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576A -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576A
KR20130120576A KR1020120043576A KR20120043576A KR20130120576A KR 20130120576 A KR20130120576 A KR 20130120576A KR 1020120043576 A KR1020120043576 A KR 1020120043576A KR 20120043576 A KR20120043576 A KR 20120043576A KR 20130120576 A KR20130120576 A KR 20130120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lass
shutter
image data
light sourc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854B1 (ko
Inventor
김보람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854B1/ko
Priority to US13/749,966 priority patent/US10062360B2/en
Publication of KR2013012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7Switching ON and OFF the backlight within on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에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된다.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의 좌안 셔터부 및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이 제어된다. 따라서, 셔터 글라스의 효용성이 증가되고 현장감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METHOD OF DRIVING A SHUTTER GLASS, SHUTTER GLASS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HUTTER GLASS APPARATUS}
본 발명은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입체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에 프레임 단위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교대로 표시한다.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들 중에서 셔터 글라스를 이용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좌안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때 상기 셔터 글라스의 좌안 셔터가 개방되고 상기 우안 셔터가 폐쇄되며,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우안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때 상기 셔터 글라스의 우안 셔터가 개방되고 상기 좌안 셔터가 폐쇄된다.
하지만, 상기 셔터 글라스를 이용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2차원 평면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셔터 글라스의 효용성이 저하되고 현장감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햇빛 등으로 인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주변이 지나치게 밝을 경우,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 글라스의 효용성을 증가시키고 현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셔터 글라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에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된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에 광원 구동 신호가 더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 구동 신호는 듀티비를 가진 구형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의 휘도는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듀티비가 감소할수록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전류는 증가할 수 있고,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듀티비가 증가할수록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전류는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상기 광원의 턴온 시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최소일 때,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상기 광원의 턴온 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의 구동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주기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의 구동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의 구동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주기에 비해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2차원 평면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가 더 감지될 수 있고,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이 더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가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라스 장치는 셔터 글라스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는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원의 휘도는 일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는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셔터 글라스에 의해 시인되는 셔터 글라스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셔터 글라스의 효용성이 증가되고 현장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에 따라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셔터 글라스에 의해 시인되는 셔터 글라스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영상 데이터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밍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 영상 데이터, 광원 구동 신호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 영상 데이터, 광원 구동 신호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 영상 데이터, 광원 구동 신호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 영상 데이터, 광원 구동 신호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 영상 데이터, 광원 구동 신호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 영상 데이터, 광원 구동 신호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글라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타이밍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셔터 글라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구동부(130), 광원 모듈(140) 및 셔터 글라스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화소(P)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110)은 M * N(M, N은 자연수)개의 상기 화소(P)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화소(P)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112),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114)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116)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표시 블록(D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200)는 셔터 글라스(210), 광원 구동부(220) 및 타이밍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가 3차원 입체 영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교대로 개방하고 폐쇄한다. 또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가 2차원 평면 영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고 동시에 폐쇄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제어 신호(CON)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신호(CON)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이용하여 데이터 시작 신호(STH)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 시작 신호(STH)를 데이터 구동부(13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이용하여 게이트 시작 신호(STV)를 생성한 후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를 게이트 구동부(13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클럭 신호(CLK1) 및 제2 클럭 신호(CLK2)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로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로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제어하는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를 더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를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가 어두울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가 환할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상기 제1 값보다 높은 제2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는 2차원 평면 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에 의해 동시에 개방되고 동시에 폐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계조값 분석부(310), 룩업 테이블(320) 및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 발생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계조값 분석부(31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여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를 출력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320)은 상기 계조값 분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에 응답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를 출력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320)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에 따른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 발생부(330)는 상기 제어 신호(CON)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CON)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 시작 신호(STH), 상기 수직 시작 신호(STV),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를 출력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광원 구동부(2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수직 시작 신호(STB),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 및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에 응답하여 상기 광원 모듈(140)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 신호(LDS)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구동부(22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상기 제1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을 턴온시킬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상기 제1 값보다 높은 제2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 및 상기 데이터 시작 신호(STH)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된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 출력한다.
상기 광원 모듈(140)은 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패널(110)에 광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 모듈(140)은 상기 표시 패널(110)의 상기 표시 블록(DB)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 블록(L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STV1), 영상 데이터(DATA1), 광원 구동 신호(LDS1)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1 값을 가지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한 프레임의 주기는 60 Hz이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는 구형파 신호일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가 하이 레벨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을 턴온 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가 로우 레벨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을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가 하이 레벨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을 턴오프 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가 로우 레벨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을 턴온 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이 상기 제1 값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은 제1 시간(T1) 동안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구동부(220)로부터 상기 광원 모듈(140)에 인가되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듀티비는 40 %일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주기는 6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한 프레임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1 값을 가지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에 의해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제1 시간(T1) 동안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의 듀티비는 40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가 감소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210)가 개방되는 최소 시간은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이 턴온(on)되는 시간과 동일하다. 즉,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은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이 턴온(on)되는 시간 이상이다. 따라서,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이 최소 값인 경우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의 듀티비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듀티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의 주기는 6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한 프레임의 주기 및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는 하이 레벨일 때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하고 로우 레벨일 때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1)는 로우 레벨일 때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하고 하이 레벨일 때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폐쇄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STV), 영상 데이터(DATA2), 광원 구동 신호(LDS1)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2)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2 값을 가지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한 프레임의 주기는 60 Hz이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평균 계조값(AG)이 상기 제2 값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은 제1 시간(T1) 동안 턴온(on)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구동부(220)로부터 상기 광원 모듈(140)에 인가되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듀티비는 40 %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이 상기 제2 값일 때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의 듀티비는 증가할 수 있고,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듀티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전류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의 휘도는 일정하고, 상기 광원 모듈(140)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휘도는 일정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주기는 6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한 프레임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평균 계조값(AG)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2 값을 가지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2)에 의해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제1 시간(T1)보다 긴 상기 제2 시간(T2) 동안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2)의 듀티비는 90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가 증가한다.
도 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STV1), 영상 데이터(DATA1), 광원 구동 신호(LDS2)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낮은 제1 값을 가지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한 프레임의 주기는 60 Hz이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이 상기 제1 값일 때 상기 광원 모듈(140)에 포함된 상기 광원은 제1 시간(T3) 동안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구동부(220)로부터 상기 광원 모듈(140)에 인가되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듀티비는 40 %일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한 프레임의 주기에 비해 1/2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평균 계조값(AG)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1 값을 가지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에 의해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제3 시간(T3) 동안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듀티비는 40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가 감소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주기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주기가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한 프레임 주기에 비해 1/2이므로, 플리커(flicker)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STV1), 영상 데이터(DATA2), 광원 구동 신호(LDS2)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높은 제2 값을 가지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한 프레임의 주기는 60 Hz이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한 프레임의 주기에 비해 1/2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평균 계조값(AG)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2 값을 가지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에 의해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제3 시간(T3)보다 긴 상기 제4 시간(T4) 동안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듀티비는 90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가 증가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주기는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주기가 상기 영상 데이터(DATA2)의 한 프레임 주기에 비해 1/2이므로, 플리커(flicker)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STV2), 영상 데이터(DATA3), 광원 구동 신호(LDS2)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3)의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낮은 제1 값을 가지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3)의 한 프레임의 주기는 120 Hz이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3)의 한 프레임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3)의 평균 계조값(AG)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1 값을 가지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에 의해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제3 시간(T3) 동안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듀티비는 40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가 감소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3)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3)의 한 프레임의 주기 및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수직 시작 신호(STV2), 영상 데이터(DATA4), 광원 구동 신호(LDS2) 및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4)의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높은 제2 값을 가지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4)의 한 프레임의 주기는 120 Hz이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4)의 한 프레임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DATA4)의 평균 계조값(AG)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제2 값을 가지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에 의해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제3 시간(T3)보다 긴 상기 제4 시간(T4) 동안 개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듀티비는 90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보여지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가 증가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주기는 120 Hz일 수 있다. 즉,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4)의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4)의 한 프레임의 주기 및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한다(단계 S110).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주기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영상 데이터(DATA1)의 주기와 같이 60 Hz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주기는 도 7에 도시된 상기 영상 데이터(DATA3)의 주기와 같이 120 Hz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의 상기 계조값 분석부(31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을 분석하여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를 출력한다(단계 S120).
도 3,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1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균 계조값(AG)은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제1 값보다 높은 상기 제2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부(220)는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에 응답하여 상기 광원 모듈(140)에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를 출력한다(단계 S130).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의 듀티비는 작을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의 주기는 도 3 및 4에 도시된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1)의 주기와 같이 60 Hz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의 주기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2)의 주기와 같이 120 Hz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의 상기 룩업 테이블(320)은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에 응답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를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출력한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이 상기 제1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시간(T1)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상기 제2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시간(T1)보다 긴 상기 제2 시간(T2)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룩업 테이블(320)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에 따른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AG)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효용성이 증가되고 현장감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표시 장치(400)는 이전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상기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셔터 글라스 장치(500)의 조도 센서부(520) 및 타이밍 제어부(600)를 제외하고는 도 1의 상기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는 상기 표시 패널(110), 구동부(130), 광원 모듈(140) 및 셔터 글라스 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50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상기 광원 구동부(150), 조도 센서부(520) 및 타이밍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조도 센서부(52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밝기 감지 신호(LSS)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상기 제어 신호(CON)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신호(CON)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Hsync), 상기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상기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시작 신호(STH)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 시작 신호(STH)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를 생성한 후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300)는 상기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132)로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134)로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제어하는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2)를 더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 및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에 따라,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2)를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가 어두울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증가시킨다. 즉,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가 환할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상기 제1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상기 제1 값보다 높은 상기 제2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가 제3 값일 때 상기 프레임 구간에서 제3 시간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가 상기 제3 값보다 높은 제4 값일 때 상기 제3 시간보다 짧은 제4 시간 동안 상기 셔터 글라스(21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계조값 분석부(310), 룩업 테이블(620) 및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 발생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계조값 분석부(31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여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를 출력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620)은 상기 계조값 분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 및 상기 조도 센서부(5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조도 감지 신호(LSS)에 응답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2)를 출력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620)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 및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에 따른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 발생부(330)는 상기 제어 신호(CON)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CON)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 시작 신호(STH), 상기 수직 시작 신호(STV),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 및 상기 제2 클럭 신호(CLK2)를 출력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상기 셔터 글라스 장치(500)에 의해 수행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및 12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수신한다(단계 S210).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의 상기 계조값 분석부(31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여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를 출력한다(단계 S120).
상기 광원 구동부(220)는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에 응답하여 상기 광원 모듈(140)에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를 출력한다(단계 S230).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광원 구동 신호(LDS)의 듀티비는 작을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부(52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도 감지 신호(LSS)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로 출력한다(단계 S240).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의 상기 룩업 테이블(620)은 상기 평균 계조값 신호(AGS) 및 상기 조도 감지 신호(LSS)에 응답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2)를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출력한다(S250).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2)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600)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 제어 신호(SCS2)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감소시킨다. 상기 룩업 테이블(620)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 및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에 따른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효용성이 증가되고 현장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21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셔터 글라스(210)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셔터 글라스(210)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상기 영상 데이터(DATA)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셔터 글라스에 의해 시인되는 셔터 글라스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셔터 글라스의 효용성이 증가되고 현장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에 따라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셔터 글라스에 의해 시인되는 셔터 글라스 주변의 밝기를 변화하므로, 영상 데이터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32: 데이터 구동부 134: 게이트 구동부
140: 광원 모듈 200, 500: 셔터 글라스 장치
210: 셔터 글라스 220: 광원 구동부
300, 600: 타이밍 제어부 310: 계조값 분석부
320, 620: 룩업 테이블 330: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 발생부

Claims (20)

  1.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에 광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구동 신호는 듀티비를 가진 구형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휘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듀티비가 감소할수록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전류는 증가하고,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듀티비가 증가할수록 상기 광원 구동 신호의 전류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상기 광원의 턴온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최소일 때,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상기 광원의 턴온 시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구동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주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구동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주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구동 주기 및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주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주기에 비해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2차원 평면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하고, 상기 셔터 글라스 주변의 조도가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16.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 및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의 휘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글라스 장치.
  19.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왼쪽 눈에 대응하는 좌안 셔터부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우안 셔터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을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에 따라 상기 셔터 글라스의 상기 좌안 셔터부 및 상기 우안 셔터부를 동시에 개방하는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낮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감소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계조값이 높을수록 상기 셔터 글라스의 개방 시간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043576A 2012-04-26 2012-04-26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5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576A KR102050854B1 (ko) 2012-04-26 2012-04-26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3/749,966 US10062360B2 (en) 2012-04-26 2013-01-25 Method of driving 3D shutter glasseses (spectacles), a shutter spectacles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hutter spectacle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576A KR102050854B1 (ko) 2012-04-26 2012-04-26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576A true KR20130120576A (ko) 2013-11-05
KR102050854B1 KR102050854B1 (ko) 2019-12-03

Family

ID=4947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576A KR102050854B1 (ko) 2012-04-26 2012-04-26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62360B2 (ko)
KR (1) KR102050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275A1 (de) 2017-01-24 2018-07-26 Vue Magique GmbH Reduktion von Störlichteinfluss (z.B. Spiegelung oder Blendung durch Sonnenlicht) bei der Betrachtung von Displays (z.B. Fernseher, Monitore, Laptops, Handys, Tablets, Navigationsgeräte) durch Synchronisation des Displays mit einer Shutterbrille
EP3763118A1 (en) 2018-03-09 2021-01-13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CN108877738A (zh) * 2018-06-20 2018-11-2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显示面板辉度控制方法和电路、取暖器
CN113010020A (zh) * 2021-05-25 2021-06-22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一种时序控制器和显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440A (ko) * 2009-06-09 2010-12-17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KR20110123077A (ko) * 2010-05-06 2011-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20018591A (ko) * 2010-08-23 2012-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02B1 (ko) * 2007-11-28 2015-07-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스테레오코픽 가시화
JP2011041035A (ja) * 2009-08-12 2011-02-24 Sony Corp シャッタメガネおよびシャッタ制御方法
JP2011118302A (ja) * 2009-12-07 2011-06-16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シャッターメガネ、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10116447A (ko) 2010-04-19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시스템,셔터방식의 3d안경 및 그 구동방법
JP2011252943A (ja) 2010-05-31 2011-12-15 Sony Corp 立体表示システム
TWI419550B (zh) * 2010-08-06 2013-12-11 Acer Inc 快門眼鏡以及控制快門眼鏡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440A (ko) * 2009-06-09 2010-12-17 소니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KR20110123077A (ko) * 2010-05-06 2011-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20018591A (ko) * 2010-08-23 2012-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62360B2 (en) 2018-08-28
US20130286057A1 (en) 2013-10-31
KR102050854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2509B (zh) 用于减少显示设备中的闪烁和运动模糊的方法和装置
JP5589311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26490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648780B2 (en) Motion adaptive black data insertion
US111329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6170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EP24344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ame
CN110415652B (zh) 显示驱动方法及显示驱动电路
KR20150101779A (ko) 영상 표시장치와 그의 모션 블러 완화방법
KR102050854B1 (ko) 셔터 글라스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셔터 글라스 장치 및 이 셔터 글라스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20045509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6050601B2 (ja) 液晶表示装置
US9083967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109727581B (zh) 场序型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KR202000411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62987B1 (ko)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1818459B1 (ko) 스마트 tv용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11546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724023B1 (ko)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입체영상 표시 장치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셔터 안경
WO2012002411A1 (ja) 液晶表示装置
KR1022088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백라이트 구동 방법
US20160086576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light unit
KR101469483B1 (ko) 3d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00827A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구동방법
KR101365796B1 (ko) 광 단속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