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538A - 진동퍼프 - Google Patents

진동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538A
KR20130115538A KR1020120037909A KR20120037909A KR20130115538A KR 20130115538 A KR20130115538 A KR 20130115538A KR 1020120037909 A KR1020120037909 A KR 1020120037909A KR 20120037909 A KR20120037909 A KR 20120037909A KR 20130115538 A KR20130115538 A KR 20130115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agnet
coil
magnetic induc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한병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너스
Priority to KR102012003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538A/ko
Publication of KR2013011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돌출부로 구성된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한 축과 상기 축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1 자기 유도부와 상기 제1 자기 유도부 하측에 형성되되 축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자기 유도부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와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 사이에 결합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구동부의 자석이 자기력에 의해 수직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반복적으로 극성을 달리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진동부와 구동부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줄이면서, 자기력이 발생하는 구동부에 제1, 2 자기 유도부를 형성하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진동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부와 구동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동수단을 통해 구동부 및 진동부가 상승한 후에 탄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복귀하도록 작용하여 진동 세기 향상 및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에 중량체를 형성해 구동부의 중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진동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사이즈에서의 직접구동 방식을 통해 일정 수준의 진동 세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진동 세기에서 가변적으로 진동의 주기를 변화시켜 얼굴 부위에 따라 적합한 진동 주기로 사용자가 화장품을 바르거나, 특정 진동의 주기로 진동 세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켜 사용자의 경험과 특성에 맞게 화장품을 얼굴 부위에 바를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화장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동퍼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퍼프{A vibration puff}
본 발명은 진동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부와 구동부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줄이면서, 자기력이 발생하는 구동부에 제1, 2 자기 유도부를 형성하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진동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부와 구동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동수단을 통해 구동부 및 진동부가 상승한 후에 탄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복귀하도록 작용하여 진동 세기 향상 및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에 중량체를 형성해 구동부의 중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진동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사이즈에서의 직접구동 방식을 통해 일정 수준의 진동 세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진동 세기에서 가변적으로 진동의 주기를 변화시켜 얼굴 부위에 따라 적합한 진동 주기로 사용자가 화장품을 바르거나, 특정 진동의 주기로 진동 세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켜 사용자의 경험과 특성에 맞게 화장품을 얼굴 부위에 바를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화장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라 함은 얼굴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피부의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하며, 화장품의 일종인 파운데이션은 여성 및 최근에는 남성들에게 있어서도 노출된 피부의 잡티 및 기미 등을 가려주기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파운데이션은 미세 분말 형태나 액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부위에 터치하여 바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상기 파운데이션은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고르게 펴서 발라야 하는 만큼 사용자의 숙련도에 많이 좌우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자동으로 파운데이션을 바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진동퍼프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10-1107002호(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손잡이(211)를 구비하고 있는 커버체(21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체(210)의 내측에는 스위치(233)의 작동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2)와 상기 배터리(23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진동자(231)로 구성된 진동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의 진동자(231)에 연결되는 떨림판(242)을 포함하고 있는 지지체(24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240)의 상측으로는 퍼프패드(25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의 스위치(233)를 ON시키게 되면 제어기판(234)이 전원 극성을 바꾸어가면서 진동자(231)로 전원을 공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작용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한 진동은 지지체(240)의 떨림판(242) 및 떨림판(242)에 연결된 퍼프패드(250)를 전달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파운데이션이 고르게 발라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등록실용신안 20-0456112호(두드림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종래기술은 도 1에서와는 다르게 통상의 정, 역회전 방식으로 구동하는 모터를 통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312a, 312b) 내부에 회전 가능한 회전중심축(314)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중심축(314)의 측면에는 전원공급수단(328)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권선코일(32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중심축(314)에는 요크(338)와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334) 및 영구자석(336)을 포함하는 회전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 및 회전중심축(314) 상측에는 진동판(316) 및 퍼프(318)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수단(328)이 전원을 극성을 번갈아가면서 변화시키는 별도의 제어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권선코일(322) 내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수단의 영구자석(336)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중심축(314)과 함께 회전수단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회전수단의 영구자석(336)에는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된 웨이트(334)에 의해 편심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한 진동은 진동판(316) 및 퍼프(318)에 전달되어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은 등록실용신안 20-0455561호(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3에서 제시한 종래기술은 압전세라믹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하부케이스(410) 내에 전지부(438), 스위치(439) 및 전류를 주기적으로 인가 또는 차단하는 펄스 발생기(436)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펄스 발생기(436)로 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압전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엑츄에이터(434)와 상기 엑츄에이터(434)와 연결된 돌출부(432) 및 평판(431)로 구성된 스피커(43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피커(430)의 상측으로는 퍼프패드(450)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439)을 ON시키면 전지부(438)의 전원이 펄스 발생기(436)로 인가되고, 상기 펄스 발생기(436)에서는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면서 엑츄에이터(434)로 인가되어 퍼프패드(450)를 진동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는 공개특허 10-2011-0071042호(진동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 4의 종래기술은 케이스(510) 내부에 진동코일(520)이 구성되고, 상기 진동코일(520) 내부로 이동하는 영구자석(550) 및 상기 영구자석(550)과 연결된 진동자(53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진동코일(520)의 상측으로는 소음방지용 부직포(525)가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진동코일(520)에 전원 극성을 달리하여 인가하게 되면, 전류가 자속과 쇄교할 때 발생하는 광축방향 자기력(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이용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기술(등록특허 10-1107002호)은 비교적 전력공급량이 적은 배터리(232)를 통해 진동자(231)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진동시 일정한 세기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방식은 퍼프가 직접 구동하는 방식이 아닌 진동자로 떨림만을 주는 방식으로 진동의 세기가 약할 뿐만 아니라,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을만한 수단을 구비할 수 없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등록실용신안 20-0456112호) 역시 상기와 같이 진동자의 회전방식을 통해 진동을 발생하여 퍼프가 직접 구동하는 게 아닌 떨림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진동량이 적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회전방식을 통해 진동을 발생할 경우 진동이 발생하는 주기가 구동력의 세기에 따라 같이 변하게 되는데, 구동력 세기를 약하게 하였을 경우에는 진동의 주기가 너무 길어지게 되어 화장품이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구동력 세기를 강하게 하였을 경우에는 주기가 너무 짧아져 화장품이 사용자의 피부에 너무 얇게 발라져 커버력이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진동의 세기 및 진동 주기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3의 종래기술(등록실용신안 20-0455561호)도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진동의 세기가 매우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압전세라믹은 전원 공급시 길이가 변하는 소자로서 소형의 배터리 형태의 전지부(438)의 전류만으로는 일정한 수준의 진동 세기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압전세라믹에 잔존하는 전류에 의해 일정 주기의 진동수를 발생하기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아울러, 상기 도 4의 종래기술(공개특허 10-2011-0071042호)도 상술한 기술들과 같이 진동의 세기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기술에 있어서, 광축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는 세기는 진동코일(520)에 인가되는 전류와 영구자석(350) 간의 자기회로상에서 발생하는 공극부 내의 자속밀도와 비례한다.
여기서, 공극부란, 진동코일(520)과 영구자석(35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동력(진동 세기)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의 두 가지 요소 중 어느 한가지 또는 두 가지 요소 모두를 상승시켜야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코일(520)로 인가되는 전류는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도 5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자기장 내의 자속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구자석(550)의 사이즈를 키워야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자석의 사이즈를 키우게 되면 제품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자석의 단가가 상승하여 전체 제품 비용의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전류가 흐르는 진동코일(520) 상측에 소음방지용 부직포(525)를 형성할 경우 진동시 충돌에 의해 진동코일(520)이 데미지를 입게 되어, 변형 및 단선이 발생하여 자기력이 저하되거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퍼프는 내측에 수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으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한 축과 상기 축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1 자기 유도부와 상기 제1 자기 유도부 하측에 형성되되 축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자기 유도부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진동부와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 사이에 결합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구동부의 자석이 자기력에 의해 수직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반복적으로 극성을 달리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진동부의 외측에는 천 재질의 커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는 자석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구동수단에 형성된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에 의해 자석이 반응하여 구동수단이 반복적으로 수직으로 상, 하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의 자석과 제2 자기 유도부 및 제1 자기 유도부 사이에 구동수단의 코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에는 중량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수단의 회로기판에는 전류의 공급량 조정을 통해 진동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코일에 극성 변환 시간을 조정하여 진동수를 조정하거나, 또는, 진동 세기 및 진동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수단이 진동 세기 및 진동수를 각각 제어할 경우에는 전류의 공급량 조정을 통해 진동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제어부와 코일에 극성 변화 시간을 조정하여 진동수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동부와 구동부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줄이면서, 자기력이 발생하는 구동부에 제1, 2 자기 유도부를 형성하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진동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부와 구동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동수단을 통해 구동부 및 진동부가 상승한 후에 탄성력과 자기력에 의해 복귀하도록 작용하여 진동 세기 향상 및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의 제1 자기 유도부에 중량체를 형성해 구동부의 중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진동의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소형 사이즈에서의 직접구동 방식을 통해 일정 수준의 진동 세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진동 세기에서 가변적으로 진동의 주기를 변화시켜 얼굴 부위에 따라 적합한 진동 주기로 사용자가 화장품을 바르거나, 특정 진동의 주기로 진동 세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켜 사용자의 경험과 특성에 맞게 화장품을 얼굴 부위에 바를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화장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진동퍼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자석의 자기력선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자기 유도부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진동 파운데이션의 자기력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자기력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수납부(11)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10)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진동부(20)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 측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동부(20)는 인체의 피부와 맞닿는 부분으로 대략 돔 형상으로 형성하되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도록 하고, 특히, 상기 돔 형상이 형성된 부분에는 통상의 파운데이션을 묻힐 수 있도록 천 재질의 커버(C)가 형성된다.
특히, 도 5에서는 진동부(20)를 구성함에 있어, 진동판(21)과 상기 진동판(2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22a)를 포함하고 있는 돌출부(22)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다음으로, 구동부(30)는 상기 진동부(20)에 연결되어 진동부(20)를 상, 하 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부(30)는 진동부(20)의 제1 결합부(22a)에 결합할 수 있는 제2 결합부(31a)를 포함하는 축(3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5에서는 진동부(20)의 제1 결합부(22a)는 홈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구동부(30)의 제2 결합부(31a)는 돌출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2 결합부(22a, 31a)는 도면에서 도시한 형상과 반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제1, 2 결합부(22a, 31a)는 볼트/너트 형태나 접착수단을 통한 결합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축(31)에는 제1 자기 유도부(32)와 자석(33), 제2 자기 유도부(34)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자기 유도부(32)는 하측으로만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석(33)과 제2 자기 유도부(34)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자기 유도부(32) 보다 직경이 작은 형태로 구성되되 서로 동일한 직경을 형성한 형태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 2 자기 유도부(32, 34)는 강자성체로 형성하도록 하여 자석(33)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자석(33)과 밀접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자속밀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30)에 형성된 제1 자기 유도부(32)의 외측으로 중량체(W)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량체(W)의 재질은 특정하지 않지만 비교적 비중이 높아 부피 대비 질량이 많이 나가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판 스프링(S)은 상기 진동부(20)와 구동부(30) 사이에 형성되어 구동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탄성력을 통해 하측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진동부(20)의 돌출부(22)와 구동부(30)의 제1 자기 유도부(3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는 축(31)이 관통할 수 있는 별도의 홀(도면에 미도시)이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구동수단(40)은 케이스(10)의 수납부(11)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구동부(30)와 상호작용을 통해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구동부(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전류 인가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일(41)과 상기 코일(41)에 전류의 극성을 달리하여 인가할 수 있는 회로기판(42)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부(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원공급부(50)가 케이스(10)의 외측에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케이스(10) 내측의 수납부(11)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수단(40)의 회로기판(42)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류량의 조정에 따른 진동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코일(41)에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변환 속도를 제어하여 진동주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진동 세기 및 진동 주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어수단(60)이 진동 세기 및 진동 주기를 각각 제어할 경우에는 진동 세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61)를 구성하고, 진동 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2 제어부(6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진동퍼프의 구동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원공급부(50)를 통해 입력된 전류는 케이스(10)의 수납부(11)에 고정 결합된 구동수단(40)의 회로기판(42)을 통해 어느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코일(41)로 전류가 인가되면 구동부(30)의 자석(33)에서 생성되는 자속과 코일(41)에서 흐르는 전류가 쇄교하게 하면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구동부(30)가 구동하도록 작용한다.
즉, 상기 구동부(30)의 자석(33)과 구동수단(40)의 코일(41)의 상호작용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자석과 자기유도부로 이루어진 자기장속에 코일을 통하여 전류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인가하게 되면, 로렌츠 힘에 의해 코일이 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에,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류와 자기장이 직교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41)을 포함하는 구동수단(40) 고정시키게 되면 자석(33)을 포함하고 있는 구동부(30)가 구동수단(40)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반복적으로 코일(4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전환(극성변환)을 통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수단(40)의 코일(41)을 통해 구동하는 구동부(30)는 일정한 세기를 유지하여야만 사용자가 본 발명의 진동퍼프(100)의 사용시 진동부(20)의 진동판(21)에 결합하는 커버(C)에 파운데이션을 묻힌 후 사용하였을 때에, 파운데이션의 뭉치는 현상 없이 원활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코일(41)에 인가되는 전류량 및 자기회로상에서 발생하는 코일(41)과 자석(33) 사이의 공간 내(이하, 공극부라 한다.)의 자속밀도이다.
즉, 상기 두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높게 되면 구동력의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의 자석(33)은 도 6에서와 같이 N극에서 S극 방향으로 자력이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력의 세기를 높이기 위해 최적의 자기회로를 설계하여 공극부에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최대한 높여야 한다.
자속 밀도를 높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세기가 큰 자석을 사용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재질에 의한 것은 네오디움(Nd-Fe-B) 자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큰 자석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진동퍼프(100)는 전체적인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더욱이, 큰 자석을 이용할 경우 제조단가의 상승에 의해 소비자에게 제공시 너무 고가로 판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30)의 자석(33)을 기준으로 자석(33)이 구동되는 방향의 상, 하측에 각각 제1, 2 자기 유도부(32, 34)를 구성하여 높은 가우스의 자석(33)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제1, 2 자기 유도부(32, 34)는 자석(33)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외부로 퍼져나가지 않도록 작용한다.
즉, 제1, 2 자기 유도부(32, 34)를 통해 공극부에 높은 자속 밀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전류를 인가할 시에 구동부(30)의 큰 힘이 발생하여 구동력 세기를 높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구동수단(40)의 회로기판(42)을 통해 전류방향에 따라 극성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구동력의 증가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상, 하 운동을 통해 진동력을 발생시킬 때에 진동의 세기가 커지게 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4에서의 진동퍼프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시뮬레이션한 해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진동퍼프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시뮬레이션한 해석도 이다.
여기서, 상기 도 8 내지 도 9에서 적용한 자석은 동일한 자속량을 가지는 자석을 이용하였다.
상기 도 8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도 8에서와 같이 종래의 진동퍼프(500)의 경우 영구자석(550)과 진동코일(520) 사이의 공극부 내에서의 자속 밀도는 도 9에서 되어 있는 본 발명에서의 진동퍼프(100)에서의 자속밀도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경우 공극부가 넓기 때문에 자기저항이 큰 상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2 자기 유도부(32, 34)를 통한 자기력선의 유도 및 자기저항을 줄임으로써 자속밀도가 높아지도록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형태 또는 충전식 배터리 형태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50)의 낮은 전류량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진동력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30)의 제1 자기 유도부(32) 외측에 중량체(W)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W)는 구동부(30)의 전체 중량을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40)에 의해 구동부(30)가 상, 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여 진동이 발생할 때에 중량을 향상시킴으로써 구동부(30)의 에너지를 향상시킴으로써 진동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 중 개방되어 있는 상측에 판 스프링(S)이 구성되어 있어, 구동수단(40)에 의해 구동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한 후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인력)이 발생할 때에 판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부(30)에 가해지는 힘(인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하여 진동 세기 및 진동 주기를 향상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진동부(20)와 구동부(30)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진동력의 손실을 최소화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어수단(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수단(60)은 진동 주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 세기만을 조정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진동 세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 주기만을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어수단(60)은 진동 세기 및 진동 주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진동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제어부(61)와 진동수(주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제어부(62)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어부(61)는 구동수단(40)의 회로기판(42)을 통해 전원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정하여 진동 세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제2 제어부(62)는 회로기판(42)에서 코일(41)에 전류 인가시 극성변환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진동수(주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본 발명의 진동퍼프(100)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수납부
20 : 진동부
21 : 진동판 22 : 돌출부 22a : 제1 결합부 C : 커버
30 : 구동부
31 : 축 31a : 제2 결합부 32 : 제1 자기 유도부 33 : 자석
34 : 제2 자기 유도부 W : 중량체
40 : 구동수단
41 : 코일 42 : 회로기판
50 : 전원공급부
60 : 제어수단
61 : 제1 제어부 62 : 제2 제어부
100 : 진동퍼프

Claims (7)

  1. 내측에 수납부(11)를 포함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형성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으로 제1 결합부(22a)를 포함하는 진동부(20);
    상기 진동부(20)에 형성된 제1 결합부(22a)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31a)를 형성한 축(31)과 상기 축(31)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1 자기 유도부(32)와 상기 제1 자기 유도부(32) 하측에 형성되되 축(31)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자석(33)과 상기 자석(33)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자기 유도부(34)로 구성된 구동부(30);
    상기 진동부(20)와 구동부(30)의 제1 자기 유도부(32) 사이에 결합하는 판 스프링(S);
    상기 구동부(30)의 자석(33)이 자기력에 의해 수직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41)과 상기 코일(41)에 반복적으로 극성을 달리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기판(42)을 포함하는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20)의 외측에는 천 재질의 커버(C)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의 제1 자기 유도부(32)는 자석(33)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구동수단(40)에 형성된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41)에 의해 자석(33)이 반응하여 구동수단(40)이 반복적으로 수직으로 상, 하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40)의 자석(33)과 제2 자기 유도부(34) 및 제1 자기 유도부 사이(32)에 구동수단(40)의 코일(41)이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의 제1 자기 유도부(32)에는 중량체(W)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의 회로기판(42)에는 전류의 공급량 조정을 통해 진동 세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코일(41)에 극성 변환 시간을 조정하여 진동수를 조정하거나, 또는, 진동 세기 및 진동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진동 세기 및 진동수를 각각 제어할 경우에는 전류의 공급량 조정을 통해 진동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제어부(61)와 코일(41)에 극성 변화 시간을 조정하여 진동수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제어부(62)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진동퍼프.
KR1020120037909A 2012-04-12 2012-04-12 진동퍼프 KR20130115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909A KR20130115538A (ko) 2012-04-12 2012-04-12 진동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909A KR20130115538A (ko) 2012-04-12 2012-04-12 진동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538A true KR20130115538A (ko) 2013-10-22

Family

ID=4963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909A KR20130115538A (ko) 2012-04-12 2012-04-12 진동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5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172A (zh) * 2015-09-11 2017-03-22 毗恩考上海贸易有限公司 磁力粉扑和化妆粉盒
KR20180094106A (ko) * 2016-02-29 2018-08-22 로레알 액체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CN109432583A (zh) * 2018-10-10 2019-03-08 苏州征之魂专利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促进化妆品吸收的美容器具
KR20190095690A (ko) * 2018-02-07 2019-08-16 윤종민 네오디움 자석이 구비된 초박형 스피커
KR20230166186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비브랩 진동 퍼프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0172A (zh) * 2015-09-11 2017-03-22 毗恩考上海贸易有限公司 磁力粉扑和化妆粉盒
CN106510172B (zh) * 2015-09-11 2019-10-25 毗恩考上海贸易有限公司 磁力粉扑和化妆粉盒
KR20180094106A (ko) * 2016-02-29 2018-08-22 로레알 액체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KR20190095690A (ko) * 2018-02-07 2019-08-16 윤종민 네오디움 자석이 구비된 초박형 스피커
CN109432583A (zh) * 2018-10-10 2019-03-08 苏州征之魂专利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促进化妆品吸收的美容器具
CN109432583B (zh) * 2018-10-10 2021-03-16 苏州征之魂专利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促进化妆品吸收的美容器具
KR20230166186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비브랩 진동 퍼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7491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brational stimulus using a planar reciprocating actuator
KR20130115538A (ko) 진동퍼프
KR101891154B1 (ko) 가정용 tms 의료 기기
KR101046044B1 (ko) 선형 진동자
US8505556B2 (en) Tapping applicator
CN106456298B (zh) 具有主动振动阻尼的个人护理装置
KR100868793B1 (ko) 선형모터를 구비한 인체 진동발생장치
CN102804556A (zh) 用于个人皮肤护理设备的马达
JPH10118200A (ja) 生体用磁気刺激装置
JP2012125730A (ja) 振動発生装置
US20140018713A1 (en) Personal vibration appliance
KR101746469B1 (ko) 점자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
JP2012230086A (ja)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検出装置
KR101205397B1 (ko) 두드림 도포구
WO2020228162A1 (zh) 一种高频线性震动按摩器
CN207603371U (zh) 一种微型振动电机结构
CN210124351U (zh) 按摩振子和按摩腰带
TW201404131A (zh) 搖擺振動式發電遙控器結構及其控制方法
KR20160001335U (ko) 음파 진동자의 원리를 이용한 두피 마사지기
CN104106947B (zh) 一种应用于摇椅的震动器
JP3047813B2 (ja) 発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2447370A (zh) 致动器、电动剪切装置和电气装置
CN209300886U (zh) 醒酒装置
CN207039714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手机
CN207852156U (zh) 一种悬浮球运动演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