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668A - 혈관 폐쇄용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폐쇄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668A
KR20130118668A KR1020120041744A KR20120041744A KR20130118668A KR 20130118668 A KR20130118668 A KR 20130118668A KR 1020120041744 A KR1020120041744 A KR 1020120041744A KR 20120041744 A KR20120041744 A KR 20120041744A KR 20130118668 A KR20130118668 A KR 20130118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vessel
blood
blood vessel
aneury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철
Original Assignee
서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철 filed Critical 서대철
Priority to KR102012004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8668A/ko
Publication of KR2013011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혈관 폐쇄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는 혈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스텐트와 이 스텐트에 연결되어 스텐트를 혈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스텐트를 밀어내는 푸셔 와이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스텐트는, 혈관 내부로 삽입된 후 혈관 내벽에 고정되고, 고정된 스텐트 내부로 혈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망상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다양한 혈관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며 혈관 질환에 발생하는 혈류역학적 인자(factor)를 제거 또는 경감시키고, 혈관 질환 부위에 추가적인 혈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혈관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 폐쇄용 장치{Intravascular occlusion device}
본 발명은 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뇌혈관 등과 같은 혈관 내에 삽입되어 혈류를 차단하는 혈관 폐쇄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혈관 질환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에 이상이 생겨 다양한 신경학적 결손 즉, 의식장애, 편측 마비, 언어 장애등이 수반되는 질환으로, 발증 형태에 따라 두개 내의 혈관 일부가 파손되어 출혈하는 출혈성 뇌질환과 혈관 속의 혈액 흐름이 나빠지거나 막히는 허혈성 뇌질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출혈성 뇌질환은 뇌동맥벽이 압력 때문에 파열하면서 뇌조직 내부에 혈종이 형성되어 뇌조직을 압박함으로써 생기는 상태로 뇌출혈과 지주막하 출혈로 더 상세히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지주막하 출혈의 주 원인인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는 주로 동맥 분지부에 위치한 뇌혈관벽의 선천적 결함이나 후천적인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혈관벽의 일부가 부풀어 오른 것을 말한다. 부풀어오른 뇌동맥류가 파열되는 경우, 뇌를 둘러싸고 있는 뇌지주막과 연막 사이의 뇌척추액이 순환하는 공간으로 출혈이 일어나면서 극심한 두통이나 경부 강직, 요통이나 좌골신경통, 의식소실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뇌동맥류는 40∼6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20∼30대에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발생율은 대략적으로 전체 인구의 4-5%에 이르고, 매년 인구 10만 명 당 10.3-10.5 명의 뇌동맥류 파열빈도를 보이고, 전체 사망원인의 0.46-0.59%를 차지한다. 뇌동맥류가 파열한 경우 약 1/3은 현장에서 사망하고, 약 1/3은 후송 도중 혹은 입원 중 사망하거나 상태가 나빠 수술을 받지 못하고, 나머지 1/3 만이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수술에 의하여 생존한 경우라 하더라도 정신 및 신경적 휴우 장애를 남기게 되어, 전체 환자의 약 20% 내외에서만 완전한 치유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뇌동맥류의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요법과 뇌혈관 중재술 두가지가 있는데, 동맥류의 경부(neck) 및 원개(dome)의 모양에 따라 적절한 시술을 선택하여 이용하고 있다. 외과적 수술요법으로는 동맥류의 경부를 클립(clip)으로 결찰하여 체순환으로부터 분리하는 직접 경부 결찰(direct neck clipping), 동맥류의 원위부(distal portion)와 근위부(proximal portion)를 결찰하는 트랩핑(trapping) 및 동맥류의 근위부만 결찰하는 근위부 결찰(proximal clipping) 등이 있다. 뇌혈관 중재술로는 백금 코일 등을 동맥류 내강에 삽입하여 동맥류를 정상 혈류로부터 차단키시고, 혈전 형성을 유도하는 혈관 내 코일 색전술(endovascular coiling) 등이 있다.
최근 들어, 뇌세포 보호 약제들의 개발, 결찰술에 이용되는 클립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뇌동맥류의 경부 결찰술은 대부분 성공적인 반면, 일부 거대 동맥류(giant aneurysms)나 위험한 곁가지(perforators) 혈관을 가진 방추형 동맥류(fusiform aneurysms)의 경우, 이러한 전통적인 결찰술이나 코일 색전술로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동맥류의 기저부가 모혈관의 직경보다 몇 배나 넓은 거대 동맥류나 방추형 동맥류의 경우 동맥류의 경부 또한 넓어진다는 해부병리학적 특성 때문이다.
거대 뇌동맥류는 정상 크기의 경부를 가진 작은 동맥류가 점차 커지면서 형성된다. 작은 낭상 동맥류낭(saccular aneurysm) 내에 계속적인 혈류역학적 압력이 가해지면 혈류의 소용돌이로 인하여 동맥류 내벽에 내피 손상이 일어나고, 그 결과 활성 혈소판의 응집과 침작을 유발시켜 점차적인 층상배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동맥류벽의 손상과 미세출혈이 반복되는 동안 동맥류벽이 점점 두꺼워지고 동맥류의 경부(neck)와 원개(dome)의 확대가 일어나 거대 동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거대 동맥류의 한 종류인 방추상 동맥류는 혈관벽의 동맥경화적 퇴행성 변화로 동맥혈관이 팽대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대개 혈관 내벽의 동맥경화성 변성으로 혈관 내막(intima), 탄력층(elastica) 및 근육층(muscular layer)에 손상을 받아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선천성 질환 및 감염에 의한 혈관 내벽의 손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방추상 동맥류의 경우, 일반 동맥류와 달리 모혈관(parent artery)과 만나는 동맥류의 경부(neck) 부분이 오므라들면서 만입하는 형태가 아니라 방추형으로 넓게 퍼져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기한 외과적 수술이나 혈관 중재술에 의한 색전술로서 치료가 어려웠다.
거대 동맥류의 가장 큰 특징은 직경이 4mm이상인 광폭 경부(wide neck)을 가지며, 동맥류 내 측상 혈전(laminated thrombus), 동맥경화성 플라크(atheromatous plaque) 침착 등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거대 동맥류에 경부 결찰술을 시행할 경우 뇌동맥류의 조숙 파열(premature rupture), 클립시 모혈관의 협소(narrowing) 또는 협착(stenosis), 천공동맥 손상(perforator damage) 등이 발생하여 시술이 끝난 후 높은 이환률(morbidity)과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거대 동맥류가 주로 발생하는 부위인 내경동맥 분지부, 중대뇌동맥분지 및 기저동맥분지부 등이 간뇌, 뇌간 등 뇌의 주요 부분과 인접해 있다는 점, 그리고 동맥류 경부 내로 모혈관 또는 기저핵 천공동맥이 합입되거나, 죽종(atheroma)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들 또한 경부 결찰 시술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동맥류 내 색전화술 역시 상기와 같이 넓은 경부를 가진 동맥류낭의 내부에 색전 코일을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동맥류를 완전히 폐색시켰다 하더라도 나중에 재소통(recanalization) 되거나, 혈관 내에서 색전 코일이 이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히려 동맥류 파열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거대 동맥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면서, 혈관 내벽에서의 혈소판 침전과 혈전 형성 등의 변화가 역동적으로 일어나므로, 거대 동맥류 내부가 색전 코일로 채워졌다 할 지라도 완전히 폐색되지 않는 경우 점점 크기가 커질 수 있으며, 어느 때라도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거대 동맥류에서 생성하는 영양성 인자 및 세포 동력성 인자(trophic and cytokinic factors)의 제거와 경감이라는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면서, 기존의 결찰술이나 코일 색전술로 치료가 어려운 경부를 가진 거대 뇌동맥류의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다양한 혈관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시술에서 혈류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혈관 폐쇄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거대 동맥류 등이 발생한 혈관 내에 삽입되어 동맥류에서 발생하는 혈류역학적 인자(factor)를 제거 또는 경감하고, 동맥류의 성장 및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혈관의 혈류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혈관 폐쇄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는 혈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에 연결되어 상기 스텐트를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를 밀어내는 푸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된 후 혈관 내벽에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스텐트 내부로 혈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망상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스텐트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스텐트는 압축된 형태로 혈관 내부로 전달되어 자가 팽창 방식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혈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스텐트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 및 근위부 측 말단에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city) 물질로 형성된 마커(mark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혈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에 연결되어 상기 스텐트를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를 밀어내는 푸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된 후 혈관 내벽에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스텐트 내부로 혈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망상구조를 가지는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제1도관을 상기 혈관 내부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푸셔 와이어를 이용하여 압축된 형태의 상기 스텐트를 상기 제1도관을 통해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혈관 내부에서 자가 팽창된 상기 스텐트 내부로 제2도관을 통해 상기 혈관 차단 부재를 전달하여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텐트로부터 상기 푸셔 와이어를 분리하여 상기 혈관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스텐트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면, 다양한 혈류 질환, 예컨대 동맥류가 발생한 모혈관 자체를 폐쇄시킴으로써 동맥류에서 발생하는 혈류역학적 인자(factor)를 제거 또는 경감시키고, 동맥류 부위에 추가적인 혈전 및 혈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동맥류의 확장을 방지하고 파열에 의한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이 때, 동맥류가 생성되어 있는 혈관 대신 건강한 혈관으로 우회하여 혈액이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혈관의 폐쇄에 따른 부작용이 생기는 것은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면, 적어도 스텐트의 원위부쪽 말단은 폐쇄된 구조를 가지므로, 혈액이 계속 흐르고 있는 혈관에 배치된 스텐트의 내부로 코일과 같은 혈관 차단 부재를 충전하더라도 충전된 혈관 차단 부재는 스텐트의 폐쇄된 원위부의 말단에 의하여 더 이상 혈류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스텐트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원위부의 말단이 폐쇄된 스텐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혈류 차단 구조는 장시간 혈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시술 후에도 안정적으로 생활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현재 뇌동맥류 색전술에 이용되고 있는 스텐트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의 압축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의 팽창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가 압축된 형태로 제1도관을 통해 혈관 내부로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의 스텐트가 혈관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 내부에서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에서 푸셔 와이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여 동맥류가 형성된 혈관 내에서 혈류를 차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현재 뇌동맥류 색전술에 이용되고 있는 스텐트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텐트(10)는 원통형의 금속 그물망 형태를 가진 의료용 임플란트이다. 이러한 스텐트(10)는 양 말단(11)(12) 또는 원말단(distal end)(11)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외과적 수술에 의하는 경우 수술에 따른 위험이 큰 뇌혈관 질환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수술 대신 최소한의 침습적인 치료 방법으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스텐트를 이용한 중재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의 스텐트(10)는 X선 투시 하에 뇌동맥류가 형성된 모혈관(2)의 내부에 카테터와 같은 작은 도관(미도시)을 통하여 삽입된다. 도관에서 빠져나온 스텐트(10)는 뇌동맥류의 경부(neck)(4)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혈관 크기에 맞게 원통형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후, 팽창된 스텐트(10)의 내부를 통하여 제2 도관(미도시)에 삽입된 코일이 뇌동맥류(3)의 내강까지 전달되고, 코일은 색전 구조(5)를 형성하여 뇌동맥류(3)의 내강을 폐쇄시킴으로써 뇌동맥류(3)로의 추가적인 혈류의 유입을 막게 된다.
그러나, 거대 동맥류 등과 같은 혈관 질환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술의 경우 동맥류 모혈관(2)에는 여전히 혈류의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동맥류(3) 내강을 막고 있는 색전 코일(5) 사이의 빈 공극을 통해 혈전이나 혈류가 계속적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맥류 성장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혈류의 원운동 등에 의한 혈류역학적 압력을 완전히 차단시키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2a 이하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류 및 혈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을 완전히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혈류를 차단하는 구조가 혈관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장시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의 압축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의 팽창된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혈관 폐쇄용 장치(1)는 혈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스텐트(10), 및 이 스텐트(10)에 연결되어 있는 스텐트(10)를 혈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밀어내는 푸셔 와이어(20)를 포함한다.
스텐트(10)는 혈관 내부에 전달되기 위하여 이용하는 작은 도관 내부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압축된 형태(도 2a 참조)와 혈관 내부에서 팽창된 형태(도 2b 참조)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유연하고 탄력있는 구조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혈관 내부에 오래 설치되어 있어도 혈관 내막에 협착되지 않으면서, 혈액과의 반응성 또한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는 복수의 와이어에 의하여 형성된 망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의 재질은 백금 또는 백금의 합금, 니켈 및 티탄의 합금 또는 초탄성 물질(super-elastic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텐트(10)는 압축된 형태로 전달되었다가 혈관 내부에서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10)는 니티놀(nitinol) 또는 다른 공지의 온도 반응성의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상 기억 재료가 아닌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텐트(10)는 적어도 차단시키고자 하는 동맥류의 경부 전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스텐트의 내경은 압축되었을 경우 카테터와 같은 작은 도관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하고, 혈관 내부에서 팽창할 경우에는 혈관 내벽에 접할 정도로 팽창하여 혈관 내부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텐트(10)는 혈관 차단 부재(50)가 혈액과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적어도 혈관 원위부 측 말단(11)이 폐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혈관 원위부측 말단(11)이 폐쇄된 구조를 이용하면, 동맥류 경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스텐트(10)의 팽창된 내부로 후술할 혈관 차단 부재(50, 도 3c 참조)가 충전되는 과정에서, 충전된 혈관 차단 부재(50)가 혈류에 의하여 스텐트(10)의 바깥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혈관 차단 부재(50)의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스텐트(10) 내부에서 혈류 차단 구조(60, 도 3c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10)의 폐쇄된 말단 때문에 동맥류 경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혈류 차단 구조(60)는 혈관 내부에서 혈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하면, 스텐트(10)는 혈관 차단 부재(50)가 혈액과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적어도 혈관 원위부 측의 말단(11)이 폐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반대로, 스텐트(10)의 혈관 근위부 측 말단(12)은 반드시 폐쇄될 필요는 없으나, 스텐트(10)의 효율적인 조작(예컨대, 혈관 내부로의 삽입이나 혈류 차단 부재의 고정 등)을 위하여 양쪽 말단(11, 12)이 모두 폐쇄될 수도 있다.
스텐트(10)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11)과 근위부 측 말단(12)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마커(marker)(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커(13)는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city)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10)의 양 단부(11, 12)에 구비되어 있는 마커(13)는, 시술자가 X선 투시 하에서 혈관 내부로 삽입되는 스텐트(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술자는 시술을 마친 후에도 마커(13)를 이용하여 혈관의 X선 투시 영상을 통해 스텐트(10)가 동맥류의 경부(neck)를 막는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마커(13)를 형성하는 방사성 불투과성 물질로 백금, 금, 팔라듐, 탄탄륨, 또는 텅스텐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나 이들의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푸셔 와이어(20)는 긴 와이어의 형상으로서 스텐트(10)에 결합되어 있다. 푸셔 와이어(20)는 혈관 내부에 스텐트(10)를 전달할 때 이용되는 도관에 스텐트와 함께 삽입되어, 스텐트(10)가 혈관 내부에서 적절한 부위에 위치되도록 스텐트(10)를 밀거나 당기면서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푸셔 와이어(20)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푸셔 와이어(20)가 스텐트(10)에 결합되어 있는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의 혈관 근위부측 말단(1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푸셔 와이어(20)는 스텐트(10)와 마찬가지로 생체 저항성이 적은 백금 또는 백금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를 혈관 내에서 이용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이러한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a 내지 3d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1)를 이용하여 동맥류가 형성된 혈관 내에서 혈류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1)가 압축된 형태로 제1 도관(30)을 통해 혈관(2) 내부로 제공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텐트(10)는 압축된 형태로 제1 도관(30)에 삽입되어 제1 도관(30)과 함께 동맥류(3)가 형성된 혈관(2) 부위까지 제공되거나, 혈관(2) 내부에 먼저 삽입된 제1 도관(30) 내부를 통해 푸셔 와이어(20)를 이용하여 나중에 삽입될 수 있다(도 4의 단계 100). 이 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스텐트(10)의 양 말단(11, 12)에 구비되어 있는 마커(13)를 이용하여 혈관 투시 영상에서 스텐트(10)의 중심부가 동맥류의 경부(4)를 가로막는 위치에 적절히 배치되도록 스텐트(1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의 스텐트가 혈관 내부에서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3b의 우측에는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관(30)은 스텐트(10)가 혈관(2)의 내부에서 팽창할 수 있도록 제거되고, 스텐트(10)는 스텐트(10)의 중심부가 동맥류의 경부(4)를 가로막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2) 내벽에 접촉할 때까지 팽창한다(도 4의 단계 101).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스텐트(10)는 구부러진 혈관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텐트(10)의 내부에는 아무 것도 충전되어 있지 않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 내부에서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3c의 우측에는 BB 부분에 대한 단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팽창된 스텐트(10)의 내부 공간으로 다시 제2 도관(40)을 통하여 혈관 차단 부재(50)가 제공된다(도 4의 단계 102). 혈관 차단 부재(50)는 제2 도관(40)과 함께 혈관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또는 먼저 삽입된 제2 도관(40)을 따라 나중에 공급될 수도 있다.
제2 도관(40)을 통하여 스텐트(10)의 내부로 삽입된 혈관 차단 부재(50)는 스텐트(10)의 내부에서 휘어져서 말리거나 및/또는 스텐트(10)의 원위부측 폐쇄 말단(11)에 접촉하면서 보다 더 휘어질 수 있다. 제2 도관(40)을 따라 스텐트(10) 내부로 계속 충전되면서 혈관 차단 부재(50)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나선형 형태로 권취되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0) 내부에서 혈류 차단 구조(60)를 형성하게 된다. 혈관(2)에 충전된 혈관 차단 부재(50)의 존재는 BB 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통해서도 파악될 수 있다. 한편, 혈관 차단 부재(50)는 스텐트(10) 내부에 설치되어 혈관 근위부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혈전이나 혈류를 지속적으로 차단해야 하므로 스텐트(10)와 마찬가지로 생체 저항성과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관 차단 부재(50)는 백금 또는 백금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코일로 이루어져, 스텐트(10) 내부에서 혈류 차단 구조(60)를 형성한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폐쇄용 장치(1)에서 푸셔 와이어(2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스텐트(10)의 내부에 혈관 차단 부재(50)가 충전되어 혈류 차단 구조(60)를 형성하여 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류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스텐트(10)를 혈관 내부로 삽입하는 데 이용된 푸셔 와이어(20)는 스텐트(10) 말단에서 분리된다(도 4의 단계 103). 푸셔 와이어(20)의 분리 방법은 푸셔 와이어(20)가 스텐트(10)에 결합된 방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셔 와이어(20)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스텐트(10) 말단에 걸려 스텐트(10)을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도록 걸쇠 형태의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걸린 고리를 움직여서 스텐트(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는, 푸셔 와이어(2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로부터 생성되는 저항 때문에 발생한 열에 의하여 스텐트(10)와의 연결 부위가 용융되면서 분리될 수도 있다.
분리된 푸셔 와이어(20)은 제1 도관(30) 및 제2 도관(40)과 함께 또는 각자의 역할이 끝나는 순서대로 혈관으로부터 회수되고, 혈관(2)은 혈관 폐쇄 장치(1)에 의하여 혈류 및 혈전의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혈관 폐쇄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동맥류 및 주변 조직 내에서 소정의 효과 및 반응을 증대 및/또는 억제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재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의 배치 또는 혈전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극을 감소시킴으로써 혈관의 내막 비후(intimal thickening)를 억제하거나, 혈관 근육 조직이 증식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혈관 폐쇄용 장치 2.. 혈관
3.. 동맥류 4.. 동맥류 경부
5.. 색전 코일 10.. 스텐트
11.. 원위부 측 말단 12.. 근위부 측 말단
13.. 마커 20.. 푸셔 와이어
30.. 제1 도관 40.. 제2 도관
50.. 혈관 차단 부재 60.. 혈류 차단 구조

Claims (6)

  1. 혈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에 연결되어 상기 스텐트를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를 밀어내는 푸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된 후 혈관 내벽에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스텐트 내부로 혈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망상 구조를 가지는 혈관 폐쇄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망상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폐쇄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압축된 형태로 혈관 내부로 전달되어 자가 팽창 방식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혈관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폐쇄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 및 근위부 측 말단 각각에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city) 물질로 형성된 마커(mark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폐쇄용 장치.
  5. 혈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에 연결되어 상기 스텐트를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를 밀어내는 푸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된 후 혈관 내벽에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스텐트 내부로 혈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혈관 차단 부재가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망상구조를 가지는 혈관 폐쇄용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제1 도관을 상기 혈관 내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푸셔 와이어를 이용하여 압축된 형태의 상기 스텐트를 상기 제1 도관을 통해 상기 혈관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혈관 내부에서 자가 팽창된 상기 스텐트 내부로 제2 도관을 통해 상기 혈관 차단 부재를 전달하여 혈류 차단 구조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텐트로부터 상기 푸셔 와이어를 분리하여 상기 혈관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 폐쇄용 장치의 이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혈관 원위부 측 말단이 폐쇄된 원통형의 망상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폐쇄용 장치의 이용 방법.
KR1020120041744A 2012-04-20 2012-04-20 혈관 폐쇄용 장치 KR20130118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44A KR20130118668A (ko) 2012-04-20 2012-04-20 혈관 폐쇄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744A KR20130118668A (ko) 2012-04-20 2012-04-20 혈관 폐쇄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668A true KR20130118668A (ko) 2013-10-30

Family

ID=4963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744A KR20130118668A (ko) 2012-04-20 2012-04-20 혈관 폐쇄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86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948A (ko) * 2016-12-07 2018-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뇌압 측정 장치
KR20200025127A (ko) 2018-08-29 2020-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처럼 사용 가능한 스텐트 카테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948A (ko) * 2016-12-07 2018-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뇌압 측정 장치
CN110049721A (zh) * 2016-12-07 2019-07-23 财团法人峨山社会福祉财团 脑压测定装置
KR20200025127A (ko) 2018-08-29 2020-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처럼 사용 가능한 스텐트 카테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7307B2 (ja) 閉塞デバイス
CA3073232C (en) Occlusion device
US6096034A (en) Aneurysm closure device assembly
AU709076B2 (en) Aneurysm closure device assembly
JP4472525B2 (ja) 血管障害部位の塞栓具
JP2020093154A (ja) 改善された動脈瘤閉塞装置
CN106073848B (zh) 具有引线框架线圈的可膨胀血管闭塞装置
US11583288B2 (en) Delivery of embolic braid
BR102019016092A2 (pt) Sistema de distribuição espiral para trança embólica
CA2731735A1 (en) Vascular remodeling device
JP2003524433A (ja) 迅速脱着する電気的に絶縁されたインプラント
JP2020039874A (ja) 改善された動脈瘤閉塞デバイス
JP6100454B2 (ja) 生体管腔閉塞装置
CA2837420A1 (en) Aneurysm devices with additional anchor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13423347A (zh) 血管闭塞装置
KR20130118668A (ko) 혈관 폐쇄용 장치
WO2024035592A1 (en) Delivery devices for treatment of vascular defects
WO2023091852A1 (en) Vaso-occlusive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18175965A (zh) 血管闭塞设备及其制造和使用方法
JP2008054901A (ja) 血管内補強具
AU4739199A (en) Aneurysm closure devic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