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783A -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 Google Patents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783A
KR20130114783A KR1020120037072A KR20120037072A KR20130114783A KR 20130114783 A KR20130114783 A KR 20130114783A KR 1020120037072 A KR1020120037072 A KR 1020120037072A KR 20120037072 A KR20120037072 A KR 20120037072A KR 20130114783 A KR20130114783 A KR 2013011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nit
terminal
touch pe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구
Original Assignee
강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구 filed Critical 강현구
Priority to KR102012003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783A/ko
Publication of KR2013011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일측에는 휴대용단말기의 전원충전부(잭)에 결합될 수 있는 단말기체결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양단에는 터치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의 타측에는 목걸이나 악세사리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부가 구비된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면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체결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버튼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ACCESSARY FOR PHOTABLE TERMINAL HAVING TOUCH PEN}
본 발명은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일측에는 휴대용단말기의 전원충전부(잭, jack)에 결합될 수 있는 단말기체결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양단에는 터치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의 타측에는 목걸이나 악세사리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부가 구비된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은 단순히 통신수단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액세서리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 또는 장식용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은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대부분의 터치스크린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정전기가 발생하는 맨손(손가락)으로 조작하거나 정전식 터치펜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대부분의 휴대용단말기는 장식품 또는 목걸이를 장착할 수 있는 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이러한 외부장식품을 장착하는 부위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많은 아쉬움을 주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일부 스마트폰은 제품을 판매할 때 정전식 터치펜이 지급되며, 이러한 정전식 터치펜이 휴대용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스마트폰, 특히 일부 소비자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가용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많은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부대용품 또는 보조용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에 결합될 수 있는 보조유닛에 장식품 또는 목걸이유닛을 구비할 수 있고, 동시에 정전식 터치펜을 구비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면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체결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버튼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몸체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 중 최소한 한쪽은 도전성의 연성재질로 구성되되 끝단이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정전식 터치펜을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버튼부는, 일단은 반구상으로 형성되는 정전식 터치펜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정전식 터치펜으로 구성되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일단에 구비된 버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캡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리부에는 목걸이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목걸이유닛의 일단에는 결합링이 구비되고, 상기 목걸이유닛의 타단에는 결합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목걸이유닛의 내측에는 길이조절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에 의하면, 목걸이유닛이나 장식품 또는 터치펜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단말기에 상기와 같은 보조용품 또는 장식용품을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을 휴대용단말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을 휴대용단말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10)용 보조용품은 몸체(100), 단말기체결부(130), 버튼부(150), 고리부(170) 및 목걸이유닛(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0)는 원통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길이는 휴대용단말기(10)의 폭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거나 상기 휴대용단말기(10)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이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용단말기(1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단말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몸체(100)의 두께(지름)는 휴대용단말기(10)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이 휴대용단말기(1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단말기(10)의 두께보다 크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몸체(100)는 원통형(또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은 정전식 터치펜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몸체(100)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체결부(130)는 전술하여 설명한 몸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단말기체결부(130)는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단말기체결부(130)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135)가 구비되어 있다. 체결돌기(135)는 단말기체결부(130)가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체결부(130)가 상기 휴대용단말기(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0)로부터 먼 쪽에서 상기 몸체(100)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단말기체결부(130)로부터 멀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와 가까운 부분은 상기 단말기체결부(130)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체결돌기(135)의 형상은 몸체(100)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단말기체결부(130)로 가까워질수록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35)가 휴대용단말기(10)와 결합되는 체결력을 높여줄 수도 있다. 체결돌기(135)는 버튼부(150)를 누르면 단말기체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버튼부(150)를 이완시키면 상기 체결돌기(135)가 단말기체결부(1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체결돌기(135)는 탄성력을 갖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력을 갖는 구조의 체결돌기(135)는 종래의 휴대용단말기(10) 충전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체결부(130)는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아이폰(iPhone)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이 사용되는 상태를 일례로 나타내고 있으나, 단말기는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의 단말기체결부(130)의 형상도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튼부(150)는 몸체(100)의 양단에 구비되어 체결돌기(135)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버튼부(150)의 내측에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150)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150)와 연동하여 전술하여 설명한 체결돌기(135)가 단말기체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버튼부(150)를 이완시키면 상기 체결돌기(135)가 단말기체결부(1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몸체(100)의 양단에 구비된 버튼부(150) 중 최소한 한쪽(바람직하게는 양단 모두)은 도전성의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끝단은 반구(半球)상으로 형성되어 정전식 터치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몸체(100)의 양단에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의 반구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을 휴대용단말기(10)로부터 분리하여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터치펜에 사용되는 재질은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리부(170)는 몸체(100)의 타측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하여 설명한 단말기체결부(130)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고리부(17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고리가 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고리부(17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 형상의 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장식이 결합되거나 휴대용단말기(10)를 손목에 걸 수 있는 고리형상의 짧은 줄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하여 설명한 고리부(170)에 목걸이유닛(19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목걸이유닛(190)의 일단에는 결합링(193)이 구비되고 상기 목걸이유닛(190)의 타단에는 결합구(195)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195)가 상기 결합링(19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링(193) 또는 결합링(193)과 결합구(195)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구(195)는 상기 결합링(193)에 비하여 다소 크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결합구(195)를 결합링(193)에 삽입하면 O자 형상의 고리가 되어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고, 결합구(195)를 결합링(193)으로 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고리형상이 풀려서 선(line)형이 된다. 그리하여, 목걸이유닛(190)을 고리부(17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목걸이유닛(190)의 내측에는 길이조절유닛(197)이 더 구비되어 목걸이유닛(19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목걸이유닛(190)의 내측이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목걸이유닛(190)의 양단 사이를 말한다. 길이조절유닛(197)의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단말기체결부(130)를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에 삽입하면 상기 단말기체결부(130)에 구비된 체결돌기(135)가 상기 단말기체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단말기체결부(130)가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에 결합 된다.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 내측에는 충전용 잭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단말기체결부(130)가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단말기체결부(130)에 구비된 체결돌기(135)가 충전부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리면서 상기 단말기체결부(130)가 상기 휴대용단말기(10)의 충전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의 고리부(170)에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유닛(190)을 구비하여 휴대용단말기(10)를 목에 걸고 다닐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몸체(100)의 양단에 구비된 버튼부(150)를 누르면 단말기체결부(130)에 구비된 체결돌기(135)가 상기 단말기체결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단말기체결부(130)가 휴대용단말기(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가 있다. 이렇게 분리된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은 몸체(100)의 양단에 구비된 버튼부(150)가 정전식 터치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추운 겨울과 같이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장갑을 벗지 않고도 휴대전화를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양단에 구비된 버튼부(150) 중 어느 한쪽(일단)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구상의 정전식 터치펜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타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정전식 터치펜(이하 '필기펜(153)'이라 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타단에 구비된 필기펜(153)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몸체(100)의 일단에 구비된 버튼부(1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캡(1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캡(155)을 분리하여 끝단이 뾰족한 형상의 필기펜(153)을 이용하여 휴대용단말기(10)의 표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등, 보다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몸체
130: 단말기체결부
135: 체결돌기
150: 버튼부
170: 고리부
190: 목걸이유닛
193: 결합링
195: 결합구
197: 길이조절유닛

Claims (4)

  1.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충전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면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체결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버튼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 중 최소한 한쪽은 도전성의 연성재질로 구성되되 끝단이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정전식 터치펜을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일단은 반구상으로 형성되는 정전식 터치펜으로 구비되고, 타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정전식 터치펜으로 구성되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일단에 구비된 버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캡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목걸이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목걸이유닛의 일단에는 결합링이 구비되고, 상기 목걸이유닛의 타단에는 결합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목걸이유닛의 내측에는 길이조절유닛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보조용품.


KR1020120037072A 2012-04-10 2012-04-10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KR20130114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072A KR20130114783A (ko) 2012-04-10 2012-04-10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072A KR20130114783A (ko) 2012-04-10 2012-04-10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783A true KR20130114783A (ko) 2013-10-21

Family

ID=4963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072A KR20130114783A (ko) 2012-04-10 2012-04-10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7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94B1 (ko) * 2013-11-11 2015-03-3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길이 조절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54997B1 (ko) * 2020-11-17 2021-05-21 김순일 휴대 물품용 간접 터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94B1 (ko) * 2013-11-11 2015-03-3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길이 조절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54997B1 (ko) * 2020-11-17 2021-05-21 김순일 휴대 물품용 간접 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20080094292A1 (en) Stylus antenna device
US20150215440A1 (en) Bluetooth headset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90427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핸드그립
KR20130114783A (ko) 터치펜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용 보조용품
CN107197060B (zh) 悬挂装置
CN207504952U (zh) 多功能手机套
KR100642686B1 (ko) 스크롤 휠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170134843A1 (en) Terminal device
JP3177061U (ja) 伸縮するタッチペン
CN206775675U (zh) 一种自由组合式蓝牙耳机
KR102206042B1 (ko) 장패드 탈부착용 무선충전장치
CN206893876U (zh) 一种手机挂件
KR200469009Y1 (ko) 휴대폰 장식용 연결잭
CN207652636U (zh) 颈戴耳机以及电子设备
KR200468324Y1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202651481U (zh) 一种耳机防尘塞
CN203289605U (zh) 一种蓝牙耳机
JP3172736U (ja) 容量式パネル用タッチペン
CN204069275U (zh) 防盗耳机孔塞装置
KR20060135087A (ko) 스타일러스 펜
WO2017092642A1 (zh) 无线耳机充电手机保护套以及蓝牙耳机充电手机保护装置
CN216122826U (zh) 智能监测运动效果可无线充电的运动耳机
CN216086974U (zh) 一种可换耳塞式蓝牙游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