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764A -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 Google Patents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764A
KR20130119764A KR1020120042817A KR20120042817A KR20130119764A KR 20130119764 A KR20130119764 A KR 20130119764A KR 1020120042817 A KR1020120042817 A KR 1020120042817A KR 20120042817 A KR20120042817 A KR 20120042817A KR 20130119764 A KR20130119764 A KR 20130119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omposite
composite material
lower carrier
power modu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217B1 (ko
Inventor
길용길
윤용훈
김희준
오애리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4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2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안전성과 수밀 성능이 요구되는 배터리 셀 모듈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테두리면이 금속 재질의 금속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BATTERY LOW CARRIER FOR POWER MODULE OF ELECTRONIC CAR}
본 발명은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안전성과 수밀 성능이 요구되는 배터리 셀 모듈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에 사용되는 파워모듈은 크게, 배터리 셀들을 조립한 배터리 셀 모듈과, 배터리 셀 모듈을 지지하는 배터리 하부 캐리어 및 배터리 하부 캐리어의 덮개인 상부 케이스로 나눠진다.
이때, 배터리 셀 모듈은 전기차량의 동력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므로, 외부의 진동 및 충격 등으로부터 손상이 없어야 하고, 수분이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차단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셀 모듈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하부 캐리어 및 상부 케이스가 상호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배터리 셀 모듈은 상당한 중량이 나가므로, 자중 및 자체 진동에 의한 영향이 다대하여, 배터리 셀 모듈을 수납하는 배터리 하부 캐리어의 강성이 요구된다. 이때,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강성이 확보되면서도,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위해 경량화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3211호(2009.12.02.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진동 및 충격 하중에 대한 안전성과 수밀 성능이 요구되는 배터리 셀 모듈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일면이 개구된 수납공간을 가지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테두리면이 금속 재질의 금속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를 제공한다.
상기 금속브래킷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맞닿도록, 상기 테두리면에 접합되는 중앙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일부가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플레이트는 관통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깊이가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접합되어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보조금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금속부재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관통된 홀이 하부면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금속부재는, 상기 홀과 대응하는 체결홈을 구비하며, 외측 둘레면의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플라스틱 복합소재와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금속브래킷 및 상기 보조금속부재는, 상호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와 인서트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매트릭스 소재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와, 보강소재인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탄소섬유(carbon fiber)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상기 보강소재의 전체 중량비율이 2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및 상기 탄소섬유의 혼합비는, 6:4~7: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수납공간의 폭 방향 양 측벽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립(Rib)을 구비하며, 상기 립은,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복합소재의 보강소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적절하게 혼합함에 따라, 강성 및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테두리면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브래킷을 인서트 성형하여, 상부 케이스와의 조립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배터리 셀 모듈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금속브래킷이 내부에 인서트 성형될 시, 내부에 요철 형상으로 매립됨과 동시에 상기 금속브래킷과 용접 결합된 보조금속부재로 인해, 상기 금속브래킷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전기차량용 캐리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도 2에 표시된 "A"를 부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도 3에 표시된 "B"의 단면 형상을 부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립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의 수납공간에 배터리 셀 모듈이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전기차량용 캐리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량용 캐리어 모듈(1)은, 일면이 개구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에 전기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셀 모듈(300)을 수납하는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맞닿아,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개구된 일면을 덮어 밀폐하는 상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셀 모듈(300)은 전기차량의 동력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므로, 외부의 진동 및 충격 등으로부터 손상이 없어야 하고, 수분이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차단되어야 한다.
또한,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 및 상부 케이스(200)는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셀 모듈(300)은 중량이 수백 킬로그램 수준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자중 및 자체 진동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 모듈(300)을 수납하는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높은 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도 2에 표시된 "A"를 부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동시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도 1의 200)와 맞닿는 테두리면이 금속 재질의 금속브래킷(1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금속브래킷(110)은,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테두리면을 둘러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더불어 인서트 성형되어 상기 테두리면에 접합된다.
금속재질로는 스틸재질,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은 플라스틱 복합소재만으로는 높은 평탄도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높은 평탄도가 요구되는 수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내측 수납공간의 폭 방향 양 측벽(10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립(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립(130)은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바닥면(104)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브래킷(110)은 중앙플레이트(112)와, 상기 중앙플레이트(112)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플레이트(112)는, 상부 케이스(도 1의 200)와 맞닿는 부분으로, 상기 테두리면에 접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중앙플레이트(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홀(112a)을 구비할 수 있다. 홀(11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홀(112a)의 배치는, 상기 중앙플레이트(11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14)는, 상기 중앙플레이트(112)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하부 캐리어(100)의 내측에 매립된다.
중앙플레이트(112)와 측면플레이트(114)를 포함하는 금속브래킷(110)은,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와의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결합력이 취약한 단점을 가지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측면플레이트(114)가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내측에 매립되도록함으로써 금속브래킷(110)과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결합강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플레이트(114)는,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깊이(D)가 적어도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측면플레이트(114)의 매립되는 깊이가 1mm 미만일 경우, 외부 진동 등에 따른 충격에 의해, 상기 금속브래킷(110)이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수밀 성능이 저하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플레이트(114)가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깊이의 상한은 크게 제한될 필요가 없다. 상술된 바와 같이 1mm 이상일수록 그 매립되는 체결력이 강화되므로, 금속브래킷(110)이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측면플레이트(114)는,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깊이가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112)의 하부면에 접합되는 보조금속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금속부재(120)는, 상기 금속브래킷(110)의 홀(112a)이 위치한 부위인 상기 중앙플레이트(112)의 하부면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112a)이 복수개인 경우에 모든 홀(112a)에 보조금속부재(120)가 접합될 수도 있고, 일부 홀(112a)에만 보조금속부재(120)가 접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금속부재(120)는 상기 금속브래킷(110)의 중앙플레이트(112)의 하부면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금속부재(120)는, 상기 홀(112a)과 대응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금속부재(120)는, 외측 둘레면의 일부가 요철(124) 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의 내측에 매립 구속된다. 요철(124) 형상은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조금속부재(120)와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금속브래킷(110)의 홀(112a)과, 상기 보조금속부재(120)의 체결홈(122)은, 상호 대응하는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22)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홀(112a)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체결홈(122)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연결되어 체결됨에 따라, 금속브래킷(110)은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보조금속부재(120)는, 외측 둘레가 요철(124)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금속브래킷(110)이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도 3에 표시된 "B"의 단면 형상을 부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상기 금속브래킷(110) 및 상기 보조금속부재(120)가 상호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와 인서트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106)는, 매트릭스 소재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와, 보강소재인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탄소섬유(carbon fiber)가 상호 혼합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다대한 중량을 가지는 배터리 셀 모듈을 하부에서 수납 지지하므로, 강도에 따른 기준치에 적합해야하고 연비 등의 에너지효율을 고려할 경우, 경량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상기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고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화 재질로 이루어지기 위해, 압축 공정 성형에서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상술된 매트릭스 소재 대 보강소재의 전체 혼합비율이 7: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의 강성확보를 위해서는, 탄소섬유를 적어도 전체 중량의 25%이상 투입이 요구되나, 압축 성형 공정의 특성 상 탄소 섬유의 투입률이 20%를 초과할 경우, 제품 전면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강성확보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강성 및 경량화를 위한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해볼 경우, 탄소섬유만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보강소재(유리섬유, 탄소섬유)의 전체 중량비율이 2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소재인 유리섬유 대 탄소섬유의 혼합비는, 6:4~7:3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유리섬유의 비중이 탄소섬유와 동등하거나 적을 경우에는, 비용이 올라가고, 섬유 분산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유리섬유의 비중이 8이상인 경우에는 탄소섬유의 비중이 작아져, 강성확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물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소재인 유리섬유 대 탄소섬유의 혼합비는 6:4~7: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의 수납공간에 배터리 셀 모듈이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하기의 설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설명하지만, 원활한 내용설명과 그에 따른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의 도면 및 설명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수납공간의 폭 방향 양 측벽(102)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립(130)은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바닥면(104)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립(130)은 도 4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양 측벽(120)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립(130)의 두께(t)는, 1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2~15mm 범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립(130)의 두께(t)가 12mm 미만일 경우, 탄소섬유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인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면에, 상기 립(130)의 두께(t)가 15mm 이상일 경우,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립(130)의 두께(t)는, 12~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인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는, 상호 접합된 금속브래킷(110) 및 보조금속부재(120)와 인서트 성형됨에 따라, 경량화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인 배터리 하부 캐리어(100)의 내측 수납공간에는 배터리 셀 모듈(300)을 효과적으로 수납 배치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복합소재의 보강소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적절하게 혼합함에 따라, 강성 및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테두리면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브래킷을 인서트 성형하여, 상부 케이스와의 조립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배터리 셀 모듈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수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는, 금속브래킷이 내부에 인서트 성형될 시, 내부에 요철 형상으로 매립됨과 동시에 상기 금속브래킷과 용접 결합된 보조금속부재로 인해, 상기 금속브래킷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전기차량용 캐리어 모듈
100 :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102 : 측벽 104 : 바닥면
106 : 플라스틱 복합소재 110 : 금속브래킷
112 : 중앙플레이트 112a : 홀
114 : 측면플레이트 120 : 보조금속부재
122 : 체결홈 124 : 요철
130 : 립 200 : 상부 케이스
300 : 배터리 셀 모듈

Claims (12)

  1. 일면이 개구된 수납공간을 가지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에 있어서,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테두리면이 금속 재질의 금속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브래킷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맞닿도록, 상기 테두리면에 접합되는 중앙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 끝단부의 일부가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는,
    관통된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깊이가 1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접합되고,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되는 보조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금속부재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관통된 홀 하부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금속부재는,
    상기 홀과 대응하는 체결홈을 구비하며,
    외측 둘레면의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맞닿는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매립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브래킷 및 상기 보조금속부재는,
    상호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와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매트릭스 소재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와, 보강소재인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탄소섬유(carbon fiber)가 상호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는,
    상기 보강소재의 전체 중량비율이 2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및 상기 탄소섬유의 혼합비는,
    6:4~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캐리어는,
    상기 수납공간의 폭 방향 양 측벽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립(Rib)을 포함하며,
    상기 립은,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KR1020120042817A 2012-04-24 2012-04-24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KR10143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17A KR101437217B1 (ko) 2012-04-24 2012-04-24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17A KR101437217B1 (ko) 2012-04-24 2012-04-24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64A true KR20130119764A (ko) 2013-11-01
KR101437217B1 KR101437217B1 (ko) 2014-09-11

Family

ID=4985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17A KR101437217B1 (ko) 2012-04-24 2012-04-24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2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737A (zh) * 2016-10-25 2018-05-01 保时捷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复合部件
KR20190005405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90078936A (ko)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희산업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KR20210127433A (ko) 2020-04-14 2021-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6415B2 (ja) * 1996-11-27 2005-01-05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トレー
JP4306783B2 (ja) * 2007-12-14 2009-08-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JP2011194982A (ja) 2010-03-18 2011-10-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737A (zh) * 2016-10-25 2018-05-01 保时捷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复合部件
KR20190005405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190078936A (ko)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동희산업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KR20210127433A (ko) 2020-04-14 2021-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217B1 (ko)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5692B2 (ja) 電池パック
KR101437217B1 (ko) 전기차량 파워모듈용 배터리 하부 캐리어
EP2416402B1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ement member
KR101143314B1 (ko)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JP5708952B2 (ja) バッテリケース及び電池パック
EP2390940B1 (en) Battery pack
JP5408438B2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KR101610487B1 (ko) 전기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의 케이스 구조
KR101345638B1 (ko) 전기자동차용 하이브리드 배터리 모듈 커버
US20170054120A1 (en) Integrated battery and vibration and/or shock isolation assembly
JP2012094476A (ja) プラスチック複合材を利用した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パックケースアセンブリー
US10862088B2 (en) Battery case
US9640787B2 (en) Electrified battery tray assemblies
CN210110912U (zh) 输出极底座及电池模组
CN114008844A (zh) 电池壳体和包括该电池壳体的电池
EP3747745A1 (en) Receiving device for a luggage compartment floor of a vehicle,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and vehicle luggage compartment floor
JP2014024509A (ja) 電池モジュール固定構造
JP2018111354A (ja) 電動車両
CN111655523A (zh) 电池支撑壳体
CN218941464U (zh) 一种电池管理系统保护壳
CN113196554A (zh) 用于电能存储装置的冲击力吸收单元
CN213035766U (zh) 车辆的保险盒以及车辆
CN209912925U (zh) 一种新型电池外壳
CN214753023U (zh) 一种高效的加强芯
CN221176539U (zh) 电池包的上盖组件、电池包和用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