A KR20130120716A (ko) 2012-04-26 2012-04-26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16A true KR20130120716A (ko) 2013-11-05

Family

ID=4985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25A KR20130120716A (ko) 2012-04-26 2012-04-26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7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107A (zh) * 2017-09-10 2019-03-19 靳宏杰 一种水暖电暖器的速热方法
KR102072333B1 (ko) 2019-07-09 2020-01-31 방성우 온수매트용 리턴호스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107A (zh) * 2017-09-10 2019-03-19 靳宏杰 一种水暖电暖器的速热方法
KR102072333B1 (ko) 2019-07-09 2020-01-31 방성우 온수매트용 리턴호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83698U (zh) 一种自动供水的电蒸炉
JP5695788B1 (ja) 温水マット用温水ボイラー
CN115381366A (zh) 洗碗机
CN111358308A (zh) 一种带有蒸煮功能空气炸锅的下水结构
KR20130120716A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 장치
KR200468721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JP4648430B2 (ja) 温水生成装置
KR100874279B1 (ko) 온수난방장치
JP4767753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風呂用給湯装置
CN110906029B (zh) 用于热水器的换向阀、混水装置和热水器
CN110906556B (zh) 用于热水器的混水装置、热水器和热水器的混水方法
KR200476029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100891575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KR101432194B1 (ko)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온열매트
KR20180044254A (ko) 식기세척기용 통합 콤포넌트
KR20130015778A (ko)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가 이용되는 무동력 난방장치
CN110106948A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KR20090082991A (ko) 전기 보일러
CN102166100A (zh) 饮料水供给装置
KR200440739Y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CN106037475A (zh) 管线机
CN209655794U (zh) 一种中频炉节能控制机构
CN110440037B (zh) 控制阀配件及包含其的软水机
CN203852210U (zh) 一种用于饮料酿造的装置以及酿造机
CN209294533U (zh) 一种家用电器用的水路三通换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