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638A - 기관 삽관 장치 - Google Patents

기관 삽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638A
KR20130116638A KR1020120039212A KR20120039212A KR20130116638A KR 20130116638 A KR20130116638 A KR 20130116638A KR 1020120039212 A KR1020120039212 A KR 1020120039212A KR 20120039212 A KR20120039212 A KR 20120039212A KR 20130116638 A KR20130116638 A KR 2013011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ubation
suction
bladder
tube
ventila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필
Original Assignee
우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필 filed Critical 우정필
Priority to KR102012003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6638A/ko
Publication of KR2013011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8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integrated means for changing the degree of curvature, e.g. for easy intub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기관 삽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고 환기 튜브가 삽입되는 환기 튜브 삽입구와,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와 독립적으로 구획되고 석션(suction)을 위한 석션 튜브가 삽입된 석션홀과,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 및 석션홀과 독립적으로 구획된 개구부를 가지는 삽관 바디와;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에 설치되고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기낭과;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조인트를 가지는 지지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며 하단에 카메라와 조명이 장착된 스코프와, 상기 스코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영상 정보부; 및 상기 환기 튜브 및 석션 튜브의 상단과 연결되어 석션을 실시할 때 대기와 환기 튜브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석션과 동시에 상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석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관 삽관 장치{Intub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또는 마취 시술이 필요한 환자의 구강으로 기관 삽관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환자 또는 경추 불안정 환자에게도 즉시 사용 가능하고, 구강 내 잔존하는 이물질 또는 분비물에 대한 석션(suction)과, 양압 환기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기관 삽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 삽관은 기도 폐쇄나 호흡 억제가 올 수 있는 환자 또는 의식이 있더라도 자가 호흡이 어려운 환자 및 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기도(air way)를 확보하여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관 내로 일정한 길이와 내경을 가진 PVC 재질의 튜브(기관튜브)를 거치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종래의 기관 삽관 장치는 보통 시술자가 후두경을 사용하여 성문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기관 삽관을 실시하고, 이 경우 구강과 인두 및 후두축이 일직선상에 오도록 후두관절은 신전 시키고, 경부는 굴전시켜 입 안으로 후두경을 삽입한 후에 전하방으로 들어올려 성문을 노출시켜 기관 튜브를 삽입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경추 불안정, 측두하악관절에 운동제한이 있거나 인두에 혈액이나 구토물 또는 부종이 있는 경우 시술자가 쉽게 기도 삽관을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시술자가 무리하게 시술을 실시할 경우에 인두(pharynx)에서의 출혈과 부종은 더욱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더욱더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최근에는 굴곡성 후두경을 이용하거나, 광봉을 이용하여 기관 삽관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디오 장치를 이용한 기관 삽관 지원장치들도 많이 개발되었다.
일 예로 기관 삽관 장치에 비디오 장치가 장착되어 시술자가 보다 손쉽게 환자에게 기관 삽관을 실시하고는 있으나 인두에 이물질이 잔존할 경우 비디오 장치를 통한 기도 확보가 어렵고, 이에 따라 시간이 길어지면서 저환기 또는 무호흡이 지속되어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수반되며 심한 경우에 사망까지도 이를 수 있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6779호 (공개일: 2008년06월24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낭을 이용하여 인두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한 후에 상기 기낭의 팽창 또는 수축을 이용하여 기관 삽관을 안정적으로 실시함과 동시에 이물질 흡입 및 양압 환기를 동시에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고 환기 튜브가 삽입되는 환기 튜브 삽입구와,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와 독립적으로 구획되고 석션(suction)을 위한 석션 튜브가 삽입된 석션홀과,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 및 석션홀과 독립적으로 구획된 개구부를 가지는 삽관 바디;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에 설치되고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기낭;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조인트를 가지는 지지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며 하단에 카메라와 조명이 장착된 스코프와, 상기 스코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영상 정보부; 및 상기 환기 튜브 및 석션 튜브의 상단과 연결되어 석션을 실시할 때 대기와 환기 튜브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석션과 동시에 상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석션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삽관 바디는 상기 환자의 후두를 들어올리기 위해 하단 상면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양측은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후두 들개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대 삽입구;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물 주입공; 상기 스코프가 삽입되는 스코프 삽입공; 상기 기낭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기낭과 연통된 공기 주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기관 삽관 장치는 상기 물 주입공이 형성된 삽관 바디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물공급 튜브; 상기 물공급 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 튜브에 공급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조절 밸브; 상기 조절 밸브의 개구 상태를 조절하는 물공급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삽관 바디는 일체로 이루어져 스코프 삽입공과 물 주입공에 결합된 삽관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삽관 덮개는 전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관 덮개는 상기 물 주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삽관 덮개의 전면을 향해 연장된 세정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삽관 바디는 상기 환자에게 일회용으로 시술된 이후에 폐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낭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낭은 삽관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기낭튜브와 연통된 제1 기낭과, 상기 삽관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기낭튜브와 연통된 제2 기낭을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는 기낭의 상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관 삽관 장치는 상기 기낭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삽관 바디를 하향시키면 조인트에 의해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삽관 바디를 상향시키면 조인트에 의해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하향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션 조절부는 상기 석션 튜브와 연결된 제1 연결구를 가지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된 통로(passage)를 가지는 제1 실린더; 상기 환기 튜브와 연결된 제2 연결구를 가지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 내부에 삽입되고 대기와 연통된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 실린더;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2 실린더의 상단과 연결된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석션 조절부는 상기 스위치가 하강 될 때 상기 제1 연결구와 통로가 서로 간에 연통 되어 석션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실린더는 연통공과 이격되어 환기 튜브가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인 환자 또는 경추 불안정 환자 및 측두하악관절에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기관 삽관을 실시할 수 있으며, 기관 삽관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인후 후두 점막에 손상 또는 출혈 및 부종 발생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의 구강내 잔존할 수 있는 혈액, 구토물 및 이물질에 대한 석션을 통해 기도로 이물질이 넘어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성문에서의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안정적인 시술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관 삽관과 동시에 양압 환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치아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손상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치아가 없어 잇몸 손상이 우려되는 환자의 치아를 보호하면서 기관 삽관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관 바디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에 삽관 덮개가 설치되는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에 구비된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에 구비된 스코프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의 영상 정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기낭이 삽관 바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낭이 삽관바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낭을 이용한 기관 삽관 장치에 사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조절부의 사용 상태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낭을 이용한 기관 삽관 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관 바디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 삽관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관 삽관 장치(1)는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고 환기 튜브 삽입구(101)와 석션홀(102) 및 개구부(110)를 가지는 삽관 바디(100)와, 상기 삽관 바디(100)의 하단에 설치된 기낭(200)과, 상기 개구부(110)에 삽입된 지지대(300)와, 환자의 성문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20)를 가지는 영상 정보부(400) 및 석션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삽관 바디(100)는 탄성력이 있는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재질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환자에게 일회용으로 시술된 이후에 폐기처리되며, 이를 통해 삽관 바디(100)의 불필요한 재사용에 따른 오염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삽관 바디(100)는 환기 튜브(10)가 삽입되는 환기 튜브 삽입구(101)와,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101)와 독립적으로 구획되고 석션을 위해 석션 튜브(20)가 삽입된 석션홀(102)을 포함한다. 삽관 바디(100)는 환기 튜브 삽입구(101)가 형성된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절개부(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삽관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상기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삽관 바디(100)는 하단 상면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양측은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후두 들개(100a)를 포함한다. 상기 후두 들개(100a)는 환자의 후두를 들어올려 성문에서의 보다 정확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개구부(110)는 지지대 삽입구(111)와, 물 주입공(112)과, 스코프 삽입공(113)과, 공기 주입구(114)를 포함한다. 지지대 삽입구(111)는 후술할 지지대(300)가 삽입되기 위해 삽관 바디(100)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고 상기 지지대(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지지대(300)의 단면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지지대 삽입구(111)가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개구되나 상기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물 주입공(112)은 삽관 바디(100)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고,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으로 개구된다.
스코프 삽입공(113)은 스코프(410)의 삽입을 위해 삽관 바디(100)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되고, 상기 스코프(4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으로 개구된다.
공기 주입구(114)는 기낭(20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기낭(200)과 연통되고, 상기 기낭(200)은 공기 주입구(11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량에 따라 부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진다. 또한 공기 주입구(114)는 삽관 바디(100)의 상단에 공기 주입 튜브(4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주입구(114)가 1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변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환기 튜브 삽입구(101)는 삽관 바디(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스코프 삽입공(113)은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101)와, 스코프 삽입공(113)이 이와 같이 배치되는 이유는 환기 튜브(10)와 스코프(410)의 직경이 지지대 삽입구(111) 또는 물 주입공(112) 및 공기 주입구(114)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한정된 삽관 바디(100)의 영역을 안정적으로 만족하면서 환기 튜브(10)와 석션 튜브(20)의 삽입과, 스코프의 삽입과 물공급 및 에어 공급을 가장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지지대 삽입구(111)는 환기 튜브 삽입구(101)과 스코프 삽입공(1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101)와 스코프 삽입공(113) 사이에 물 주입공(112)과 석션홀(102)이 배치된다.
기관 삽관 장치(1)는 삽관 바디(10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물공급 튜브(30)가 상기 물 주입공(112)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공급받아 물공급 튜브(30)와 물 주입공(112)을 통해 삽관 바디(100)의 하단을 향해 배출된다.
또한 물공급 튜브(30)에는 공급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조절 밸브(32)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 밸브(32)의 개구 상태를 조절하는 물공급 스위치(34)가 설치된다.
조절 밸브(32)는 상기 기관 삽관 장치(1)를 통해 양압 환기를 실시할 때 성문에서의 양압이 상기 물 주입공(112)을 통해 삽관 바디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며, 물공급 스위치(34)에 의해 물 주입공(112)의 개폐 상태가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낭에 대해 설명한다.
기낭(200)은 삽관 바디(100)의 하단에서 공기 주입구(114)와 연결되고 상기 삽관 바디(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기낭튜브(미도시)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진다.
기낭(200)은 환기 튜브(10)가 환자의 성문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스코프(41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시술자가 성문의 영상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낭(200)은 삽관 바디(100)를 감싸며 설치되고, 혀의 뿌리부분인 입인두에 위치되도록 조절되며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삽관 바디(100)의 외측에 눈금(미도시)이 표시된다.
기낭(200)은 환자의 성문으로 삽관 바디(100)가 삽입될 때 최소한의 부피가 유지되도록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삽관 바디(100)가 성문으로 삽입된 이후에 팽창될 수 있다.
기낭(200)은 의식이 없는 환자 또는 근이완된 환자에게 인두쪽으로 쳐진 혀뿌리를 들어올려 영상 정보부(400)를 통한 보다 정확한 영상 정보가 획득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고 이와 동시에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 바디(100)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관 덮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삽관 덮개(120)는 삽관 바디(100)는 하단에 개구된 스코프 삽입공(113)과 물 주입공(112)에 삽입된다. 삽관 덮개(120)는 개구된 스코프 삽입공(113)과 물 주입공(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전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카메라 및 조명이 구비된 스코프(410)를 통해 성문에서의 안정적인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삽관 덮개(120)는 삽관 바디(100)가 환자의 성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관 덮개(120)의 외측이 분비물과 혈액 및 구토물에 의해 오염될 경우에, 스코프(410)에 장착된 카메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카메라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지 않고서도 계속적으로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삽관 덮개(120)는 물 주입공(112)과 연통되고 상기 삽관 덮개(12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된 세정노즐(122)을 포함한다. 세정노즐(122)은 물 주입공(112)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삽관 덮개(120)의 전면으로 공급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삽관 덮개(120)는 삽관 바디(100)와 마찬가지로 환자에게 한 번 사용된 후에는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된다. 삽관 덮개(120)는 후술할 카메라를 통한 촬영이 이루어질 때 보다 선명한 영상 정보가 획득되도록 내측에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특정 렌즈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300)는 지지대 삽입구(111)에 삽입되고, 소정의 강성을 지닌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조인트(302)는 기낭(200)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시술자가 기관 삽관 장치(1)를 이용하여 시술을 실시할 때 팽창된 기낭(200)을 지지점으로 하여 삽관 바디(100)를 하향 또는 상향 조작할 경우에 상기 삽관 바디(100)의 하단이 이에 따라 이동되면서 시술자의 보다 용이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조인트(302)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굴곡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지대(300)는 조인트(302)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구획되고, 상기 조인트(302)에 의해 지지대(300)의 하측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정보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정보부(400)는 스코프 삽입공(113)에 삽입되는 스코프(410)와, 상기 스코프(410)의 하단에 장착된 카메라 및 조명(미도시)과, 상기 스코프(410)의 상단에 설치된 손잡이(402)와, 상기 손잡이(402)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20)를 포함한다.
스코프(410)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고 굴곡진 경로를 가지며 제작된다. 카메라는 의학용으로 제작된 초소형 카메라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을 가지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CCD(charge-coupled device camera)가 사용되고, 조명은 LED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20)는 엘시디 패널이 설치되어 시술자에게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며, 상기 엘시디 패널을 제외한 유기EL 또는 OLED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20)는 시술자가 보다 편리하게 화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메모리(미도시)가 장착되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 조절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석션 조절부(500)는 환기 튜브(10) 및 석션 튜브(20)의 상단과 연결되어 석션을 실시할 때 대기와 환기 튜브(1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석션과 동시에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석션 조절부(500)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제1,2 챔버(510,520)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제1 챔버(510)에 설치된 제1 실린더(520)와, 상기 제2 챔버(530)에 설치된 제2 실린더(540) 및 상기 제1,2 실린더(520),540)의 상단과 연결된 버튼(550)을 포함한다.
제1 챔버(51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 실린더(52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석션 튜브(20)와 연결된 제1 연결구(512)와,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별도로 구비된 석셕 유닛(미도시)에 설치된 석션관(미도시)이 삽입되는 제3 연결구(514)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실린더(520)는 제1 챔버(510)의 내부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챔버(51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통로(522)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522)는 상기 버튼(550)이 푸시 되기 이전에 제1 연결구(512)와 미 연통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버튼(550)이 푸시된 경우에 상기 제1 연결구(512)와 통로(522)가 연통 되면서 음압이 석션 튜브(20)에 가해진다.
통로(522)는 일단이 상기 제1 연결구(512)를 향해 개구되고, 타단은 제3 연결구(514)를 향해 개구된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통로(522)는 버튼(550)의 작동 유무에 따라 통로(522)와 제1 연결구(512)가 서로 간에 연통될 경우에 석션 유닛을 통해 형성된 음압에 의해 환자의 성문에 잔존할 수 있는 혈액 또는 분비물이 흡입되어 석션 유닛으로 이동된다.
제2 챔버(530)는 내부에 제2 실린더(540)가 설치되고, 버튼(550)이 푸시 되기 이전에는 연통공(542)의 하측에 밀착되어 대기중의 공기가 상기 제2 챔버(5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버튼(550)이 시술자에 의해 푸시될 경우에는 대기 중의 공기가 제2 챔버(530)의 내부 영역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2 챔버(530)는 환기 튜브(10)와 연결된 제2 연결구(532)와, 앰부백(미도시)과 연결된 제4 연결구(534)를 포함한다.
제2 챔버(530)는 제2 연결구(542)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제1 챔버(510)와는 다르게 제2 실린더(540)가 제2 챔버(530)의 내부 영역 중 상측 일부분에만 위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제2 연결구(542)를 개폐시킬 수 있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나 상기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제4 연결구(534)는 앰부백(미도시)과 연결된 앰부백 연결 튜브(미도시)가 연결되며 도면으로는 도시하지 않았다.
버튼(550)는 시술자가 손가락을 손쉽게 푸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상기 형상과 구조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버튼(550)은 제1,2 챔버(510,530)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501)의 상면을 향해 연장된 연장부(551)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551)는 상기 탄성 부재(501)에 의해 항시 상측을 향해 탄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시술자가 석션을 실시하기 위해 버튼(550)을 푸시하지 않는 한, 제1,2 실린더(520,540)는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석션 조절부(500)가 구성되는 이유는 환자에게 기관 삽관 장치(1)를 사용하여 석션을 실시할 경우에 상기 환자의 성문에서 석션을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환자의 호흡을 위해 충분한 공기가 구강 내부로 공급시켜 저환기 또는 무호흡으로 인한 환자의 위급 사태를 사전에 예방하고 상기 기낭(200)에 의한 밀폐로 후두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자의 폐손상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관 삽관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기관 삽관 장치는 기낭(200)이 1개가 아닌 제1 기낭(210)과 제2 기낭(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2 기낭(210,220)은 공기 주입구(114)(도 3 참조)를 통해 개별적으로 팽창 및 수축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는다.
제1 기낭(210)은 삽관 바디(100)의 하단 상측에 위치되고, 제2 기낭(220)은 삽관 바디(100)의 하단 하측에 상기 제1 기낭(210)과 마주 보며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낭(210)과 제2 기낭(220)은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 및 수축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낭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낭(200)은 삽관바디(100)를 기준으로 상측에 제1 기낭(210)이 설치되고, 하측에 제2 기낭(2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기낭(210)에는 제1 기낭 튜브(115a)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1 기낭(210)의 수축 및 팽창을 가능하게 하고, 제2 기낭(220)에는 제2 기낭 튜브(115b)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2 기낭(220)의 수축 및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제1 기낭(210)과 제2 기낭(220)은 제1,2 기낭 튜브(115a,115b)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량에 따라 서로 다른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기낭(210,220)의 상대적인 부피 팽창을 통해 성문에서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관 삽관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술자는 기도유지 또는 기도보호가 되지 않는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경우 기관 삽관을 실시하기 앞서 환기 튜브의 외측에 윤활제를 도포한 후에 환기 튜브 삽입구에 삽입시키고, 기낭은 삽관 바디의 하단에 삽입하며, 지지대는 지지대 삽입구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스코프 삽입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및 조명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기낭은 수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첨부된 도 3 또는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기관 삽관 장치(1)의 손잡이(402)를 손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확인하면서 삽관 바디(100)를 환자의 인두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시술자는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선명하지 않을 경우에는 삽관 덮개(120)의 외측에 이물질이 묻은 것으로 판단하고, 물공급 스위치(34)를 작동시킨다. 물은 물공급 튜브(30)와 물 주입공(112)을 경유하여 세정노즐(122)을 통해 삽관 덮개(120)의 외측 전면에 묻은 이물질을 향해 분사된다. 상기 이물질은 분사된 물에 의해 세척되면서 상기 삽관 덮개(120)의 전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시술자는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표시된 영상을 다시 확인한 후 선명하게 표시될 경우에는 물공급 스위치(34)를 조작하여 세정 노즐(122)로 공급되는 물공급을 중지시킨다.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삽관 바디(100)의 삽입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기낭(200)이 성문에 위치될 경우에 공기 주입구(114)에 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기낭(200)을 소정의 크기로 팽창시킨 상태에서 성문에서의 환기 튜브(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한다.
예를 들어 시술자는 환자의 후두 덮개(미도시)를 들어올리기 위해 삽관 바디(100)의 하측을 향해 삽관 바디(100)를 누르게 되면, 상기 기낭(200)은 하면이 구강 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조인트(302)를 기준으로 하단에 있는 삽관 덮개(120)가 상측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후두 덮개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조인트(302)는 지렛대의 축과 유사하게 손잡이의 상, 하 이동 방향에 따라 삽관 바디(100)의 하단이 하강 또는 상승 이동된다.
시술자는 상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표시된 환자의 성문을 보면서 환기 튜브(10)를 삽입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 조절부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만약 양압 환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제3 연결구(514)에 석션 유닛과 연결된 석션관(2)을 제3 연결구(514)에 결합시키고, 앰부백(미도시)과 연결된 앰부백 연결 튜브(3)를 제4 연결구(534)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버튼(550)을 화살표 방향으로 푸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실린더(520)와 제2 실린더(540)는 각각 제1,2 챔버(510,530)의 하측으로 하강 이동되고, 통로(522)는 석션 튜브(20)와 연통 되면서 상기 석션 유닛을 통해 형성된 음압에 의해 구토물이나 분비물 및 혈액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션 튜브(20)와 제1 챔버(510) 및 제3 연결구(514)를 경유하여 석션 유닛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실린더(540)는 제2 연결구(542)에서 이격 되면서 대기 중의 공기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구(542)를 통해 제2 챔버(530)로 유입되어 환기 튜브(10)를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성문에 잔존하는 이물질은 안정적으로 석션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한기 튜브(10)로 공기가 환자에게 공급되므로 폐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양압 환기가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낭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환자의 구강에 삽관 바디(100)를 삽입시킨 후에 제1 기낭(210)을 제2 기낭(2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부피 팽창시키기 위해 제1 기낭 튜브(115a)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면, 상기 제1 기낭 튜브(115a)를 통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공급되어 제1 기낭(210)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팽창된다. 그리고, 성문에서 제1 기낭(210)과 제2 기낭(220)의 상대적인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제2 기낭(220) 보다 제1 기낭(210)을 상대적으로 더 팽창시켜 삽관 바디(100)의 하단을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삽관 바디(100)의 하단을 화살표 방향인 상측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제1 기낭(210) 보다 제2 기낭(220)을 상대적으로 크게 부피 팽창시키기 위해 제2 기낭 튜브(115b)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면, 상기 제2 기낭 튜브(115b)를 통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공급되어 제2 기낭(220)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팽창되고 손쉽게 삽관 바디(100)의 하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삽관 바디(100)의 하단을 제1,2 기낭(210,220)의 상대적인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하강시키거나, 들어올려 보다 손쉽게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환기 튜브
20 : 석션 튜브
100 : 삽관 바디
101 : 환기 튜브 삽입공
102 : 석션홀
110 : 개구부
111 : 지지대 삽입구
112 : 물 주입공
113 : 스코프 삽입공
114 : 공기 주입구
115a, 115b : 제1,2 기낭 튜브
200 : 기낭
300 : 지지대
410 : 스코프
420 : 디스플레이부
500 : 석션 조절부
510, 530 : 제1,2 챔버
520, 540 : 제1,2 실린더

Claims (14)

  1.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고 환기 튜브가 삽입되는 환기 튜브 삽입구와,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와 독립적으로 구획되고 석션(suction)을 위한 석션 튜브가 삽입된 석션홀과, 상기 환기 튜브 삽입구 및 석션홀과 독립적으로 구획된 개구부를 가지는 삽관 바디;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에 설치되고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기낭;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조인트를 가지는 지지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굴곡지게 이루어지며 하단에 카메라와 조명이 장착된 스코프와, 상기 스코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영상 정보부; 및
    상기 환기 튜브 및 석션 튜브의 상단과 연결되어 석션을 실시할 때 대기와 환기 튜브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석션과 동시에 상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석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바디는,
    상기 환자의 후두를 들어올리기 위해 하단 상면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양측은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후두 들개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대 삽입구;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물 주입공;
    상기 스코프가 삽입되는 스코프 삽입공;
    상기 기낭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기낭과 연통된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삽관 장치는,
    상기 물 주입공이 형성된 삽관 바디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물공급 튜브;
    상기 물공급 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 튜브에 공급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조절 밸브;
    상기 조절 밸브의 개구 상태를 조절하는 물공급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바디는,
    일체로 이루어져 스코프 삽입공과 물 주입공에 결합된 삽관 덮개를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덮개는,
    전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삽관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덮개는,
    상기 물 주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삽관 덮개의 전면을 향해 연장된 세정노즐을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관 바디는,
    상기 환자에게 일회용으로 시술된 이후에 폐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삽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삽관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낭은,
    삽관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기낭튜브와 연통된 제1 기낭;
    상기 삽관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기낭튜브와 연통된 제2 기낭을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기낭의 상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삽관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삽관 장치는,
    상기 기낭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삽관 바디를 하향시키면 조인트에 의해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삽관 바디를 상향시키면 조인트에 의해 상기 삽관 바디의 하단이 하향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삽관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조절부는,
    상기 석션 튜브와 연결된 제1 연결구를 가지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된 통로(passage)를 가지는 제1 실린더;
    상기 환기 튜브와 연결된 제2 연결구를 가지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 내부에 삽입되고 대기와 연통된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 실린더;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2 실린더의 상단과 연결된 버튼을 포함하는 기관 삽관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조절부는,
    상기 스위치가 하강 될 때 상기 제1 연결구와 통로가 서로 간에 연통 되어 석션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실린더는 연통공과 이격되어 환기 튜브가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 삽관 장치.
KR1020120039212A 2012-04-16 2012-04-16 기관 삽관 장치 KR20130116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212A KR20130116638A (ko) 2012-04-16 2012-04-16 기관 삽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212A KR20130116638A (ko) 2012-04-16 2012-04-16 기관 삽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38A true KR20130116638A (ko) 2013-10-24

Family

ID=4963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212A KR20130116638A (ko) 2012-04-16 2012-04-16 기관 삽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66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5787A (zh) * 2014-03-19 2014-06-11 上海齐正微电子有限公司 可视吸痰管
KR20190092843A (ko) 2018-01-31 2019-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력을 이용한 기관 삽관 장치
KR20200009584A (ko) * 2018-07-19 2020-01-30 경북대학교병원 후두경 및 후두경용 압박 유닛
WO2023027489A1 (ko) * 2021-08-24 2023-03-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자극성 기관절개관 흡인줄
WO2024076162A1 (ko) * 2022-10-06 2024-04-11 서울대학교병원 기관 삽관 가이드 장치 및 기관 삽관 가이드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5787A (zh) * 2014-03-19 2014-06-11 上海齐正微电子有限公司 可视吸痰管
KR20190092843A (ko) 2018-01-31 2019-08-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력을 이용한 기관 삽관 장치
KR20200009584A (ko) * 2018-07-19 2020-01-30 경북대학교병원 후두경 및 후두경용 압박 유닛
WO2023027489A1 (ko) * 2021-08-24 2023-03-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자극성 기관절개관 흡인줄
KR20230029404A (ko) * 2021-08-24 2023-03-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자극성 기관절개관 흡인줄
WO2024076162A1 (ko) * 2022-10-06 2024-04-11 서울대학교병원 기관 삽관 가이드 장치 및 기관 삽관 가이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2363B2 (ja) 不撓性の引込み式舌状物と換気及び挿管のための手段とを有するラリンジアルビデオマスク
US9956367B1 (en) Laryngascope free airway device
JP2008528131A (ja) ビデオに支援された喉頭マスク気道デバイス
US8998804B2 (en) Suction catheter assembly for a laryngoscope
US20150173598A1 (en) Intubating Airway
KR20130116638A (ko) 기관 삽관 장치
KR101100785B1 (ko)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CN105343975A (zh) 一种无需喉镜的气管插管装置
CN105214188B (zh) 多管腔喉罩
RU2675356C1 (ru) Воздухо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тубации (варианты)
JP2020096877A (ja) 気管内チューブ挿入装置
TWM328878U (en) Laryngeal mask mounting assembly, laryngeal mask having probe and probe
CN205515880U (zh) 一种多功能呼吸气道管理装置
CN108392714B (zh) 一种兼具牙垫功能可除污物的多功能喉镜片及其工作方法
CN201263827Y (zh) 一种呼吸辅助系统
WO2020106666A1 (en) Bi-functional intubating and ventilating supraglottic airway
US9084572B2 (en) Collapsible laryngoscope
KR102195241B1 (ko) 인체에 삽입되는 내시경을 위한 다중 튜브 구조의 일회용 시스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10064111A (zh) 可视支气管插管及其应用
US20180177964A1 (en) Glottis mask airway
CN206183233U (zh) 一种用于喉罩定位的视频喉镜
KR101647972B1 (ko) 기도삽관 튜브
KR102126656B1 (ko) 후두경 및 후두경용 압박 유닛
KR102642169B1 (ko) 기관삽관 전용 내시경
CN205360190U (zh) 一种无需喉镜的气管插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