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945A -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945A
KR20130115945A KR1020120038785A KR20120038785A KR20130115945A KR 20130115945 A KR20130115945 A KR 20130115945A KR 1020120038785 A KR1020120038785 A KR 1020120038785A KR 20120038785 A KR20120038785 A KR 20120038785A KR 20130115945 A KR20130115945 A KR 2013011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aged
extract
preventing
liver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탁
이영철
김성수
홍희도
김영찬
최상윤
이영경
노정해
조장원
이명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945A/ko
Publication of KR2013011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70~95℃의 온도 및 70~90%의 습도에서 저장된 흑생강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숙성 생강 추출물은 혈액내 GOT, LDH, CREATININE 및 LACTATE의 증가를 감소시켜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간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GED GINGER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본 발명은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Zingiberaceae) 식물에 속하는 진지버(Zingiber) 속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진지버속 식물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는 예로는, 말레이시아에서 여러 진지버속 식물의 뿌리가 위통, 멀미, 구토, 간질, 인후통, 기침, 타박상, 상처, 해산, 안질환, 간장병, 류머티즘, 근육통, 백선(버짐), 천식, 발열, 악성종양 및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된 예가 있다. 생강의 성분으로는 전분이 전체의 40~60%를 차지하고, 방향신미성분, 수지 단백질, 섬유소, 펜토산, 무기질 등이 있으며, 생강의 매운 맛은 전저론(gingerone), 진저롤(진저롤), 쇼가올(쇼가올), 디히드로진저롤(dihydro진저롤), 방향성분은 시트랄(citral), 캄펜(camphene) 등 40여 종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생강 뿌리의 주성분으로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사이드(flavonoid glycoside), 세스퀴터페노이드(sesquiterpenoid) 및 폴리페놀(polyphenol)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생강의 뿌리는 인도네시아에서 복통, 설사, 구충, 통증, 류마티즘, 자궁질환을 치료하는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Ozaki et al., Chem. Pharm. Bull., 39, pp2353-2356, 1991). 또한 활성에 관한 연구로서는 항산화 작용(Masuda et al., Chem. Lett., 1, pp189-192, 1993; Jitoe et al., Tetrahedron Lett., 35, pp981-984, 1994), 항염증 작용(Ozaki et al., Chem. Pharm. Bull., 39, pp2353-2356, 1991; Jeenapongsa et al., J. Ethnopharmacol., 87, pp143-148, 2003), 살충작용(Nugroho et al., Phytochemistry, 41, pp129-132, 1996) 및 자궁 이완 작용(Kanjanapothi et al., Planta Med., 53, pp329-332, 1987)이 보고되었고, 생강의 뿌리의 성분에 관한 연구에서는 페닐부테노이드(phenylbutenoid) 및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가 보고되었으며(Masuda and Jitoe, Phytochemistry, 39, pp459-461, 1995; Tuntiwachwuttikul et al., Phytochemistry, 20, 1164-1165, 1981; Masuda et al., Chem. Lett., 1, pp189-192, 1993; Jitoe et al., Tetrahedron Lett., 35, pp981-984, 1994), 생강의 용도에 관한 문헌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99949호, 한국등록특허 제 10-083589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28931호 등 참고).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성된 생강이 숙성되지 않은 생강에 비하여 생리활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뛰어난 생리활성을 가지는 숙성 생강을 제조하여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가지는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생강을 70~90℃의 온도 및 70~90%의 습도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성 생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숙성 생강은 70~90℃의 온도 및 70~90%의 습도에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숙성 생강은 5~15일 동안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생강은 흑생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숙성'은 목적하는 대상을 60℃ 이상의 온도 및 60% 이상의 습도 환경에서 3일 내지 60일 미만 동안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간질환'은 간장(肝臟)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으로 간접적으로 혈청 생화학적 성분(GOT, LDH, CREATININE 및 LACTATE 등을 간질환 지표인)의 증가로 야기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간질환으로는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급성·만성 간염, 간경화, 지방간 또는 간섬유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숙성 생강 추출물은 혈액내 GOT, LDH, CREATININE 및 LACTATE의 증가를 감소시켜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간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숙성기간별 흑생강의 외관에 대한 사진이다(A: 10일 숙성, B: 20일 숙성, C: 30일 숙성).
도 2는 H2O2로 유도된 L6 근육세포사멸에 대한 흑생강 추출물의 방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숙성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
1-1. 재료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한 흑생강은 완주봉상생강조합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흑생강의 숙성은 항온항습기인 Temp. & Humi chamber (Temi 850, A sung tech, Korea)를 사용하였고, 생강의 증숙처리는 홍삼제조시 사용하는 증숙기(Mega science, Korea)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흑생강의 숙성은 흑생강을 수세하여 덮개가 있는 stainless 통에 잘 펼쳐서 넣고 항온항습조에 넣고 숙성시켰으며, 생강증숙의 경우 수세한 생강의 물기를 제거하고 증숙기에 넣어 증숙 후 50℃ 건조기에서 3일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1-2. 숙성 흑생강의 제조
흑생강의 숙성은 65~95℃의 온도 및 55~85%의 습도 조건의 항온항습기에서 예비실험을 거쳐 온도 80℃, 습도 85% 조건이 생강을 숙성시키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숙성 기간에 따른 흑생강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0일 간격으로 10일, 20일, 30일 숙성된 흑생강을 채취하였고, 숙성 흑생강 외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흑생강은 숙성 10일에 갈변이 시작되었고, 외관상 부피변화는 크게 없었다. 숙성 20일과 30일 후에는 10일과 비교하여 부피도 많이 작아지고 숙성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깔이 많이 짙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높은 습도 조건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된 것 같은 결과를 나타낸 것은 여러 겹의 껍질로 쌓여있는 마늘과 달리 외피만으로 구성된 흑생강의 외관특성상 흑생강조직 내의 수분을 높은 온도에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1-3. 증숙 흑생강의 제조
흑생강을 숙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증숙 공정을 거친 후 건조시키는 증숙 흑생강을 제조하였다. 수세한 흑생강을 체반에 두어 물기를 제거하고 박피하지 않은 채로 증숙시켰다. 증숙온도와 증숙시간은 수회의 예비실험을 통하여 95℃에서 3시간 증숙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증숙이 끝난 흑생강은 50℃ 건조기에서 약 3일 건조시켰다.
실시예 2. 숙성 흑생강 추출물의 특성
2-1. 유효성분 측정
숙성흑생강과 열풍건조 흑생강의 유용성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숙성처리된 흑생강시료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6-쇼가올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HPLC는 Jasco Co. (Japan)의 분석용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였고 컬럼은 Waters symmetry C-8 reversed phase column (150 × 3.9 mm, Cat. No. WATO 54235)을, 이동상은 methanol-water (65:35, v/v)를 1 ㎖/min의 속도로 용출하였고 시료의 검출은 282 nm 에서 측정하였다. 분석표준물질은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6-쇼가올은 chromadex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액은 흑생강추출물을 5 mg/㎖로 메탄올에 녹인 후 0.45 um 실린지 필터 (Millipore)로 여과하여 제조하였고 이를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열풍건조
흑생강
동결건조
흑생강
증숙흑생강 10일 숙성
흑생강
20일 숙성
흑생강
30일 숙성
흑생강
6-진저롤 4.433 5.084 6.041 3.177 0.566 0.276
6-쇼가올 0.537 0.199 0.944 2.326 2.160 2.233
8-진저롤 1.455 1.551 1.677 1.098 0.000 0.000
10-진저롤 1.176 1.281 1.194 0.964 0.349 0.000
*단위: (%)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신선한 원료 생강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생강의 가공, 조제 중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6-쇼가올의 경우 숙성흑생강에서 2% 대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10일 숙성 시킨 흑생강에서 2.326%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동결건조 흑생강이 0.19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2. 숙성흑생강의 영양성분(유리당, 구성아미노산, 유리지방산) 분석
가. 유리당
시료 10 g에 50%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냉각기에 연결하고 65℃ 수욕상에서 1시간 동안 환류냉각 시켰다. 추출된 용매를 100 mL 정용플라스크에 옮겨 담고 이를 반복하고 50% 에탄올 용액으로 정용하였다. 이를 다시 원심분리(8,000rpm, 20분)한 후 Sep-Pak C18 카트리지 (Waters Co., USA) 및 membrane filter (pore size 0.45 ㎛)로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표 2와 같은 조건에 따라 HPLC로 분석하였다.
기기   Jasco RI-2031 plus, Jasco (Japan)
컬럼   Asahipak NH2P-50 4E column
  (4.6 ㎜×250 ㎜, 5㎛ particle size)
검출기   Refraction index (Positive mode)
 컬럼 온도   38 ℃
 이동상   등용매 분리
아세토나이트릴: D.W. (75 : 25, v/v)
 유량   1.0 ㎖/min.
 주입 부피   20 ㎕
숙성흑생강과 열풍건조 흑생강의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조군
(열풍건조)
증숙 흑생강 10일 숙성
흑생강
20일 숙성
흑생강
30일 숙성
흑생강
Fructose(%) 1.15±0.01 0.92±0.04 1.02±0.09 0.64±0.00 0.32±0.06
Glucose(%) 0.57±0.04 1.02±0.01 1.31±0.02 0.45±0.08 0.51±0.15
Sucrose(%) 0.00±0.00 0.85±0.03 0.92±0.06 0.14±0.19 0.00±0.00
Total(%) 1.72±0.03 2.79±0.06 3.24±0.18 1.22±0.27 0.82±0.09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대조구 열풍건조 흑생강의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1.15%, 0.57%로 나타났고 sucr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숙성흑생강의 경우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fructose와 sucrose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sucrose의 경우 30일 숙성시킨 흑생강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증숙 시킨 후 건조시켜 제조한 흑생강의 경우 fructose 0.92%, glucose 1.02%, sucrose 0.85%로 10일 숙성흑생강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조금 낮은 유리당 함량을 보였다.
나. 구성아미노산 분석
시료 1 g을 캡시험관(cap test tube)에 취하고 6N-HCl 15 mL을 가하여 볼텍스 믹서로 3분간 교반시켰다. 질소가스를 시료가 넘쳐흐르지 않는 압력에서 30초간 주입하여 충전하고 이를 105℃ 히팅 블럭에 장착시킨 후 24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분해가 끝난 후 시료를 방냉시키고 50 mL 정용 플라스크에 시료용액을 옮겨 담아 증류수로 정용하여 1차 중화시켰다. 1차 중화시킨 후, 시료용액을 여과지(whatman no. 5)로 여과하여 테스트 튜브에 10 mL 정도 여과하고 이를 2 mL 취해서 25 mL 정용 플라스크에 3차 증류수로 정용하여 2차 중화시켰다. 이를 0.45㎛ PTFE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하고 표 4와 분석 프로그램의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
기기   Hitachi AAA L-8900
컬럼   이온교환컬럼(4.6 ㎜×60 ㎜)
  Packed with Hitachi custom ion exchange resin
검출기   Visible detector
 유량   0.4(ml/min)
 이동상   9 channel gradient1 )
 주입 부피 20 ㎕
1) B1: mixed buffer 1(pH 1.0), B2: mixed buffer 2(pH 2.0), B3: mixed buffer 3(pH 3.0), B4: mixed buffer 4(pH 4.0), B5: Distilled water, B6: Re-generation solution, R1: ninhydrin(유도체화시약), R2: buffer solution for ninhydrin derived compound, R3: 5% ethanol.
분석결과,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모든 구성아미노산들이 숙성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0일 숙성 흑생강의 경우 열풍건조나 증숙흑생강보다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숙성흑생강의 구성아미노산 중 aspartic acid가 10일 숙성 흑생강에서 1132.9 mg%, 그리고 glutamic acid가 열풍건조 흑생강에서 1017.1 mg%로 다른 구성 아미노산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특히 필수아미노산으로 분류되는 threon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및 tyrosine이 흑생강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trol
(열풍건조)
증숙 흑생강 10일 숙성흑생강 20일 숙성흑생강 30일 숙성흑생강
Aspartic acid 954.4±33.55 1032.0±2.63 1132.9±0.14 787.6±2.58 729.4±0.72
Threonine 286.3±3.03 271.8±2.50 329.6±0.00 239.2±2.15 225.6±0.85
Serine 270.3±3.04 297.0±2.25 357.4±0.63 227.0±1.42 203.9±0.79
Proline 255.0±0.01 207.1±1.46 279.3±3.75 211.4±7.71 195.3±2.51
Glycine 327.7±3.98 288.6±2.72 345.0±0.14 285.5±2.84 273.0±0.72
Alanine 305.6±2.64 197.9±2.01 321.7±0.90 202.4±0.03 175.3±0.14
Cysteine 32.8±0.85 22.9±5.17 36.5±19.37 22.4±9.98 16.8±2.51
Valine 358.8±1.92 287.7±2.25 371.6±2.85 279.5±1.88 274.3±1.40
Methionine 81.8±25.23 73.3±12.44 88.5±10.73 76.6±0.42 69.6±8.95
Isoleucine 299.9±1.64 245.4±2.26 314.6±1.48 237.8±2.84 238.6±0.07
Leucine 480.5±3.58 407.7±3.54 526.7±0.04 405.0±1.28 398.3±0.62
Tyrosine 202.0±4.77 136.1±2.20 211.3±3.01 123.4±1.43 152.9±0.41
Phenylalanine 321.6±3.48 282.7±2.86 343.3±1.62 276.9±3.84 273.5±0.65
Arginine 276.0±2.26 277.3±2.74 352.0±0.71 173.8±3.55 89.7±4.45
Total 5714.01 4921.79 6077.82 4390.49 4115.32
*단위: (mg%)
실시예 3. 숙성 흑생강의 활성 평가
마우스에 흑생강 추출물을 경구투여 후 treadmill 에서의 운동지속시간 및 혈액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운동능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1. 세포실험: 근육세포 보호효과
가. 재료 및 방법
근육세포인 L6 cell line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조건에서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1% AA (Antibiotic Antibiotics, Gibco)를 포함한 DMEM (Du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은 MTT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 근육세포에 대한 흑생강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6 cell 을 1 × 105 cells/ml의 농도로 96 웰플레이트에 seeding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농도의 흑생강 추출물과 1.5 mM H2O2를 동시에 처리하고 다시 24 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MTT (0.5 mg/ml in PBS) 용액으로 염색시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흑생강 추출물의 L6 세포 보호효과는 과산화수소 처리시의 세포사멸률에 대한 흑생강 추출물 처리시의 회복율을 산출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나. 근육세포 보호효과
과격한 운동은 과다한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근육조직 등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된다. 흑생강 추출물이 근육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L6 근육세포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로 유발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L6 세포에 흑생강 시료를 10 ppm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사멸을 일으키지 않음을 확인한 후 1.5 mM의 과산화수소와 함께 1 ppm의 흑생강 시료를 24 시간 처리한 결과 과산화수소만을 처리한 L6 세포는 43.8%의 세포를 사멸시켰으나 생강 추출물을 함께 처리시 세포의 사멸이 감소하였으며 큰 차이는 아니지만 숙성시키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10 일간 숙성된 흑생강의 물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7 및 도 2참고).
  시료 세포생존율(%) 대조군대비
세포생존율
제조예1대비
세포생존율
대조군 H2O2 56.2 92%
제조예1 H2O2+동결건조 생강시료 61.2 109%
제조예2 H2O2+열풍건조 생강시료 61.4 109% 100%
제조예3 H2O2+10일 숙성 생강시료 68.8 122% 112%
제조예4 H2O2+20일 숙성 생강시료 66.3 118% 108%
제조예5 H2O2+30일 숙성 생강시료 64.1 114% 105%
10 일간 숙성된 흑생강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1 ppm 에서 대조군 대비 122% 증가하였고, 제조예1 대비 112%증가하였다.
3-2. 동물실험: 혈액지표에 미치는 영향
가. 재료 및 방법
350 g 내외의 ICR 마우스 수컷을 중앙실험동물로부터 분양받아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3℃, 습도 50%였고 실험기간 중 음수 및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시켰으며 체중은 1주일에 1회 측정하였다.
Treadmill을 이용하여 유산소성 운동부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운동시험에 적응을 위한 예비운동 실험으로 1일차 5 m/분의 속도로 5분간, 2일차 10 m/분 속도로 10분간, 3일차 15 m/분 속도로 15분간, 4-5일차 20 m/분 속도로 20분간 운동을 시키면서 운동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개체는 탈락시켰다. 예비운동을 거쳐 선정된 동물을 운동 미실시군, 운동군, 운동+생강 (동결건조 물 추출물) 섭취군, 운동+흑생강(10일 숙성 물 추출물) 섭취군의 네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군당 6 마리로 구성하였다. 6일차부터 2주간 오전에 증류수에 녹인 시료를 200 mg/kg 농도로 경구투여한 후 오후에 20 m/분의 속도로 20분간 운동을 시켰다. 마지막 날 운동 직후 안와채혈 하고 2000 g/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70℃에 보관하였다가 분석에 사용하였다.
나. 혈액분석
혈장시료내 GOT, creatinine, lactate 함량을 (주)아인즈솔루션에 의뢰하여 혈액분석기(HITACHI, 7020, Japan)를 이용하여 colorimetr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GOT, lactate 분석시약은 wako(Japan), creatinine 분석시약은 Daiichi(Japa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혈액 분석결과 운동군은 운동미실시군에 비하여 GOT, LDH, creatinine, lactate 농도가 모두 증가하였고 운동+10일 숙성 흑생강 섭취군은 운동으로 인하여 증가된 GOT, LDH, creatinine, lactate 량을 감소시켰으며 생강추출물은 10일 숙성 흑생강에 비하여 저해도가 낮았다 (표 8).
GOT LDH Creatinine Lactate
농도(U/L) E군 대비
농도저해율(%)
농도(U/L) E군 대비
농도저해율(%)
농도(mg/dL) E군 대비
농도저해율(%)
농도 E군 대비
농도저해율(%)
NE1 ) 122±41 - 371±139 - 3.1±0.5 - 5.8±0.8 -
E2 ) 151±32 - 395±89 - 3.5±0.5 - 7.0±0.9 -
E+G3 ) 137±52 110% 379±66 104% 3.5±0.5 100% 6.8±0.8 103%
E+BG4 ) 118±33 128% 334±66 118% 3.2±0.4 109% 6.4±0.7 109%
1)NE: 비운동군, 2)E: 운동군, 3)E+G: 운동 및 생강 식이군, 4)E+BG: 운동 및 10일 숙성 흑생강 식이군, n=6.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단, 하기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숙성 생강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생강은 70~90℃의 온도 및 70~90%의 습도에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생강은 5~15일 동안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은 흑생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생강은 70~90℃의 온도 및 70~90%의 습도에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생강은 5~15일 동안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은 흑생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생강을 70~90℃의 온도 및 70~90%의 습도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성 생강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은 5~15일 동안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생강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은 흑생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생강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20038785A 2012-04-13 2012-04-13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115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785A KR20130115945A (ko) 2012-04-13 2012-04-13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785A KR20130115945A (ko) 2012-04-13 2012-04-13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945A true KR20130115945A (ko) 2013-10-22

Family

ID=4963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785A KR20130115945A (ko) 2012-04-13 2012-04-13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9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9413A (zh) * 2017-08-15 2017-11-17 广西民族大学 一种以生姜为原料的泡脚配方
KR20200039070A (ko) 2018-10-04 2020-04-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생강 및 영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능성,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건강 기능 식품
JP2020193216A (ja) * 2020-08-20 2020-12-03 株式会社東洋新薬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KR20220067699A (ko) * 2020-11-18 2022-05-25 성스런 흑생강 제조 방법
KR20220085140A (ko) * 2020-12-15 2022-06-22 성스런 흑강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9413A (zh) * 2017-08-15 2017-11-17 广西民族大学 一种以生姜为原料的泡脚配方
KR20200039070A (ko) 2018-10-04 2020-04-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생강 및 영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능성,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건강 기능 식품
JP2020193216A (ja) * 2020-08-20 2020-12-03 株式会社東洋新薬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KR20220067699A (ko) * 2020-11-18 2022-05-25 성스런 흑생강 제조 방법
KR20220085140A (ko) * 2020-12-15 2022-06-22 성스런 흑강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6786A1 (en) Acai and Iridoid Based Formulations
AU2005215225A1 (en) Plant-based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KR101343819B1 (ko) 11종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홍삼농축액 분말, 비타민 및 미네랄로 조성된 항스트레스, 항고지혈증 및 항비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US20120021079A1 (en) Garcinia Mangostana L. and Iridoid Based Formulations
KR20130115945A (ko)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03520A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Rzepecka-Stojko et al. The effect of storage of bee pollen extracts on polyphenol content.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20130115949A (ko) 숙성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약학조성물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S10925919B2 (en) Agent for activating astrocyte glucose metabolism
CN112618608A (zh) 具有解酒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85666B1 (ko) 노니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니청 제조방법
US9445624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of plant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use and products thereof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397091B (zh) 一种抗疲劳的苣荬菜运动饮料
Karau et al. Efficacy and safety assessment of Launaea cornuta extracts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KR101322279B1 (ko)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0020A (ko)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20150063905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H04300836A (ja) 肝機能障害予防剤及び肝機能障害予防作用を有する機能性食品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CN111480846A (zh) 一种辅助降血脂、提高免疫力的保健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