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112A -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112A
KR20130120112A KR1020120043130A KR20120043130A KR20130120112A KR 20130120112 A KR20130120112 A KR 20130120112A KR 1020120043130 A KR1020120043130 A KR 1020120043130A KR 20120043130 A KR20120043130 A KR 20120043130A KR 20130120112 A KR20130120112 A KR 2013012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assembly
graft
grafts
pie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김홍
이민수
김오진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주)글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텍 filed Critical (주)글로텍
Priority to KR102012004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112A/ko
Publication of KR2013012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56Cartilage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골 이식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이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CARTILAGE ASSEMBL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시술용 연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골 이식편들의 연결구조가 개선된 연골편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기형 및 외상에 의한 비 성형술(Rhinoplasty)에 있어 자가연골의 사용은 치료적 목적과 미용적 목적의 비 교정술의 표준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비 교정술에 사용되는 연골은 환자의 비중격 및 사골 부위, 외이 부위, 늑골 부위의 자가연골을 채취하여 사용하게 된다. 채취된 자가연골을 이용한 비 교정술은 연골의 채취량이나 형태가 제한적이어서 시술자의 숙련된 술기가 요구되는 시술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굴곡도나 형태적 차이를 갖는 연골편을 시술자가 가공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시술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연골의 변형과 편위 등의 보정에 있어 만족스런 결과를 얻어내기가 쉽지 않다.
통상의 비 교정술에서 사용되는 자가연골 이식편은 시술자가 수술용 메스나 가위 또는 겸자 등을 이용하여 절단, 채취, 가공하여 시술에 사용한다. 이때 연골이 갖는 굴곡도 및 형태적인 다양성으로 인해 연골의 연결부위가 불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고, 시술자마다 자가연골 이식편의 연결방식이 다르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기존 연골의 한쪽 편에 덧대어 봉합사로 봉합하거나, 둘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기존 연골의 양쪽에 덧대어 봉합사로 이식한다. 그리고, 비 교정술의 특성상 형태적인 보정을 필요로 할 때는 하나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일정 간격으로 덧대거나 겹쳐서 형태를 잡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해서, 기존 시술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연골 이식편의 연결부가 균일하지 않고, 연결 방식도 봉합사만을 사용하므로 연골의 사용량이 많으며, 최종적으로는 연결된 형태가 시술자의 술기에 의존적이고, 시술자마다 큰 편차를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연골 이식편들을 재현성 있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골 이식편의 연결부가 가공된 구조를 가진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골 이식편들의 연결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골 이식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이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볼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로는 봉합사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들의 표면은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골 이식편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연골 이식편을 가공하여 적어도 일부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요철 패턴이 서로 맞물리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조립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피시술자의 자가연골을 채취하여 상기 연골 이식편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가공날이 마련된 가공기구를 준비하고, 상기 연골 이식편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가공기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켜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에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로는 볼트 형태의 고정핀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체결부재로는 봉합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골 이식편들의 연결부위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연골 이식편들을 조립함으로써 재현성 있는 구조를 가진 연골편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골 이식편들을 필요한 만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자가연골의 사용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골 이식편들의 연결부가 치밀하고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시술자간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시술 후 연골 재생기간 및 상처 치유기간의 단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 교정술 등과 같이 연골 이식편을 사용하는 시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한 연골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는 제1 연골 이식편(100)과, 요철 패턴(120)에 의해 제1 연골 이식편(100)과 연결되는 제2 연골 이식편(110)을 포함한다.
연골편 어셈블리를 이루는 제1 연골 이식편(100)과 제2 연골 이식편(110)의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두 개의 제1 연골 이식편(100) 사이에 하나의 제2 연골 이식편(110)이 연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연골 이식편(100)과 제2 연골 이식편(110)은 피시술자의 자가연골을 채취 및 가공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가연골로는 피시술자의 비중격, 사골 부위, 외이 부위, 늑골 부위의 연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골 이식편(100)과 제2 연골 이식편(110)은 연골 이식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요철 패턴(120)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호 조립된다. 여기서, 요철 패턴(120)을 이루는 홈 및 돌기의 형상은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패턴(120)은, 요철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공날이 마련된 실질적으로 통상의 '대패'의 구조를 갖는 가공기구를 이용하여 제1 연골 이식편(100)과 제2 연골 이식편(110)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골편 어셈블리는 제1 연골 이식편(100) 및 제2 연골 이식편(110)의 조립체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00)와, 지지 플레이트(200)를 연골 이식편들(100,110)의 조립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50,16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200)는 시술부위와 접촉하게 되므로 예컨대, poly(Lactic-co-glycolic acid)(PLGA)나 poly(L-lactic acid)(PLLA)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150,160)는 제1 연골 이식편(100) 및 제2 연골 이식편(110)의 조립체에 대하여 지지 플레이트(200)를 고정한다. 체결부재(150)로는 지지 플레이트(200)와 상기 연골 이식편들(100,110)의 조립체를 관통하는 볼트 구조의 고정핀이 채용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체결부재(160)로는 예컨대, PLGA나 PLLA로 이루어진 봉합사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핀 형태의 체결부재(150)와 봉합사 형태의 체결부재(160)는 혼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핀 형태의 체결부재(150)를 구비하고, 그 사이마다 봉합사 형태의 체결부재(160)를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200)를 고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대부분 영역에 봉합사 형태의 체결부재(160)를 구비하고, 일부에 고정핀 형태의 체결부재(150)를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200)를 고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연골 이식편 준비공정(단계 S100), 연골 이식편 가공공정(단계 S110), 연골 이식편 조립공정(단계 S120) 및 지지 플레이트 결합공정(단계 S130)을 포함한다.
연골 이식편 준비공정(단계 S100)에서는 바람직하게 피시술자의 비중격, 사골 부위, 외이 부위, 늑골 부위에서 자가연골을 채취하여 연골 이식편을 준비한다.
연골 이식편 가공공정(단계 S110)에서는 준비된 연골 이식편들을 가공하여 각 연골 이식편의 적어도 일부에 요철 패턴(120)을 형성한다. 이때, 요철 패턴(120)은 상기 요철 패턴(120)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공날이 마련된 가공기구를 준비하고, 상기 가공기구를 상기 연골 이식편의 표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골 이식편 조립공정(단계 S120)에서는 서로 다른 연골 이식편들의 요철 패턴(120)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골 이식편들을 조립한다. 요철 패턴(120)을 매개로 하여 연골 이식편들 간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연골 이식편들의 표면은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플레이트 결합공정(단계 S130)에서는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 양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00)를 배치하고, 고정핀 및/또는 봉합사 형태의 체결부재(150,160)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00)를 연골 이식편들(100,110)의 조립체에 결합 및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된 연골편 어셈블리는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골을 이용한 교정시술에 사용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가 비 내부 기관(1)에 시술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비록,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자가연골을 이용하는 다양한 교정시술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골편 어셈블리는 요철 패턴(120)에 의해 연골 이식편들이 조립되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고, 지지 플레이트(200)와 체결부재(150,160)에 의해 연골 이식편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므로 시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제1 연골 이식편 110: 제2 연골 이식편
120: 요철 패턴 150,160: 체결부재
200: 지지 플레이트

Claims (13)

  1. 연골편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골 이식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이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를 관통하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볼트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봉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의 표면이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
  8.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골 이식편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연골 이식편을 가공하여 적어도 일부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요철 패턴이 서로 맞물리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을 조립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피시술자의 자가연골을 채취하여 상기 연골 이식편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가공날이 마련된 가공기구를 준비하고,
    상기 연골 이식편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가공기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켜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연골 이식편의 조립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로 볼트 형태의 고정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로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120043130A 2012-04-25 2012-04-25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0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30A KR20130120112A (ko) 2012-04-25 2012-04-25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30A KR20130120112A (ko) 2012-04-25 2012-04-25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12A true KR20130120112A (ko) 2013-11-04

Family

ID=4985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130A KR20130120112A (ko) 2012-04-25 2012-04-25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1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3296B2 (en) 2015-10-23 2019-02-26 Min Bo SHIM Graft including osseous tissue and cartilage tissue for augmentation rhinoplasty, and method of performing augmentation rhinoplasty using the graft
KR20200028702A (ko) *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몰드
KR102184120B1 (ko) * 2020-02-26 2020-11-27 윤영묵 연골 지지체를 구비한 시술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3296B2 (en) 2015-10-23 2019-02-26 Min Bo SHIM Graft including osseous tissue and cartilage tissue for augmentation rhinoplasty, and method of performing augmentation rhinoplasty using the graft
KR20200028702A (ko) *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코 성형수술용 몰드
KR102184120B1 (ko) * 2020-02-26 2020-11-27 윤영묵 연골 지지체를 구비한 시술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175B1 (ko) 코끝 성형술을 용이하게 하는 비연골기둥보조장치
RU2670683C9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для лечения дефекта ткани или мышечной стенк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иподнятых участков в имплантате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мплантата
US20210022849A1 (en) Breast treatment device
KR101443820B1 (ko) 메쉬 구조를 갖는 코 보형물
EP1981558B1 (en) Suturable dural and meningeal repair product comprising collagen matrix
US20130085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cess creating an internal tissue graft for animal and human reconstructive purposes
JP2004535244A5 (ko)
US20170367806A1 (en) Tissue repair impla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20060033858A (ko) 두개안면 임플란트
RU2656549C2 (ru) Сетк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IL145892A0 (en) Three-dimensional stromal tissue
KR20130120112A (ko) 연골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07644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두개골 임플란트 제작방법
KR101855328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TW201322966A (zh) 脊椎籠型支架
CN108420480B (zh) 一种软骨及软组织固定装置
KR20130006348U (ko) 골 시술용 서포트 기구
US20190224003A1 (en) Ear canal grafts
KR20230023458A (ko) 흡수성 혈관문합기
KR101984703B1 (ko) 유연한 메쉬구조를 구비하는 인공 골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321188A1 (en) Transcortal Bone Joint Fusion System
KR101583528B1 (ko) 적층형 골절치료용 보철구
KR20190031859A (ko) 리테이너를 갖는 생분해성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00188116A1 (en) Improved absorbable and biocompatible graft for implantation following upon exeresis of the ipp plaque
CN106163582A (zh) 用于软骨重建的可再吸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