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29Y1 -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29Y1
KR200476029Y1 KR2020140003571U KR20140003571U KR200476029Y1 KR 200476029 Y1 KR200476029 Y1 KR 200476029Y1 KR 2020140003571 U KR2020140003571 U KR 2020140003571U KR 20140003571 U KR20140003571 U KR 20140003571U KR 200476029 Y1 KR200476029 Y1 KR 200476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t water
guide
protrus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모
Original Assignee
이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모 filed Critical 이광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2Connecting hydraulic components
    • F24H9/144Valve seats, piping and heat exchanger connections integrated into a one-piece hydrauli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본체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하여 본체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의 상부가 본체의 유입부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의 유입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Hot Water Mat}
본 고안은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밸브의 개폐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도록 하고, 체크밸브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또는 보온유지를 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의 내부에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온수관에 공급 및 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국부적으로 난방하거나 보온유지를 하게 된다. 온수매트는 전기매트에 구비되는 전열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고, 화재나 감전사고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온수관 및 온수매트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온수매트에 사용되는 종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모터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모터펌프의 구동시 모터 자체의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발산되어, 불쾌한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조용하고 편안한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터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히터 내에 공급된 물이 물탱크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발생하는 팽창압력에 의해 온수매트에 설치된 온수관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팽창압력을 이용한 종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하우징(10, 20)과, 하우징(10, 20) 내부에 구비되며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0)와, 물탱크(30)의 내측에 위치되되, 물탱크(30)의 하측에 형성된 물 배출구(32a, 32b)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을 각각 배출하도록 단속하는 체크밸브(40, 50)와, 물탱크(30)의 물 배출구(32a, 32b) 내에 접속되어 체크밸브(40, 50)의 개방시에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받아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고,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매트(미도시)에 매설되는 온수배관(미도시)의 일측으로 온수를 배출하는 히터 유니트(60, 70)와, 일측은 물탱크(30)의 상측에 형성된 도입구(33a, 33b)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배관의 타측과 연결되는 호스(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크밸브(40, 50)는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 70)에 배출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관통구멍(41b, 51b)과 유출구멍(41a, 51a)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원통체(41, 51)와, 상기 원통체(41, 5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히터 유니트(60, 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히터 유니트(60, 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낮을 경우에 폐색되어서 상기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밸브체(43, 53)와, 상기 원통체(41, 5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46a, 56a)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체(41, 51) 내에 수집된 기포를 상기 물탱크(30)로 배출하는 배출유니트(47, 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히터 유니트(60, 70) 내로 공급된 물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 즉 온수의 압력에 의해서 체크밸브(40, 50)의 밸브체(43, 53)가 체크밸브(40, 50)의 관통구멍(41b, 51b)을 폐색시킴과 동시에, 가열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히터유니트(60, 70)와 연결된 상기 온수배관에 온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관을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물은 상기 온수배관과 연결된 상기 호스를 통하여 물탱크(30)로 공급된다. 그리고 히터유니트(60, 70)에서 상기 온수배관으로 온수가 공급되면, 히터유니트(60, 70) 내의 압력이 낮아지고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아져서 체크밸브(40)의 밸브체(43, 53)가 개방되어 물탱크(30)의 물이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종래 체크밸브(40, 50)는 밸브체(43, 53)가 개방된 후 폐색될 때마다 밸브체(43, 53)의 테두리의 일 부분이 원통체(41, 51)의 관통구멍(41b, 51b) 주변에 강하게 부딪히게 되어, 소음이 발생되며, 이러한 소음은 온수가 순환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체크밸브(40, 50)는 원통체(41, 51) 내에 수집된 에어를 상기 물탱크(30) 내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유니트(47, 57)를 구비하는데, 배출유니트(170,180)는 상기 원통체(41, 51)에 형성된 관통구멍(46a, 56a)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7a, 57a)와, 돌출부(47a, 57a)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돌출부(47a, 57a)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 배출구멍(47b, 57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이동부(47c, 57c)를 포함한다. 그런데 에어 배출유니트(47, 57)는 돌출부(47a, 57a)가 원통체(41, 51)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바, 그만큼 체크밸브(40, 50)의 전체 높이가 커지게 되어, 물탱크(30)의 크기 및 하우징(10, 20)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되는데, 이처럼 제품 크기가 커지게 되면, 설치 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고, 소형화를 지향하는 가전제품의 현 추세에도 맞지 않아, 소비자의 외면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2895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체크밸브의 개폐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도록 하고, 체크밸브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및 상기 물탱크의 내부 하측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되 그 일면에 유입부가 관통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되는 상승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유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 또는 상기 상승유도부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이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유입부가 폐쇄되고, 상기 본체의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 또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기포의 상승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이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유입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돌출되는 상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유입부에서 그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상부돌기가 관통되는 돌기안내부와,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서 상기 돌기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보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이 상하 이동될 때,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돌기안내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상부돌기의 외주연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사이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돌기의 외주연 또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이격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기안내부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상기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유체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승유도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상승유도부의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개폐판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상승유도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저면에서 상기 하부돌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이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하부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안내홈에 상기 돌출안내부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안내부의 외주연과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사이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돌출안내부의 외주연 또는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에는 이격안내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물탱크 내부에 체크밸브의 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를 물텡크에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조립 과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개폐판이 덮개부의 유입부을 개폐시킬 때, 개폐판의 외주연 전체가 덮개부의 하면에 밀착되므로, 개폐판과 덮개부 간의 밀착되는 단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어느 한 곳으로 몰리지 않고 개폐판 주변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며, 이에 따라, 전체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판이 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므로, 상하이동부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전체의 크기를 그만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판이 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때, 개폐판에 형성된 상부돌기 또는 하부돌기가 보조캡 또는 돌출안내부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하 이동되므로, 개폐판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기포는 그 자체의 상승 압력에 의하여 개폐판과 유입부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본체 내부의 기포가 용이하게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돌기가 보조캡의 관통홀에 삽입될 때, 상부돌기와 관통홀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구비되어, 상부돌기가 관통홀에서 용이하게 상하 이동되고, 본체의 기포 또는 물탱크의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안내부가 하부돌기의 안내홈에 삽입될 때, 돌출안내부와 안내홈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구비되어, 돌출안내부가 안내홈에서 용이하게 상하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팽창압력을 이용한 종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물탱크와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물탱크와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상하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보조캡과 상부돌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돌출안내부와 하부돌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후술하는 온수매트(400: 도 7 도시)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100), 히터(300) 및 체크밸브(200)를 포함하며, 히터(300)와 체크밸브(200)는 온수매트(400)의 크기 등에 의하여 하나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탱크(1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빈 공간이 구비되며,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방부(102)가 구비되되, 상기 개방부(102)는 커버부(110)에 의하여 덮여 있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일측은 토출구(104: 도 5 도시)가 구비되고 물탱크(100)의 타측은 공급구(106)가 구비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토출구(104)를 통하여 온수매트(400)로 이동되고, 온수매트(400)를 통과한 물은 공급구(106)를 통하여 물탱크(100)로 순환된다. 그리고 물탱크(100) 내부에는 물탱크(10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종래의 가습기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나 전자식 수위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300)는 금속판, 코일 등으로 형성된 전기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물탱크(100)의 외측에 구비되되, 그 일측이 물탱크(100)의 토출구(104)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물탱크(100)에서 히터(300)로 토출되는 물은 히터(300)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히터(300)의 타측에는 바이메탈(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히터(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히터(300)의 타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은 온수매트(400)로 이동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이 가열되면 증기가 발생되면서 히터(300)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처럼 히터(300)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하여 히터(300) 내부의 물이 히터(300)의 타측에 구비된 온수매트(4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히터(300)의 일측은 후술하는 체크밸브(200)와 연결되어 있어, 히터(300)의 물은 그 타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히터(300)로 공급된 물은 내부압력에 의하여 온수매트(400)로 이동되고, 온수매트(400)의 물은 물탱크(100)로 재차 유입되는 순환과정이 반복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물탱크와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물탱크와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물탱크(100) 내부에는 물탱크(100)의 토출구(104)와 연결되는 체크밸브(200)가 구비된다. 체크밸브(200)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210), 덮개부(220) 및 상하이동부재(24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것으로, 육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10)는 물탱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210)를 물탱크(100)에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어, 조립 과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210)의 측방에는 물탱크(100)의 토출구(104) 방향으로 유출부(2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유출부(212)는 물탱크(100)의 토출구(104)와 일체로 연결되어, 물탱크(100)의 토출구(104)는 본체(210)의 유출부(212) 역할도 한다. 그리고 본체(210)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210)의 개방된 상측은 덮개부(220)가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210)의 상측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 덮개부(220)는 생략되고, 후술하는 유입부(222)는 본체(2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220)는 본체(210)의 개방된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그 일면에 유입부(222)가 관통 형성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유입부(22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유입부(222)의 상부에는 보조캡(226)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캡(226)은 유입부(222)의 중앙에서 그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후술하는 상부돌기(244)가 관통되도록 관통홀(227a)을 구비하는 돌기안내부(227)와, 유입부(222)의 내주연에서 돌기안내부(227)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기안내부(227)의 위치가 본체(21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22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28)는 유입부(222)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인접한 연결부(228) 사이의 공간에는 유체이동부(228a)가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부(220)가 본체(210)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때, 보다 수밀하게 덮을 수 있도록 덮개부(220)와 본체(210) 사이에는 패킹부(2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하이동부재(240)는 덮개부(220)의 유입부(222)를 간헐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 본체(2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유입부(22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판(242) 및 상기 개폐판(242)을 상승시키는 상승유도부(248)를 포함한다. 개폐판(242)은 유입부(222)를 덮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상부돌기(244)와 하부돌기(244)가 돌출 형성되어 개폐판(242)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 된다. 상부돌기(244)는 보조캡(226)의 돌기안내부(227)에 형성된 관통홀(227a)에 관통되도록 개폐판(242)의 상면에서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판(242)이 상하 이동될 때, 상부돌기(244)가 관통홀(227a)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어, 개폐판(242)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된다. 하부돌기(244)는 본체(210)의 후술하는 돌출안내부(214)가 삽입되도록 개폐판(242)의 하면에서 그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저면에는 하부돌기(244) 방향으로 돌출안내부(214)가 돌출 형성되어, 개폐판(242)이 상하 이동될 때, 하부돌기(244)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홈(246a)에 상기 돌출안내부(214)가 삽입되어, 개폐판(242)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승유도부(248)는 부력을 갖는 발포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개폐판(242)의 하측에 구비되되, 하부돌기(244)가 삽입되도록 그 중앙에 결합홀(248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승유도부(248)가 본체(210)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개폐판(242)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덮개부(220)의 하측에는 상승유도부(248)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덮개부(220)의 하측에서 상승유도부(248)의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안내부(224)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상하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하이동부재(240)의 상승유도부(248)는 부력에 의하여 개폐판(242)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어, 개폐판(242)이 유입부(222)를 폐쇄시킨다. 이때, 개폐판(242)의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기(244)가 보조캡(226)의 돌기안내부(227)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면서 개폐판(242)의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개폐판(242)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이 상태에서, 히터(300)에 구비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에 의하여 히터(30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이 압력은 가열된 물을 히터(300)의 타측과 연결된 온수매트(4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히터(300)의 일측은 체크밸브(200)의 개폐판(242)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어, 히터(300)의 가열된 물은 물탱크(10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개폐판(242)이 본체(21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므로, 상하이동부재(24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전체의 크기를 그만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21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개폐판(242)이 덮개부(220)의 유입부(222)을 개폐시킬 때, 개폐판(242)의 외주연 전체가 덮개부(220)의 하면에 밀착되므로, 개폐판(242)과 덮개부(220) 간의 밀착되는 단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어느 한 곳으로 몰리지 않고 개폐판(242) 주변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며, 이에 따라, 전체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히터(300)에서 물이 가열될 때, 많은 기포가 발생되며, 이 기포는 본체(210)의 유출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이동된 후, 본체(210)의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상부로 이동된 기포는 그 자체의 상승 압력에 의하여 개폐판(242)과 유입부(222)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되며, 이에 따라 개폐판(242)이 유입부(222)에서 그 하부로 이동되어, 유입부(222)가 개방되고, 기포는 개방된 유입부(222)를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개폐판(242)이 하부로 이동될 때, 개폐판(242)의 하부로 돌출된 하부돌기(244)에 본체(210)의 돌출안내부(214)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므로, 개폐판(242)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포가 본체(210) 밖으로 빠져나갈 때, 물탱크(100)의 물이 개방된 유입부(22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므로, 기포가 빠져나간 후, 상승유도부(248)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다시 상부로 이동되어 개폐판(242)이 유입부(222)를 폐쇄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보조캡과 상부돌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보조캡(226)은 돌기안내부(227)와, 연결부(228)를 포함한다. 그리고 돌기안내부(227)의 중앙에는 상부돌기(244)가 관통되도록 관통홀(22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돌기(244)는 돌기안내부(227)의 관통홀(227a)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된다. 이때, 상부돌기(244)의 외주연과 관통홀(227a)의 내주연 사이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부돌기(244)의 외주연 또는 상기 관통홀(227a)의 내주연에는 이격안내부(227b)가 돌출 형성된다. 이격안내부(227b)는 예를 들면 관통홀(227a)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이격안내부(227b) 사이의 공간에 이격공간부(227c)가 구비된다. 그 결과, 상부돌기(244)와 관통홀(227a) 간의 마찰력이 줄어들게 되어, 상부돌기(244)가 관통홀(227a)에서 용이하게 상하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판(242: 도 6 도시)이 하부로 이동되어, 유입부(222: 도 6 도시)가 개방될 때, 본체(210: 도 6 도시)의 기포가 유입부(222)와 이격공간부(227c)를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물은 개방된 유입부(222)와 이격공간부(227c)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도 7의 (a)에 비하여, 관통홀(227a)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이격안내부(227d)의 너비가 작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호 인접한 이격안내부(227d)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격공간부(227e)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이격공간부(227e)의 커진 크기만큼 기포 또는 물이 이격공간부(227e)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돌출안내부와 하부돌기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폐판(242)의 하부에 하부돌기(246)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돌기(246)의 하측에는 그 상측 방향으로 안내홈(246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저면에는 하부돌기(246) 방향으로 돌출안내부(214)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안내부(214)가 하부돌기(246)의 안내홈(246a)에 삽입된다. 이때, 돌출안내부(214)의 외주연과 안내홈(246a)의 내주연 사이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돌출안내부(214)의 외주연 또는 상기 안내홈(246a)의 내주연에는 이격안내부(215)가 돌출 형성된다. 이격안내부(215)는 예를 들면, 돌출안내부(214)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이격안내부(215) 사이의 공간에 이격공간부(246b)가 구비된다. 그 결과, 돌출안내부(214)와 안내홈(246a) 간의 마찰력이 줄어들게 되어, 돌출안내부(214)가 안내홈(246a)에서 용이하게 상하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물탱크(100)와 히터(300)는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외측에 온수매트(400)가 구비되며, 온수매트(400) 내부에 온수관(410)이 내장된다. 그리고 히터(300)와 온수관(410)은 제 1 연결관(4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온수관(410)과 물탱크(100)의 공급구(106)는 제 2 연결관(4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개방부(102)를 통하여 물탱크(100)에 물이 공급되고, 물탱크(100)로 공급된 물은 토출구(104)를 통하여 히터(300)로 흘러들어간다. 그리고 히터(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히터(300)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가열된 물이 히터(300)의 타측과 연결된 온수관(410)으로 이동된다. 이때, 히터(300)의 일측은 체크밸브(200)에 의하여 차단되어, 히터(300)의 물이 물탱크(10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히터(300)로 공급된 물은 내부압력에 의하여 온수관(410)으로 배출되고, 온수관(410)으로 배출된 물은 제 2 연결관(430)에 의하여 물탱크(100)로 재차 유입된다. 그리고 히터(300) 내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관(410)으로 배출되면, 배출된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어, 히터(300)의 기압이 체크밸브(200)의 본체(210)의 기압에 비하여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이때, 개폐판(242)이 하부로 이동되어, 체크밸브(200)의 유입부(222)가 개방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체크밸브(200)의 유입부(222)를 지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본체(210)의 유출부(214)와 물탱크(100)의 토출구(104)를 지나 히터(300)로 유입되어, 순환과정이 반복된다.
한편, 히터(300)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체크밸브(200)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그 자체의 상승 압력에 의하여 개폐판(242)과 유입부(222)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되며, 이에 따라 개폐판(242)이 유입부(222)에서 그 하부로 이동되어, 유입부(222)가 개방되고, 기포는 개방된 유입부(222)를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기포가 본체(210) 밖으로 빠져나갈 때, 물탱크(100)의 물이 개방된 유입부(22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므로, 기포가 빠져나간 후, 상하이동부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다시 상부로 이동되어, 개폐판(242)이 유입부(222)를 폐쇄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물탱크 102: 개방부
104: 토출구 106: 공급구
110: 커버부 200: 체크밸브
210: 본체 212: 유출부
214: 돌출안내부 215: 이격안내부
220: 덮개부 222: 유입부
224: 이동안내부 226: 보조캡
227: 돌기안내부 227a: 관통홀
227b: 이격안내부 227c: 이격공간부
227d: 이격안내부 228: 연결부
228a: 유체이동부 230: 패킹부
240: 상하이동부재 242: 개폐판
244: 상부돌기 246: 하부돌기
246a: 안내홈 246b: 이격공간부
248: 상승유도부 248a: 결합홀
300: 히터

Claims (7)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및
    상기 물탱크의 내부 하측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되 그 일면에 유입부가 관통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되는 상승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유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 또는 상기 상승유도부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이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유입부가 폐쇄되고,
    상기 본체의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 또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기포의 상승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이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유입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돌출되는 상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유입부에서 그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상부돌기가 관통되는 돌기안내부와,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에서 상기 돌기안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보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이 상하 이동될 때,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돌기안내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상부돌기의 외주연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사이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돌기의 외주연 또는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이격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기안내부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호 인접한 상기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유체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도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상승유도부의 외주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개폐판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상승유도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저면에서 상기 하부돌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이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하부돌기의 하측에 형성된 안내홈에 상기 돌출안내부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안내부의 외주연과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사이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돌출안내부의 외주연 또는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에는 이격안내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20140003571U 2014-02-28 2014-05-08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04760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53 2014-02-28
KR20140001553 2014-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29Y1 true KR200476029Y1 (ko) 2015-01-21

Family

ID=5259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571U KR200476029Y1 (ko) 2014-02-28 2014-05-08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20B1 (ko) * 2016-03-07 2018-07-03 주식회사 삼국 저소음 및 온수순환 강화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냉온수 순환장치
KR20190024449A (ko) * 2017-08-31 2019-03-08 김태영 온수 매트용 온수탱크
KR20220105403A (ko) 2021-01-20 2022-07-27 이해정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896A (ko) * 2008-03-04 2009-09-09 이명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역 지변 밸브판
KR200468721Y1 (ko) 2013-03-08 2013-08-29 이광모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896A (ko) * 2008-03-04 2009-09-09 이명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역 지변 밸브판
KR200468721Y1 (ko) 2013-03-08 2013-08-29 이광모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20B1 (ko) * 2016-03-07 2018-07-03 주식회사 삼국 저소음 및 온수순환 강화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냉온수 순환장치
KR20190024449A (ko) * 2017-08-31 2019-03-08 김태영 온수 매트용 온수탱크
KR102133588B1 (ko) * 2017-08-31 2020-08-28 김태영 온수 매트용 온수탱크
KR20220105403A (ko) 2021-01-20 2022-07-27 이해정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947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200476029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JP6758507B2 (ja) 容器内に入れられた食物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蒸気調理するためのモジュラースチーマ付属品
TW201350422A (zh) 飲水機
KR20090044384A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200468721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120089171A (ko) 질소탱크와 열교환기를 일체로 구비한 보일러
KR101343647B1 (ko) 온수매트용 온수 공급장치
KR200469269Y1 (ko)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KR101708425B1 (ko)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EP2048995B1 (en) Coffee machine tank cartridge filter
KR20090082986A (ko) 온수매트장치
KR200472263Y1 (ko)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2031084B1 (ko)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순간식 온수기
KR101214212B1 (ko) 냉온수기
KR20090129828A (ko) 이탈방지용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및 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JP5517661B2 (ja) 排気弁
KR101730145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200454078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CN204803611U (zh) 水位平衡装置
KR20110005104U (ko) 소형 온수 보일러
KR101491615B1 (ko) 온수공급장치
CN208491700U (zh) 一种可多次预煮的电饭煲
CN210267174U (zh) 一种蒸汽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