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249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249A
KR20130119249A KR1020120042258A KR20120042258A KR20130119249A KR 20130119249 A KR20130119249 A KR 20130119249A KR 1020120042258 A KR1020120042258 A KR 1020120042258A KR 20120042258 A KR20120042258 A KR 20120042258A KR 20130119249 A KR20130119249 A KR 2013011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tion effect
content
cap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484B1 (ko
Inventor
김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8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에 기초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자막 추출부와,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와,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에 기초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내에 자막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자막을 바로 추출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컨텐츠 내에 자막이 없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에 기반하여, 자막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에 기반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모션 이펙트 정보는,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막 정보의 글자 크기 또는 자막 정보 내의 동일한 특수 문자의 개수에 따라, 모션 이펙트 정보를 가변하거나, 컨텐츠 내의 자막이 동일한 경우라도,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테츠인지에 따라, 모션 이펙트 정보를 가변하거나, 컨텐츠 영상이 동일한 경우라도,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이 다른 경우, 모션 이펙트 정보를 가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막 편집 모드를 통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막을 편집하도록 하고, 이에 대웅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를 통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션 이펙트의 강도 설정 항목, 시간 설정 항목 또는 종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2는 도 1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23은 도 14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 및 서버(500)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HDMI 단자 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서버(500)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외부 입력 신호, 또는 스트리밍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고, 해당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 재생시, 컨텐츠 에 대응하는 자막을 추출하고,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motion effect)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motion effect output device)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 내에 자막이 포함된 경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영상 내에 결합된 자막 영역을 캡쳐하여,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 내에 자막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의 음성(speech)을 문자(text)로 변환하는 기법(Speech To Text;STT)을 이용하고, 변환된 문자를 이용하여,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내에 자막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서버(500)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별도로 수신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는, 모션 이펙트(motion effect)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슬라이딩(sliding), 진동(vibration), 또는 리클라이닝(reclining) 등의 물리적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의 일예로,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소파, 침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의자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모션 이펙트(motion effect)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모션 이펙트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딩 동작, 진동 동작, 또는 리클라이닝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이펙트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모션 이펙트, 즉 4D 효과를, 의자(600)를 통해 실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인터넷 스트리밍(streaming)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표시 가능한 티브이(TV), 모니터,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 전화 단말기(mobile termi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시청장치(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서버(50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3D 시청을 위해, 시청 장치(195)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청장치(195)가 셔터 글래스인 경우, 셔터의 개폐 동작 등을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시청장치(195)의 동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해당 데이터들을, 시청 장치(19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모션 이펙츠 출력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시청장치(195)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195)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195)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장치(195)가 편광 글래스인 경우, 좌안 글래스는, 좌안용 편광 글래스로, 우안 글래스는 우안용 편광 글래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청장치(195)가 셔터 글래스인 경우,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서로 교대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고, 도 4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부(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도 4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도 4a),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도 4b),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도 4c),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도 4d),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도 4e)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195)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3D 영상 신호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브젝트의 예로는 PIP(picuture in picture)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텍스트, 영상 내의 사물, 인물, 배경, 웹 화면(신문, 잡지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포맷에 따라, 도 5와 같이, 안경 타입의 시청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5(a)는, 포맷터(360)가 도 4의 포맷 중 프레임 시퀀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셔터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에 좌안 영상(L)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개방, 우안 글래스가 닫히는 것을 예시하며, 우안 영상(R)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닫히고, 우안 글래스가 개방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5(b)는, 포맷터(360)가 도 4의 포맷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편광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한편, 도 5(b)에서 적용되는 3D용 글래스(195)는, 셔터 글래스일 수 있으며, 이때의 셔터 글래스는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 모두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편광 글래스 처럼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증대를 위해, 제어부(170)는 3D 효과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510)를 일정 비율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512)할 수 있으며, 또한 도 6(b) 및 도 6(c)와 같이, 3D 오브젝트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사다리꼴 형상, 514, 516)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d)와 같이, 3D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평행 사변형 형상, 518)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링(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을 통해, 3D 영상 또는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입체감 즉,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울기(slope)가 커질수록, 도 6(b) 또는 도 6(c)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514,516)의 평행한 양변의 길이 차가 커지거나, 도 6(d)와 같이, 회전각이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은, 포맷터(360)에서 3D 영상 신호가 소정 포맷으로 정렬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영상처리부(320) 내의 스케일러(235)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OSD 생성부(340)는, 3D 효과 강조를 위해, 생성되는 OSD를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위한 신호 처리로서, 도 6에서 예시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 외에, 영상 신호 또는 오브젝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의 신호 처리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거나, 별도의 3D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술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과 함께, 포맷터(360)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영상처리부((320)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615,625,635,645)이 예시된다.
먼저,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613,R)를 포함하며,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613,R)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d1 인 것이 예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좌안 영상(621,L)과 제2 우안 영상(623,R)를 포함하며, 서로 겹쳐져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므로, 그 간격은 0 인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각각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2 우안 영상(633,R),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를 포함하며, 그 간격이 각각 d3, d4 인 것이 예시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 맺히는 위치에, 각각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도면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4 오브젝트(645)가 제3 오브젝트(635) 보다 더 앞에, 즉 더 돌출되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는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의 간격(d4)이,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3 우안 영상(633,R)의 간격(d3) 보다 더 큰 것에 기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615,625,635,645) 사이의 거리를 깊이(depth)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즉,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 정도가 더 클수록, 깊이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
도 8을 보면, 도 8(a)의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a)이, 도 8(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b)이 더 작은 경우, 도 8(a)의 3D 오브젝트의 깊이(a')가 도 8(b)의 3D 오브젝트의 깊이(b') 보다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9의 (b)), 앞뒤(도 9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825), 사용자 입력부(835), 센서부(840), 출력부(850), 전원공급부(860), 저장부(870), 제어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8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8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8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8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8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840)는 자이로 센서(841) 또는 가속도 센서(8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8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8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8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8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8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8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8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8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8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88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8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8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8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8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8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8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815)는 무선통신부(8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880)로 전송된다.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8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8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8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에 기반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코더(410), 음성 문자 변환부(420), 자막 추출부(430), 장면 인식부(440),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코더(410)는, 입력되는 컨텐츠를 복호화(decoding)한다. 입력되는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 비디오 복호화, 오디오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되는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 오디오 복호화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문자 변환부(420)는, 복호화된 컨텐츠 내에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의 오디오로부터, 음성 문자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STT (Speech-To-Text)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문자 변환부(420)는, 프레임 단위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STT 수행시, 외부 서버(500)를 이용하여,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음성 문자 변환부(420)는,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 서버(500)로 전송하고, 다시 외부 서버(500)로부터 변환된 문자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자막 추출부(430)는, 복호화된 컨텐츠 내에 자막이 제공되는 경우, 자막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자막 데이터가, 컨텐츠 영상과 분리 가능한, closed caption의 형태인 경우, 수신되는 컨텐츠의 역다중화시에 추출되어, 자막 추출부(43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자막 추출부(430)는, 해당 closed caption의 형태의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컨텐츠 내의 자막이, 컨텐츠 영상과 결합된 자막인 경우, 자막 추출부(430)는, 컨텐츠 영상 내의 자막 영역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역의 문자 인식 기법을 통해,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자막 추출부(430)는, 복호화된 컨텐츠 내에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음성 문자 변환부(420)에서 변환된 문자를 이용하여,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서버(500)로부터 해당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장면 인식부(440)는,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의 장면을 인식한다. 이러한 기능을,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이라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면 인식부(440)는,재생되는 컨텐츠 영상이 폭탄이 터지는 장면인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자막 추출부(430)는, 폭탄이 터지는 장면에서, "BOMB!"이라는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장면 인식부(440)에서 폭탄이 터지는 장면의 타임라인(timeline) 정보와, "쾅"이라는 자막이 표시되는 장면의 타임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의 타임라인이 정확한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자막의 타임라인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임라인 비교에 따른 타임라인 조정은,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장면 인식부(440)는,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의 장면을 프레임 단위로 인식하고, 인식된 장면 정보, 타임 라인 정보 등을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로 전송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 정보를 이용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에, 모션 이펙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 경우, 입력되는 자막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매칭시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OMB!"이라는 자막에 대응하여, 심한 진동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Oh"이라는 자막에 대응하여, 살짝 약한 진동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에서 추출되는 모션 이펙트 정보는, 진동, 슬라이딩 등에 관한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진동 또는 슬라이등의 레벨(level) 등에 관한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션 이펙트의 지속 시간 등에 관한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정보의 글자 크기 또는 자막 정보 내의 동일한 특수 문자의 개수에 따라,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자막이라도 자막의 크기가 더 큰 경우, 모션 이펙트의 레벨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한 자막 문자라도, 느낌표 등의 특수 문자 개수가 더 많은 경우, 모션 이펙트의 레벨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컨텐츠 내의 자막이 동일한 경우라도,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테츠인지에 따라,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컨텐츠를,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경우에 비해, 3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더 실감나는, 모션 이펙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자막 재생 구간에서, 모션 이펙트의 레벨을 더 크게 설정하거나, 모션 이펙트 지속 시간을 더 길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컨텐츠 영상이 동일한 경우라도,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이 다른 경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막 편집 모드를 통해, 동일한 컨텐츠 영상에 대해, 다른 자막을 편집하여 설정한 경우, 편집된 자막에 기초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컨텐츠 영상 보다 자막 내용에 기초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장면 인식부(440)로부터 인식된 장면 정보, 타임 라인 정보 등을 수신하고,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단위 장면에 기초하여,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되는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와,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장면 인식부(440)에서 인식되는 장면이 폭탄이 터지는 장면에 대응하여, 레벨 3의 진동 정보를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로 추출하고,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되는 자막이 "Oh"에 대응하여, 레벨 1의 진동 정보를 제1 모션 이펙트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의 타임 라인이 정확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하고, 폭탄이 터지는 장면에 대응하는, 제2 모션 이펙트 정보, 즉, 레벨 3의 진동 정보를 최종 모션 이펙트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되는 자막이 재생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하고, 자막 재생에 관한 타임라인 조정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디코더(410)는, 자막 재생 타이밍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는, 의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600)는, 바닥에 놓여져 의자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901)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903)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905)과,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907)과,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909)과,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고 의자(6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콘트롤 패널(99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01)는 바닥과 맞닿아 시트(903)를 지지한다. 시트(903)는 베이스(90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시트(903)의 좌우 측에는 팔받침(907)이 구비된다. 등받침(905)은 기울여질 수 있도록 시트(903)와 결합된다. 다리받침(909)은 기울여질 수 있도록 시트(903)와 결합될 수 있다.
콘트롤 패널(99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조작부(993)와, 의자(6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91)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 패널(990)은 의자(6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600)의 구조는,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901)의 뼈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903)의 뼈대를 이루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905)의 뼈대를 이루는 백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909)의 뼈대를 이루는 레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는, 프로세서(920), 인터페이스부(930), 저장부(940), 슬라이딩 구동부(955), 진동 구동부(965), 리클라이닝 구동부(975)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구동부(955)는, 시트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진동 구동부(965)는, 시트 프레임 또는 백프레임 또는 레그 프레임을 진동시킬 수 있으며, 리클라이닝 구동부(120)는, 백 프레임을 기울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93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인터페이스부(930)를 통해 수신되는, 모션 이펙트 정보에 기초하여, 슬라이딩 구동부(955), 진동 구동부(965), 또는 리클라이닝 구동부(975)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션 이펙트 정보는,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므로, 프로세서(920)는, 수신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940)에 저장된 모션 이펙트 테이블 내의 모션 이펙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20)는, 추출된 모션 이펙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지, 진동을 동작을 수행할지 또는 리클라이닝 동작을 수행할 지 또는 이들의 조합 동작을 수행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각 동작의 강도, 지속 시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920)는, 수신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구동부(955), 진동 구동부(965), 또는 리클라이닝 구동부(97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전송되는 모션 이펙트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즉 4D 효과를, 의자(600)를 통해 실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5 내지 도 23은 도 14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를 수신한다(S1210).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등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 외부 입력 신호, 스트리밍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컨텐츠, 영화 또는 드라마 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되는 컨텐츠는, 신호 처리를 통해,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 내 자막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0). 자막이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한다(S1240).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컨텐츠 내 자막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막이 제공되는 경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막 추출부(430)는, 복호화된 컨텐츠 내에 자막이 제공되는 경우, 자막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자막 데이터가, 컨텐츠 영상과 분리 가능한, closed caption의 형태인 경우, 수신되는 컨텐츠의 역다중화시에 추출되어, 자막 추출부(43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자막 추출부(430)는, 해당 closed caption의 형태의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컨텐츠 내의 자막이, 컨텐츠 영상과 결합된 자막인 경우, 자막 추출부(430)는, 컨텐츠 영상 내의 자막 영역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역의 문자 인식 기법을 통해,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자막 추출부(430)는, 복호화된 컨텐츠 내에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음성 문자 변환부(420)에서 변환된 문자를 이용하여,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서버(500)로부터 해당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내 자막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한다(S1230). 그리고, 변환된 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한다(S1240).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컨텐츠 내 자막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문자 변환부(420)는, 복호화된 컨텐츠 내에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의 오디오로부터, 음성 문자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STT (Speech-To-Text)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문자 변환부(420)는, 프레임 단위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한다(S1250). 그리고,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S1260). 그리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한다(S1270).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 정보를 이용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에, 모션 이펙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 경우, 입력되는 자막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매칭시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에서 추출되는 모션 이펙트 정보는, 진동, 슬라이딩 등에 관한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진동 또는 슬라이등의 레벨(level) 등에 관한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션 이펙트의 지속 시간 등에 관한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모션 이펙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시청하면서,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5(a)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310)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 영상(1310)이, 헬기 형상의 컨텐츠 오브젝트(1315)와, "BOMB!"이라는 자막(132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5(b)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330)을 예시한다. 자막 추출부(430)는, 자막 데이터가, 컨텐츠 영상과 분리 가능한, closed caption의 형태인 경우, 수신되는 컨텐츠의 역다중화시에 추출되어, 자막 추출부(4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컨텐츠 내의 자막이, 컨텐츠 영상과 결합된 자막인 경우, 자막 추출부(430)는, 컨텐츠 영상 내의 자막 영역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역의 문자 인식 기법을 통해, 자막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5(c)는,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1)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 의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1)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1)는, 자막"BOMB!"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로서, 예를 들어, 레벨 3을 갖는 진동 정보일 수 있다.
도 15(d)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3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는, 해당 컨텐츠 영상(1310)에 동기하여, 수신한 모션 이펙트 정보(S1)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서, 레벨 3의 진동 동작(M1)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6은 도 15와 유사하나, 자막의 크기가 더 큰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16(a)와 같이, 컨텐츠 영상(1410) 내에 "BOMB!"이라는 자막(1425)의 크기가 더 큰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6(b)와 같이,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430)의 크기도 더 크게 된다. 그리고, 도 16(c)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2)로서, 레벨 5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4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5의 진동 동작(M2)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도 15에 비해, 자막 크기에 따라, 진동 레벨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모션 이펙트의 종류가 달라지거나, 모션 이펙트의 지속 시간이 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도 15와 유사하나, 자막 글자는 동일하나, 특수 문자의 개수가 더 많은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17(a)와 같이, 컨텐츠 영상(1510) 내에 "BOMB!!!!"이라는 자막(1525)으로서, 특수문자인 "!"의 개수가 3개 더 많은 큰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7(b)와 같이,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530) 내의 특수 문자의 개수도 더 많게 된다. 그리고, 도 17(c)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3)로서, 레벨 5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5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5의 진동 동작(M3)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도 15에 비해, 자막 중 특수 문자의 개수에 따라, 진동 레벨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모션 이펙트의 종류가 달라지거나, 모션 이펙트의 지속 시간이 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8(a)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1305) 내에 자막이 없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음성 문자 변환부(420)에서의, 음성 문자 변환 동작에 기초하여, 자막을 추출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하는 자막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8(b)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330)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18(c)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1)로서, 레벨 3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8(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생성된 자막(1325)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13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3의 진동 동작(M1)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와 유사하나, 컨텐츠 영상은 동일하나, 자막 내용이 다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19(a)와 같이, 컨텐츠 영상(1710) 내에 "Oh!"이라는 자막(1725)이 포함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막 내용에 따라, 모션 이펙트 정보를 설정하므로, 도 15와 비교하여, 동일한 컨텐츠 영상이더라도, 다른 모션 이펙트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동일한 컨테츠 영상임에도 자막 내용이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사용자가 자막 데이터를 편집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9(b)는, "Oh!"이라는 자막(1725)에 대응하여,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730)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19(c)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4)로서, 레벨 1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9(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7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1의 진동 동작(M4)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9는, 도 15에 비해, 자막이 달라짐에 따라, 진동 레벨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모션 이펙트의 종류가 달라지거나, 모션 이펙트의 지속 시간이 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영상표시장치에 입력되는 컨텐츠 영상을 인식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0(a)는, 제1 시간에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305)의 일예를 예시하며, 도 20(b)는, 제1 시간에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810)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20(a)에 비해, 도 20(b)의 헬기 형상의 컨텐츠 오브젝트(1815)가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장면 인식부(440)는, 이와 같이, 프레임 단위로, 확대되는 장면을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로 전송할 수 있다.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자막 정보가 아닌, 인식된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장면 확대시의 모션 이펙트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 모션 이펙트의 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0(c)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5)로서, 레벨 5의 진동 정보가 설정되고, 레벨 5의 진동 정보(S5)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0(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8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5의 진동 동작(M5)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0은, 자막이 없는 경우, 장면 인식을 통해,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예시하나, 자막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막이 있는 경우, 자막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와, 인식된 장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 모션 이펙트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은, 3D 영상으로서 재생되는 경우, 도 15에 비해, 모션 이펙트 정보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21(a)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할 컨텐츠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3D 처리된 3D 영상(1910)을 예시한다. 도 15(a)의 컨텐츠가 영상표시장치(100)가 입력된 상태에서, 3D 변환 입력이 있는 경우, 도 21(a)와 같이, 해당 컨텐츠 영상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3D 영상(1910)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3D 변환은, 포맷터(3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컨텐츠 오브젝트(1915a)와 자막(1925a)을 포함하는 좌안 영상(1910a)과, 컨텐츠 오브젝트(1915b)와 자막(1925b)을 포함하는 우안 영상(1910b)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배열된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원활한 3D 시청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컨테츠 오브젝트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컨텐츠 오브젝트(1915a)와 컨텐츠 오브젝트(1915b)는 시차를 가지나, 자막은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자막(1925a)과 자막(1925b)은, 시차가 없을 수 있다.
도 21(b)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930)을 예시한다.
한편,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450)는, 3D 재생되는 컨텐츠의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을 위해, 추출된 자막(1930) 및 3D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1(c)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6)로서, 레벨 4의 진동 정보가 설정되고, 레벨 4의 진동 정보(S6)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1(d)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960)이 3D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4의 진동 동작(M6)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자막 편집 모드를 예시한다.
도 22(a)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310)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 영상(1310)이, 헬기 형상의 컨텐츠 오브젝트(1315)와, "BOMB!"이라는 자막(132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2(b)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자막 편집 모드에 진입하여, 자막 편집 화면(20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자막 편집 화면(2010)은, 크기 설정 항목(2015), 크기 조정을 위한 크기 설정키들(2018), 자막 변경전 항목(2020), 변경전 자막 표시창(2025), 자막 변경후 항목(2030), 변경후 자막 표시창(20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c)는, 변경된 자막(1725)을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2012)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22(d)는, 편집된 "Oh!"자막에 대응하여,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2031)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22(e)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4)로서, 레벨 1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2(f)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2012)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1의 진동 동작(M4)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막 편집 모드를 통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막을 편집하도록 하고, 이에 대웅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를 예시한다.
도 23(a)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310)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 영상(1310)이, 헬기 형상의 컨텐츠 오브젝트(1315)와, "BOMB!"이라는 자막(132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3(b)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모션 이펙트 설정 화면(21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모션 이펙트 설정 화면(2110)은, 강도 설정 항목(2115), 강도 조정을 위한 강도 설정키(2118), 시간 설정 항목(2125), 시간 조정을 위한 시간 설정키(2128), 종류 설정 항목(2135), 종류 조정을 위한 종류 설정키(21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c)는, 자막 추출부(430)에서, 추출된 자막(1330)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23(d)와 같이,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S7)로서, 레벨 5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15와 비교하여,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를 통해, 레벨 3을 레벨 5로 변경하였으므로, 변경된 모션 이펙트 설정에 따라, 레벨 5의 진동 정보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3(e)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영상(13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600)에, 레벨 5의 진동 동작(M7)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를 통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션 이펙트의 강도 설정 항목, 시간 설정 항목 또는 종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4D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물리적 동작인 모션 이펙트를 위주로 기술하였으나, 자막 정보에 기초하여, 후각 이펙트(향기, 냄새 등), 무드 이펙트(조명 밝기 등) 등이 추출되고,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는, 후각 이펙트, 무드 이펙트 등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 자막이 없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막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변환된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는,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정보의 글자 크기 또는 상기 자막 정보 내의 동일한 특수 문자의 개수에 따라,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의 자막이 동일한 경우라도, 상기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테츠인지에 따라,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동일한 경우라도, 상기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이 다른 경우,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에 기초하여,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와, 상기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8. 제1항에 있어서,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모션 이펙트의 강도 설정 항목, 시간 설정 항목 또는 종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이펙트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자막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막을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된 자막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막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편집된 자막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0.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자막 추출부;
    상기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모션 이펙트 정보를 외부의 모션 이펙트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한 자막을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 자막이 없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음성 문자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막 추출부는, 상기 변환된 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는,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는,
    상기 자막 정보의 글자 크기 또는 상기 자막 정보 내의 동일한 특수 문자의 개수에 따라,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 내의 자막이 동일한 경우라도, 상기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테츠인지에 따라,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동일한 경우라도, 상기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자막이 다른 경우,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내의 모션 이펙트 종류 정보, 모션 이펙트 강도 정보, 모선 이펙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단위 장면을 인식하는 장면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이펙트 정보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단위 장면에 기초하여,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자막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 이펙트 정보와, 상기 컨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제2 모션 이펙트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모션 이펙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션 이펙트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모션 이펙트의 강도 설정 항목, 시간 설정 항목 또는 종류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션 이펙트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자막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편집된 자막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막 추출부는,
    상기 편집된 자막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20042258A 2012-04-23 2012-04-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2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58A KR101929484B1 (ko) 2012-04-23 2012-04-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58A KR101929484B1 (ko) 2012-04-23 2012-04-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249A true KR20130119249A (ko) 2013-10-31
KR101929484B1 KR101929484B1 (ko) 2018-12-14

Family

ID=4963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258A KR101929484B1 (ko) 2012-04-23 2012-04-23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102B1 (ko) * 2020-01-20 2021-06-1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적용된 자막에 대한 편집방법 및 그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8841B2 (ja) * 2006-03-07 2011-07-20 日本放送協会 提示情報出力装置
KR20090032702A (ko) 2007-09-28 200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102B1 (ko) * 2020-01-20 2021-06-1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적용된 자막에 대한 편집방법 및 그 전자장치
WO2021149884A1 (ko) * 2020-01-20 2021-07-2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적용된 자막에 대한 편집방법 및 그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84B1 (ko) 201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5757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9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셔터 글래스의 동작 제어방법
KR20140038799A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163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5593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4721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27770A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55804B1 (ko)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92948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05754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574068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4581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74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82214B1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187880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90323B1 (ko) 영상표시장치, 셋탑 박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82566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22348A (ko)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230116662A (ko) 영상표시장치
KR10163854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8047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4658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4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