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358A - 박막클러스터 - Google Patents

박막클러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358A
KR20130117358A KR1020130093344A KR20130093344A KR20130117358A KR 20130117358 A KR20130117358 A KR 20130117358A KR 1020130093344 A KR1020130093344 A KR 1020130093344A KR 20130093344 A KR20130093344 A KR 20130093344A KR 20130117358 A KR20130117358 A KR 20130117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layer
coated
st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곤
Original Assignee
이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곤 filed Critical 이형곤
Publication of KR2013011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05Separation of the coating from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피코팅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최초로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와 상기 박막클러스터 제조방법 및 상기 박막클러스터로부터 상기 피코팅재 일부분 이상을 제거한 후에 추가로 더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박막입자 및 상기 박막입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행 기술들에 의한 제조장치 제작문제와 유지 보수문제 및 박막자체의 오염문제, 에너지 낭비문제 등 본서에서 지적한 선행기술들에서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준다.

Description

박막클러스터{THIN FILM CLUSTER}
본 발명은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박막클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증착방법은 건식도금이라고도 하며 습식방법에 비하여 자연친화적이며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방법이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박막형성 방법 중의 하나이며 상기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클러스터는 갈수록 그 사용분야가 넓혀지고 있다.
최근들어 나노입자 또는 미세입자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다.
박막클러스터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막 미세입자가 필요한 분야와 적용되는 제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로서 은(Ag)이나 동(Cu) 또는 은과 동의 복합층으로 구성되는 미세입자가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녹색 제품이라 일컫는 엘이디 칩의 본딩 페이스트, 페인트와 잉크에 혼합되는 피그먼트, 화장품 원료, 선블록 입자, 색조 입자, 소결입자, 배터리 활물질, 태양전지, 열전소자, 절연소자, 촉매 입자, 나노복합물질, 인쇄전자용 잉크 등 다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분야에서 필요로하는 매우 중요한 소재와 기술 중의 하나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상기 미세입자 또는 나노입자는 그 품질과 순도 및 실현하고자 하는 특성향상을 위해서 물리적증착 공정에 의한 건식도금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물리적증착 공정에 의한 건식도금 방법은 대부분 진공용기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며 생산단가가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물리적증착 방법이 아닌 화학적 습식공정에 의한 미세입자 생산방법이 생산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부득이 특별한 이유로 인하여 물리적증착 방법에 의해 미세입자를 생산하는 경우, 그 생산성이 대단히 낮아 제품의 단가는 매우 고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 사용되는 분야나 제품이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두 부류 모두 공히 인시츄(IN SITU) 상태에서 큰 면적 또는 많은 수의 박막층을 코팅한 후에 이를 진공용기 밖으로 언로드(UNLOAD)하여 이를 분쇄하여 박막클러스터 또는 박막입자로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술적 요약이 가능하다.
세분하여 기술적 분석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째 부류는 Avery Dennison Corporation사에 부여된 미국특허 6,398,999 BI와 같은 양태로서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많은 수의 다층 박막층으로 인시츄 상태에서 제조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박막클러스터 또는 박막입자를 수득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많은 수의 다층 박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박막층과 박막층 사이에 가용성(또는 이형성) 박막층을 증착방법에 의해 증착하여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들과 가용성 박막층들이 교번하여 배열된 많은 수의 다층 박막클러스터를 제조한 후에 이 것을 진공용기 외부로 언로드하여 이들을 1차분쇄한 후에 상기 가용성 박막층들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용제 또는 용매 안에서 이들을 녹이고 추가로 분쇄하는 방법에 의해 박막입자를 수득하는 방법이다.
둘째 부류는 Polaroid Corporation사에 부여된 미국특허 4,168,986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8564호(2004.07.31.)와 같은 양태로서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증착하기 전에 먼저 가용성(또는 이형성) 박막층을 피코팅기재 위에 진공용기 안에서 증착한 후에 이어서 상기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증착하고 상기 박막층을 인시츄 상태에서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챔버로 이송하여 상기 증착된 가용성(또는 이형성) 박막층을 용제에 녹여 분리한 후 다시 피코팅기재를 증착챔버 쪽으로 이동시켜 다시 가용성 박막층과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증착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대량의 박막입자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상기 두 부류의 대량생산 방법은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한 박막입자 생산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켜 주고 생산 단가 또한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실제로 생산현장에 적용할 수 없는 정도이거나 심각한 제약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 기술 중에서 상기 첫째 방법은 상기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과 가용성 박막층을 교번하여 순차적으로 증착하되 한 순환주기 동안 동시에 증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원(EVAPORATION SOURCE)과는 별도로 가용성 박막층을 증발시키기 위한 별도의 증발원 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용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증발용전원 장치 및/또는 별도의 증박원에 결합되는 별도의 증발차단 셔터(SHUTTER) 등 부가적인 장치들이 별도로 필요하게 됨으로 진공장치의 제작과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대형화되는 것은 물론 공정의 실시와 운용 관리 또한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더 큰 문제는 상기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 증착과 가용성 박막층 증착을 교번하기 위하여 상기 두 물질을 한 순환주기 내에서 동시에 증발시켜야만 한다. 동시에 두 물질을 증발시킨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진공용기 안에서 상기 두 물질의 증기들이 서로 확산하고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각 각의 박막층 중에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 것은 각 박막층의 순도와 품질과 특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는 점이다.
결정적인 문제점으로서 상기 문제점들에 더하여 상기 가용성 박막층들은 주로 증기압이 높은 유기물들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유기물 증기들에 의한 진공용기 내부와 진공배관 및 특별히 진공 펌프시스템 등의 오염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시스템 전체에 대한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상기 오염원들에 의하여 치명적으로 진공펌프와 시스템을 오염시키게 되면 이는 결국 생산장치의 궁극적인 기능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상황에 까지 이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부류의 방법은 상기 장치와 박막에 대한 오염문제와 박막특성 저하 등에 관련한 지대한 문제점과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
선행 기술 중에서 상기 두 번째 방법은 상기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증착하기 전에 먼저 피코팅기재 위에 가용성 박막층을 증착한 후에 상기 가용성 박막층이 증착된 피코팅 기재 위에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증착하고, 이를 박막 탈착을 위한 분리용기 영역으로 이송시켜 지정된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수득하고자 하는 박막층을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탈착한 후, 박막층이 탈착된 후의 피코팅기재를 다시 증착영역으로 이송시켜 증착과 탈착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탈착 공정이 이루어지는 분리용기 안에 박막입자들을 대량으로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의 박막입자 생산 방법은 그 개념적인 아이디어는 좋으나 실질적으로 실시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거의 실현이 불가능한 방법이라 할 정도로 장치의 제조나 운용과 제품의 품질 오염 등 매우 많은 점에서 심각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두 부류의 대량생산 방법은 가용성 박막층을 증기상태로 증착하는 공정을 적용하기 때문에 상기 가용성 물질의 증기압을 높이기 위해서 높은 온도까지의 가열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가열공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가열원으로 전력을 공급해 주어야 하며, 이에 따른 에너지 낭비문제가 수반된다.
가장 큰 문제로는 상기 가용성 박막층을 탈착하기 위하여 박막층 증착이 완료된 피코팅기재를 분리용기 영역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박막탈착이 완료된 피코팅기재를 다시 증착용기 영역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증착용기와 탈착용기는 비록 진공도는 다를지라도 대등한 진공 분위기와 동일한 공간을 공유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용성 박막층을 탈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의 증기들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기 증착용기 영역으로 확산되고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되어 매우 다양한 부분과 영역에서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박막클러스터 제조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박막클러스터 및 박막입자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으로 높은 생산성과 품질향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시츄 상태에서 대량의 박막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조된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을 제공한다. 박막층과 박막층 사이에 피코팅재를 삽입하는 방법은 상기한 각 물질의 높은 증기압으로 인한 오염문제들을 모두 제거한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들을 야기시키지 않고 박막층들과 피코팅재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의 박막클러스터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매우 높은 품질과 특성을 갖으며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안전한 박막생산 방법으로서의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박막클러스터를 경제적인 가격으로 다량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로서 상기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장치의 크기와 구성 및 설비자체의 제작원가 뿐 아니라 생산에 필요한 공간과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초기투자가 줄어든 경제적인 박막생산이 가능하다.
또 다른 효과로서 상기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입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품 자체의 품질향상과 사용되는 진공장치의 오염현상과 고장율을 크게 줄여주며, 유지와 보수에 소요되는 인력과 부품 구입경비와 허비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박막클러스터의 생산원가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도1(가); 지지기재(5) 위에 피코팅재(3)과 박막층(1)이 교번적으로 반복 코팅되어 있는 상태
도1(나); 도1(가)의 상태에서 피코팅재(3)을 제거한 상태
도1(다); 도1(나)의 상태에서 박막층(1)이 1회 이상 분쇄된 상태
도2(가); 피코팅재(3)의 한 면 위에 박막층(1)이 1차로 증착된 상태
도2(나); 도2(가)의 것에서 박막층(1)을 피코팅재(3) 안으로 밀어 넣어 혼합시킨 상태
도2(다); 도2(나) 상태의 피코팅재(3) 위에 박막층(1)이 2차로 증착된 상태
도2(라); 도2(다)의 것에서 추가로 증착된 박막층(1)을 피코팅재(3) 안으로 밀어 넣어 추가로 혼합시킨 상태
도2(마); 도2(라) 상태의 피코팅재(3) 위에 박막층(1)이 3차로 증착된 상태
도2(바); 도2(마)의 것에서 추가로 증착된 박막층(1)을 피코팅재(3) 안으로 밀어 넣어 추가로 혼합시킨 상태
도2(사); 도2(바) 상태의 피코팅재(3) 위에 박막층(1)이 4차로 증착된 상태
도3(가); 지지기재(5) 위에 피코팅재(3)가 구비된 후 박막층(1)이 증착된 상태
도3(나); 도3(가)의 것에서 박막층(1)을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서 수집한 상태
도3(다); 도3(나) 상태의 피코팅재(3) 위에 박막층(1)을 다시 증착한 상태
도3(라); 도3(다)의 것에서 박막층(1)을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서 도3(나)에서 수집된 박막층(1)과 함께 추가로 수집한 상태
도3(마); 도3(라) 상태의 피코팅재(3) 위에 박막층(1)을 다시 증착한 상태
도3(바); 도3(마)의 것에서 박막층(1)을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서 도3(나)와 (라)에서 수집된 박막층(1)과 함께 추가로 수집한 상태
도4(가); 피코팅기재(7)이 준비된 상태
도4(나); 피코팅기재의 한 명 위에 박막층(1)이 증착된 상태
도4(다); 증착된 박막층 위에 분리재(9)가 접합된 상태
도4(라); 증착된 박막층과 분리재가 동시에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된 상태
도4(마); 피코팅기재 위에 다시 박막층(1)이 증착된 상태
도4(바); 증착된 박막층 위에 분리재가 접합된 상태
도4(사); 증착된 박막층과 분리재가 동시에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된 상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와 같이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피코팅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 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될 때에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들 중에서 적어도 한 층 이상은 상기 피코팅재가 적어도 다른 한 층의 박막층 위에 인시츄 상태에서 추가로 형성된 후 상기 추가로 형성된 피코팅재의 일부분 이상에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추가로 형성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피코팅재 물질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태로 적어도 상기 피코팅재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변위를 일으키며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나노메타 이상 50미크론 이하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이고, 상기 피코팅재의 적어도 한 표면물질은 섭씨 25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인 동시에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이며,
상기 박막층 코팅 시점에서의 상기 피코팅재는 상기 박막층의 두께 보다 두껍고, 점도 10 cps 이상의 것이고, 상기 박막층들 사이에 혼합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 역시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피코팅재 물질의 유동성을 유지한 상태로 변위를 일으키며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것이며, 적어도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는 피코팅재의 혼합공정은 상기 박막층 중의 적어도 한 층의 박막층이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 형성된 후 인시츄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는 피코팅재를 용매 중에 녹이는 방식이 아니라 용매의 개입 없이 적어도 상기 피코팅재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혼합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박막증착 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피코팅재를 포함하여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 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될 때에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박막층들 중에서 적어도 한 층 이상은 피코팅재의 일부분과 함께 다른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이 상기 피코팅재(또는 캐리어)로부터 분리되면서 노출시키는 상기 피코팅재의 잔류부분(또는 캐리어)의 일부분 이상 또는 상기 피코팅재의 잔류부분(또는 캐리어)로 추가 공급된 피코팅재의 일부분 이상에 인시츄 상태에서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추가로 공급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피코팅재 물질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태로 적어도 상기 피코팅재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변위를 일으키며 공급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나노메타 이상 50미크론 이하인 것이고, 상기 피코팅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이며, 상기 피코팅재의 적어도 한 표면물질은 섭씨 25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인 동시에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이며, 상기 박막층 코팅 시점에서의 상기 피코팅재는 상기 박막층의 두께 보다 두껍고, 점도 10 cps 이상의 것이고, 상기 박막층들 사이에 혼합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 역시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 층 이상의 상기 박막층과 함께 피코팅재의 일부분이 상기 피코팅재의 다른 일부분(또는 캐리어)로부터 분리 및 수집되는 과정을 거쳐 상기 박막층과 함께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것이며, 적어도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는 피코팅재의 혼합공정은 상기 박막층 중의 적어도 한 층의 박막층들이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 형성된 후 인시츄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는 피코팅재를 용매 중에 녹이는 방식이 아니라 용매의 개입 없이 상기 피코팅재와 상기 박막층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박막층들을 적어도 1회 이상 분쇄시키면서 혼합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박막증착 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분리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분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분리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 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형성(코팅)된 박막층이며, 상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될 때에 상기 피코팅기재(7) 표면 중 일부분에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피코팅기재의 표면 중 일부분에 형성된 후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분리재(9)와 접합된 후에 상기 분리재와 함께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한 층은 상기 피코팅기재 위에 먼저 형성된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이 상기 분리재와 접합된 후에 상기 분리재와 함께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된 후에 인시츄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피코팅기재 위에 형성되고 분리된 것으로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두 층 이상은 각각 상기 피코팅기재에 형성 및 분리된 시점이 다른 것이고, 상기 피코팅기재 중 적어도 일부 표면은 동일한 장소에 상기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이
형성되었다가 분리되는 과정이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면이며, 상기 분리재는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 증착공정이 아닌 물리적 힘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며, 역시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박막층과 함께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되며, 적어도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는 시점과 지정된 기간 동안 유동성을 갖도록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물질이고, 상기 박막층과 상기 피코팅기재와의 접착력은 상기 박막층과 상기 분리재와의 접착력 보다 작은 것이며,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나노메타 이상 50미크론 이하인 것이며, 상기 분리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인 동시에 적어도 한 표면물질은 섭씨 25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이고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이며,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는 과정과 혼합되는 과정 중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공정이 아닌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박막증착 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상기 피코팅기재는 피코팅재와는 다른 개념으로서 적어도 표면의 일부분 이상이 이형성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피코팅기재 물질 자체가 이형성을 갖는 물질일 수도 있지만 피코팅기재 표면에 한 층 이상의 이형층을 형성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코팅기재 표면에 증착된 상기 박막층들을 상기 분리재와 함께 분리할 때에 보다 용이하게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형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이며, 공지된 선행기술로도 얼마든지 훌륭하게 실시할 수 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서 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피막, 실리콘 수지, 산화 실리콘 피막, 테프론 등 매우 다양한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박막클러스터는 크게 진보되고 신규한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공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선행기술들과는 크게 차별화되고 지정된 특징을 갖는 두 층 이상의 박막층들과 피코팅재 또는 분리재를 포함하는 상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박막클러스터를 제공하는 발명이지만 박막클러스터 제조방법을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막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고찰해 보도록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의 박막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중 증착공정과 혼합공정을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도1 및 도2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1(가)와 같이 캐리어(5)의 한 면에 비(非)증착방법으로 형성된 첫째 피코팅재(3) 위에 첫째 박막층(1)을 증착방법에 의해 형성한 후, 상기 박막층 위에 다시 비(非)증착방법으로 두 번째 피코팅재(3)를 형성하고, 그 위에 추가로 두 번째 박막층(1)을 형성하는 식으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두 층 이상의 박막층을 상기 피코팅재에 의해 분리된 형태로 증착공정을 실시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피코팅재(3)의 한 면에 첫째 박막층(1)을 증착방법에 의해 도2(가)에서와 같이 형성한 후, 도2(나)에서와 같이 상기 첫째 박막층(1)을 상기 피코팅재(3)의 안쪽으로 밀어 넣는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첫째 박막층(1)의 밑쪽에 있던 피코팅재(3)의 일부분을 상기 첫째 박막층(1)의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에 도2(다)에서와 같이 다시 두 번째 박막층(1)을 증착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어서 도2(라)에서와 같이 두 번째 박막층(1)을 같은 방법으로 상기 피코팅재(3)의 안쪽으로 밀어 넣는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2(마), 도2(바)처럼 제3번째 ... 제n번째 박막층 증착공정과 상기 박막층을 피코팅재 안으로 밀어 넣기를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의 박막클러스터 제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박막층을 피코팅재 안으로 밀어 넣는 동시에 상기 박막층의 밑쪽에 있던 피코팅재를 상기 박막층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물리적인 힘은 지정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 미세한 돌기를 표면에 구비한 엠보싱 롤러(roller), 블레이드(blade), 나이프(knife), 브러쉬(brush) 등과 같이 상기 박막층을 포함한 피코팅재의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서로 혼합할 수 있는 혼합기구들을 이용하여 힘을 가할수 있으나 이에 특정한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상기 혼합기구들은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일 수 있으나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도 무방하며 이러한 형태나 구동방식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이와는 다르게 도1의 절차를 따라 증착되는 박막층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박막클러스터 제조공정은 상기 박막층들 사이에 형성된 피코팅재의 두께와 유동성으로 인해, 캐리어에 형성된 피코팅재와 박막층의 누적된 두께가 한계 두께에 이르게 되면, 중력이나 마찰력과 같은 일 종 이상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박막층들과 피코팅재는 초기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무너뜨려지면서 서로 혼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에서 한계 두께는 피코팅재의 점도와 각 박막층 사이에 형성된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지만 상기 한계 두께에 이르러 각 박막층과 피코팅재의 초기 형상이 무너지며 혼합된다 하여도 박막층 증착영역으로 노출되는 외부표면은 여전히 피코팅재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에 박막층 증착 공정과 혼합공정을 지정된 시점까지 계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에서 각 박막층들 사이에 형성되는 피코팅재는 별도로 마련된 피코팅재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피코팅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박막층의 밑쪽에 있던 피코팅재가 위쪽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양태의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박막클러스터 제조공정이 완성될 수 있으나 상기 혼합공정은 이러한 양태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즉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혼합이 이루어지기 전 단계에서 블레이드(blade), 나이프(knife), 브러쉬(brush) 등과 같이 상기 박막층을 포함한 피코팅재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는 혼합기구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양태의 혼합공정을 강제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에 특정한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피코팅재는, 상기 박막층이 증착되는 피코팅면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한 표면을 노출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단계에서, 특별히 비(非)증착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인용발명들과는 달리 피코팅재를 증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피코팅재 증착소스(source)와 이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장치, 측정장치, 콘트롤러 등의 부속장치가 불필요하다.
뿐 만 아니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코팅재 증착을 위해 증착소스로부터 가열된 피코팅재 증기들과 증착소스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 등 진공장치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제공하는 요인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생산품의 품질과 경제성 등에서 대단히 많은 유익을 함께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피코팅재 증착소스와 이를 위한 부속장치들의 생략에 그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의 혼합공정에 있어서 용매의 개입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이에 따른 다양한 유익을 추가로 제공하기도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박막층과 피코팅재의 물성과 구성은 인용발명들에서 안고 있는 수많은 문제점들을 모두 완벽하게 해결하여 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인용발명들에서는 불가능했던 실질적인 인시츄 상태에서의 연속 생산공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인용발명들에서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하는 피코팅재 박막층을 증착하기 위한 증착소스와 그 부속장치들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박막층들과 피코팅재 박막층들을 스텐레스 밸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스트리핑 챔버 및 스트리핑 장치, 스트리핑용매 보관용기, 스트리핑 구동장치 및 스트리핑 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추가의 진공펌프와 진공배관유닛, 진공펌프와 진공배관유닛을 구동하고 콘트롤하기 위한 전원장치와 콘트롤러 등 다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고 다양한 부속장치들이 완전히 생략되어 매우 간단한 진공장치로써 제조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박막 또는 박막클러스터의 제조방법 또한 지극히 간단한 단계로 완성될 수 있는 혁신적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의 클러스터가 제조되는 순서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도2와 도3을 들어서 설명할 수 있다.
도2의 그림에서는 상기 박막층(1)을 피코팅재(3)의 안쪽으로 밀어넣을 때에 박막층을 밀어 넣는 방향이나 영역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클러스터 제조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박막층을 아래 방향으로 밀어넣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첫째 양태의 클러스터 실시형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층을 박막층 증착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곳으로 이동시키며 밀어넣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의 클러스터 제조방법이 실시되는 것이다.
도3의 그림에서는 상기 박막층(1)을 피코팅재(3) 위에 증착된 초기의 위치로부터 이동시켜 지정된 지점에서 혼합되면서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의 클러스터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박막층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박막층은 당연히 상기 피코팅재의 일부분이 표면에 묻어 있는 상태로 이동되면서 혼합되어 모아진 상기 박막층과 피코팅재는 다시 박막층 증착영역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된 장소에 따로 모아질 수도 있으나, 상기 혼합되면서 모아지는 장소를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이 것은 인용발명들에서는 실시가 불가능한 구성들인데,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피코팅재는 충분한 두께와 용량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흐름성이 있는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유동성물질이거나 가소성물질인 것과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태에서의 포화증기압이 증착공정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는 첫째 둘째 양태와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도4를 들어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피코팅재(3)와는 다른 개념의 피코팅기재(7)를 준비하고 박막층(1)을 증착할 때에는 피코팅재(3)가 아닌 상기 코팅기재(7)의 한 표면 이상에 증착하게 된다. 상기 피코팅기재의 표면에 증착된 박막층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갖으며 상기 피코팅기재의 표면은 견고한 고체재료이기 때문에 나이프나 브러쉬 등의 기구로는 상기 박막층을 상기 피코팅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정된 범위 이상의 접착력을 갖는 분리재(9)를 도입하여 상기 피코팅기재 표면에 증착된 박막층(1)의 표면에 접합시키고 상기 분리재와 접합된 박막층과 함께 다시 떼어내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피코팅기재 위에 증착되었다가 떼어지는 분리재와 박막층을 모아 혼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박막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재는 적어도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는 기간 동안은 유동성이거나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태의 공정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박막층을 증착하는 조건으로서 피코팅기재를 가열할 필요가 있을 때나 미세한 패턴 또는 3차원 패턴으로 박막층을 증착하고자 할 경우 등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리재(9)를 상기 박막층에 접합할 때와 분리재에 접합된 상기 박막층을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할 때는 분리재를 증착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물리적인 힘을 상기 분리재에 가할 수 있는 기구들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물리적인 힘을 상기 분리재에 가하여 박막층과 접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는 기구들은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지만 비제한적 예시로서 블레이드, 나이프, 브러쉬, 롤러(Roller) 등의 형태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상기 박막층은 다층구조이고 외표면의 박막층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박막층 보다 화학안정성이 높은 피복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한층은 자외선차단특성(흡수 및/또는 반사기능)을 갖는 박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세라믹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화장품재료 또는 색조용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도전용금속 또는 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따라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길이/폭)의 비율이 10 이상이며, 긴 형태의 밴드 혹은 지정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띠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박막들은 폭과 길이의 규모가 나노스케일이거나 미크론스케일인 것이 산업상 더 유용한 구조이며 나노와이어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a단계, b단계, d단계 등과 같이 각 단계가 구별되는 것과 같이 설명하였기 때문에 이해하기에 따라서는 각각 실시되는 시점이 시간적으로 따로 구별되는 것 같은 형태로 이해할 수도 있겠으나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 단계별 실시 영역에서 동시에 순환 반복적으로 실시되도록 하는 것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한 가지 형태로서 상기된 형태와 같이 상기 피코팅재가 지정된 캐리어의 한 면이상에 구비된 상태이고, 상기 캐리어를 긴 필름형태나, 반복회전하는 롤 또는 순환밸트 형태가 도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박막클러스터나 박막입자 및 상기 2층 이상의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것이거나 3차원적으로 형성된 박막클러스터 또는 박막입자는 화장품재료, 안료, 도료, 의학재료, 전자재료, 촉매입자나 배터리 활물질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박막의 매우 유용한 형태로서 적어도 한 층의 전기전도도 또는 열전도도가 다른 한 층의 전기전도도나 열전도도 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또는 박막입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자 전기부품들의 실장이나 배선 등 매우 다양한 전기연결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박막클러스터 또는 박막입자는 피코팅재가 유동물질이거나 가소성물질이기 때문에 지정된 시점의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각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은 별도의 용매 없이 서로 분리되어 상호 간의 상대적 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코팅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포화증기압은 물리적증착 박막의 형성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혼합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박막층과 피코팅재와 추가로 형성된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을 포함하는 물질들이 도1(가)와 같이 가지런히 적층되어 있는 상태와 도2(사) 및 도3(바)와 같이 무질서한 상태로 서로 섞여 있는 상태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박막층이 최초로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 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하로 증착될 경우에는 품질은 향상될 수 있으나 지나치게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어 경제성이 없으며, 상기 피코팅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의 길이/두께의 비가 2 미만인 경우에는 박막(THIN FILM)형태가 아니라 거의나노입자(NANO PARTICLE)형태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박막입자를 생산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습식박막도금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박막은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박막자체의 순도 역시 문제가 되므로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박막층착은 박막(THIN FILM)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코팅재 표면 형상에 의지하여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지정된 두께를 갖는 대량의 박막층들을 생산하기 위하여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박막층과 박막층 사이를 구분하는 피코팅재의 혼합이 필요하지만 피코팅재의 혼합은 증기상태를 거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왜나하면 증기상태를 만들어 박막층과 박막층 사이에 증착시키는 방법으로 혼합시킬 경우에는 상기 각 각 다른 물질의 증기들이 상호 확산 혼합되며 서로에 대한 오염물질로서 작용하여 박막의 순도와 품질에 대하여 심각한 저하를 초래할 뿐 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장치와 부품들에 대한 오염과 제작비 향상 등의 대단히 많은 문제들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기상태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박막층과 박막층들 사이에 피코팅재를 혼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코팅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을 사용하고 이러한 물질 특성을 적절히 잘 이용하여 상기 박막층과 박막층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증착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피코팅재가 유동성물질, 특히 상온 유동성물질일 경우에는 가열이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매우 편리한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박막층이 3차원적 형상이거나 지정된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코팅재가 유동성물질일 경우에는 정밀한 형상 조절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유동성물질 또는 열가소성물질을 사용하여 임프린팅 방법을 사용하면 가열된 금형(MOLD)를 사용하여 상기 피코팅재의 표면에 제조하고자 하는 박막의 3차원적 형상을 임프린팅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상기 금형에 마련된 3차원적 형상과 대응하는 박막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할 수 있는 피코팅재를 사용하면 증발시키는 공정을 사용하여 증기상태를 거쳐 증착하는 공정없이 상기 박막층들 사이에 피코팅재를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혼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지적한 증기분자들에 의한 상호 오염문제나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모든 문제들이 해결된 상태로 제조된 박막클러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상기 박막층 중의 적어도 한 층의 박막이 피코팅재 표면에 형성된 후에 실시되어야만 적어도 상기 한 층의 박막층과 혼합이 이루어지게 됨은 당연한 일이고, 인시츄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높은 생산성이 유지된다.
상기 박막층들 중에서 적어도 한 층 이상은 상기 피코팅재가 적어도 한 층의 박막층 위에 인시츄 상태에서 추가로 형성된 후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 형성된 것이라야 대량의 박막층이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며, 이 역시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코팅재는 가열에 의해 증발시키는 공정을 사용하지 않지만 적어도 진공장치 내의 상온상태에서 포화증기압이 낮은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적어도 진공장치 내의 상온상태에서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인 물질 중에서도 포화증기압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100토르를 초과하는 물질을 피코팅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물리적증착장치의 구성과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피코팅재의 증기들이 박막층 형성을 방해하거나 오염시키는 영향으로 인해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피코팅재는 인시츄 상태에서 적어도 지정된 기간 동안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동성물질을 사용하거나 가소성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피코팅재가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화되는 연화점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코팅재 물질 선택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상기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더 높은 연화점을 갖는 피코팅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연화점까지 온도를 올리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될 뿐 아니라 물리적증착장치의 구성 또한 고온의 피코팅재를 다루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구조와 재료를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박막층 코팅 시점에서의 상기 피코팅재는 상기 박막층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피코팅재의 두께가 상기 박막층 두께보다 얇은 상태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증착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물리적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피코팅재층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방법일 뿐 아니라 이를 실행하기 위한 물리적증착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까다로운 공정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인시츄 상태에서는 상기 혼합된 피코팅재는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용매물질은 증기압이 지나치게 높아서 진공장치 안의 진공분위기를 오염시키는 요인이될 뿐 아니라 진공펌프를 비롯한 많은 부품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피코팅재는 용매의 개입이 없는 상태로 변위를 일으키며 이동하고 상기 박막층들과 혼합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증착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분쇄과정의 일부분은 인시츄과정에서 실시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진공용기 밖으로 꺼낸 후에 분쇄 및 선별 전용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피코팅재의 점도가 10 cps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 지정된 조건의 박막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며, 그 두께 또한 일정한 범위에 드는 것이 필요하다.
박막층 두께가 0.1나노메타 이하일 경우에는 박막층 형태로 유지되기가 어려우며 50미크론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박막층은 미세한 박막으로 분쇄하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재료의 낭비가 심해지고 박막증착비용이 과다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조건으로 수득된 박막클러스터는 인시츄상태에서 또는 진공용기 밖으로 언로드(unload)된 상태에서 증착되는 시점에서의 면적에 비하여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된 상태의 박막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1;박막층 3;피코팅재 5;캐리어(지지기재)
7;피코팅기재 9;분리재

Claims (9)

  1. 인시츄(in-situ)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피코팅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 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될 때에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들 중에서 적어도 한 층 이상은 상기 피코팅재가 적어도 다른 한 층의 박막층 위에 인시츄 상태에서 추가로 형성된 후 상기 추가로 형성된 피코팅재의 일부분 이상에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추가로 형성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피코팅재 물질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태로 적어도 상기 피코팅재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변위를 일으키며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나노메타 이상 50미크론 이하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이고, 상기 피코팅재의 적어도 한 표면물질은 섭씨 25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인 동시에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이며,
    상기 박막층 코팅 시점에서의 상기 피코팅재는 상기 박막층의 두께 보다 두껍고, 점도 10 cps 이상의 것이고, 상기 박막층들 사이에 혼합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 역시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피코팅재 물질의 유동성을 유지한 상태로 변위를 일으키며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것이며, 적어도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는 피코팅재의 혼합공정은 상기 박막층 중의 적어도 한 층의 박막층이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 형성된 후 인시츄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는 피코팅재를 용매 중에 녹이는 방식이 아니라 용매의 개입 없이 적어도 상기 피코팅재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혼합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박막증착 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2.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피코팅재를 포함하여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피코팅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 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될 때에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박막층들 중에서 적어도 한 층 이상은 피코팅재의 일부분과 함께 다른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이 상기 피코팅재 또는 캐리어로부터 분리되면서 노출시키는 상기 피코팅재의 잔류부분 또는 캐리어의 일부분 이상 또는 상기 피코팅재의 잔류부분 또는 캐리어로 추가 공급된 피코팅재의 일부분 이상에 인시츄 상태에서 물리적증착방법에 의해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추가로 공급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피코팅재 물질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상태로 적어도 상기 피코팅재에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변위를 일으키며 공급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나노메타 이상 50미크론 이하인 것이고, 상기 피코팅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이며, 상기 피코팅재의 적어도 한 표면물질은 섭씨 25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인 동시에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이며, 상기 박막층 코팅 시점에서의 상기 피코팅재는 상기 박막층의 두께 보다 두껍고, 점도 10 cps 이상의 것이고, 상기 박막층들 사이에 혼합된 피코팅재 중 적어도 일부분 역시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 층 이상의 상기 박막층과 함께 피코팅재의 일부분이 상기 피코팅재의 다른 일부분 또는 캐리어로부터 분리 및 수집되는 과정을 거쳐 상기 박막층과 함께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것이며, 적어도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는 피코팅재의 혼합공정은 상기 박막층 중의 적어도 한 층의 박막층들이 상기 피코팅재 표면에 형성된 후 인시츄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피코팅재는 피코팅재를 용매 중에 녹이는 방식이 아니라 용매의 개입 없이 상기 피코팅재와 상기 박막층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박막층들을 적어도 1회 이상 분쇄시키면서 혼합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박막증착 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3. 인시츄 상태에서 혼합된 분리재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두 층 이상의 박막층과 상기 두 층 이상의 박막층 사이에 혼합되어 있는 한 층 이상의 분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층은 증착된 상태에서의 최대길이가 박막층두께에 비하여 100배 이상인 것이며, 상기 분리재와 혼합된 상태에서의 박막층은 길이/두께의 비가 2 이상인 박막클러스터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물리적증착방법 (phys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형성된 박막층이며, 상기 박막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될 때에 상기 피코팅기재(7) 표면 중 일부분에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피코팅기재의 표면 중 일부분에 형성된 후 인시츄 상태에서 상기 분리재(9)와 접합된 후에 상기 분리재와 함께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된 것이며,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한 층은 상기 피코팅기재 위에 먼저 형성된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이 상기 분리재와 접합된 후에 상기 분리재와 함께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된 후에 인시츄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피코팅기재 위에 형성되고 분리된 것으로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두 층 이상은 각각 상기 피코팅기재에 형성 및 분리된 시점이 다른 것이고, 상기 피코팅기재 중 적어도 일부 표면은 동일한 장소에 상기 한 층 이상의 박막층이
    형성되었다가 분리되는 과정이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되는 면이며, 상기 분리재는 증기상태로 증착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인시츄 상태에서 증착공정이 아닌 물리적 힘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며, 역시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박막층과 함께 상기 피코팅기재로부터 분리되며, 적어도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는 시점과 지정된 기간 동안 유동성을 갖도록 지정된 범위의 점도를 갖는 물질이고, 상기 박막층과 상기 피코팅기재와의 접착력은 상기 박막층과 상기 분리재와의 접착력 보다 작은 것이며, 상기 박막층의 두께는 0.1나노메타 이상 50미크론 이하인 것이며, 상기 분리재는 유동성물질 또는 가소성물질인 동시에 적어도 한 표면물질은 섭씨 25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이 100토르 이하이고 연화점은 섭씨 650도 이하이며, 상기 박막층과 접합되는 과정과 혼합되는 과정 중 적어도 일부분은 증착공정이 아닌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박막클러스터에 포함된 박막층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박막증착 공정 단계에서의 크기로부터 1/1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한층은 자외선차단특성을 갖는 박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막층은 다층구조이고 외표면의 박막층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내부 박막층 보다 화학안정성이 높은 피복물질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금속재료, 반도체재료, 세라믹재료 중에서 선택된 일 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화장품재료 또는 색조용안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도전용재료, 투명도전용 재료, 열전도용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박막층 중 적어도 일부분 이상은 <길이/폭>의 비율이 10 이상이며, 긴 형태의 밴드 혹은 지정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띠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클러스터
KR1020130093344A 2012-04-17 2013-08-06 박막클러스터 KR20130117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9649 2012-04-17
KR1020120039649 2012-04-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697A Division KR101343288B1 (ko) 2012-04-17 2013-04-13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입자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58A true KR20130117358A (ko) 2013-10-25

Family

ID=493837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697A KR101343288B1 (ko) 2012-04-17 2013-04-13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입자 및 제조방법
KR1020130093344A KR20130117358A (ko) 2012-04-17 2013-08-06 박막클러스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697A KR101343288B1 (ko) 2012-04-17 2013-04-13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입자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343288B1 (ko)
WO (1) WO20131578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4328A (zh) * 2014-02-12 2016-11-23 李亨坤 薄膜群制造装置、薄膜群、薄膜、紫外线阻隔剂及化妆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8986A (en) * 1978-07-03 1979-09-25 Polaroid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lamellar pigments
GB2326420B (en) * 1997-06-20 2001-03-14 Nippon Paint Co Ltd Metallic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US5902641A (en) * 1997-09-29 1999-05-1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Flash evaporation of liquid monomer particle mixture
CN1273638C (zh) * 1998-10-23 2006-09-06 艾弗里·丹尼森公司 制造金属片的方法
US6270841B1 (en) * 1999-07-02 2001-08-07 Sigma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hin coating manufactured by vapor deposition of solid oligo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4328A (zh) * 2014-02-12 2016-11-23 李亨坤 薄膜群制造装置、薄膜群、薄膜、紫外线阻隔剂及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288B1 (ko) 2013-12-18
KR20130117335A (ko) 2013-10-25
WO2013157847A1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e et al. Printing fabrication of large-area non-fullerene organic solar cells
KR101564390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고신뢰성 나노 구조체와 어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72422B (zh) 奈米壓印設備和方法
US9214590B2 (en) High fidelity nano-structures and arrays for photovoltaic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302713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rge-area monolayer films of solution dispersed nanomaterials
JP2017507227A (ja) 多層研磨粒子の製造方法
CN102870193A (zh) 选择性纳米颗粒组装系统和方法
US934512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narizing printed electronic device
CN105189808B (zh) 薄膜群、薄膜粒子以及制造方法
Zhang et al. A laser printing based approach for printed electronics
Pandey et al. Rece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printed electronic devices
US20130180955A1 (en) Segmented or selected-area coating
Liu et al. Regulation of the deposition morphology of inkjet-printed crystalline materials via polydopamine functional coatings for highly uniform and electrically conductive patterns
Jambhulkar et al. A multimaterial 3D printing-assisted micropatterning for heat dissipation applications
Lee et al. Laser-induced transfer of functional materials
JP2005525230A (ja) 粒子の二次元集成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343288B1 (ko) 박막클러스터와 박막입자 및 제조방법
Maisch et al. Inkjet printed organic and perovskite photovoltaics—review and perspectives
KR102074527B1 (ko) 박막클러스터 제조장치와 박막클러스터, 박막, 자외선차단제 및 화장품
CN105093824B (zh) 一种气电协同的大面积纳米压印光刻方法
Cheng et al. Micro-and nanopatterned polymethylmethacrylate layers on plastic poly (ethylene terephthalate) substrates by modified roller-reversal imprint process
Hong et al. Residual-layer-free printing by selective filling of self-assembled monolayer-treated mold
US2017016701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in film cluster, thin film cluster, thin film, uv-blocking agent and cosmetics
Shalmani Enhancing the Resolution of Inkjet Printing Through Modification of Ink/Substrate Interaction
TW202110544A (zh) 對滑動對象物之表面提供或排除滑動處理物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