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059A -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 Google Patents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059A
KR20130119059A KR1020120041920A KR20120041920A KR20130119059A KR 20130119059 A KR20130119059 A KR 20130119059A KR 1020120041920 A KR1020120041920 A KR 1020120041920A KR 20120041920 A KR20120041920 A KR 20120041920A KR 20130119059 A KR20130119059 A KR 2013011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fuel tank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억수
최준용
윤지환
김근호
박병환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스이
Priority to KR102012004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059A/ko
Publication of KR2013011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를 설치하여 플로우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읽어들여 잔존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잔존유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 내 유량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게이지에 있어서, 연료탱크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하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강관튜브의 내주면 상하 중심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탄소봉; 탄소봉의 외주면에 감겨지되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코일선;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링 형태의 플로우트; 플로우트 내부에 인서트되어 플로우트의 상하 유동에 따라 코일선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마그네트; 및 강관튜브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 플로우트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Flow gauge with a potentiometer}
본 발명은 유량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를 설치하여 플로우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읽어들임으로써 잔존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 내의 유량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유량게이지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체저장용기는 수용된 유체가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재질이 일반적으로 투명성이 없으므로 저장용기내 잔존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량을 표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게이지 장치를 사용하여 저장된 유체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했고, 나아가 유체의 주입시기를 알리기 위해 저장 유체가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회로를 내장한 별도의 표시장치를 유량게이지 장치에 마련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유량게이지 장치의 구성에서 저장 유체가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표시장치는 가동접점부재와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하여 저장용기내 잔존유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양 접점부재가 상호 이격되어 회로를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회로를 내장한 표시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유체의 주입시기를 알리게 된다.
다음은 자동차 연료의 연료량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량게이지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다.
먼저, 차량의 연료를 충진하는 연료탱크 내부의 상부측에는 연료탱크 내의 잔존 유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유량게이지 장치의 구성으로써 센더가 설치된다. 이때, 센더는 뜨개, 회전축, 접촉아암, 회전축과 뜨개를 연결하는 로드 및 가변저항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료탱크 내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는 연료탱크 내의 연료 위치를 검출하는 부위로, 뜨개의 부력 때문에 뜨개와 연결된 로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고, 이와 연결된 접촉아암은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가변 저항에 접촉되는 저항값이 연료의 높이에 따라 변동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 때문에 연료 계기판 내부의 가동코일과 연결된 저항값이 변동함에 따라 전자기력이 달라지게 되어 동일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어도 계기지침은 연료량에 비례하는 값을 가리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량게이지 장치는 자동차 차체가 기울어져 있거나 급정거시에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사선 형태가 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내의 연료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량게이지 장치는 뜨개, 회전축, 접촉아암 및 로드의 구성이 모두 연결되어 접촉식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사고에 의한 강한 충격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후로 인하여 오류나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를 설치하여 플로우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읽어들여 잔존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잔존유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가 설치된 구조의 플로우트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가 설치된 구조의 플로우트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연료탱크 내의 설치에 따른 위치조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내 유량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게이지에 있어서, 연료탱크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하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강관튜브의 내주면 상하 중심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탄소봉; 탄소봉의 외주면에 감겨지되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코일선;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링 형태의 플로우트; 플로우트 내부에 인서트되어 플로우트의 상하 유동에 따라 코일선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마그네트; 및 강관튜브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 플로우트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는 강관튜브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강관튜브 고정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강관튜브 고정수단은 강관튜브의 상단에 구성되어지되 강관튜브의 외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 플랜지의 상단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부; 및 고정나사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지되 연료탱크를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한 고정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탄소봉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선의 감김수는 400회로 감기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마그네트의 자기력선속(磁氣力線束) 밀도는 2,500∼3,500 가우스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를 설치하여 플로우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읽어들여 잔존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잔존유량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가 설치된 구조의 플로우트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을 설치하되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가 인서트된 플로우트가 설치된 구조의 플로우트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연료탱크 내의 설치에 따른 위치조정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를 보인 정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의 구성에서 플로우트의 상하 유동을 보인 정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를 보인 정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의 구성에서 플로우트의 상하 유동을 보인 정단면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를 설명하기에 앞서 포텐셔미터에 대하여 살펴보면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는 기계적인 위치 변화에 비례한 전기적 출력 신호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신호를 감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가변저항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인 위치 변화에 비례한 전기적 출력 신호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플로우트식 센서를 적용한 방식으로, 플로우트에 의한 마크네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읽어들여 연료탱크 내의 잔존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잔존유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연료탱크(1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강관튜브(110), 강관튜브(110)의 내주면 상하 중심에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탄소봉(120), 탄소봉(12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코일선(130), 강관튜브(110)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링 형태의 플로우트(140), 플로우트(140) 내부에 인서트되어 플로우트(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코일선(1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마그네트(150) 및 강관튜브(11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 플로우트(14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16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100)는 연료탱크(10) 내에 충진된 잔존유량의 유면 높이에 따라 상하로 플로우트(140)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플로우트(140)에 인서트된 마그네트(150)와 코일선(130) 사이에는 자장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플로우트(140)에 인서트된 마그네트(150)와 코일선(130)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이 변화가 이루어지면 제어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는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연산을 통해 연료탱크(10) 내에 잔존하는 정확한 유량을 산출하여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140)에 인서트된 자기력선속(磁氣力線束) 밀도 2,500∼3,500 가우스의 마그네트(150)가 자장을 형성하여 코일선(130)이 제일 짧은 거리인 최단거리 L1일 때 저항값을 1(Ω)이라 하고, 코일선(130)이 제일 긴 거리의 최대거리인 지점인 하단의 L2일 때 저항값을 0.5(Ω)이라 가정한다. 이때, L1과 L2의 저항값 차이는 1 - 0.5 = 0.5(Ω)이므로 코일선(130)의 감김수는 200 ÷ 0.5 = 400회의 감김수가 된다.
전술한 L1과 L2의 저항값 차이인 0.5(Ω)을 코일선(130)의 감김수인 400으로 나누면 0.00125(Ω)이 계산된다. 이처럼 코일선(130)의 1회 감김에 해당하는 저항값은 0.00125(Ω)으로, 미세하기 때문에 이를 10,000배로 증폭한 12.5(Ω)의 저항값을 연료의 왼충시로 한다.
즉, 연료의 100% 완전 충진시에는 저항값을 12.5(Ω)으로 하고, 연료를 0% 완전 소진시에는 저항값을 0(Ω)으로 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형시킨다. 디지털 값은 0(Ω)일 때는 오프(Off) 상태인 "0"으로 하고, 100% 완충인 12.5(Ω)일 때는 온(On) 상태인 "1"값으로 하여 이를 매칭시킴으로써 플로트 게이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강관튜브(110)는 마그네트(150)가 인서트된 플로우트(140)를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강관튜브(1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연료탱크(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150)가 인서트된 플로우트(140)를 상하로 가이드하기 위한 강관튜브(11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연료탱크(10) 내부의 일측에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되어진다. 이때, 강관튜브(11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소봉(120)은 후술하는 코일선(130)을 감기위한 것으로, 이러한 탄소봉(12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어 강관튜브(110)의 내주면 상하 중심에 일정길이로 설치 고정되어진다. 이때, 탄소봉(120)의 길이는 강관튜브(110)의 길이에 비해 작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탄소봉(120)은 그 외주면 상에 후술하는 코일선(130)을 감았을 경우의 직경이 강관튜브(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코일선(130)은 후술하는 마그네트(150)와의 작용을 통해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코일선(13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봉(120)의 외주면에 감겨지되 차량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코일선(130)은 본 발명의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변화되는 저항값이 제어 컨트롤러에 의해 검출되어 연산되어진다. 이때, 탄소봉(120)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선(130)의 감김수는 400회로 감기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플로우트(140)는 후술하는 마그네트(150)를 유면위에 띄워 유면의 변동에 따른 마그네트(150)의 상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플로우트(14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튜브(110)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링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140)는 자체 부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유면이 떠있게 된다. 이때, 플로우트(140)의 내경은 강관튜브(11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유면의 변화가 있게 되면 강관튜브(110)를 따라 상하로 플로우트(140)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마그네트(150)는 앞서 기술한 코일선(1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연료탱크 내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그네트(15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트(140) 내부에 인서트되어 플로우트(140)의 상하 유동시 코일선(1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연료탱크(10) 내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선(13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연료탱크(10) 내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150)는 플로우트(140)와 같이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그네트(150)의 자기력선속(磁氣力線束) 밀도는 2,500∼3,500 가우스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자기력선속(磁氣力線束) 밀도가 3,000 가우스인 마그네트(150)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160)은 연료의 완전 소진시 하향으로 유동되는 플로우트(140)를 강관튜브(110)의 하단부 이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강관튜브(110)로부터 플로우트(14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플로우트 스톱 링(16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튜브(11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플로우트(14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관튜브(11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플로우트(14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160)은 스냅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강관튜브(11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링홈(112)에 체결된다. 물론, 이러한 플로우트 스톱 링(160)은 스냅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탈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14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160)은 플로우트(14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여 강관튜브(110)로부터 플로우트(14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로우트 스톱 링(160)의 외경이 플로우트(140)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관튜브(110), 탄소봉(120), 코일선(130), 플로우트(140), 마그네트(150) 및 플로우트 스톱 링(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100)의 구성에는 강관튜브(110)를 연료탱크(10)에 고정시키는 강관튜브 고정수단이 더 구성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강관튜브(110)를 연료탱크(10)에 고정시키는 강관튜브 고정수단은 강관튜브(110)의 상단에 구성되어지되 강관튜브(110)의 외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170), 플랜지(170)의 상단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부(172) 및 고정나사부(17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지되 연료탱크(10)를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한 고정나사부(172)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7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강관튜브 고정수단은 강관튜브(110)를 연료탱크(10) 내부 천장에 상하로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소봉(120) 역시도 플랜지(170)의 하부면 중심부 상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10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110) 내주면에 코일선(130)이 감긴 일정길이의 탄소봉(120)을 설치하되 강관튜브(110)의 외주면에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마그네트(150)가 인서트된 플로우트(140)를 설치하여 플로우트(140)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읽어들여 연료탱크(10) 내 잔존유량을 정확하게 측정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연료게이지 110. 강관튜브
120. 탄소봉 130. 코일선
140. 플로우트 150. 마그네트
160. 플로우트 스톱 링 170. 플랜지
172. 고정나사부 174. 고정너트

Claims (5)

  1. 자동차의 연료탱크 내 유량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하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튜브;
    상기 강관튜브의 내주면 상하 중심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탄소봉;
    상기 탄소봉의 외주면에 감겨지되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코일선;
    상기 강관튜브의 외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링 형태의 플로우트;
    상기 플로우트 내부에 인서트되어 플로우트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코일선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잔존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마그네트; 및
    상기 강관튜브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플로우트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로우트 스톱 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튜브를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강관튜브 고정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튜브 고정수단은 상기 강관튜브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강관튜브의 외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단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부; 및
    상기 고정나사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료탱크를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한 상기 고정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봉의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코일선의 감김수는 400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선속(磁氣力線束) 밀도는 2,500∼3,500 가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KR1020120041920A 2012-04-23 2012-04-23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KR2013011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920A KR20130119059A (ko) 2012-04-23 2012-04-23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920A KR20130119059A (ko) 2012-04-23 2012-04-23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059A true KR20130119059A (ko) 2013-10-31

Family

ID=4963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920A KR20130119059A (ko) 2012-04-23 2012-04-23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0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8750A (en) Liquid level indicator system
KR101560265B1 (ko) 비자성체가 적용된 전자식 수도미터
US20150346018A1 (en) An apparatus for non-contact level sensing
WO2011129079A1 (ja) フロート位置センサ
CN101535783A (zh) 具有簧片开关和闭锁磁体的燃料发送器
KR20130119060A (ko)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KR20130119059A (ko) 포텐셔미터를 이용한 유량게이지
US10458832B2 (en) Functional diagnosis of an electromechanical fill state measuring device
KR101330114B1 (ko) 수위검출장치
JP5669620B2 (ja) 液位検出装置
JP4466461B2 (ja) 液面検出装置
JPS58112993A (ja) タンクの充填レベルを測定する装置
CN105197798A (zh) 具有测长功能的电缆卷筒、测长方法及起重机
CN204324727U (zh) 具有测长功能的电缆卷筒及起重机
JP5529656B2 (ja) 液位検出装置
CN106404123A (zh) 汽车用液位传感器
KR100337442B1 (ko) 액체 수평면 위치 측정장치
JP2007170909A (ja) フロート式液面計
JP2011185907A (ja) 流量センサ
CN107238423B (zh) 磁感式液位测量装置及液体储罐
JP2006284459A (ja) 液面検出装置
KR200181243Y1 (ko) 액체 수평면 위치 측정장치
JPH0894417A (ja) 遠隔残量検出装置
CN210026704U (zh) 喷墨打印设备的墨盒液位显示系统
KR200485427Y1 (ko) 액체 수위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