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875A -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875A
KR20130115875A KR1020120038625A KR20120038625A KR20130115875A KR 20130115875 A KR20130115875 A KR 20130115875A KR 1020120038625 A KR1020120038625 A KR 1020120038625A KR 20120038625 A KR20120038625 A KR 20120038625A KR 20130115875 A KR20130115875 A KR 2013011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semiconductor wafer
semiconductor
solar cell
separ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규
김형석
도학재
신정섭
오웅교
최현곤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3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875A/en
Publication of KR2013011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45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comprising a AIVBIV heterojunction, e.g. Si/Ge, SiGe/Si or Si/SiC solar cells
    • H01L31/0747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comprising a AIVBIV heterojunction, e.g. Si/Ge, SiGe/Si or Si/SiC solar cells comprising a heterojunction of crystalline and amorphous materials, e.g. heterojunction with intrinsic thin layer or HIT® solar cells;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2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such devices or parts thereof comprising amorphous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31/2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such devices or parts thereof comprising amorphous semiconductor materials includ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PURPOSE: A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 of a thin film by separating the edge of a semiconductor wafer. CONSTITUTION: A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es a separation groove line.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Description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 전지(Solar Cel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형 태양 전지와 박막형 태양 전지를 조합한 태양 전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cell in which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re combined.

태양 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Solar cells are devices that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태양 전지는 P(positive)형 반도체와 N(negative)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PN접합 구조를 하고 있다.The solar cell has a PN junction structure in which a P (positive) type semiconductor and an N (negative) type semiconductor are bonded to each other.

상기 구조의 태양 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내에서 정공(hole) 및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When sunlight is incident on the solar cell of the structure, hole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by energy of the incident sunlight, and at this time, the holes are generated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y the PN junction. (+) Is moved toward the P-type semiconductor and the electron (-) is mov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to generate a potential to generate power.

이와 같은 태양 전지는 일반적으로 기판형 태양 전지와 박막형 태양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Such a solar cell generally can be classified into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상기 기판형 태양 전지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물질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한 것이고, 상기 박막형 태양 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 전지를 제조한 것이다.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as a substrate, and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forming a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such as glass.

상기 기판형 태양 전지는 상기 박막형 태양 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다소 우수한 장점이 있고, 상기 박막형 태양 전지는 상기 기판형 태양 전지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The substrate-type solar cell ha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somewhat superior to the thin-film solar cell, the thin-film solar cell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ompared to the substrate-type solar cell.

이에, 상기 기판형 태양 전지와 박막형 태양 전지를 조합한 태양 전지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태양 전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us, a solar cell combining the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the thin film type solar cell has been proposed. Hereinafter, a conventional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기판형 태양 전지와 박막형 태양 전지를 조합한 종래의 태양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olar cell combining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태양 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 제 1 반도체층(20), 제 1 전극(40), 제 2 반도체층(50), 및 제 2 전극(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a conventional solar cell includes a semiconductor wafer 10,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 first electrode 40,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and a second electrode ( 70).

상기 제 1 반도체층(2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상면 테두리 부분(E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반도체층(2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상면 테두리 부분(EA)을 가리는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증착 공정에 의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상면 테두리 부분(E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면에 형성된다.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aining region except for the upper edge portion EA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may include the upper edge portion EA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by a deposition process using a mask (not shown) that covers the upper edge portion EA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aining area.

상기 제 2 반도체층(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하면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면에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반도체층(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하면 테두리 부분(EA)을 가리는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증착 공정에 의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의 하면 테두리 부분(E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면에 형성된다.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aining region except for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is formed by removing a lower edge EA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by a deposition process using a mask (not shown) covering the lower edge EA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aining area.

이와 같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 제 1 반도체층(20), 및 제 2 반도체층(50)의 조합에 의해 PN 접합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PN junction structure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20, 50) 각각을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20, 50) 각각이 공정 특성상 각각 반도체 웨이퍼(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접하게 되어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쇼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20 and 50 are formed by a deposition process using a mask is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20 and 50 has a semiconductor wafer 10 in view of proces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vent such a short because it may extend along the side of the contact and may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 1 전극(4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2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70)은 상기 제 2 반도체층(50) 상에 형성되되어, 각각 태양 전지의 (+) 전극 또는 (-) 전극을 이루게 된다.The first electrode 4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electrode 7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respectively, a positiv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Or (-) electrode.

이와 같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에 태양 광이 입사되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에서 정공(hole) 또는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가 생성되고, 생성되는 캐리어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을 경유하여 상기 제 1 전극(40)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제 2 반도체층(50)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전극(70)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solar light is incident o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carrier such as a hole or an electron i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 and the generated carrier is the first carrier. The first electrode 40 is moved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20, and the second electrode 70 is moved through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 전지는 마스크를 통해 반도체 웨이퍼(10)의 테두리 부분(EA)을 마스킹한 후에 제 1 및 제 2 반도체층(20, 50) 각각의 형성하기 때문에 마스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인하여 반도체 웨이퍼(10)의 테두리 부분에 광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이 형성되므로 광전 변환 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olar cell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sk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20 and 50 are formed after masking the edge portion EA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rough a mask. As a result, a dead zone in which no photoelectric conversion is performed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 thereby degrad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또한, 종래의 태양 전지는 상기 마스크로 인해 마스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층(20, 50) 각각의 막질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olar ce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ilm qualit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20 and 50 form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mask is not uniform due to the mask.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solar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반도체층;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측면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emiconductor wafer: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es a separation groove line on whic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 2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분리 홈 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groove line is formed in which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분리 홈 라인에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formed in the separation groove lin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는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면을 가지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과 상기 상측 경사면에 형성된 제 1 반도체층;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반도체층;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lar cell including: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n upper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at an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상기 반도체 웨이퍼는 각 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과 상기 하측 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miconductor wafer further has a lower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t lower edge portions of each side,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태양 전지는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ar cell further includes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상기 태양 전지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성 반도체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ar cell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상기 태양 전지는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lar cell includes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It is characterized by.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에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 상에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분리 홈 라인을 이용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the method including: forming a separation groove line at an edge portion of a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by us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상기 분리 홈 라인의 깊이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두께의 1/2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1/2 ~ 3/4 of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분리 홈 라인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사이의 거리는 1 ~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characterized in that 1 ~ 2mm.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상측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측 테두리 부분에 하측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 상에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상측과 하측 분리 홈 라인을 이용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cluding: forming an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on an upper edge portion of a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a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on a low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by using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과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은 서로 중첩되거나 서로 엇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r staggered from each other.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과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으로부터 1 ~ 2mm의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1 to 2 mm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분리 홈 라인은 레이저에 의해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ion groove line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have a "V" shaped cross section by the laser.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진공 흡착 또는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상기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separated by vacuum suction or pressuriza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면에 제 1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의 하면에 제 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may include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ming of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form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a high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said subject, the solar cel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표준 면적을 가지는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에 데드 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since the dead zone is not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having a standard area,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can be improved.

둘째, 반도체 웨이퍼의 상측면 및 분리 홈 라인의 일 부분에도 광전 변환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sinc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part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can be improved.

셋째,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및 상측 분리 홈 라인에도 광전 변환층이 형성되고,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 및 하측 분리 홈 라인의 일 부분에도 광전 변환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and upper separation groove lin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ereby improv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

넷째, 박막 증착 이전에 반도체 웨이퍼에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통해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태양 전지의 상면과 하면을 분리하는 공정에 의한 박막의 특성 변화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ourth,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thin film due to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olar cell by forming a separation groove line on the semiconductor wafer prior to thin film deposition and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through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using the same. Can be prevented.

도 1은 기판형 태양 전지와 박막형 태양 전지를 조합한 종래의 태양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j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j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j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h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olar cell combining a substrate type solar cell and a thin film type solar cell.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J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9J.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9J.
12A to 12H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0), 제 1 반도체층(200), 제 1 전극(400), 제 2 반도체층(500), 및 제 2 전극(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electrode 4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It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700.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소정의 전기 전도 극성을 가지는 것으로,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N형 실리콘 웨이퍼 또는 P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 웨이퍼(100)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과 동일한 전기 전도 극성으로 이루어진다.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s a predetermin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arity and may be formed of a silicon wafer. Specifically,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made of an N-type silicon wafer or a P-type silicon wafer.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s the same electrically conductive polarity as any on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102) 및 하면(104)은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102)은 태양광이 직접 입사되는 면을 의미하고,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104)은 태양광이 직접 입사되지 않는 면을 의미한다.The upper surface 102 and the lower surface 104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formed in an uneven structur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pper surface 102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refers to a surface on which sunlight directly enters, and the lower surface 104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refers to a surface on which the sunlight does not directly enter.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된 경사면(106)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100) 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앞서 기초 공정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소정 깊이의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는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먼저 수행한 후,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102)과 하면(104) 각각에 태양 전지용 박막을 형성한 다음, 물리적인 분리(또는 컷팅) 공정을 통해 분리 홈 라인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태양 전지를 완성하게 된다.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s an inclined surface 106 provided at an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process prior to the process of forming a thin film 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for forming a separation groove line of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first After performing, a thin film for solar cells is formed on each of the top surface 102 and the bottom surface 104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n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through a physical separation (or cutting) process. The solar cell is completed by remov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은 컷팅 휠, 니들, 또는 레이저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106)은 상기 물리적인 분리 공정 이후에도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남아 있는 분리 홈 라인의 일 부분, 즉 내측 부분이다.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cutting wheel, a needle, or a laser. Accordingly, the inclined surface 106 is a part, that is, an inner part,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remaining in the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even after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또는 일면)(102)과 상기 경사면(106) 상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경사면(106)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r one surface) 102 and the inclined surface 106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formed by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extend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not on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to the inclined surface 106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its side in view of process characteristics.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와 함께 PN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가 N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로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form a PN junction with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refore, wh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made of an N-type silicon wafe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made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In particular,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made of P-type amorphous silicon doped with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일반적으로, 정공의 드리프트 이동도(drift mobility)가 전자의 드리프트 이동도 보다 낮기 때문에 입사광에 의한 정공의 수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P형 반도체층을 수광면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수광면에 가까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이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since the drift mobility of holes is lower than the drift mobility of electron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holes due to incident light, it is preferable to form a P-type semiconductor layer close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close to the surface is made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상기 제 1 전극(40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태양 전지의 전면(前面)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 전지 내부로 태양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극(400)은 소정 형태로 패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400 is preferably formed in a pattern form so that solar light can be transmitted into the solar cell.

상기 제 1 전극(400)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전극(400)은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으로 형성되거나, 프린팅(Printing) 공정에 의해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400 includes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Ag + Al + Zn, or the like. The same conductivity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formed by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mask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or may be formed in a pattern form by a printing process.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또는 타면) 상에 박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반도체층(500)은 전술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만 남아 있게 된다.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lower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at i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formed by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Accordingly,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to exten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not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Howeve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removed by the above-described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d remains o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200)과 상이한 전기 전도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이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로 도핑된 P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인(P)과 같은 5족 원소로 도핑된 N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N형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on polarity tha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at is, 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f a P-type semiconductor layer doped with a Group III element such as boron (B),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 Group 5 element such as phosphorus (P). It is made of a doped N-type semiconductor layer. In particula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be made of N-type amorphous silicon.

상기 제 2 전극(700)은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700)은 태양 전지의 하면(後面)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반도체층(500)의 상면 전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사되는 태양 광이 태양 전지의 하면을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전극(700)도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Since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However,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also be formed in a pattern form so that the reflected sunlight may be incid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ar cell.

상기 제 2 전극(700)은 상기 제 1 전극(40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electrode 400,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Mo, Ag + Ni, Ag + Cu, Ag + Al + Z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에 광전 변환층, 즉 제 1 반도체층(200)이 형성되기 때문에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ay be improved.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표준 면적을 가지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에 데드 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because the dead zone is not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standard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0), 제 1 반도체층(200), 제 1 도전층(300), 제 1 전극(400), 제 2 반도체층(500), 제 2 도전층(600), 및 제 2 전극(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the first electrode 400,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상기 제 2 실시 예의 태양 전지는 제 1 및 제 2 도전층(300, 600)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olar cell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except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00 and 600 are further forme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제 1 및 제 2 도전층(300, 6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정공 또는 전자와 같은 캐리어가 상기 제 1 전극(400) 또는 제 2 전극(700)으로 이동하는 이동성을 향상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00 and 600 may improve mobility of carriers such as holes or electr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o the first electrode 400 or the second electrode 700. .

상기 제 1 도전층(3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정공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캐리어를 상기 제 1 전극(400)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collects carriers, eg, hole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oves the collected carriers to the first electrode 400.

이와 같은 제 1 도전층(300)은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or the like.

상기 제 1 도전층(300)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도전층(30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에도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도전층(3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일부 또는 측면 전체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by a sputtering process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to exten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ut also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side surface or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제 1 전극(400)은 상기 제 1 도전층(30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태양 전지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 형태로 패턴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is formed in a pattern form in a predetermined form.

상기 제 2 도전층(6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에서 생성된 캐리어, 예로서 전자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캐리어를 상기 제 2 전극(700)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collects carriers, eg, electrons,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oves the collected carriers to the second electrode 700.

이와 같은 제 2 도전층(600)은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층(600)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도전층(600)은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의 하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부위에도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600)은 전술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의 하면에만 남아 있게 된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or the like.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by a sputtering process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Accordingly,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to extend not on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but also to sid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Howev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removed by the above-described physical separation process so that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remains.

상기 제 2 전극(700)은 상기 제 2 도전층(6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700)은 태양 전지의 하면(後面)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도전층(600)의 상면 전영역에 형성되거나,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Since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in the entire upper surfac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or may be formed in a pattern form.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분리 홈 라인의 일 부분에도 광전 변환 영역, 즉 제 1 반도체층(200)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도전층(300, 600)에 의해 캐리어의 이동성이 향상됨으로써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region,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eparation groove li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mobility of the carrier is improved by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300 and 600, thereby improv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1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2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t is the same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 except that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표면에 고농도의 도펀트 가스를 이용하여 제 1 반도체층(200) 또는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농도의 도펀트 가스에 의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표면에 결함(Defect)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or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high concentration of dopant gas,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form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dopant gas. Defects may occur.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결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5, after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The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to prevent defects from occurr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addition, after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to thereby form the semiconductor wafer 100. )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한편, 도 5에는 제 1 진성 반도체층(150)과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 1 진성 반도체층(150)과 제 2 진성 반도체층(4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성 반도체층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are formed, any one of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s.

다른 한편, 도 5에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은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태양 전지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form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t may be omitted, such as the solar cell show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 1 반도체층(200) 및 제 2 반도체층(50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ed in FIG. 4 except that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re changed. The same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FIG. 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low concentr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또한,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t may be made of two semiconductor layers (500b).

본 명세서에서, 저농도 및 고농도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은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펀트의 농도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ow concentration and high concentration are relative concepts, and the low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opan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high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은 각각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제 2 실시 예에서의 제 1 진성 반도체층(150) 및 제 2 진성 반도체층(450)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re respectively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It may play a role similar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layer 450.

즉,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결함(Defect)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을 먼저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결함(Defect)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by first forming a low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forming the high concentration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formed. Defects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second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may be firs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n the second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 By forming 500b), occurrence of defect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can be prevented.

따라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의 도펀트 농도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dopant concentrations of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may be controlled to prevent defects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에 비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6 has an advantage of superior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5 described above.

즉,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제 1 진성 반도체층(150) 및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하기 위해서 증착 장비가 추가되고 공정이 복잡해져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을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장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을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장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증착 장비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5 described above, deposition equipment is added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to form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Although the productivity may decrease,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ncludes a chamber containing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in one chamber. It can be carried out by an extension process in the inside, and also separately deposited because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can be performed in an extension process in one chamber. The advantage is that no equipment or process is added.

한편, 도 6에는 제 1 반도체층(200)이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반도체층(500)이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반도체층 만이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과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6,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nclude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lightly doped. Although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are illustrated, only one of the semiconductor layers may be formed of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and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다른 한편, 도 6에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은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태양 전지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form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t may be omitted, such as the solar cell shown.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반도체 웨이퍼(100)가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된 상측 경사면(106)과 각 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마련된 하측 경사면(108)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es an upper inclined surface 106 provided at an upper corner of each side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provided at a lower edge of each side ( 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4 described above is identical except that it has a portion 108).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우선,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100) 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앞서 기초 공정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후면 테두리 부분 각각을 따라 소정 깊이의 상면 및 하면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는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수행한 후, 상면 및 하면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102)과 하면(104) 각각에 태양 전지용 박막을 형성한 다음,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통해 상면 및 하면 분리 홈 라인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태양 전지를 완성하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process prior to the process of forming a thin film 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paration form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 separation groove line of a predetermined depth along each of the upper and rear edg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fter performing the groove line forming process, a thin film for solar cells is form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102 and the lower surface 104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 separating groove lines, and the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hrough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d remov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lower isolation line.

상기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은 컷팅 휠, 니들, 또는 레이저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측 경사면(106)은 상기 물리적인 분리 공정 이후에도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남아 있는 상면 분리 홈 라인의 일 부분, 즉 내측 부분이다.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cutting wheel, a needle, or a laser. Accordingly, the upper inclined surface 106 is a portion, that is, an inner portion, of the upper isolation groove line remaining in the upper corner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even after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상기 상측 경사면(106)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반도체층(200)은 공정 특성상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경사면(106)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형성되는 제 1 도전층(300) 역시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경사면(106)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upper inclined surface 106 has a process characteristic of not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t extend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inclined surface 106.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lso has an upper inclined surface 106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as well as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E) is exten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하측 경사면(108)은 상기 물리적인 분리 공정 이후에도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남아 있는 하면 분리 홈 라인의 일 부분, 즉 내측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하측 경사면(108)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2 반도체층(500)은 공정 특성상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 경사면(108)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08 is a portion, that is, an inn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separation groove line remaining on the low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even after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lower inclined surface 108 may have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ide surface thereof as well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It extend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108 of the.

또한,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형성되는 제 2 도전층(600) 역시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 경사면(108)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및 하측 경사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반도체층(200, 500)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lso has a lower inclined surface 108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its side as well as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E) is exten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is case, a part of each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s 200 and 50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inclined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게,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1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2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5 described above.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may be further formed,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는,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게, 제 1 반도체층(200) 및 제 2 반도체층(5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6 described above,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The structure of may be changed.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formed on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It consists of 1 semiconductor layer 200b. In additi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t may be made of two semiconductor layers (500b).

또 다른 한편, 도 7에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이 모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은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태양 전지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FIG.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form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t may be omitted, such as the solar cell shown in.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8A to 8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우선, 도 8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분리 홈 라인(110)을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8A, a separation groove line 1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N형 실리콘 웨이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102) 및 하면(104)은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an N-type silicon wafer.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102 and the lower surface 104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formed in an uneven structur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중심부 깊이(D)는 반도체 웨이퍼(100) 두께의 1/2 ~ 3/4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ay have a cross section having a “V” shape. At this time, the center depth D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set in a range of 1/2 to 3/4 of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중심부 깊이(D)가 반도체 웨이퍼(100) 두께의 1/2 이하일 경우 후술될 물리적인 분리 공정시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중심부 깊이(D)가 반도체 웨이퍼(100) 두께의 3/4 이상일 경우 박막 증착 공정시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center depth D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less than 1/2 of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ring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er depth D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3/4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easily removed during the thin film deposition process.

또한,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중심부와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사이의 거리(L)는 1 ~ 2mm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중심부와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사이의 거리(L)가 1mm 이하일 경우, 후술될 물리적인 분리 공정시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중심부와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사이의 거리(L)가 2mm 이상일 경우, 후술될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의 면적이 증가되어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저하시킨다.In addition, the distance L betwee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set in the range of 1 to 2 mm. At this time, when the distance (L) betwee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1mm or less,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ring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ha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L betwee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2 mm or more,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removed by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The area is increased to lowe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한편, 반도체 기판(100)의 면적은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제거될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의 면적만큼 표준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다. 즉, 반도체 기판(100)은 소정 크기의 잉곳(ingot)에서 절단되어 제조되는 것이므로, 잉곳의 절단 공정에서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의 면적을 반영해 잉곳을 절단함으로써 반도체 기판(1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의 면적만큼 더 큰 면적을 가지게 된다.Meanwhile, the area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has an area larger than the standard area by the area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o be removed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That is, sinc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is manufactured by cutting ingot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is cut by reflecting the area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the ingot cutting process.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s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전술한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은 컷팅 휠, 니들,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이 레이저에 의해 형성될 경우, 상기 레이저(120)는 1060±10㎚ 범위의 파장을 가짐과 아울러 수 ~ 수십㎑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적외선(IR) 레이저가 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groove line 110 may be formed by a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using a cutting wheel, a needle, or a laser. Here, when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by a laser, the laser 120 may be an infrared (IR) laser having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1060 ± 10 nm and a frequency in the range of several tens of GHz. Can be.

전술한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형성 공정 이후에는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세정하는 습식 세정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습식 세정 공정은 미국 RCA사가 개발한 SC(Standard Cleaning)1 세정액을 이용한 1차 세정 공정과 SC2 세정액을 이용한 2차 세정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form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a wet cleaning process of cleaning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performed. The wet cleaning process may include a first cleaning process using a SC (Standard Cleaning) 1 cleaning solution developed by the US RCA, and a second cleaning process using a SC2 cleaning solution.

상기 1차 세정 공정은 수산화암모늄(NH4OH)과 과산화수소(H2O2) 및 물(H2O)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SC1 세정액에 따라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에 의해 생성된 파티클을 제거한다.The primary cleaning process removes particles generated by 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C1 cleaning liquid in which ammonium hydroxide (NH 4 OH), hydrogen peroxide (H 2 O 2 ), and water (H 2 O) are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do.

상기 2차 세정 공정은 염산(HCl)) 및 과산화수소수(H2O2) 및 물(H2O)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SC2 세정액에 따라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에 의해 생성된 천이성 금속 오염물을 제거한다.The secondary cleaning process is a transition metal contaminant produced by a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SC2 cleaning liquid in which hydrochloric acid (HCl)), hydrogen peroxide solution (H 2 O 2 ), and water (H 2 O) are mixed at a predetermined ratio. Remove it.

그런 다음, 도 8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Then, as shown in FIG. 8B,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 예로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It can be done in a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not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inclined surface inside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but also on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그런 다음, 도 8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제 1 전극(4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400)은 태양 전지 내로 태양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패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8C,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formed in a pattern form so that solar light may be transmitted into the solar cell.

상기 제 1 전극(400)은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 또는 프린팅(Printing) 공정을 이용하여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400)은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 물질의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하여 프린팅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프린팅 공정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그라비아 프린팅(Gravure Printing),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Gravure Offset Printing), 리버스 프린팅(Reverse Printing), 플렉소 프린팅(Flexo Printing), 또는 마이크로 콘택 프린팅(Micro Contact Printing)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린팅 공정을 이용할 경우 한 번의 공정으로 상기 제 1 전극(400)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패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using a sputtering process using a mask,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or a printing proces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400 is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 Mo, Ag + Ni, Ag + Cu, Ag + It may be formed by a printing process using a past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 + Zn. In this case, the printing process may include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gravure offset printing, reverse printing, flexo printing, Alternatively, the method may be a micro contact printing method. As such, when the printing process is used, 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formed in a pattern form so as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single process.

다음, 도 8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전극(4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상하 반전시킨 후, 반전된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8D, the semiconductor waf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is inverted up and down, and then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verted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N형 반도체층, 예로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n N-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It can be done in a process. Accordingly,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not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view of process characteristics.

다음, 도 8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제 2 전극(7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8E,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상기 제 2 전극(700)은 태양 전지의 하면(後面)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사되는 태양 광이 태양 전지의 하면을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전극(700)도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전극(700)은 상기 제 1 전극(40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Ag, Al, Ag+Al, Ag+Mg, Ag+Mn, Ag+Sb, Ag+Zn, Ag+Mo, Ag+Ni, Ag+Cu, Ag+Al+Zn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However, the second electrode 700 may also be formed in a pattern form so that the reflected sunlight may be incid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ar cell.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electrode 400, Ag, Al, Ag + Al, Ag + Mg, Ag + Mn, Ag + Sb, Ag + Zn, Ag I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 Mo, Ag + Ni, Ag + Cu, Ag + Al + Zn.

다음, 도 8f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 홈 라인(110, 도 8e 참조)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분리 홈 라인의 일부분인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에는 광전 변환 영역,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8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removed by removing the edge portion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see FIG. 8E) using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By such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a part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is form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 photoelectric conversion region,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상기 물리적인 분리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을 진공 흡착하거나 가압하여 반도체 웨이퍼(100)로부터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In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each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vacuum suction or pressurization of each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에 분리 홈 라인(110)을 형성한 후,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광전 변환층을 형성한 다음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통해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태양 전지에서 발생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의 막질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provided. Forming a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00) and then remov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through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solar cell The fall of the film | membrane characteristic of a semiconductor lay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이용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되어 반도체 웨이퍼(100)의 크기가 줄여 들지만, 상기 분리 홈 라인(110)에 의해 제거될 영역만큼 큰 크기를 가지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이용함으로써 표준 면적을 가지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테두리 부분에 데드 존이 형성되지 않아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removed by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us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thereby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reduced, the dead zone is not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standard area by using the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size as large as the area to be removed by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the solar cell Can improv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도 9a 내지 도 9j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9A to 9J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 will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9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준비한다.First, as shown in FIG. 9A,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is prepared.

다음, 도 9b에서 알 수 있듯이,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분리 홈 라인(1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은 컷팅 휠, 니들, 또는 레이저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9B,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In this case, 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cutting wheel, a needle, or a laser.

다음, 도 9c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습식 세정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세정함으로써 상기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에서 발생되는 파티클 및 천이성 금속 오염물을 제거한다.Next, as can be seen in Figure 9c,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wet cleaning process to clea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particles and transition metal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Remove it.

다음, 도 9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이때,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9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n this case,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not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inclined surface inside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but also on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다음, 도 9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제 1 도전층(3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9E,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상기 제 1 도전층(3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층(300)은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may be performed by using a sputtering process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SnO 2 , SnO 2 : F and the like to for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but also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its side surface.

다음, 도 9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도전층(300) 상에 제 1 전극(4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400)은 태양 전지 내로 태양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패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9F,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The first electrode 400 may be formed in a pattern form so that solar light may be transmitted into the solar cell.

다음, 도 9g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전극(4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상하 반전시킨 후, 반전된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 형성된 제 1 도전층(300)의 일부에 중첩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9G, the semiconductor waf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is inverted up and down, and then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verted semiconductor wafer 100. Accordingly,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not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 view of process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may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다음, 도 9h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제 2 도전층(6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도전층(6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또는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ZnOH, ZnO:B, ZnO:Al, SnO2, SnO2:F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층(600)은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의 상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을 따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전층(6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 형성된 제 1 도전층(300)의 일부에 중첩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9H,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process or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ZnOH, ZnO: B, ZnO: Al, and SnO 2. , SnO 2 : F and the like to for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its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may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다음, 도 9i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도전층(600) 상에 제 2 전극(7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9I,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다음, 도 9j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130)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분리 홈 라인(110)의 일부분인 경사면(10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06)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0)과 제 1 도전층(300)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9J,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removed by removing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using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solate electrically. By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 inclined surface 106 that is a part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06.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도전층(300, 600)을 통해 캐리어의 이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태양 전지의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the same effects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ut also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300 and 600. By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carrier,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전술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을 모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 각각의 형성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both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rmation process of each of the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600 may be omitted.

도 10은 도 9j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9J.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as follows.

먼저, 제 1 및 제 2 전극(400, 70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스테이지(80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는 상하 반전된 형태에서 스테이지(800)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800)는 제 1 진공 흡착력을 이용하여 제 1 전극(40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한다.First,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00 and 700 is mounted on the stage 800.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s seated on the stage 800 in an upside down shape. In addition, the stage 800 is vacuum-adsorbed to fix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400 by using the first vacuum adsorption force.

그런 다음,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에 진공 흡착 프레임(810)을 정렬하여 배치한다.Then, the vacuum suction frame 810 is aligned and arranged on the edge portion 130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그런 다음, 진공 흡착 프레임(810)의 흡착 노즐(820)에 상기 제 1 진공 흡착력보다 낮은 제 2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을 진공 흡착함으로써, 도 9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을 컷팅한다. 즉, 흡착 노즐(820)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을 진공 흡착하게 되면, 반도체 웨이퍼(100)에는 흡착 노즐(820)의 진공 흡착력에 의해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크랙이 발생되고, 이러한 크랙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이 컷팅되어 분리된다.
Then, by providing a second vacuum suction force lower than the first vacuum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nozzle 820 of the vacuum suction frame 810 to vacuum suction the edge portions 130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FIG. 9J. As shown in FIG. 2,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id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cut. That is, when the suction nozzle 820 vacuum-adsorbs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id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nozzle 820. Cracks are generated along the edges, and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id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cut and separated by the cracks.

도 11은 도 9j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9J.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먼저, 제 1 및 제 2 전극(400, 70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스테이지(90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스테이지(900)는 진공 흡착력을 이용하여 제 2 전극(70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한다.First,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00 and 700 is mounted on the stage 900. In this case, the stage 900 is vacuum-adsorbed and fixes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cond electrode 700 by using a vacuum suction force.

그런 다음,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에 가압 프레임(910)을 정렬하여 배치한다.Then, the pressing frame 910 is aligned and arranged on the edge portion 130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그런 다음, 가압 프레임(910)을 승강시키는 프레임 승강 수단(920)의 구동에 따라 가압 프레임(910)을 하강시켜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도 9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을 컷팅한다. 즉, 가압 프레임(910)이 하강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을 가압하게 되면, 가압 프레임(910)의 가압력에 의해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크랙이 발생되고, 이러한 크랙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테두리 부분(130)이 컷팅되어 분리된다.
Then, by lowering the pressing frame 910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rame lifting means 920 for lifting the pressing frame 910 to press the edge portion 130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s illustrated in 9j,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id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cut. That is, when the pressing frame 910 is lowered to press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id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cracks are generated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frame 910. By such cracks,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id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cut and separated.

도 12a 내지 도 12h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2A to 12H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2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준비하고, 전술한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분리 홈 라인(110)을 형성한 다음, 전술한 습식 세정 공정을 통해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세정 및 건조한다.First, as shown in FIG. 12A,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is prepared, and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long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 And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cleaned and dri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wet cleaning process.

다음, 도 1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2B,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상기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I(Intrinsic)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trinsic (I) -type amorphous silicon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Accordingly,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as well as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다음, 도 12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진성 반도체층(150) 상에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 예로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의 상면과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2C, a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may be performed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on a top surface of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for example, a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of forming. According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not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but also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do.

다음, 도 12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제 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층(300) 상에 제 1 전극(400)을 패턴 형태로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2D,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electrode 400 is pattern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

다음, 도 12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전극(4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상하 반전시킨 후, 반전된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I(Intrinsic)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2E, the semiconductor waf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is inverted up and down, and then a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verted semiconductor wafer 100. do.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trinsic (I) -type amorphous silicon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Accordingly,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s formed not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다음, 도 12f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진성 반도체층(450) 상에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N형 반도체층, 예로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의 상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2F,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on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n N-type amorphous silicon layer,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It can be made to the process of forming. Accordingly,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다음, 도 12g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제 2 도전층(6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층(600) 상에 제 2 전극(7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2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the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다음, 도 12h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130)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분리 홈 라인(110)의 일부분인 경사면(10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06)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0)과 제 1 도전층(300)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H, by removing the edge portions 130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using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10 or 11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 inclined surface 106 that is a part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06.

한편, 전술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을 모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 각각의 형성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both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rmation process of each of the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600 may be omitted.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3A to 13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3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준비하고,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분리 홈 라인(110)을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13A,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is prepared, and a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long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a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Form.

다음, 도 1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을 형성하고,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상에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 각각은 공정 특성상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상기 분리 홈 라인(110)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3B,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isolation groove line 110, and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is forme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by forming the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on the layer 200a. Each of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may be a semiconductor wafer (not only an inclined surface of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n interior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t is also formed in the upper side portion of 100).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은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장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챔버 내에서 붕소(B)와 같은 3족 원소의 도펀트 가스의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b)을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may be performed by an extension process in one chamber. That is, the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ighly doped P-type semiconductors, such as boron (B), are controlled in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chamber. The first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b may be formed to exten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량생산하에서 최초의 태양 전지 생산을 위한 공정에서는, 상기 챔버 내에 소정량의 B2H6가스를 투입하여 챔버 내부를 P형 도펀트 분위기로 조성한 후, SiH4 및 H2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a), 구체적으로는 저농도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SiH4 및 H2 가스와 더불어 도펀트 가스로서 B2H6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b), 구체적으로는 고농도 도핑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한다.Specifically, in a process for producing the first solar cell under mass production, a predetermined amount of B 2 H 6 gas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o form a P-type dopant atmosphere in the chamber, and then SiH 4 and H 2 gases are formed. Supplying to form the lightly doped P-typ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specifically, the lightly doped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Subsequently, B 2 H 6 gas is supplied as a dopant gas together with SiH 4 and H 2 gases to form the first heavily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b, specifically, the heavily doped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

한편, 상기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b) 형성 공정을 완료한 이후 상기 챔버 내부에는 소정량의 B2H6가스가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최초의 태양 전지 생산 이후 두 번째 태양 전지 생산부터는 챔버 내부가 이미 P형 도펀트 분위기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도펀트 가스, 즉, B2H6가스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지 않고 SiH4 및 H2 가스만을 공급하여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a)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SiH4 및 H2 가스와 더불어 B2H6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b)을 형성하게 된다.Meanwhile,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heavily doped P-typ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amount of B 2 H 6 gas remains in the chamber. Therefore, from the second solar cell production after the first solar cell production, since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already formed in a P-type dopant atmosphere, SiH 4 and H 2 do not supply additional dopant gas, that is, B 2 H 6 gas into the chamber. gas only the supply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of the lightly doped P-type may be formed, followed by SiH 4 and H 2 gas and with B 2 H 6 gas feed to the first of the highly doped P-type The semiconductor layer 200b is formed.

이상과 같이, 하나의 챔버 내에서 반응가스의 공급량 만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저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a) 및 고농도 도핑된 P형의 제 1 반도체층(200b)을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어, 장비가 추가되거나 공정이 추가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 concentration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high concentration doped P-type semiconductor layer 200b may be formed by controlling only the supply amount of the reaction gas in one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oductivity is improved because no equipment or additional process is added.

다음, 도 13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제 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층(300) 상에 제 1 전극(400)을 패턴 형태로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3C,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electrode 400 is pattern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

다음, 도 13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전극(4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상하 반전시킨 후, 반전된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을 형성하고,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상에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 각각은 공정 특성상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13D, the semiconductor waf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is vertically inverted, and the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s lightly dop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verted semiconductor wafer 100.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by forming a high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on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Each of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is formed not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은 전술한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과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과 유사하게 하나의 챔버 내에서 연장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챔버 내에서 인(P)과 같은 5족 원소의 도펀트 가스의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저농도 도핑된 N형의 제 2 반도체층(500a)과 고농도 도핑된 N형의 제 2 반도체층(500b)을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a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It can be carried out by an extension process in the chamber of. That is, the low-doped N-type semiconductor layer 500a and the high-doped semiconductor layer may be controlled in a single PECVD chamber using a dopant gas of a Group 5 element such as phosphorus (P). The N-typ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may be formed to exten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 of any one of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and the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may be omitted.

다음, 도 13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제 2 도전층(6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층(600) 상에 제 2 전극(7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3E,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다음, 도 13f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 홈 라인(110)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130)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분리 홈 라인(110)의 일부분인 경사면(10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06)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0)과 제 1 도전층(300)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can be seen in FIG. 13F, by removing each side edge portion 130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by using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10 or 11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 inclined surface 106 that is a part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11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06.

한편, 전술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을 모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 각각의 형성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both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rmation process of each of the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600 may be omitted.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4A to 14F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4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준비하고,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측 분리 홈 라인(110a)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하측 분리 홈 라인(110b)을 형성한다. 상기 상측 및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 각각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측 및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 각각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측면으로부터 1 ~ 2mm 범위의 거리(L)만큼 이격된다.First, as shown in FIG. 14A,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is prepared, and an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is formed along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a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And a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along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ay have a “V” shaped cross secti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is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by a distance L of 1 to 2 mm.

다음, 도 1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110a)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4B,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 예로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110a)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It can be done in a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not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but also on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다음, 도 14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제 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층(300) 상에 제 1 전극(400)을 패턴 형태로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4C,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first electrode 400 is pattern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Form.

다음, 도 14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 전극(4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상하 반전시킨 후, 하측 분리 홈 라인(110b)가 상부 향하도록 반전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4D, after inverting the semiconductor waf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verted so that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faces upwar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thereon.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N형 반도체층, 예로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과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110b)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n N-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It can be done in a process. Accordingly,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not only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다음, 도 14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제 2 도전층(6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층(600) 상에 제 2 전극(7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4E,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다음, 도 14f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측 또는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130)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상측 분리 홈 라인(110a)의 일부분인 상측 경사면(106)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면(106)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0)과 제 1 도전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는 하측 분리 홈 라인(110b)의 일부분인 하측 경사면(108)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경사면(108)에는 상기 제 2 반도체층(500)과 제 2 도전층(600)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can be seen in FIG. 14F, each sid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upper or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using the above-described physical separation process shown in FIG. 10 or 11. By removing the 130,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 upper inclined surface 106 which is a part of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is formed in the upper corner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in the upper inclined surface 106.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re formed. In addition, a lower inclined surface 108, which is a part of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is formed at a low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is formed 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08. The layer 5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formed.

한편, 전술한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을 모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 각각의 형성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따른 태양 전지는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 예의 태양 전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both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rmation process of each of the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60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olar cell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게,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1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2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two layers,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게, 제 1 반도체층(200) 및 제 2 반도체층(5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6 described above,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The structure of layer 500 can be changed.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formed on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It consists of 1 semiconductor layer 200b. In additi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t may be made of two semiconductor layers (500b).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100)에 서로 중첩되는 상측 및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bove-described physical separation process by forming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overlapping each oth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t can be done easily.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5A to 15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rocess as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우선, 도 15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전기 극성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100)를 준비하고, 분리 홈 라인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측 분리 홈 라인(110a)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하측 분리 홈 라인(110b)을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측 및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 각각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측 및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 각각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소정 거리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측면으로부터 1 ~ 2mm 범위의 거리(L)만큼 이격된다.First, as shown in FIG. 15A, a semiconductor waf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polarity is prepared, and an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is formed along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using a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process.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may have a “V” shaped cross secti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is formed to be stagger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by a distance L of 1 to 2 mm.

다음, 도 1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110a)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4B,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cluding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을 이용하여 P형 반도체층, 예로서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과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110a)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 P-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 P-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It can be done in a process. Accordingly,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formed not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but also on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이어, 상기 제 1 반도체층(200) 상에 제 1 도전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층(300) 상에 제 1 전극(400)을 패턴 형태로 형성한다.Subsequently, a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a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n a pattern form.

이어, 상기 제 1 전극(400)이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100)를 상하 반전시킨 후, 하측 분리 홈 라인(110b)가 상부 향하도록 반전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한다.Subsequently, the semiconductor wafer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00 is formed is inverted up and down, and the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nverted so that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faces upward,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 500).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N형 반도체층, 예로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특성상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과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110b)의 내부의 경사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측면 부위에도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for example, an N-type amorphous silicon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using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It can be done in a process. Accordingly, due to process characteristics,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formed not only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but also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이어, 상기 제 2 반도체층(500) 상에 제 2 도전층(60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층(600) 상에 제 2 전극(700)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 second conductive layer 600 is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and a second electrode 7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다음, 다음, 도 14c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상측 또는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 테두리 부분(130)을 제거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 및 하면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상측 분리 홈 라인(110a)의 일부분인 상측 경사면(106)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면(106)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00)과 제 1 도전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리적인 분리 공정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100)의 각 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는 하측 분리 홈 라인(110b)의 일부분인 하측 경사면(108)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경사면(108)에는 상기 제 2 반도체층(500)과 제 2 도전층(600)이 형성되어 있다.Next, as shown in FIG. 14C, each side edg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long the upper or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using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10 or 11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removing the portion 130. By the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 upper inclined surface 106 which is a part of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110a is formed in the upper corner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in the upper inclined surface 106. 20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re formed. In addition, a lower inclined surface 108, which is a part of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110b, is formed at a lower edge portion of each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by a physical sepa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is formed 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08. The layer 5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formed.

한편, 전술한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을 모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전층(300)과 제 2 도전층(600) 각각의 형성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에 따른 태양 전지는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 예의 태양 전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00 are both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rmation process of each of the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60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olar cell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게,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1 반도체층(200) 사이에 제 1 진성 반도체층(150)이 추가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도체 웨이퍼(100)와 제 2 반도체층(500) 사이에 제 2 진성 반도체층(450)이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150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two layers, and the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450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와 동일하게, 제 1 반도체층(200) 및 제 2 반도체층(5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반도체층(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00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반도체층(5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하면에 형성된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a) 상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5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500 may be changed.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 is 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formed on the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It consists of 1 semiconductor layer 200b. In additi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 is 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100 and a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It may be made of two semiconductor layers (500b).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100)에 서로 엇갈리는 상측 및 하측 분리 홈 라인(110a, 110b)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물리적인 분리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above-described physical separation process by forming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110a and 110b intersecting each oth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100. It can be don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반도체 웨이퍼 150: 제 1 진성 반도체층
200: 제 1 반도체층 200a: 저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
200b: 고농도 도핑된 제 1 반도체층 300: 제 1 도전층
400: 제 1 전극 450: 제 2 진성 반도체층
500: 제 2 반도체층 500a: 저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
500b: 고농도 도핑된 제 2 반도체층 600: 제 2 도전층
700: 제 2 전극
100 semiconductor wafer 150 first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200: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a: light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200b: highly doped first semiconductor layer 300: first conductive layer
400: first electrode 450: second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500: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a: light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500b: heavily doped second semiconductor layer 600: second conductive layer
700: second electrode

Claims (19)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반도체층;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측면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Semiconductor wafer: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isolation groove line in which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 2 반도체층이 형성되는 분리 홈 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A solar ce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paration groove line in which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분리 홈 라인에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3. The method of claim 2,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in the separation groove line.
각 변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면을 가지는 반도체 웨이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과 상기 상측 경사면에 형성된 제 1 반도체층;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A semiconductor wafer having an upper inclined surface formed obliquely on an upper edge portion of each sid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는 각 변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과 상기 하측 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miconductor wafer further has a lower inclined surface formed inclined at the lower edge portion of each side,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도전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e second electrode is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진성 반도체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에 형성된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comprises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Solar cells.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에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 상에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분리 홈 라인을 이용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Forming a separation groove line in an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d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using the separation groove lin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홈 라인의 깊이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두께의 1/2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a depth of the separation groove line is 1/2 to 3/4 of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홈 라인과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 사이의 거리는 1 ~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tance between the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1 ~ 2mm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반도체 웨이퍼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상측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하측 테두리 부분에 하측 분리 홈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상에 제 1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하면 상에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상측과 하측 분리 홈 라인을 이용해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Forming an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in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a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in a lower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ming a first semiconductor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and form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cluding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d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by using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groove lin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과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은 서로 중첩되거나 서로 엇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overlap each other or cross each oth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분리 홈 라인과 상기 하측 분리 홈 라인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으로부터 1 ~ 2mm의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upper separation groove line and the lower separation groove line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semiconductor wafer by a distance of 1 ~ 2mm.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홈 라인은 레이저에 의해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The separation groove line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laser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to have a "V" shaped cross section.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테두리 부분을 진공 흡착 또는 가압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서 상기 테두리 부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The step of separating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a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the edge portion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by vacuum adsorption or pressure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면에 제 1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의 하면에 제 2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도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the second electrode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1 반도체층 사이 및 상기 반도체 웨이퍼와 상기 제 2 반도체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진성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And forming an intrinsic semiconductor lay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저농도 도핑된 반도체층 상에 고농도 도핑된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The step of form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semiconductor wafer; And
Forming a highly doped semiconductor layer on the lightly doped semiconductor layer.
KR1020120038625A 2012-04-13 2012-04-13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158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25A KR20130115875A (en) 2012-04-13 2012-04-13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25A KR20130115875A (en) 2012-04-13 2012-04-13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75A true KR20130115875A (en) 2013-10-22

Family

ID=4963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625A KR20130115875A (en) 2012-04-13 2012-04-13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87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099A (en) * 2016-11-23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099A (en) * 2016-11-23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580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01664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Thin film type Solar Cell made by the method
KR101031246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mae, and Thin film type solar cell modul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070199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820265B2 (en) Back electrode type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104846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76368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30362A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32362B2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integrated thin 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an integrated thin 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obtainabl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KR20110130191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79107A (en) Patterned glass for a thin film solar cell and fabricating method of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KR20130115875A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9920B1 (en) A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40074B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47502A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28101A (en) Textured glass for a thin film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of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KR1015332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thin film type solar cell
KR101332667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62432A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41929B1 (en) Sola Cell of Thin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4022591A (en)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in film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KR101053782B1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7961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in film type solar cell
JP2012164960A (en)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69416A (en) Thin film type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