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414A -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 Google Patents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414A
KR20130117414A KR1020120039747A KR20120039747A KR20130117414A KR 20130117414 A KR20130117414 A KR 20130117414A KR 1020120039747 A KR1020120039747 A KR 1020120039747A KR 20120039747 A KR20120039747 A KR 20120039747A KR 20130117414 A KR20130117414 A KR 2013011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unit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6394B1 (en
Inventor
윤병만
이은숙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병만
이은숙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만, 이은숙, 윤채희 filed Critical 윤병만
Priority to KR102012003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394B1/en
Priority to PCT/KR2013/002835 priority patent/WO2013157762A1/en
Priority to CN201380017199.2A priority patent/CN104246097B/en
Publication of KR2013011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94B1/en
Priority to US14/498,890 priority patent/US95282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door opening or closing device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lock a door and to monitor the open or close of the door. CONSTITUTION: A digital door opening or closing device comprises a housing (100), a key input unit (200), a recognition unit (300), a door opening or closing unit (400), a power supply unit (600), an open button unit (700), a fire sensing sensor (800), a passive open button unit (900), an emergency key insertion groove (950), and a control unit (1000).

Description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본 발명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될 뿐만 아니라,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that can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as well as the door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door handl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칩, 스마트카드, 지문 등을 활용하는 첨단 잠금장치이다. 모든 디지털도어록은 전자키, 비밀번호, 카드 혹은 지문인식을 이용하고 전자적인 반응에 의하여 문을 여닫는다. In general, a digital door lock is an advanced locking device that uses a password, a semiconductor chip, a smart card, or a fingerprint instead of an existing key. All digital door locks use electronic keys, passwords, cards or fingerprints and are opened and closed by electronic response.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티스는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와, 실내에 설치되는 인바디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한다.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has a mortise is provided with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on the inside of the door, the mortis is organically coupled to the out 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the in-body installed in the room to lock the door Perform the function and release function.

그러나,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를 해제하여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고자 할 때, 먼저 레버를 돌리거나 또는 버튼을 눌러 데드볼트를 해제한 후,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해제한 다음 그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해야 하는 3가지 동작을 행해야 한다.However, when releasing the inbody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going out of the room, first release the dead bolt by turning the lever or pressing the button, and then release the latch bolt by rotating the door handle. Three actions must be taken to push or pull to open the door.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방문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방문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tinuous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door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door by hand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is difficult for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rotate the door handle, making it difficult to enter and exit the door. When a user holding an object wants to go ou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utting the object on the floor or opening another door after opening the door with the help of another person.

또한, 종래의 모티스는 대부분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왼손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불편함을 감수하며 사용하거나, 아니면 왼손 사용자를 위한 모티스를 따로 구입해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mortis is made on the basis of those who use the right hand, those who use the left hand have a problem in that they use the inconvenience or otherwise purchase and install the mortise for the left hand user separately.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또는 긴급한 피난을 요하는 화재, 홍수 등의 비상사태발생시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면 조작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어 손잡이의 회전동작으로 조작이 신속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rowd is crowded in a public office or a performance hall, or when an emergency occurs such as a fire or flood that requires an emergency evacuation, the user may not be able to operate it easily. There is a problem that may occur.

한국공개특허: 10-2010-0070191 (공개일 2010.06.25)Korean Publication Patent: 10-2010-0070191 (Published 2010.06.25)

한국등록특허: 10-1008980 (공고일 2011.01.17)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008980 (Notice date 2011.01.1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손잡이부가 밀림 또는 당김되는 속도 및 롤러의 구름운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by the speed of the handle is pushed or pulled and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er when the handle portion of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in the direction that the door is opened.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locks the door automatically when the door is cl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도어에는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to be locked automatically when the door is closed, such as a public office or a performance hall, so that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실외측면에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상기 도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는 내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출입문개폐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도어를 오픈하는 오픈버튼부; 상기 도어의 닫힘시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 및 상기 각 구성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개폐부는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길 때 가감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감지되며,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n outer case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and the inner case coupled to the outer case with the door interposed between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housing; A key input unit installed in an outer case of the housing and for inputting a password; A door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erforming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by comparing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with a preset password; An open button unit installed at an inner cas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automatically open a door; A manual opening button unit for apply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door is not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here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or closed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the speed of being adjusted when the handle part is pushed or pulled. The door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or when the door is clos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ve control to automatically lock the door is not made.

상기 하우징의 외부케이스에는 방문자를 인식하는 인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부는 도어폰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바람직하다. The outer case of the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isit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with the preset information. Here, the recognition unit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door phone camera, card reader, fingerprint reader, iris reader.

상기 출입문개폐부는 일측면에 래치볼트가 인입되는 제 1 개구부와 데드볼트가 인입되는 제 2 개구부와, 감지볼트가 삽입되는 제 3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 케이스 하부측에 구비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면 래치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밀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를 놓으면 래치볼트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가 닫힘되는 래치볼트이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를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이동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하우징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파지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공간에 일단부가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이루어지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body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a latch bolt is inserted and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a dead bolt is introduced, a third opening through which a detection bolt is inserted, and a lower side of an inner / outer case of the housing. Whe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and the push and pull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handle portion is pushed or pulled, the latch bolt is inserted into the door to open the door, and when the handle portion which is pushed or pulled is released, the latch bolt protrudes out of the door The latch bolt moving unit is closed,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ead bolt moving unit for locking / unlock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Here, the handle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one end of the gripping portion is fixed bracket having an inner space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one end is fit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bracke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holding part by which a press and pull operation | movement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는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닫힘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ead bolt moving unit to lock the door when the closing signal of the door is transmitted from the open / close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수동개방버튼부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so that the door is not locked when the manual open button unit receives a signal.

이에 더하여 상기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개폐확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and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an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onfirmation unit for outputting a voice in association with the speaker. Do.

상기 래치볼트이동부는 양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 롤러의 상승이동을 안내하는 상승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어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축에 중앙이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상승 가이드 블럭과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되며 타단부에 걸림쇠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쇠에 일단이 걸림되고 상기 몸체의 제 1 개구부에 인입된 래치볼트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감김되고 일단이 상기 몸체의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다.The latch bolt moving part is coupled to the handle part at both ends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 lifting guide block for guid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ller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moving member makes horizontal movement by pressing and pulling the handle part, and the mov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enter is provided with a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ising guide block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atch and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dur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atch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atch of the rotating member, the operation member is mov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ember Wound on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Is fixed consists of a return spring to restore the rotary member to rotate around the state.

여기서, 상기 상승 가이드 블럭은 롤러가 구름운동을 하여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완만한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ascending guide block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of a gentle ascending curve such that the roller makes the ascension by rolling.

특히, 상기 손잡이부는 이동부재의 상승 가이드 블럭이 롤러를 밀어내기 전까지는 쉽게 눌러지다가 상승 가이드 블럭이 롤러를 밀게 되고, 밀림되는 롤러가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승가이드 블럭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이동을 하게 되면 눌림되는 속도가 가감된다. In particular, the handle portion is easily pushed until the rising guide block of the moving member pushes the roller, the rising guide block pushes the roller, the roller being rolled up and moves up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ising guide block while rolling The speed at which it is pressed is reduced.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링크를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한 쌍의 링크 일단부를 상기 상승 가이드 블럭의 이동방향과 평행이되도록 절곡시킨 절곡부에 롤러를 힌지 결합시키며, 한 쌍의 링크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하향 절곡된 걸림쇠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The rotat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air of link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ller may be hinged to a bent portion in which one end of the pair of links is bent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ising guide block. It is coupled to, and is made by connecting the bent down b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links.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일측 바닥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쇠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양 측벽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걸림쇠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ember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o which the latch of the rotating member is caught on one bottom surfac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by a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상기 데드볼트이동부는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좌,우회전이 이루어지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며 작동축의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레버와, 상기 몸체의 제 2 개구부에 인입된 데드볼트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되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개폐부재로 구성된다. The dead bolt moving unit is drive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driving shaft that rotat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and is located inside the body and the le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It is composed of a rotary lever that is rotated to the right and coupled with the dead bolt introduced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move left and right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여기서, 상기 작동축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레버의 중앙에는 작동축이 끼움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축의 회전시 회전레버도 함께 회전된다.Here, the working shaft has a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square, the center of the rotary lever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hole in which the working shaft is fitted so that the rotating lever is also rotated when the working shaft is rotated.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중앙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이 삽입되며, 일측 상면에 회전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의 양 측벽에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요입홈을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핀에는 회전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hol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surface, the support pi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recess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is locked On both sidewalls of the concave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groove is formed so as not to leave the concave groove when the rotary lever rotat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spring is wound on the support pin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lever.

상기 전원공급부는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wer supply unit preferably includes an auxiliary power supply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온도를 감지하는 화제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출입문개폐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pic detection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is preferably controlled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exceeds the set temperature.

본 발명의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롤러의 상승이동으로 인해 가감된 속도 및 롤러의 구름운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아울러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 동작이 이루어짐으로 도어의 안전성 및 작동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le portion of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by the speed of the roller and the rolling movement of the roller due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ller, The smooth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achiev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door.

또한,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가 회전식이 아닌 눌림식으로 작동되어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또는 물건을 손에 들고 있는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 시 도어 부분이 녹는 경우 회전작동이 불가능한데, 눌림식의 경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rated in a depressed manner rather than a rotary type, so that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or the user holding the object can easily open the doo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When crowds are gathere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when the door part melts during a fire, rotational operation is impossible. In the case of a push type, it can be easily operat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또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져 출입문의 보안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thereby improving the security and safety of the door.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도어에는 도어의 닫힘 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the door that a lot of crowds, such as public offices or concert halls, so that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to make a quick access.

또한,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출입문개폐부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the rapid evacuation is made by automatically unlock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when the fire occu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외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내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개폐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입문개폐부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입문개폐부에서 회전부재와 작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개방에 따른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개방에 따른 래치볼트이동부 및 개폐감지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열림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출입문개폐부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닫힘에 따른 래치볼트이동부 및 개폐감지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닫힘에 따른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닫힘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출입문개폐부의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side appearance of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for explaining the rotat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shown in FIG.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bolt moving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bolt moving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oor clos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door clos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외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실내측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door side appearance of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side appearance of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gi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n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는 하우징(100), 키입력부(200), 인식부(300), 출입문개폐부(400), 전원공급부(600), 오픈버튼부(700), 화재감지센서(800), 수동개방버튼부(900), 비상키삽입구(950),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1 to 3,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key input unit 200, a recognition unit 300, a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a power supply unit 600, and an open button unit. 700, a fire detection sensor 800, a manual open button unit 900, an emergency key insertion opening 950, and a control unit 1000.

하우징(100)은 도어(10)를 사이에 두고 실외와 실내 측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외부케이스(110)와 내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100 is composed of an outer case 110 and an inner case 120 which are disposed on the outdoor and indoor sides with the door 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upled to each other.

키입력부(200)는 하우징의 외부케이스(110) 전면부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과 특수키 버튼이 조합된 키패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입력부(200)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200)는 제어부(10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 The key input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outer case 110 of the housing, and consists of a keypad that is a combination of numeric buttons and special key buttons for entering a password. Here, the key input unit 200 may be configured using a touch panel. The key input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and transmits the input password to the control unit 1000.

인식부(300)는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인식수단이란 CMOS 또는 CCD로 구성된 도어폰 카메라,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인식기 등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 외의 목소리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300)는 제어부(10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The recognition unit 300 includes a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visitor. Here, the recognition means means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visitors, such as a door phone camera composed of CMOS or CCD, a card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a card, a fingerprint reader, a iris reader. It may include a device that can recognize visitors by other voices or in other ways. The recogni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00.

출입문개폐부(400)는 하우징의 외부케이스(110)와 내부케이스(120) 사이의 도어(10)에 내설되고, 제어부(10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0)의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출입문개폐부(400)의 구성 및 개폐동작은 하기의 내용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door 10 between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20 of the housing,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0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10. Configuration an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전원공급부(600)는 교류전원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각 구성부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600)는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보조전원공급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전원공급부(610)는 비상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 정전인 경우 또는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 사태의 경우, 또는 주전원 배터리가 수명을 다한 경우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는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강한 전기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전기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전기적 충격으로 인한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power supply unit 600 supplies driving power of each component by using an AC power source or a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610 including an emergency battery.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610 includes an emergency battery to supply emergency power in case of power failure or in case of emergency in which AC power is not supplied, or when the main power battery reaches its end of life. Here,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housing. Therefore, when a strong electric shock is applied to the housing, the applied electricity is charged to the battery, thereby reducing the shock of the housing, and preventing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rom being destroyed by the electric shock.

오픈버튼부(700)는 하우징의 내부케이스(120)에 설치되고 제어부(1000)와 연결된다. 오픈버튼부(700)는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고자 할 때, 오픈버튼부(700)을 누르면 제어부(1000)에 오픈신호가 인가된다. The open button unit 700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120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When the open button unit 700 is to go out from the room, the ope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000 when the open button unit 700 is pressed.

화제감지센서(800)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케이스(120)에 설치된다. 화제감지센서(800)는 제어부(10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The topic detection sensor 800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120 of the housing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The topic detection sensor 8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and detects a temperature in the room and transmits an abnorm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0 when a temperature higher than a set temperature is detected.

수동개방버튼부(900)는 하우징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고, 제어부(1000)와 연결된다. 수동개방버튼부(900)는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도어에서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부(1000)에 신호를 인가한다. Manual open button unit 900 is installed on the outer case of the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0. The manual open button unit 900 applie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0 so that the door is not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in a door where many crowds, such as a public office or a performance hall, enter and exit.

비상키삽입구(950)는 하우징의 외부케이스(120)에 설치되고, 열쇠의 삽입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즉, 비상 열쇠를 비상키삽입구(950)에 끼우면 출입문개폐부(400)의 잠금해지 신호가 제어부(1000)에 인가된다. The emergency key insertion hole 950 is installed in the outer case 120 of the housing, and unlocks the door by inserting a key. That is, when the emergency key is inserted into the emergency key insertion hole 950, the unlocking signa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1000.

제어부(1000)는 키입력부(200), 인식부(300), 출입문개폐부(400), 전원공급부(600), 오픈버튼부(700), 화제감지센서(800), 수동개방버튼부(900), 비상키삽입구(9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0)는 키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전송되거나 인식부(300)로부터 인식된 정보가 전송되면 기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정보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또는 정보가 일치한 경우 출입문개폐부(400)의 잠금을 해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화재감지센서(800)로부터 이상신호를 전송받으면 출입문개폐부(400)의 잠금을 해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오픈버튼부(700)로부터 오픈신호를 전송받으면 출입문개폐부(400)의 잠금을 해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수동개방버튼부(900)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닫힘시 출입문개폐부(400)의 자동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출입문개폐부(400)의 잠금 동작을 제어하며, 비상키삽입구(950)에 열쇠가 삽입되어 신호가 인가되면 출입문개폐부(400)의 잠금을 해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1000 is a key input unit 200, the recognition unit 3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the power supply unit 600, the open button unit 700, the topic detection sensor 800, the manual open button unit 90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key insertion hole 950 to perform a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When the password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0 is transmitted or th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recognition unit 300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1000 compares the preset password or information to match the password or information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400.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unlock. In addi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8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and when receiving the open signal from the open button unit 700 to loc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terminate. In addition, when the signal of the manual opening button unit 900 is transmitted to control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so that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when the door is closed, the key to the emergency key insertion opening (950) Is insert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unloc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400 when the signal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개폐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입문개폐부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입문개폐부에서 회전부재와 작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4, and FIG. 6 is the door shown in FIG. 5.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rotat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개폐부(400)는 일측면에 래치볼트가 인입되는 제 1 개구부(412)와 데드볼트가 인입되는 제 2 개구부(413)와, 감지볼트가 삽입되는 제 3 개구부(414)가 형성되는 몸체(410)와, 내·외부 케이스(120,110) 하부측에 구비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420)와, 손잡이부(42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420)를 밀거나 당기면 래치볼트가 도어(10)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10)가 개방되고, 밀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420)를 놓으면 래치볼트가 도어(1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10)가 닫힘되는 래치볼트이동부(430)와, 도어(10)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제어부(1000)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490)와, 제어부(10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10)를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이동부(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door opening / clos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opening 412 through which the latch bolt is introduced into one side, a second opening 413 through which the dead bol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opening 413, and a detection bolt into which the detection bolt is inserted. 3 is coupled to the body 410, the opening 414 is formed, the handle portion 420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cases (120, 110) and installed to enable the pressing and pulling operation, and the handle portion 420 When the handle 420 is pushed or pulled, the latch bolt is introduced into the door 10 to open the door 10, and when the handle 420 that is being pushed or pulled is released, the latch bolt protrudes out of the door 10. The latch bolt moving unit 430 which the door 10 is close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90 which detects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00, and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0. It is composed of a dead bolt moving unit 500 for locking / unlocking (10).

몸체(41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회전부재(150), 작동부재(160)를 수용하는 본체(410a)와, 본체(410a)의 일면을 커버하는 덮개(410b)로 구성되며, 본체(410a)와 덮개(410b)는 다수의 체결부재(410c)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몸체(410)에는 덮개(410b)와 본체(410a)의 중앙을 관통하는 이동부재 관통홈(411)이 형성되고, 본체(410a)의 일측면에 래치볼트(480)가 인입되는 제 1 개구부(412)와, 데드볼트(560)가 인입되는 제 2 개구부(413)와, 제 1, 제 2 개구부(412,413) 사이에 감지볼트가 인입되는 제 3 개구부(4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제 2, 제 3 개구부(412,413,414)가 도어(10)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도어(10)에 내설된다. The body 410 is composed of a main body (410a) for receiving the rotating member 150, the operation member 160 and the cover 410b fo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410a) is opened one side, the main body ( 410a and the cover 410b are fastened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410c. The body 410 has a cover 410b and a moving member through hole 411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body 410a, and the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latch bolt 48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410a. 412, a second opening 413 through which the dead bolt 560 is introduced, and a third opening 414 through which the sensing bolt is introduced,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412 and 413. The first, second, and third openings 412, 413, and 414 are installed in the door 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

손잡이부(420)는 외부케이스(110)와 내부케이스(12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브라켓(421)과, 고정브라켓(421)에 끼움 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427)로 구성된다. The handle 420 is a fixing bracket 421 which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20, and a holding portion 427 which is fitted to the fixing bracket 421 to be pressed and pulled. It consists of

고정브라켓(421)은 내부에 파지부(135)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전, 후 이동될 수 있는 수용부(422)가 형성되고, 수용부(422)의 양측벽에는 가이드홀(423)이 형성되며, 도어(10)와 접촉되는 면의 중앙부에 수용부(422)와 연통되는 구멍(424)이 형성된다. 여기서, 구멍(424)은 이동부재(431)가 삽입되도록 이동부재(4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멍(424) 외측으로는 도어(10)의 면에 박음될 수 있는 뾰족한 형상의 고정돌기(425)가 복수개 형성된다. 고정돌기(425)는 접촉되는 도어(10)의 면에 박음되어 고정브라켓(42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bracket 421 has an accommodating part 422 which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135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guide holes 423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accommodating part 422. A hole 42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oor 10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portion 422. Here, the hole 424 has the same shape as the moving member 431 so that the moving member 431 is inser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inted fixing protrusions 425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ole 424 to be pinched on the surface of the door 10. The fixing protrusion 425 is driven to the surface of the door 10 to be contacted to serve to fix the fixing bracket 421 not to move.

파지부(427)는 일면의 중앙이 돌출연장되어 고정브라켓(421)의 수용부(422)에 끼움되고 수용부(422)의 가이드홀(423) 내에서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파지부(427)의 내측에는 고정브라켓(421)의 구멍(424)과 동일한 형상의 삽입홈(428)이 형성된다.The grip portion 427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one surface thereof to be fit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22 of the fixing bracket 421 and is coupl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in the guide hole 423 of the receiving portion 422. 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428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hole 424 of the fixing bracket 421 is formed inside the grip portion 427.

래치볼트이동부(430)는 이동부재(440)와, 회전부재(450)와, 작동부재(460)와 복귀스프링(470)으로 구성된다. The latch bolt moving part 430 includes a moving member 440, a rotating member 450, an operating member 460, and a return spring 470.

이동부재(440)는 단면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 롤러(456)의 상승이동을 안내하는 상승 가이드 블럭(44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승 가이드 블럭(441)의 일측은 완만한 상승 곡선의 경사면(442)으로 이루고, 타측은 다단의 단턱(443)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동부재(440)는 양측 단부가 몸체의 이동부재 관통홈(411)을 관통하여 각 손잡이부(420)의 고정브라켓(421)에 형성된 구멍(424)을 통해 파지부의 삽입홈(428)에 끼움 고정되며, 손잡이부(42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진다.The moving member 44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 shape, and an upward guide block 44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guide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ller 456. Here, one side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is formed of the inclined surface 442 of the gentle rising curve, the other side has a shape bent to form a multi-step step 443. In addition, the movable member 440 is inserted into the gripping portion 428 through a hole 424 formed at the fixing bracket 421 of each handle 420 through both ends of the moving member through groove 411 of the body. The fitting is fixed to, and the horizontal movement is made by the pressing and pulling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420.

회전부재(450)는 지랫대 원리가 적용되도록‘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꺽어지는 부분에 회전축(451)과 결합되는 결합공(452)이 형성된 한 쌍의 링크(453)를 이동부재(44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회전축(4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한 쌍의 링크(453) 일단부를 상승 가이드 블럭(441)의 이동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절곡시켜 절곡부(454)를 형성하며, 한 쌍의 링크(453) 타단부를 연결부(455)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링크의 절곡부(454)에는 롤러(456)를 힌지 결합시키고 링크의 연결부(455)에는 하향 절곡된 걸림쇠(457)를 연결시켜 구비된다.Rotating member 450 is a pair of links (453) formed in the 'shape' shape and the coupling hole 45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451 to be applied to the girdle principle moving member 440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451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and one end of the pair of links 453 is bent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to form a bent portion 454.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links 45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455.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454 of the link is hinged to the roller 456, and the connection portion 455 of the link is provided by connecting the downwardly bent brace 457.

이러한 회전부재(450)는 몸체(4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이동부재(440)의 상부에 위치되어 롤러(456)가 상승 가이드 블럭(441)의 경사면(442)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The rotating member 450 is positioned inside the body 410 and is positioned above the moving member 440 so that the roller 456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442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따라서, 회전부재(450)는 이동부재(440)의 수평이동시 상승 가이드 블럭(441)의 경사면을 타고 롤러(456)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이와 연동되어 걸림쇠(457)는 하강하게 된다. 즉, 지랫대 원리를 이용한 링크(453)에 의해 회전축(45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rotating member 450 is rais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dur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440, and the latch 457 is lowered in conjunction with this. That is, the rotation is made about the rotation shaft 451 by the link 453 using the girdle principle.

작동부재(46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바닥면에 걸림홈(461)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가이드홈(4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의 걸림홈(461)에는 회전부재의 걸림쇠(457)가 삽입되어 걸림되고, 걸림홈(461)의 상부에는 걸림쇠(457)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463)가 구비되며, 스토퍼(463)는 양측에 형성된 돌기(464)가 작동부재의 가이드홈(462)을 통해 몸체(410)의 측벽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토퍼(463)는 걸림쇠(457)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기능과 함께 작동부재(460)의 안정적인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퍼(463)와 작동부재(460)의 내부 일지점 사이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작동부재(46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스프링(465)이 탄지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60)의 타측은 몸체(410)의 제 1 개구부(412)에 인입된 래치볼트(480)와 결합된다.The operation member 46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engaging groove 461 is formed on one bottom surface, the guide groove 462 is formed on the side wall. 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461 of the operating member is inserted and locked by the latch 457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groove 461 is provided with a stopper 463 for limit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latch 457. The stopper 463 has protrusions 464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is fixed to sidewalls of the body 410 through guide grooves 462 of the operation member. Accordingly, the stopper 463 functions to limi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latch 457 and guide the stabl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60. In addition, between the stopper 463 and one internal point of the operation member 460, an elastic spring 465 that restores the operation member 46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carried.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member 460 is coupled to the latch bolt 480 introduced into the first opening 412 of the body 410.

이러한 작동부재(460)는 회전부재(450)의 회전시 걸림쇠(457)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부재(45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44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작동부재(460)와 결합된 래치볼트(480)가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된다.The operation member 460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latch 457 when the rotation member 450 rotates to mov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member 450. That is, the movement is ma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440, and the latch bolt 480 coupled with the operation member 46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10 or drawn in. .

복귀스프링(470)은 회전부재의 회전축(451)상에 감김되고, 일단이 몸체(410)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걸림쇠(457)가 연결된 측의 링크(453)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귀스프링(470)은 링크(453)의 회전에 의해 늘어났다가 링크(453)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늘어나기 전 상태로 복원되면서 링크(453)를 회전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The return spring 470 is wound on the rotating shaft 451 of the rotating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41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ink 453 on the side to which the latch 457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return spring 470 is extended by the rotation of the link 453, and when the external force for rotating the link 453 is removed, the return spring 470 is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stretching and returns the link 453 to the state before the rotation.

개폐감지부(490)는 몸체의 제 3 개구부(414)에 인입되는 감지볼트(491)와, 감지볼트(491)를 수용하는 수용부(492)와, 수용부(492) 내측에 구비되어 감지볼트(491)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93)과, 감지볼트(491)의 이동을 감지하여 도어(1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94)로 구성된다.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90 is provided at a sensing bolt 491 introduced into the third opening 414 of the body, a receiving unit 492 for accommodating the sensing bolt 491, and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unit 492. A spring 49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lt 491, and a detection sensor 494 to detec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10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etection bolt 491.

개폐감지부(490)는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감지볼트(491)가 도어(10)의 닫힘시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1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도어(10)의 열림시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감지센서(494)가 감지볼트(491)의 인입과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10)의 닫힘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000)는 개폐감지부(49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데드볼트이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part 49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10 by the side wall of the door when the detection bolt 491 protruding outward of the door 10 is closed and the door 10 is opene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oor, the sensing sensor 494 senses the entrance and protrusion of the sensing bolt 491 to detect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10,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0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500 to 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90.

데드볼트이동부(500)는 제어부(1000)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모터(510)와, 모터(510)의 구동에 따라 좌,우회전이 이루어지는 작동축(520)과, 작동축(520)에 결합되고 몸체(410) 내측에 위치되며 작동축(520)의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레버(530)와, 몸체의 제 2 개구부(413)에 인입된 데드볼트(560)와 결합되고 회전레버(5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개폐부재(540)와, 회전레버(530)의 동작을 감지하여 데드볼트(560)의 개폐를 감지하는 검출센서(550)로 구성된다. The dead bolt moving unit 500 is coupled to a motor 510 drive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000, an operation shaft 520 which rotat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510, and an operation shaft 520. And a rotation lever 530 which is positioned inside the body 410 and rotat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520, and a dead bolt 560 introduced into the second opening 413 of the body. It consists of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530, and a detection sensor 550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ad bolt 560 by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rotary lever 530. do.

여기서, 몸체(410)에는 작동축(520)이 관통되는 통공(415)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측케이스(120)에 장착되는 손잡이부(420)의 고정브라켓(421)에는 작동축(520)이 관통되는 관통공(426)이 형성되며, 파지부(427)에는 고정브라켓(421)의 관통공(426)에 대응하여 잠금장치(429)가 내설된다. 따라서, 작동축(520)의 일단부에는 모터(510)가 연결되고, 작동축(520)의 타단부에는 실내측 손잡이부(420)의 중앙에 내설된 잠금장치(429)와 연결된다. 여기서, 실내측 손잡이부(420)에 내설된 잠금장치(429)는 비상시 수동으로 도어(10)를 해정하는데 사용된다.Here, the body 4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15 through which the operating shaft 520 penetrates, and an operating shaft 520 on the fixing bracket 421 of the handle part 420 mounted to the inner case 120 of the housing. The through hole 426 is formed therethrough, and the locking device 429 is installed in the gripper 427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26 of the fixing bracket 421. Accordingly, one end of the operating shaft 520 is connected to the motor 510,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52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429 built in the center of the indoor handle 420. Here, the locking device 429 in the interior handle 420 is used to unlock the door 10 manually in an emergency.

그리고, 회전레버(530)는 중앙에 작동축(520)이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531)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원통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편(532)이 형성되며, 돌출편(532)의 외면에는 안내홈(5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축(520)과 회전레버(530)의 구멍(531)을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면 작동축(520)이 회전될 때 회전레버(530)도 함께 회전되게 된다. The rotation lever 530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in which a rectangular hole 531 into which the operating shaft 520 is inserted is formed, and a protruding piece 532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is forme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iece 532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533. Here, when the operating shaft 520 and the hole 531 of the rotary lever 530 are formed to be rectangular, the rotary lever 530 also rotates together when the operating shaft 520 is rotated.

개폐부재(540)는 회전레버(5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레버(530)의 돌출편(532)이 걸림되는 요입홈(541)이 형성되며, 요입홈(541)의 양 측벽에는 돌출편(532)의 최대 회전시 요입홈(541)을 벗어나지 않도록 돌출편(532)이 걸림되는 걸림홈(54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부재(540)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구멍(543)이 형성되고, 안내구멍(543)에는 몸체(4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544)이 삽입되며, 지지핀(544)에는 회전레버(530)의 돌출편(53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스프링(54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545)은 지지핀(544)에 감김되고 일단이 몸체(4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회전레버(530)의 돌출편 안내홈(533) 저면을 경유하여 몸체(410) 측벽에 고정된다. 그리고, 개폐부재(540)의 타단부는 제 2 개구부(413)에 삽입되는 데드볼트(560)와 결합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lever 530, and a recessed groove 54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lever 530 to catch the protrusion 532. The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542 to which the projection piece 532 is engaged so as not to escape the recessed groove 541 at the maximum rotation of the projection piece 532. In addition, a guide hole 543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pin 54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43, and the support pin is inserted therein. A tension spring 545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rotruding piece 532 of the rotary lever 530 is wound around the 544. The tension spring 545 is wound around the support pin 544, and one e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4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410 sidewall via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piece guide groove 533 of the rotary lever 53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40 is coupled to the dead bolt 560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413.

검출센서(550)는 회전레버(5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회전레버의 돌출편(532)이 최대 회전되어 요입홈(541)의 걸림홈(542)에 걸림될 때 돌출편(532)이 접지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The detection sensor 55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lever 530, respectively, and the projection piece 532 when the projection piece 532 of the rotation lever is rotated to the maximum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542 of the recessed groove 541. Is provided at a grounded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개방에 따른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개방에 따른 래치볼트이동부 및 개폐감지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열림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출입문개폐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닫힘에 따른 래치볼트이동부 및 개폐감지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출입문 닫힘에 따른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닫힘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출입문개폐부의 정면도이다.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atch bolt moving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t,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an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bolt moving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oor clos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ead door according to the door closing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lt moving unit, Figure 12 is a front vie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방문자가 키입력부(20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인식부(300)에 방문자를 인식시키면, 키입력부(200)에 입력된 비밀번호나 인식부(300)에 인식된 정보가 제어부(1000)에 전송되고, 제어부(1000)는 전송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를 기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문개폐부(400)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어 제어부(1000)로부터 신호를 받은 출입문개폐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이동부(500)의 모터(510)를 구동시켜 모터(510)와 연결된 작동축(520)을 일방향 회전시킨다. 작동축(520)의 회전으로 회전레버(53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아울러 회전레버(530)의 끝단에 구비되어 개폐부재(540)의 요입홈(541)에 삽입된 돌출편(532)이 회전되면서 개폐부재(540)를 돌출편(532)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개폐부재(540)는 몸체(410)에 고정된 지지핀(544)이 안내구멍(543)에 삽입되어 있어 개폐부재(5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돌출편(532)은 요입홈(541)의 일측벽 걸림홈(542)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레버(530)의 돌출편(532)은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54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개폐부재(54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부재(540)에 결합된 데드볼트(560)는 개폐부재(540)의 이동에 의해 제 2 개구부(413)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10)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홈(541)의 일측벽 걸림홈(542)에 걸림된 돌출편(532)은 검출센서(550)에 접지되고, 검출센서(550)는 돌출편(532)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560)의 인입상태를 감지하며 도어(10)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000)는 스피커와 연계된 개폐확인부(570)를 통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visitor inputs a password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0 or recognizes the visitor in the recognition unit 300, the password inputted in the key input unit 200 or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recognition unit 300 is controlled. The control unit 10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4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d password or recognition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preset password or recognition information. Subsequently, the door opening / closing unit 400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00 drives the motor 510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500 to rotate the operation shaft 520 connected to the motor 510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7. Let's do it. The rotary lever 53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520 an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ry lever 530 to protrude into the recess 532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40. While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iece 532.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a support pin 544 fixed to the body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43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linearly moved, and also rotated The protruding piece 532 is caught by the one side wall locking groove 542 of the concave groove 541 so that it is no longer rotated. In addition, the protruding piece 532 of the rotary lever 53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545 is supported and does not rotate in reverse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u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also maintained. do. And, the dead bolt 560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drawn into the second opening 413 by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in a state that the door 10 can be open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9, the protruding piece 532 engaged in the one side wall locking groove 542 of the recessed groove 541 is grounded to the detection sensor 550, and the detection sensor 550 is protruding piece 532. Sensing the rotation of the dead bolt 560 and transmitting the open signal of the door 10 to the controller 10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0 may output a voicement or an alarm, an alarm sound, or the like, “The door is unlock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heck unit 570 associated with the speaker.

상기의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420)의 파지부(427)를 누르거나 당기면 이동부재(440)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부재(440)의 상면에 돌설된 상승 가이드 블럭(441)이 이동부재(44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승 가이드 블럭(441)은 경사면(442)에 접촉되는 롤러(456)를 밀게 되고, 롤러(456)는 힌지를 중심으로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승 가이드 블럭(441)의 경사면(442)을 타고 경사면(44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상승이동하게 된다. 롤러(456)의 상승은 지랫대 원리가 적용된 링크(453)의 회전에 의해 걸림쇠(457)를 하강시키며, 걸림쇠(457)는 하강되면서 작동부재(460)의 걸림홈(461)을 깊숙히 걸어 회전하게 되어 작동부재(460)를 걸림쇠(457)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부재(460)의 가이드홈(462)을 관통하여 몸체(410)에 고정된 스토퍼의 돌기(464)가 작동부재(460)의 이동을 안내함으로 작동부재(460)는 이동부재(44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60)에 결합된 래치볼트(480)는 작동부재(460)의 이동에 의해 제 1 개구부(41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축(451)에 감김되어 있는 복귀스프링(470)은 회전부재(450)의 회전에 의해 늘어난 상태가 되고, 아울러 작동부재(460) 내부에 탄설된 탄성스프링(465)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In the above state,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presses or pulls the grip part 427 of the handle part 4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0 is opened to open the door 10, the moving member 440. Is moved horizontally, and the rising guide block 44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440 is moved integrally with the moving member 440. At this time, the rising guide block 441 pushes the roller 456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442, and the roller 456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442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while rolling around the hinge.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442 is moved upward. Ascending of the roller 456 lowers the latch 457 by the rotation of the link 453 to which the girder principle is applied, while the latch 457 is lowered while walking deeply on the locking groove 461 of the operating member 460. The moving member 460 is mov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atch 457. At this time, the stopper 464 of the stopper fixed to the body 410 penetrates through the guide groove 462 of the operating member 46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60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460 is the moving member 440. Movement is mad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he latch bolt 480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46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opening 412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60 to open the door 10. At this time, the return spring 470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451 is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50, and the elastic spring 465 coalesced in the operating member 460 is compressed. do.

이처럼 도어(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의 파지부(427)를 밀게 되면 파지부(427)의 가압력에 의해 눌러지는 이동부재(440)의 상승 가이드 블럭(441)이 롤러(456)를 밀어내기 전까지는 파지부(427)가 쉽게 눌러지다가 상승 가이드 블럭(441)이 롤러(456)를 밀게 되고, 밀림되는 롤러(456)가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승가이드 블럭(441)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이동을 하게 되면 파지부(427)의 눌림 속도가 가감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427)가 눌림되는 속도 즉, 가감되는 속도를 손으로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10)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승가이드 블럭(441)의 경사면(442)을 타고 상승 이동하는 롤러(456)의 구름운동으로 도어(10)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롤러(456)의 구름운동으로 부드럽고 매끄럽게 도어(10)의 개방 동작이 이루어진다.As such, when the grip portion 427 of the handle portion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0 is opened, the upward guide block 441 of the movable member 440 push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grip portion 427 pushes the roller 456. The holding part 427 is easily pressed until it is bent, and the rising guide block 441 pushes the roller 456, and the roller 456 being rolled moves up the slope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while rolling. When the pressing speed of the holding portion 427 is added or subtracted. Therefore, the user can feel the speed at which the gripper 427 is pressed, that is, the speed at which the grip portion 427 is presse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sense that the door 10 is ope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door 10 is opened by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er 456 moving up and down the inclined surface 442 of the rising guide block 441, and the door (soft and smooth) by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er 456 ( 10) the opening operation is mad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개폐감지부(490)의 감지볼트(491)가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감지센서(494)가 감지볼트(491)의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door 10 is opened, the detection bolt 491 of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49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oor 10, and the detection sensor 494 detects the detection bolt 491. Sensing the protrusion of the door) and transmits an open signal of the door to the controller 1000.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열림된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420)를 놓게 되면 파지부(427)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늘어났던 복귀스프링(470)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회전부재(450)의 링크(453)를 회전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링크(453)의 복귀는 걸림쇠(457)를 상승시키고, 걸림쇠(457)의 상승은 가압하고 있던 작동부재(460)를 가압하지 않게 되며, 가압력이 제거된 작동부재(460)는 탄성스프링(46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개구부(412)의 내측으로 인입되었던 래치볼트(480)는 작동부재(460)의 이동에 의해 제 1 개구부(41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어(10)의 닫힘이 이루어지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handle part 420 that is being pressed or pulled is released while the door 10 is opened, the return spring 470 which is increased due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grip part 427 is removed. While restoring to its original state, the link 453 of the rotating member 450 is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At this time, the return of the link 453 raises the latch 457, the rise of the latch 457 does not press the operating member 460 was pressed, the operating member 460,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elastic spring It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465). In addition, the latch bolt 480 introduced into the first opening 412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412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60, thereby closing the door 10.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닫힘이 이루어지게 되면 돌출된 감지볼트(49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10)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91)를 감지센서(494)가 감지하여 도어(10)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000)는 개폐감지부(490)로부터 도어(10)의 닫힘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데드볼트이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hen the door 10 is closed, the protruding detection bolt 491 is introduced into the door 10 by the side wall of the door, and the detection bolt 491 is inserted. The detection sensor 494 detects and transmits a close signal of the door 10 to the controller 10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500 to lock the door when the closing signal of the door 10 is transmitted from the open / close detection unit 49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0)로부터 신호를 받은 데드볼트이동부(500)는 모터(510)를 역으로 구동시켜 모터(510)와 연결된 작동축(520)을 타방향 회전시킨다. 작동축(520)의 회전으로 회전레버(53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아울러 회전레버(530)의 끝단에 구비되어 개폐부재(540)의 요입홈(541)에 삽입된 돌출편(532)이 회전되면서 개폐부재(540)를 돌출편(532)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도 몸체(410)에 고정된 지지핀(544)이 개폐부재(540)의 안내구멍(543)에 삽입되어 있어 개폐부재(540)의 이동을 안내함으로 개폐부재(54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돌출편(532)은 요입홈(541)의 타측벽 걸림홈(542)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레버(530)의 돌출편(532)은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545)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개폐부재(540)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회전레버(530)의 회전 및 개폐부재(54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폐부재(540)에 결합된 데드볼트(560)는 개폐부재(540)의 이동에 의해 제 2 개구부(4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문틀의 홈(미도시)에 삽입되게 되므로 도어(10)가 잠금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홈(541)의 타측벽 걸림홈(542)에 걸림된 돌출편(532)은 검출센서(550)에 접지되고, 검출센서(550)는 돌출편(532)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560)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10)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10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000)는 스피커와 연계된 개폐확인부(570)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dead bolt moving unit 500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000 drives the motor 510 in reverse to rotate the operation shaft 520 connected to the motor 510 in the other direction. The rotation lever 53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520 an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lever 530 is a projection piece 532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541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While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iece 532. At this time, the support pin 544 fixed to the body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43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moves linearly. In addition, the rotating protrusion 532 is caught by the other side wall engaging groove 542 of the recessed groove 541 is no longer rotated. In addition, the protrusion 532 of the rotary lever 530 mov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ing tension spring 545,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ver 5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0 The movement is stable. The dead bolt 560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4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413 by the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40 and is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of the door frame. ) Will be lock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2, the protruding piece 532 caught in the other side wall locking groove 542 of the recessed groove 541 is grounded to the detection sensor 550, and the detection sensor 550 is protruding piece 532. Sensing the rotation of the dead bolt 560, and transmits the closing signal of the door 10 to the controller 10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0 may output a voicement, an alarm, an alarm sound, etc. that the door is lock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heck unit 570 associated with the speaker.

그러나, 제어부(1000)에 수동개방버튼부(900)로부터 수동개방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개폐감지부(490)로부터 도어의 닫힘신호를 전송받았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데드볼트이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관공서나 공연장 등 인파가 많은 곳에서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면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 신속한 출입을 위하여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However, when a manual ope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000 from the manual open button unit 900, the dead bolt moving unit 500 does not lock the door even if the door clo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pen / close detection unit 490. Control the operation of This is to control that the door is not locked for quick access, because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in a crowded place such as a public office or a performance hall.

한편, 실내측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해 도어(10)를 개방할 때는 내부케이스(120)에 구비된 오픈버튼부(700)를 누르면, 제어부(1000)가 오픈버튼부의 신호를 받아 데드볼트이동부(500)를 도 7과 같은 동작으로 해정시킨다. 그리고, 손잡이부(420)를 밀면 도 8과 같은 동작으로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opening the door 10 to go out from the indoor side when pressing the open button unit 700 provided in the inner case 120, the control unit 1000 receives the signal of the open button unit dead bolt moving unit 500 )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shown in FIG. 7. Then, when the handle 420 is pushed, the door 10 is opened by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8.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롤러의 상승이동으로 인해 가감된 속도 및 롤러의 구름운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아울러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 동작이 이루어짐으로 도어의 안전성 및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by the speed of the roller and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er, when the handle of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oor is unlocked. In addition, the smooth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made to improv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door.

또한,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가 회전식이 아닌 눌림식으로 작동되어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또는 물건을 손에 들고 있는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시 도어 부분이 녹는 경우 회전작동이 불가능한데, 눌림식의 경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rated in a depressed manner rather than a rotary type, so that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or the user holding the object can easily open the doo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In case of crowding,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when the door part melts during a fire, rotational operation is impossible. In the case of a push type, it can be easily operat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또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져 출입문의 보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to improve the security and safety of the door.

또한,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출입문개폐부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fire occurs, the lock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is automatically release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making a quick evacu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도어 100: 하우징
110: 외부케이스 120: 내부케이스
200: 키입력부 300: 인식부
400: 출입문개폐부 410: 몸체
410a: 본체 410b: 덮개
410c: 체결부재 411: 이동부재 관통홈
412: 제 1 개구부 413: 제 2 개구부
414: 제 3 개구부 415: 통공
420: 손잡이부 421: 고정브라켓
422: 수용부 423: 가이드홀
424: 구멍 425: 고정돌기
426: 관통공 427: 파지부
428: 삽입홈 429: 잠금장치
430: 래치볼트이동부 440: 이동부재
441: 상승 가이드 블럭 442: 경사면
443: 단턱 450: 회전부재
451: 회전축 452: 결합공
453: 링크 454: 절곡부
455: 연결부 456: 롤러
457: 걸림쇠 460: 작동부재
461: 걸림홈 462: 가이드홈
463: 스토퍼 464: 돌기
465: 탄성스프링 470: 복귀스프링
480: 래치볼트 490: 개폐감지부
491: 감지볼트 492: 수용부
493: 스프링 494: 감지센서
500: 데드볼트이동부 510: 모터
520: 작동축 530: 회전레버
531: 구멍 532: 돌출편
533: 안내홈 540: 개폐부재
541: 요입홈 542: 걸림홈
543: 안내구멍 544: 지지핀
545: 텐션스프링 550: 검출센서
560: 데드볼트 570: 개폐확인부
600: 전원공급부 610: 보조전원공급부
700: 오픈버튼부 800: 화재감지부
900: 수동개방버튼부 950: 비상키삽입구
1000:제어부
10: door 100: housing
110: outer case 120: inner case
200: key input unit 300: recognition unit
400: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410: body
410a: main body 410b: cover
410c: fastening member 411: moving member through groove
412: first opening 413: second opening
414: third opening 415: through hole
420: handle portion 421: fixing bracket
422: receiving portion 423: guide hole
424: hole 425: fixing protrusion
426: through hole 427: holding part
428: insertion groove 429: locking device
430: latch bolt moving unit 440: moving member
441: ascent guide block 442: slope
443: step 450: rotating member
451: rotation axis 452: coupling hole
453: link 454: bend
455: connection portion 456: roller
457: brace 460: operating member
461: locking groove 462: guide groove
463: stopper 464: protrusion
465: elastic spring 470: return spring
480: latch bolt 490: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491: sensing bolt 492: receptacle
493: spring 494: sensor
500: dead bolt moving unit 510: motor
520: working shaft 530: rotary lever
531: hole 532: protrusion
533: guide groove 540: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1: recessed groove 542: locking groove
543: guide hole 544: support pin
545: tension spring 550: detection sensor
560: dead bolt 570: opening and closing confirmation unit
600: power supply unit 610: auxiliary power supply unit
700: open button portion 800: fire detection unit
900: manual open button portion 950: emergency key insertion opening
1000: control unit

Claims (19)

도어의 실외측면에 설치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상기 도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는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출입문개폐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도어를 오픈하는 오픈버튼부; 상기 도어의 닫힘시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 및 상기 각 구성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개폐부는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길 때 가감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감지되며,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A housing comprising an outer case installed on an outdoor side of the door and an inner case coupled to the outer case with the door interposed between the doors on the indoor side of the door; A key input unit installed in an outer case of the housing to input a password; A door opening / clo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erforming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by comparing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with a preset password; An open button unit installed at an inner cas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automatically open a door; A manual opening button unit for apply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door is not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is the opening of the door by the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the door is opened at a speed that is added or decreased when the handle is pushed or pulled,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ve control is possible to lock the door is not made automatically when the door is closed or cl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케이스에는 방문자를 인식하는 인식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문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ase of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isitor, the control unit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with the preset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도어폰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홍체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ognition unit is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a door phone camera, card reader, fingerprint reader, iris rea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개폐부는 일측면에 래치볼트가 인입되는 제 1 개구부와 데드볼트가 인입되는 제 2 개구부와, 감지볼트가 삽입되는 제 3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케이스 하부측에 구비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면 래치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밀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를 놓으면 래치볼트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가 닫힘되는 래치볼트이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body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a latch bolt is introduced and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a dead bolt is inserted, a third opening into which a detection bolt is inserted, and a low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cases of the housing. Whe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and the push and pull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handle portion is pushed or pulled, the latch bolt is inserted into the door to open the door. The latch bolt moving unit is close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ng unit detect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ead bolt moving unit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ead bol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o lock / unlock the door.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하우징의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파지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공간에 일단부가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이루어지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andle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one end of the holding portion is fixed bracket having an inner space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one end is fit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bracket and pressed and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gripping portion is a pull oper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닫힘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to 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개방버튼부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so as not to lock the door when receiving the signal of the manual opening butt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이동부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개폐확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an operation state of the dead bolt moving unit and transmits it to a control unit, and an opening / closing check unit for outputting a voice in association with a speaker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is further provided. Digital door ope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이동부는 양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 롤러의 상승이동을 안내하는 상승 가이드 블럭이 구비되어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축에 중앙이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상승 가이드 블럭과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되며 타단부에 걸림쇠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쇠에 일단이 걸림되고 상기 몸체의 제 1 개구부에 인입된 래치볼트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감김되고 일단이 상기 몸체의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atch bolt moving part is coupled to the handle part at both ends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n upward guide block for guid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ller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moving member for horizontal movement by pressing and pulling the handle part, and the moving member; The rotating member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enter is provided with a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ising guide block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atch and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dur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atch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atch of the rotating member, the operation member is mov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ember Wound on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Fixed digital doorway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turn spring to restore the rotary member to rotate around the st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가이드 블럭은 롤러가 구름운동을 하여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완만한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scending guide block is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has a slope of the gentle rising curve so that the rise is made by rolling mo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이동부재의 상승 가이드 블럭이 롤러를 밀어내기 전까지는 쉽게 눌러지다가 상승 가이드 블럭이 롤러를 밀게 되고, 밀림되는 롤러가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승가이드 블럭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이동을 하게 되면 눌림되는 속도가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handle portion is easily pressed until the rising guide block of the moving member pushes the roller, and the rising guide block pushes the roller, and the roller is pressed when the roller moves through the slope of the rising guide block while rolling the roller.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is added or reduc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링크를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한 쌍의 링크 일단부를 상기 상승 가이드 블럭의 이동방향과 평행이되도록 절곡시킨 절곡부에 롤러를 힌지 결합시키며, 한 쌍의 링크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하향 절곡된 걸림쇠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rotating member spaces a pair of link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inges the roller to a bent portion that is bent such that one end of the pair of links is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ward guide block. And a latch that is bent downward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links to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일측 바닥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쇠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양 측벽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걸림쇠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ctu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catching groove for catching the catch of the rotat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the guide groove is digi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atch is couple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이동부는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좌,우회전이 이루어지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며 작동축의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레버와, 상기 몸체의 제 2 개구부에 인입된 데드볼트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연동되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개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ad bolt moving unit is drive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driving shaft that rotat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and is located inside the body and the le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lever having a right rotation and a dead bolt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body and interlocked with a rotation of the rotating lever to move left and righ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레버의 중앙에는 작동축이 끼움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축의 회전시 회전레버도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operation shaft is a cross-sec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center of the rotary lever is a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ctangular hole in which the operating shaft is fitted is formed so that the rotating lever is also rotated when the operating shaft is rotat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중앙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이 삽입되며, 일측 상면에 회전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의 양 측벽에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요입홈을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surface, the support pi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recess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lever, Digital s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concave groove so as not to leave the concave groove when the rotary lever rotate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에는 회전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upport pin is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pring is wound around the revolving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s a digit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power supply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온도를 감지하는 화제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출입문개폐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opic detection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sensing a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exceeds a set temperature. Digital door opener.
KR1020120039747A 2012-04-17 2012-04-17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1336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47A KR101336394B1 (en) 2012-04-17 2012-04-17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PCT/KR2013/002835 WO2013157762A1 (en) 2012-04-17 2013-04-05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201380017199.2A CN104246097B (en) 2012-04-17 2013-04-05 Digital gateway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14/498,890 US9528299B2 (en) 2012-04-17 2014-09-26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47A KR101336394B1 (en) 2012-04-17 2012-04-17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14A true KR20130117414A (en) 2013-10-28
KR101336394B1 KR101336394B1 (en) 2013-12-04

Family

ID=4963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747A KR101336394B1 (en) 2012-04-17 2012-04-17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9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524A (en) * 2017-05-28 2017-07-21 杭州力谱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mart home finger-print cipher door lock
CN107013104A (en) * 2017-05-28 2017-08-04 杭州力谱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nti-pry intelligent door lock
US20210040772A1 (en) * 2018-11-02 2021-02-11 Gil Soo KIM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CN115346296A (en) * 2022-07-25 2022-11-15 苟曾 Oil tank truck oil depot access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7343U (en) * 2002-08-02 2003-06-11 Jer-Ming Yu Clutch locks used in cam wheel sleeves
KR100888514B1 (en) * 2008-12-10 2009-03-12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Push-pull type digital door lock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524A (en) * 2017-05-28 2017-07-21 杭州力谱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mart home finger-print cipher door lock
CN107013104A (en) * 2017-05-28 2017-08-04 杭州力谱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nti-pry intelligent door lock
US20210040772A1 (en) * 2018-11-02 2021-02-11 Gil Soo KIM Digital door lock, door lock control server, and door lock system
CN115346296A (en) * 2022-07-25 2022-11-15 苟曾 Oil tank truck oil depot access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394B1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098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363148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US6588153B1 (en) Power door kit
KR101336394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1331979B1 (en) Mortice of door lock and door lock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36542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1742771B1 (en) Door lock equipped with security function
KR101810489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0706174B1 (en) Opening and Shutting Type Automatic Door
CA2627110A1 (en) Automated locking door system
JP4497024B2 (en) Door device
KR101312239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20070052630A (en) Automatic door system for apartment house having the interface with digital door lock
KR102031324B1 (en) Door lock
KR102151624B1 (en) Open and close apparatus of entry and exit
KR102013776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pushing a button of automatic door for the safety evacuation for children
KR101593329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20030073839A (en) A disital door lock
JP2005320788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KR101312234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20110048400A (en) Door lock device
JP6399689B2 (en) Electric lock system
KR102080941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KR20140002117A (e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an automatic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