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807A -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807A
KR20130118807A KR1020130043308A KR20130043308A KR20130118807A KR 20130118807 A KR20130118807 A KR 20130118807A KR 1020130043308 A KR1020130043308 A KR 1020130043308A KR 20130043308 A KR20130043308 A KR 20130043308A KR 20130118807 A KR20130118807 A KR 2013011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outer tube
inner tube
lin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371B1 (ko
Inventor
아이리스 바텔
한스 옌센
알렉산더 볼
Original Assignee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1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2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hot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7/565Concentric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템퍼링될 유체용 파이프 라인에 관한 것이다. 템퍼링될 유체용 내관 또는 템퍼링 유체용 적어도 하나의 외관이 제공된다. 내관은 외관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또는 완전히 둘러싸이고, 외관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내관과 외관 사이에 템퍼링 유체용 또는 템퍼링될 유체용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CONNECTOR, IN PARTICULAR A 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템퍼링될 유체, 템퍼링될 요소 용액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에 의해 파이프 라인이 다른 파이프 라인 또는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유체용 탱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른 컴포넌트 또는 파이프 라인과 분리 가능한 접속을 위해 설계된다. 템퍼링될 유체는 특히 템퍼링될 유동성 매체를 의미한다.
전술한 방식의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는 실제로 여러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SCR-시스템의 범주에서 템퍼링될 요소 용액을 상기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를 통해 안내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자동차, 특히 디젤 엔진을 구비한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배기 가스 처리를 위한 SCR-촉매 컨버터를 구비한 소위 SCR-시스템이 존재한다(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자동차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된 산화질소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SCR-촉매 컨버터 전방의 배기 가스에 요소 용액이 주입된다. 이러한 요소 용액 또는 요소 수용액은 요소가 -11℃미만의 온도에서 얼고 부분적으로 결정화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요소 용액의 확실한 추가 공급이 방해받거나 또는 완전히 차단되고, 배기 가스 중의 산화질소의 효과적인 감소가 저하되거나 저지된다. 이러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요소 용액용 공급 라인 또는 파이프 라인이 가열된다. 이러한 파이프 라인에 접속된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를 가열하는 것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가열은 전기 가열로서 실시되고, 이를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가열 와이어가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 상에 배치된다. 가열된 유동성 매체에 의해 유체 안내 시스템을 가열하는 것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대부분의 공지된 조치들은 복잡하거나 또는 많은 비용으로만 실시될 수 있고 및/또는 템퍼링될 유체의 충분히 효과적인 템퍼링 또는 가열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고 덜 복잡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유체 또는 요소 용액의 매우 효과적인 템퍼링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방식의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템퍼링될 유체, 특히 템퍼링될 요소 용액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로서,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 및/또는 슬리브 부재가 제공되고, 커넥터는 템퍼링될 매체용 또는 템퍼링 유체용 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은 적어도 내관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외관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또는 완전히 둘러싸이고, 내관이 외관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내관과 외관 사이에 템퍼링 매체용 또는 템퍼링될 매체용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이 배치되는,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는 파이프 라인 또는 다른 파이프 라인과 연결된 다음,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파이프 라인 또는 적어도 2개의 파이프 라인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또는 퀵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플러그 부재는 다른 커넥터의 슬리브 부재 내로 삽입되거나 반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탱크 또는 분사 노즐 등에 파이프 라인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그리고 이하에서 커넥터는 특히 다른 컴포넌트와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퀵 커넥터를 의미한다.
템퍼링될 유체는 바람직하게 템퍼링될 유동성 매체, 특히 가열될 유동성 매체이다. 템퍼링될 유체가 요소 용액 또는 요소 수용액인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템퍼링될 또는 가열될 요소 용액을 안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자동차 내의 SCR-시스템의 구성 요소이다.
템퍼링 유체는 템퍼링될 유체를 템퍼링 또는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다. 템퍼링 유체가 가열된 유동성 템퍼링 매체인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관 내에 템퍼링될 유체가 수용되거나 또는 흐르고, 내관과 외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 내에는 템퍼링 유체가 수용되거나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관의 내벽이 다수의 브릿지에 의해 내관의 외벽과 연결되고, 브릿지들이 바람직하게 내관의 길이 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릿지들이 외관의 내벽에 그리고 내관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릿지들이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길이에 걸쳐,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단 없이 또는 갭 없이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브릿지들에 의해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이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라인 채널들로 세분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릿지들이 내관의 원주에 걸쳐 또는 외관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다. 브릿지들이 파이프 라인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내관, 외관 및 브릿지에 의해 제한된 라인 채널들의 횡단면이 동일한 크기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모든 라인 채널들이 동일한 횡단면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관의 내벽이 적어도 2개의 브릿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브릿지에 의해 내관의 외벽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릿지들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내관, 외관 및 브릿지로 이루어진 집합체들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사출 성형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바깥 관이 제공되고, 내관 및 외관으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바깥 관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바깥 관에 의해 둘러싸이며, 특히 집합체의 원주 전체에 걸쳐 둘러싸이고, 상기 바깥 관은 내관의 길이 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외관과 바깥 관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유체가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이 배치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깥 관, 외관 및 내관으로 이루어진 전체 집합체가 경우에 따라 브릿지와 함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사출 성형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 집합체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관 내에 템퍼링될 유체가 수용되거나 또는 흐르고, 내관과 외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 내에 템퍼링 유체가 수용되거나 또는 흐르며, 외관과 바깥 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 내에도 템퍼링 유체가 수용되거나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관 내에 템퍼링 유체가 수용되거나 또는 흐르고, 내관과 외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 내에 템퍼링될 유체가 수용되거나 또는 흐르며, 외관과 바깥 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 내에 템퍼링 유체가 수용되거나 또는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바깥 관의 내벽이 다수의 외부 브릿지에 의해 외관의 외벽과 연결된다. 외부 브릿지가 바람직하게는 내관의 길이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외부 브릿지가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외부 브릿지들이 바깥 관의 내벽에 그리고 외관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브릿지들이 바깥 관의 길이에 걸쳐 또는 외관의 길이에 걸쳐 중단 없이 또는 갭 없이 연장한다. 외부 브릿지가 외관과 바깥 사이의 공간을 다수의 외부 라인 채널들로 세분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외부 라인 채널들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유체가 흐른다. 외부 브릿지들이 바깥 관의 원주에 걸쳐 또는 외관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브릿지에 의해 분리된 외부 라인 채널들이 동일한 크기의 횡단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횡단면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바깥 관의 내벽이 적어도 2개의 외부 브릿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외부 브릿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외부 브릿지에 의해 외관의 외벽과 연결된다. 외부 브릿지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바깥 관, 외관, 내관 및 외부 브릿지 및 경우에 따라 브릿지로 이루어진 전체 집합체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사출 성형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브릿지들 및/또는 외부 브릿지들은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사다리꼴이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중앙을 향해 테이퍼된다. 커넥터의 중앙은 여기서 특히 내관의 길이방향 중심축(M)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릿지들은 외관의 원주와 관련해서 외부 브릿지들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브릿지가 외관의 원주와 관련해서 2개의 외부 브릿지들 사이의 중앙에 또는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내관의 벽 두께 및/또는 외관의 벽 두께 및/또는 바깥 관의 벽 두께가 0.6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2.2 ㎜,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 이다. 내관 및/또는 외관 및/또는 바깥 관이 원통형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내관이 외관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외관, 또는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바깥 관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내관과 외관 및/또는 외관과 바깥 관의 동축 배치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내관의 내경(d) 대 내관과 외관 사이의 라인 채널의 방사방향 폭(ri)의 비율 및/또는 내관의 내경(d) 대 외관과 바깥 관 사이의 외부 라인 채널의 방사방향 폭(ra)의 비율은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4,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이다. 내관의 내경(d)이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 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하게는 라인 채널의 방사방향 폭(ri) 및/또는 외부 라인 채널의 방사방향 폭(ra)은 0.5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자동차의 구성 요소이고, 템퍼링 매체가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냉각액 또는 가열된 냉각수이며 및/또는 연료 또는 회수된 연료인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의 냉각수 회로로부터 분기된 가열된 냉각수가 템퍼링 매체로서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연료 탱크로 회수된 연료가 템퍼링 매체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템퍼링 매체가 먼저 내관과 외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을 통해 제 1 방향으로 커넥터를 따라 흐르고, 외관과 바깥 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 내로 템퍼링 매체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영역이 제공되고, 템퍼링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을 통해 제 1 방향과는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커넥터를 따라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매체가 한편으로는 내관과 외관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관과 바깥 관 사이에 거의 역류로 안내된다. 템퍼링 매체는 바람직하게 브릿지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라인 채널을 통해 그리고 외부 브릿지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외부 라인 채널을 통해 흐른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템퍼링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관 및/또는 템퍼링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관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가 템퍼링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접속 관 및 템퍼링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접속 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접속 관은 적절한 슬리브 부재 또는 플러그 부재의 접속을 위한 플러그 부재 또는 슬리브 부재로서 실시된다. 접속 관 또는 접속 관들은 커넥터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가 실시예에 따라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진 커넥터로서 형성되면, 커넥터의 종축이라는 표현은 접속 관 또는 접속 관들이 접속된 커넥터 섹션에 관련된다. 템퍼링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관이 내관과 외관 사이의 라인 채널에 접속되고 및/또는 템퍼링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관이 외관과 바깥 관 사이의 외부 라인 채널에 접속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특히 바깥 관, 외관, 내관, 브릿지 및 외부 브릿지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 또는 상기 집합체가 폴리아미드 또는 실질적으로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다. 폴리아미드는 특히 폴리아미드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는 고온 안정성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또는 특히 바깥 관, 외관, 내관, 브릿지 및 외부 브릿지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내관, 외관 및 바깥 관으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바깥 관에 의해 둘러싸이고, 내관, 외관, 바깥 관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바깥 관이 서로 동심으로 또는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추가 바깥 관은 추가 외부 브릿지를 통해 바깥 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깥 관과 추가 바깥 관 사이의 사이 공간 또는 채널을 통해 템퍼링 유체가 흐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템퍼링 매체가 외관과 바깥 관 사이의 외부 라인 채널을 통해 흐르는 유동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의해 유체, 특히 요소 용액의 특히 효과적인 템퍼링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통해 안내된 요소 용액은 간단하고 문제없는 방식으로 동결 또는 결정화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비교적 간단하고 덜 복잡한 수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열 와이어 등에 의한 복잡한 전기 가열이 바람직하게 생략될 수 있다. 추가의 에너지 공급 없이 기존의 또는 자동차에 이미 존재하는 에너지 소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비교적 경제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하고 덜 복잡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유체 또는 요소 용액의 매우 효과적인 템퍼링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내의 유체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대상의 선 A-A을 따른 단면도.
도면들은 템퍼링될 요소 용액을 안내하는 파이프 라인(2)을 도시되지 않은 추가 컴포넌트, 예컨대 추가 커넥터 또는 추가 파이프 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퀵 커넥터로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파이프 라인(2)이 커넥터(1)의 좌측 단부면에 접속되는 것이 나타난다. 상기 커넥터(1)는 다른 단부면 또는 도 1 및 도 2에서 우측 단부면에 추가 컴포넌트의 도시되지 않은 슬리브 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 부재(4)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1)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템퍼링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접속 관(5) 및 템퍼링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접속 관(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접속 관들(5, 6)은 커넥터(1)의 하나의 단부에 있는 플러그 부재(4)와 유사하게 플러그 부재로서 형성된다.
커넥터(1)는 요소 수용액을 안내하기 위한 내관(3)을 포함한다. 상기 요소 용액은 자동차의 도시되지 않은 SCR-촉매 컨버터에 공급된다. 내관(3)은 외관(7)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내관(3) 및 외관(7)은 서로 동심으로 또는 동축으로 배치된다(특히, 도 3 참고). 외관(7), 또는 내관(4) 및 외관(7)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는 바깥 관(8)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내관(3), 외관(7) 및 바깥 관(8)은 서로 동심으로 또는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 2에는 한편으로는 요소 용액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요소 용액의 가열을 위한 템퍼링 유체의 유동 또는 유동 방향이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1)는 바람직하며,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구성 요소이고, 템퍼링 유체는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의 냉각수 회로로부터 분기된 가열된 냉각수이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요소 용액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내관(3)을 통해 흐른다. 접속 관(5)을 통해 공급된 템퍼링 유체가 요소 용액과 동일한 방향으로 내관(3)과 외관(7) 사이의 사이 공간을 통해 특히, 방향 전환 영역(9)까지 흐른다. 여기서, 내관(3)과 외관(7) 사이의 사이 공간은 외관(7)과 바깥 관(8) 사이의 사이 공간과 유체 연결된다. 템퍼링 매체는 방향 전환 영역(9)에서 외관(7)와 바깥 관(8) 사이의 사이 공간 내로 방향 전환되고,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반대 방향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흐른다. 이 실시예를 기초로 내관(3)에서 요소 용액의 매우 효과적인 템퍼링이 달성된다. 템퍼링 매체가 외관(7)과 바깥 관(8) 사이의 사이 공간에서 접속 관(6)으로 흐르고 거기서 다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접속 관(6)은 접속 관(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접속 관(6)은 도 2에서 커넥터(1)에 의해 은폐되므로 나타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커넥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외관(7)의 내벽이 실시예에서 4개의 브릿지(10)를 통해 내관(3)의 외벽과 연결되는 것이 나타난다. 브릿지들(10)은 바람직하게는 중단 없이 내관(3)과 외관(7)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커넥터(1)의 길이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로 인해, 내관(3)과 외관(7) 사이의 사이 공간은 실시예에서 템퍼링 유체용 4개의 라인 채널들(11)로 세분된다. 도 3에는 또한 바깥 관(8)의 내벽이 실시예에서 4개의 외부 브릿지(12)를 통해 외관(7)의 외벽과 연결되는 것이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브릿지(12)가 중단 없이 외관(7)과 바깥 관(8)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길이에 걸쳐 커넥터(1)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커넥터(1)의 길이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외관(7)과 바깥 관(8) 사이의 사이 공간이 4개의 외부 라인 채널(13)로 세분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 브릿지(10) 및 외부 브릿지(12)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브릿지(10) 및 외부 브릿지(12)는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사다리꼴은 바람직하게 커넥터(1)의 중심을 향해 또는 길이 방향 중심축(M)을 향해 테이퍼된다.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브릿지들(10)은 외관(7)의 원주와 관련해서 외부 브릿지(12)에 대해 오프셋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브릿지(10)는 인접한 외부 라인 채널(13)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외부 브릿지(12)는 인접한 라인 채널(1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도 2 및 도 3을 비교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실시예에서 내관(3) 및 외관(7) 그리고 바깥 관(8)이 원형 횡단면을 가진 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나타난다. 내관(3)은 실시예에서 외관(7)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내관(3)과 외관(7)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는 실시예에서 바깥 관(8)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내관(3)의 내경(d)은 바람직하게 2 내지 6 ㎜이다. 라인 채널(11)의 방사방향 폭(ri)은 바람직하게 0.8 내지 1.5 ㎜ 이다. 외부 라인 채널(13)의 방사방향 폭(ra)은 바람직하게 0.8 내지 1.5 ㎜이다. 내관(3)의 벽 두께 및 외관(7)의 벽 두께 및 바깥 관(8)의 벽 두께는 바람직하게 0.9 내지 2.2 ㎜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템퍼링될 유체 또는 요소 용액이 내관(3)과 외관(7) 사이의 라인 채널(11)을 통해서도 흐를 수 있다. 이 경우, 템퍼링 유체는 바람직하게 한편으로는 내관(3)을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관(7)과 바깥 관(8) 사이의 외부 라인 채널(13)을 통해 흐른다.
1 커넥터
2 파이프 라인
3 내관
4 플러그 부재
5 접속 관
6 접속 관
7 외관
8 바깥 관
10 브릿지
11 라인 채널
12 외부 브릿지
13 외부 라인 채널

Claims (15)

  1. 템퍼링될 유체, 특히 템퍼링될 요소 용액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라인(2)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 특히 퀵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1)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4) 및/또는 슬리브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커넥터(1)는 템퍼링될 매체용 또는 템퍼링 유체용 내관(3)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3)은 적어도 상기 내관(3)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외관(7)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또는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내관(3)은 상기 외관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내관(3)과 상기 외관(7) 사이에 템퍼링 매체용 또는 상기 템퍼링될 매체용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11)이 배치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7)의 내벽은 다수의 브릿지(10)를 통해 상기 내관(3)의 외벽과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들(10)은 바람직하게 상기 내관(3)의 길이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바깥 관(8)이 제공되고, 내관(3) 및 외관(7)으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상기 바깥 관(8)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바깥 관(8)에 의해 둘러싸이며, 특히 상기 집합체의 원주 전체에 걸쳐 둘러싸이고, 상기 바깥 관(8)이 상기 내관(3)의 길이방향 중심축(M)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외관(7)과 상기 바깥 관(8)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1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관(8)의 내벽이 다수의 외부 브릿지(12)를 통해 상기 외관(7)의 외벽과 연결되고, 상기 외부 브릿지들(12)은 바람직하게 상기 내관(3)의 길이방향 중심축(M)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들(10) 및/또는 상기 외부 브릿지들(12)은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 및/또는 상기 외관(7) 및/또는 상기 바깥 관(8)의 벽 두께는 0.6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2.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 및/또는 상기 외관(7) 및/또는 상기 바깥 관(8)은 원통형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은 상기 외관(7)의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외관(7), 또는 내관(3)과 외관(7)으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상기 바깥 관(8)의 내부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의 내경(d) 대 상기 내관(3)과 상기 외관(7) 사이의 라인 채널(11)의 방사방향 폭(ri)의 비율 및/또는 상기 내관(3)의 내경(d) 대 상기 외관(7)과 상기 바깥 관(8) 사이의 외부 라인 채널(13)의 방사방향 폭(ra)의 비율이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4,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3)의 내경(d)이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인 채널(11)의 방사방향 폭(ri) 및/또는 외부 라인 채널(13)의 방사방향 폭(ra)은 0.5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는 자동차의 구성 요소이고, 상기 템퍼링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냉각액 또는 가열된 냉각수 및/또는 연료 또는 회수된 연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 매체가 먼저 상기 내관(3)과 상기 외관(7)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 채널(11)을 통해 제 1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또는 커넥터 섹션을 따라 흐르고, 상기 외관(7)과 상기 바깥 관(8)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13) 내로 상기 템퍼링 매체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템퍼링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인 채널(13)을 통해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1) 또는 커넥터 섹션을 따라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는 상기 템퍼링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관(5) 및/또는 상기 템퍼링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관(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바깥 관, 외관, 내관 및 외부 브릿지 및 브릿지로 이루어진 집합체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43308A 2012-04-20 2013-04-19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 KR102076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64969.3 2012-04-20
EP12164969.3A EP2653770B1 (de) 2012-04-20 2012-04-20 Verbinder, insbesondere Schnell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807A true KR20130118807A (ko) 2013-10-30
KR102076371B1 KR102076371B1 (ko) 2020-02-11

Family

ID=4600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308A KR102076371B1 (ko) 2012-04-20 2013-04-19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8296B2 (ko)
EP (1) EP2653770B1 (ko)
JP (1) JP6137925B2 (ko)
KR (1) KR102076371B1 (ko)
CN (1) CN10337565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78B1 (ko) * 2013-12-27 2015-01-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파이프라인 배출 시스템의 드라이아이스 유발 관내폐색 방지 장치
KR101479879B1 (ko) * 2013-12-27 2015-01-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기의 열원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 시스템의 관내폐색 방지 방법
KR200477153Y1 (ko) * 2014-02-05 2015-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파이프 단열을 위한 고온수 순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0023B2 (en) * 2013-06-20 2016-04-1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inert gas in an aircraft
WO2015089033A1 (en) * 2013-12-12 2015-06-1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Heat-shielded conduit
EP3276243B2 (de) * 2016-07-28 2021-11-10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raftfahrzeug-fluidleitung
DE102016215455A1 (de) 2016-08-18 2018-02-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emperierbare Leitung insbesondere für ein Reduktionsmittel einer Abgasnachbehandlungsvorrichtung einer Kfz-Brennkraftmaschine
WO2018067304A1 (en) * 2016-10-05 2018-04-12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ic fitting with integral face seal
JP6737689B2 (ja) * 2016-11-11 2020-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引上式連続鋳造装置
SE541586C2 (en) * 2016-12-22 2019-11-12 Scania Cv Ab An arrangement for heating and providing a reducing agent to an exhaust treatment device
IT201800006074A1 (it) * 2018-06-06 2019-12-06 Condotto per un fluido da trasportare, in particolare in un veicolo a motore.
WO2020069435A1 (en) 2018-09-28 2020-04-02 Us Gse Inc. Parallel flow and counterflow insulated preconditioned air delivery system
CN109379828B (zh) * 2018-11-29 2023-05-09 烟台海灵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热等离子体双层冷却降温装置
US11441850B2 (en) * 2020-01-24 2022-09-1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tegral mounting arm for heat exchanger
US11460252B2 (en) 2020-01-24 2022-10-0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eader arrangement for additively manufactured heat exchanger
US11703283B2 (en) 2020-01-24 2023-07-1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adial configuration for heat exchanger core
US11453160B2 (en) 2020-01-24 2022-09-2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ethod of building a heat exchanger
US20230020829A1 (en) * 2021-07-14 2023-01-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rawn polymer fibers for use in thermal appl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893A1 (en) * 1992-08-13 2005-05-26 Radiant Medical, Inc. Heat transfer cathet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60103195A (ko) * 2005-03-24 2006-09-28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휘발성분을 함유한 유체용 라인시스템
US20110241333A1 (en) * 2007-10-26 2011-10-06 Voss Automotive Gmbh Line Connector and Line Set for Fluid Media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4859A (en) * 1934-08-27 1936-09-22 Roy E Kitching Drill stem
US2325464A (en) * 1940-09-03 1943-07-27 Clyde E Bannister Hose
US4157194A (en) * 1976-05-27 1979-06-05 Tokan Kogyo Co., Ltd. Thermoplastic multi-walled pipes
US4315408A (en) * 1980-12-18 1982-02-16 Amtel, Inc. Offshore liquified gas transfer system
JPS581886U (ja) * 1981-06-26 1983-01-07 清水建設株式会社 ダクト
JPS58132280U (ja) * 1982-03-02 1983-09-06 東横化学株式会社 2重管
JPS62113984A (ja) * 1985-11-12 1987-05-25 日本ピラ−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製二重管
DE3815608A1 (de) * 1988-05-04 1988-12-01 Siegfried Pusch Universalrohr mit schottwandrohr
GB8918844D0 (en) * 1989-08-18 1989-09-27 Shell Int Research Wellhead assembly
JP2901089B2 (ja) * 1990-09-05 1999-06-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DE4206096A1 (de) * 1992-02-27 1993-09-02 Wolf Woco & Co Franz J Koaxialrohr
US5239964A (en) * 1992-05-11 1993-08-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centric fuel line system
US5265652A (en) * 1992-05-29 1993-11-30 Couple-Up, Inc. Multiaxial fuel transfer pipe system
GB2290848A (en) * 1994-07-01 1996-01-10 Draftex Ind Ltd Multi channel pipes
US5687993A (en) * 1994-10-31 1997-11-18 Hyclone Laboratories Dual containment system for transferring sterile fluids to and from a container
US5611373A (en) * 1995-04-27 1997-03-18 Handy & Harman Automotive Group, Inc. Laminated fuel line and connector
US6032699A (en) * 1997-05-19 2000-03-07 Furon Company Fluid delivery pipe with leak detection
SE525007C2 (sv) * 2003-03-17 2004-11-09 Vattenfall Ab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bromsa och desintegrera en i en ledningskanal framrusande vätskeplugg
US7156125B2 (en) * 2003-09-15 2007-01-02 Teleflex Fluid Systems, Inc. Coaxial hos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2005056651A1 (de) * 2005-11-25 2007-05-31 Behr Gmbh & Co. Kg Koaxialrohr oder Rohr-in-Roh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en Wärmetauscher
DE102006006211B3 (de) * 2006-02-09 2007-09-20 Rehau Ag + Co Baugruppe zum Leiten und Temperieren einer Harnstoff-Wasser-Lös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6017816B4 (de) * 2006-04-13 2008-04-24 Eaton Fluid Power Gmbh Innerer Kältemaschinen-Wärmetauscher
DE102007044980A1 (de) * 2006-09-19 2008-03-27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JP2009068348A (ja) * 2007-09-10 2009-04-0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用尿素水配管構造
CN101545565A (zh) * 2008-03-28 2009-09-30 王广武 相变蓄能恒温复合输液管
CN102278547A (zh) * 2011-06-17 2011-12-14 黄中南 聚酰胺合金纳米复合材料保温套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893A1 (en) * 1992-08-13 2005-05-26 Radiant Medical, Inc. Heat transfer cathet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60103195A (ko) * 2005-03-24 2006-09-28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휘발성분을 함유한 유체용 라인시스템
US20110241333A1 (en) * 2007-10-26 2011-10-06 Voss Automotive Gmbh Line Connector and Line Set for Fluid Med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78B1 (ko) * 2013-12-27 2015-01-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파이프라인 배출 시스템의 드라이아이스 유발 관내폐색 방지 장치
KR101479879B1 (ko) * 2013-12-27 2015-01-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기의 열원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 시스템의 관내폐색 방지 방법
KR200477153Y1 (ko) * 2014-02-05 2015-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파이프 단열을 위한 고온수 순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371B1 (ko) 2020-02-11
EP2653770B1 (de) 2018-07-25
JP6137925B2 (ja) 2017-05-31
CN103375656A (zh) 2013-10-30
JP2013224738A (ja) 2013-10-31
CN103375656B (zh) 2017-09-22
EP2653770A1 (de) 2013-10-23
US20130277959A1 (en) 2013-10-24
US10018296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371B1 (ko) 커넥터, 특히 퀵 커넥터
US9702492B2 (en) Line connector and line set for fluid media
US9284871B2 (en) Dosing module
US10473252B2 (en) Line connector and line set for fluid media
US9995194B2 (en) System for preventing the urea crystal formation within an exhaust gas after treatment system
US8209957B2 (en) Heatable hose conduit system for an exhaust-gas aftertreatmen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353662B2 (en) Fabricated media line and use in an SCR catalyst system
KR101502498B1 (ko) 개선된 주입기 마운트
US10012124B2 (en) Angled and compact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CN102788221B (zh) 流体管路
KR101521741B1 (ko) 요소-수용액용 인젝터
CN109863342B (zh) 机动车辆流体管线
EP1770251B1 (de) Beheizbarer Schlauchleitungsmodul für Abgasnachbehandlungsanlagen von Brennkraftmaschinen
KR20200046064A (ko) 특히 scr 시스템 또는 물 분사 시스템의 가열 가능한 유체 덕트용 커넥터
CN110023603B (zh) 用于后处理系统的管道混合器
JP2020533543A (ja) コネクタ
KR102265870B1 (ko) 가열 가능한 매체 라인
US9920673B2 (en) Tempered SCR-line and tempered SCR-line bundles
WO2016052156A1 (ja) 断熱配管
US20160258335A1 (en) Marine Exhaust System With Catalyst
KR101675461B1 (ko) 농기계용 엔진 배기가스 복합정화장치
JP2016070190A (ja) 断熱配管
IT201900007010A1 (it) Linea per un fluido riscaldabile comprendente più condotti, in particolare per un sistema SCR o un sistema di iniezione ad acqua, e processo di assemblaggio.
JP2016176389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ホース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