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155A -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155A
KR20130114155A KR1020137011150A KR20137011150A KR20130114155A KR 20130114155 A KR20130114155 A KR 20130114155A KR 1020137011150 A KR1020137011150 A KR 1020137011150A KR 20137011150 A KR20137011150 A KR 20137011150A KR 20130114155 A KR20130114155 A KR 20130114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hamber
pump
mod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콕 헝 알렉스 초우
Original Assignee
에이치브이에스 엔지니어링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브이에스 엔지니어링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이치브이에스 엔지니어링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11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2Fluid-propelled scrapers, bullets, or like soli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being entrained discrete elements, e.g. balls, grinding elements,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46Launching or retrieval of pigs or m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 교환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튜브 뭉치에서 발생하는 열 교환을 위하여 열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유체가 순환된다. 튜브 뭉치에서의 열 교환 효율은 그 안에 축적된 잔해와 부착 침전물들이 충분히 제거되기를 요한다. 물리적인 세정을 위해 열 교환 시스템을 오프-라인(off-line)으로 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 유지되는 동안 열 교환 시스템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여기에 기술된 것은 튜브 뭉치를 세척하기 위해 유체로 이동되는 세척 볼들을 튜브 뭉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세척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흐름 전환 시스템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세척 볼들을 튜브 뭉치로 유입시키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다수의 튜브들로부터 세척 볼들을 회수하도록 구성되고 동작 가능하다.

Description

세척 시스템{A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열 교환기의 세척을 위하여 열 교환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 교환 시스템들은 무수하게 응용되어 다양한 산업들에서 사용된다. 열 교환 시스템들의 일반적인 응용들은 냉난방 공조(HVAC) 장치들을 포함한다. 그런 장치들에서, 열 교환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튜브 뭉치에서 발생하는 열 교환을 위하여 열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유체가 순환된다. 튜브 뭉치에서의 열 교환 효율은 그 안에 축적된 잔해와 부착 침전물들이 충분히 제거되기를 요한다. 물리적인 세정을 위해 열 교환 시스템을 오프-라인(off-line)으로 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 유지되는 동안 열 교환 시스템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열 교환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하는 세척 시스템들은 열 교환 시스템 안에서 피드되고(fed) 순환되는 액체에 의해 수송되는 탄성 중합체 공들을 사용한다. 열 교환 시스템 내에서의 순환 동안 탄성 중합체 공들이 튜브 뭉치들을 지나칠 때, 튜브 뭉치들 내의 임의의 잔해 또는 부착 침전물들이 밀려 나간다. 그 후 탄성 중합체 공들은 세척 시스템에 의해 회수된다.
그러나, 그런 세척 시스템들이 열 교환 시스템으로 탄성 중합체 공들을 유입시키고 그것으로부터 탄성 중합체 공들을 뒤이어 회수하는 복합 메카니즘들(complex mechanisms)을 활용하는 것은 기존에 알려진 기술이다. 복합 메카니즘들은 사용하는 동안에 빈번한 정비와 메카니즘들 사이의 적절한 조정을 필요로 한다. 덧붙여서, 종래 알려진 기존 세척 시스템들의 구성은 복잡하고, 대응하는 열 교환 시스템용 세척 시스템과의 사용을 위해 세척 시스템이 통합되기 위하여 열 교환 시스템에 대한 광범위한 수정을 요한다.
따라서, 앞서 말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세척 시스템에 대한 분명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열 교환 시스템의 다수의 튜브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세척 시스템이 개시된다. 열 교환 시스템은 흡기구와 배출구를 가지고 이동 시스템, 매니폴드(manifold) 및 흐름 전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동 시스템은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가지는데, 이동 시스템은 제1 동작 모드일 때는 제2 포트로 액체를 유입시키고 제1 포트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배출시키며, 제2 동작 모드일 때는 제1 포트로 액체를 유입시키고 제2 포트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매니폴드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정의하는데, 매니폴드는 제1 챔버(chamber)와 제2 챔버 사이에 배치된 분리판을 포함한다. 제1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판은 제1 챔버에서 제2 챔버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정의하고, 그것을 통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의 통과를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형상 및 크기다. 흐름 전환 시스템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이동 시스템의 제 1 포트 및 흡입구에서 매니폴드의 제1 챔버로 유체를 전달하고 제1 포트 및 배출구에서 제2 챔버 및 제1 챔버 각각으로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적응된다. 흐름 전환 시스템은 제2 동작 모드일 때 제1 포트 및 배출구에서 제2 챔버 및 제1 챔버 각각으로 유체를 전달하고, 이동 시스템의 제1 포트 각각 및 흡입구에서 매니폴드의 제1 챔버로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적응된다. 제1 동작 모드일 때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은 다수의 튜브들을 통한 통과를 위하여 제1 챔버로부터 세척 시스템의 흡입구로 이동되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은 세척 시스템의 배출구로부터 제1 챔버로 유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볼은 그것의 세척을 위하여 다수의 튜브들을 통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교환 시스템에 연결되는 세척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단일 펌프 구성이고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단일 펌프 구성이고 제2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중 펌프 구성이고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중 펌프 구성이고 제2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본 발명의 예시들은 수반되는 도면들에 도시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함께 나타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 대체물, 변형물 및 동등물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기술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없이도 본 발명은 수행될 수 있음을 기존의 통상적인 기술 중 하나에 의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요소들로, 잘 알려진 방법들, 절차들, 구성들 및 회로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이 불필요하게 불분명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간결성과 명료성의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들은 이하 열 교환 시스템용 세척 시스템에 한정된다. 이는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보편적인 동작, 기능이나 성능 특성들이 요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주요부까지 배제(preclude)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인 세척 시스템(20)이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세척 시스템(20)은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 시스템(24)의 다수의 튜브들(22)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다수의 튜브들(22)은, 예를 들어, 냉난방공조(HVAC) 시스템들의 증발기(evaporator) 또는 응축기(condenser) 또는 유사 열 교환 장치이다. 그런 열 교환 시스템들에 대하여, 다수의 튜브(2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segments)에서 열 전달이 발생한다. 이러한 다수의 튜브들(22)은 통상적으로 그것을 통해서 액체가 유입되는 흡입구(26)와, 다수의 튜브들(22)을 지나는 액체가 그 다음에 배출되는 배출구(28)를 가진 모듈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펌프(미도시)는 기체 상태일 때를 포함하는 액체를 열 교환 시스템(24), 명확하게는 다수의 튜브들(22)을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세척 시스템(20)은 열 교환 시스템(24)의 통합된 구성 요소로 고정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때는 열 교환 시스템(24)으로부터 세척 시스템(2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통합되어 열 교환 시스템(24)과 함께 사용된다.
세척 시스템(20)은 제1 포트(32) 및 제2 포트(23), 매니폴드(36) 및 흐름 전환 시스템(38)을 가지는 이동 시스템(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시스템(20)은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한다. 흐름 전환 시스템(38)은 매니폴드(36)를 흡입구(26) 및 다수의 튜브들(22)의 배출구(28)로 연결한다. 이동 시스템(30)은 매니폴드(36)를 통하여 열 교환 시스템(24)으로부터 액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세척볼(미도시)들이 매니폴드(36)에 포함된다. 세척 볼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 볼들이다. 그러나, 세척 볼들은 다른 타입의 탄성 중합체 볼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일 때, 이동 시스템(30)에 의해 이동된 액체의 흐름은 매니폴드(36)로부터 다수의 튜브들(22)의 흡입구(26)로 다수의 세척 볼들을 수송하도록 전환된다. 다수의 튜브들(22)을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이 흡입구(26)로부터 배출구(28)을 향하기 때문에, 다수의 세척볼들은 다수의 튜브들(22)을 지나면서 그곳을 세척하여 흡입구(26)로 유입된다. 세척 볼들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튜브들(22)의 내경보다 작게 크기화 된다. 세척 볼들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튜브들의 내부 면을 맞고 튀어 나올 수 있는 모양으로 튜브들을 통과하여 지나는 동안 튜브들로부터 이물질과 침적물을 제거하고 튜브들을 세척한다. 대안적으로, 세척 볼들은 다수의 튜브들(22)에 끼워 맞추기 위한(for interference fitting) 모양과 크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시스템(20)은 다수의 튜브들(22)의 배출구(28)와 연결된 흐름 전환 시스템(38)의 근위에 배치된 트랩(42)를 포함한다. 트랩(42)은 액체의 흐름은 허용하지만 다수의 세척볼들이 그 안을 통과하는 것은 지연하는 모양 및 크기인 하나 이상의 개구들(미도시)을 정의 한다. 이것은 다수의 튜브들(22)을 나가는 다수의 세척 볼이 트랩(42)에 의해 걸리도록 하고 다수의 세척 볼들이 열 교환 시스템(24)의 다른 부분으로 수송되는 것도 방지한다. 제2 동작 모드일 때는, 이동 시스템(30)에 의해 이동된 액체의 흐름은 트랩(42)에 의해 걸린 다수의 세척 볼들을 매니폴드(36)에 다시 유입시키도록 재-전환(re-diverted)된다.
다수의 세척 볼들이 다수의 튜브(22)를 세척하기 위해 다수의 튜브(22)로 유입되고 그 뒤에 회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동 시스템(30)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제2 포트(34)로 액체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액체를 제1 포트(32)로부터 배출하며 제2 동작 모드일 때 제1 포트(32)로 액체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액체를 제2 포트(34)로부터 배출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매니폴드(36)는 분리판(48)이 끼워진 제1 챔버(44)와 제2 챔버(46)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판(48)은 제1 챔버(44)와 제2 챔버(46)를 연결하는 액체를 위한 개구들(미도시)을 정의하는데, 각각의 개구부들은 다수의 세척 볼들이 그곳을 통과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모양과 크기이다.
흐름 전환 시스템(38)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제1 포트(32) 및 배출구(28)에서 제2 챔버(46) 및 제1 챔버(44) 각각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는 동안 이동 시스템(30)의 제1 포트(32) 및 흡입구(26)에서 매니폴드(36)의 제1 챔버(44)로의 유체 전달에 적응된다. 제2 동작 모드에서, 흐름 전환 시스템(38)은 제1 포트(32) 및 배출구(28)에서 제2 챔버(46) 및 제1 챔버(44) 각각으로의 유체 전달 및 이동 시스템(30)의 제1 포트(32) 각각 및 흡입구(26)에서 매니폴드(36)의 제1 챔버(44)로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적응된다.
바람직하게는, 매니폴드(36)의 제1 챔버(44)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액체가 그 안으로 이동될 때 사이클론 소용돌이(cyclonic vortex)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양과 크기다. 사이클론 소용돌이 흐름은 다수의 세척 볼의 제1 챔버(44)로부터 다수의 튜브들(22)의 흡입구(26)로의 이동을 위한 관성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매니폴드(36)는 제1 챔버(44)에 배치된 볼 스크리닝 유닛(a ball screening unit)(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주기 후에, 다수의 세척볼들의 일부는 다수의 튜브들(22)의 효과적인 세척을 위한 허용 크기 아래로 닳고 줄어들 수 있다. 볼 스크리닝 유닛은 그것을 통과하는 허용 크기 아래의 세척 볼들(40)의 일부가 통과하기 위한 모양과 크기인 다수의 개구들을 정의한다. 사이클론 소용돌이 흐름은 볼 스크리닝 유닛에 의해 허용된 크기의 일부 세척볼들로부터 허용되지 않는 크기의 일부 세척볼들을 분리하고 스크리닝하는 것을 돕는다.
바람직하게는, 흐름 전환 시스템(38)은 이동 시스템(30)의 제1 포트(32)와 매니폴드(36)의 제1 챔버(44)를 상호 연결(inter-coupling)하는 제1 입력 밸브(entry valve)(50), 매니폴드(36)의 제1 챔버(44)와 열 교환 시스템(24)의 흡입구(26)를 상호-연결하는 제1 출력 밸브(exit valve)(52), 열 교환 시스템(24)의 배출구(28)와 매니폴드(36)의 제1 챔버(44)를 상호-연결하는 제2 입력 밸브(54), 및 매니폴드(36)의 제2 챔버(46)와 이동 시스템(30)의 제1 포트(32)를 상호-연결하는 제2 출력 밸브(56)를 포함한다. 제1 입력 밸브(50), 제1 출력 밸브(52), 제2 입력 밸브(54) 및 제2 출력 밸브(56) 각각은 그 안을 통과하는 액체 흐름을 각각 허용하고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가진다.
제1 동작 모드일 때, 제2 입력 밸브(54) 및 제2 출력 밸브(56)가 닫힘 상태인 동안 제1 입력 밸브(50) 및 제1 출력 밸브(52)는 열림 상태이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제2 입력 밸브(54) 및 제2 출력 밸브(56)가 열림 상태인 동안 제1 입력 밸브(50) 및 제1 출력 밸브(52)는 닫힘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입력 밸브(50), 제1 출력 밸브(52), 제2 입력 밸브(54) 및 제2 출력 밸브(56) 각각은 체크-밸브이다. 대안적으로, 제1 입력 밸브(50), 제1 출력 밸브(52), 제2 입력 밸브(54) 및 제2 출력 밸브(56) 각각은 솔레노이드 작동식 이방 밸브(solenoid actuated two-way valve)이다.
흐름 전환 시스템(38)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이동 시스템(30)의 제2 포트(34)에서 열 교환 시스템(24)의 흡입구(26)로의 유체 전달과 제2 동작 모드일 때 제2 포트(34)에서 열 교환 시스템(24)의 배출구(28)로의 유체 전달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더 적응된다. 따라서 제1 동작 모드일 때, 매니폴드(36)로부터 흡입구(26)로 세척 볼을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는 흡입구(26)로부터 유입된다. 유사하게 제2 동작 모드일 때, 매니폴드(36)로 세척 볼들을 다시 이동시키기 위해 배출구(28)로부터 유입된 액체는 그 뒤에 다시 다수의 튜브들(22)의 배출구(28)로 보내진다(channelled). 따라서 흐름 전환 시스템(38)은 흡입구(26)와 배출구(28) 사이의 액체들의 혼합(mixing)을 지연한다. 흡입구(26)의 액체와 열 교환 시스템(24) 배출구(28)의 액체 사이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온도 차이 때문에, 세척 시스템(20)을 통하여 흡입구(26) 및 배출구(28) 사이의 액체들의 혼합을 지연시키는 것은 그 안의 세척 시스템(20)의 동작에 의해 열 교환 시스템(24)의 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키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세척 시스템(20)은 이동 시스템(30)의 제2 포트(34)와 열 교환 시스템(24)의 흡입구(26)를 상호 연결 하는 제3 입력 밸브(58) 및 이동 시스템(30)의 제2 포트(34)와 열 교환 시스템(24)의 배출구(28)를 연결하는 제3 출력 밸브(60)를 더 포함한다. 제3 입력 밸브(58) 및 제3 출력 밸브(60) 각각은 그 안을 통과하는 액체 흐름을 각각 허용하고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동 시스템(30)은 바람직하게는 제1 포트(32)를 갖는 단일 펌프 구성으로 배치되는 양 방향 펌프(62)(bi-directional pump) 및 양 방향 펌프에 의해 정의된 제2 포트(34)를 포함한다. 양 방향 펌프(62)는 원심(centrifugal) 펌프, 용적식 펌프 또는 두 흐름 방향 사이에서 액체 이동을 대체하도록 적응되고 동작이 가능한 유사 펌프이다. 대안적으로, 이동 시스템(30)은 다중-펌프 구성으로 배치되는 제1 펌프(66) 및 제2 펌프(68)를 포함하는데,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1 펌프(66) 및 제2 펌프(68) 각각은 단일 흐름 방향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중-펌프 구성에서, 제1 포트(32)는 제1 펌프(66)의 출구 및 제2 펌프(68)의 입구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펌프(66) 및 제2 펌프(68)의 동작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제1 펌프(66)에 의한 출구로부터의 액체 배출 및 제2 동작 모드일 때 제2 펌프(68)에 의한 입구(74)를 통한 액체 유입간의 교대를 위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조정된다. 제1 펌프(66) 및 제2 펌프(68) 각각의 입구 및 출구(미참조)는 바람직하게는 제2 포트(34)에 연결 가능하다.
다중-펌프 구성을 사용할 때, 이동 시스템(30)은 제1 펌프(66)의 출구와 이동 시스템(30)의 제1 포트(3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체크-밸브(76) 및 제2 펌프(68)의 입구(74)와 이동 시스템(30)의 제1 포트(32)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체크-밸브(78)를 더 포함한다. 제1 체크-밸브(76)는 제1 동작 모드일 때 제1 펌프(66)의 출구에서 제 1포트(32)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것이고 제2 체크-밸브(78)는 제2 펌프(68)의 입구(74)와 제1 포트(32) 사이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체크-밸브(76)는 제1 펌프(66)의 출구와 제1 포트(32) 사이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제2 체크-밸브(78)는 제2 펌프(68)의 입구(74)에서 제1 포트(32)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시스템이 나타난다. 비록 이 문서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하나만이 공개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실시예에 수많은 변경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명세서의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열 교환 시스템의 다수의 튜브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은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세척 시스템은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갖는 이동 시스템, 상기 이동 시스템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포트로 액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1 포트로부터 상기 유입된 액체를 배출시키며, 제2 동작 모드일 때는 상기 제1 포트로 액체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상기 유입된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동작 가능함;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정의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배치된 분리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정의하고, 그것을 통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의 통과를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형상 및 크기임;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로의 유체 전달에 적응되고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 각각으로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적응되는 흐름 전환 시스템, 상기 흐름 전환 시스템은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 각각으로의 유체 전달에 적응되고,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1 포트 각각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로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적응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다수의 튜브들을 통한 통과를 위하여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세척 시스템의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볼은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세척 시스템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 유입됨,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볼은 그것의 세척을 위하여 다수의 튜브들을 통과하는 세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스템은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를 갖는 양 방향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 방향 펌프는 상기 제1 포트로부터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액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2 포트로부터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제1 포트를 통하여 액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2 이동 방향에서 동작 가능한
    세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스템은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포트에 연결된 입구를 갖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는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펌프의 상기 출구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펌프의 입구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기능적으로 상호 구성되는
    세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스템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펌프의 상기 출구에서 상기 제1 포트로 유체를 전달하고 상기 제2 펌프의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2 포트로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그리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펌프의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1 포트로 유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펌프의 출구에서 상기 제1 포트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양 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스템은
    상기 제1 펌프의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1 포트를 상호-연결하는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제2 펌프의 상기 입구와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1 포트를 상호-연결하는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상기 제1 펌프의 출구에서 상기 제1 포트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2 펌프의 상기 입구와 상기 제1 포트 사이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상기 제1 펌프의 출구와 상기 제1 포트 사이의 유체 전달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2 펌프의 입구에서 상기 제1 포트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것인
    세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전환 시스템은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2 포트에서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흡입구로의 유체 전달과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포트에서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배출구로의 유체 전달에 더 적응되고 동작 가능한
    세척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전환 시스템은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를 상호-연결하는 제1 입력 밸브;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흡입구를 상호-연결하는 제1 출력 밸브;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배출구와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를 상호-연결하는 제2 입력 밸브; 및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1 포트를 상호-연결하는 제2 출력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밸브; 상기 제1 출력 밸브, 상기 제2 입력 밸브 및 상기 제2 출력 밸브 각각은 그 안을 통과하는 액체 흐름을 각각 허용하고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가지는
    세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입력 밸브 및 상기 제1 출력 밸브는 열림 상태이고 상기 제2 입력 밸브 및 상기 제2 출력 밸브는 닫힘 상태이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입력 밸브 및 상기 제1 출력 밸브는 닫힘 상태이고 상기 제2 입력 밸브 및 상기 제2 출력 밸브는 열림 상태인
    세척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밸브, 상기 제1 출력 밸브, 상기 제2 입력 밸브 및 상기 제2 출력 밸브 각각은 체크-밸브인
    세척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전환 시스템은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흡입구를 상호-연결하는 제3 입력 밸브; 및
    상기 이동 시스템의 상기 제2 포트를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배출구로 연결하는 제3 출력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력 밸브 및 상기 제3 출력 밸브 각각은 그 안을 통과하는 액체 흐름을 각각 허용하고 실질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세척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합체 볼인
    세척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액체가 그 안으로 이동될 때 사이클론 소용돌이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모양과 크기이고, 상기 사이클론 소용돌이 흐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의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의 상기 흡입구로의 이동을 위한 관성을 생성하기 위한 것인
    세척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다수의 튜브들에서 탈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을 포획하기(trapping)위한 열 교환 시스템의 배출구를 갖는 트랩(trap)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볼은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트랩으로부터 상기 매니폴드의 상기 제1 챔버로 회수되는
    세척 시스템.
KR1020137011150A 2010-10-01 2010-10-01 세척 시스템 KR201301141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G2010/000374 WO2012044249A1 (en) 2010-10-01 2010-10-01 A clean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155A true KR20130114155A (ko) 2013-10-16

Family

ID=4589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150A KR20130114155A (ko) 2010-10-01 2010-10-01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82183B2 (ko)
JP (1) JP5784126B2 (ko)
KR (1) KR20130114155A (ko)
CN (1) CN103189709B (ko)
AU (1) AU2010361464B2 (ko)
MY (1) MY160910A (ko)
SG (1) SG189196A1 (ko)
WO (1) WO2012044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6603B (zh) * 2013-12-18 2016-03-30 宁波金田铜管有限公司 铜盘管内表面的一种清洗方法
CN108222127B (zh) * 2018-01-04 2019-11-19 温州市九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给排水管道
CN108941079A (zh) * 2018-07-11 2018-12-07 苏州七巧板日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双阀手摇外排污式自清洁阀门装置
CN108927358A (zh) * 2018-07-11 2018-12-04 苏州七巧板日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电机泵式自清洁阀门装置
CN108953756A (zh) * 2018-07-11 2018-12-07 苏州七巧板日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双阀电控电机泵外排污式自清洁阀门装置
CN108953757A (zh) * 2018-07-11 2018-12-07 苏州七巧板日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单阀手摇外排污式自清洁阀门装置
CN109092750A (zh) * 2018-07-11 2018-12-28 江苏特尔维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摇式自清洁阀门装置
CN108994009A (zh) * 2018-07-11 2018-12-14 江苏特尔维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电机泵排污式阀门自清洁装置
CN110486530A (zh) * 2018-07-11 2019-11-22 苏州七巧板日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水流连轴传动式自清洁阀门装置
KR20210101296A (ko) * 2018-12-16 2021-08-18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피깅가능 비례기 및 펌프
CN110788095B (zh) * 2019-11-04 2021-12-28 陈坚 一种多功能管道清洗机
CN114210665A (zh) * 2021-11-05 2022-03-22 北方华锦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疏通倒淋管线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1810B (en) * 1983-11-23 1990-06-13 Superior I D Tube Cleaners Inc Tube cleaners.
US4569097A (en) * 1983-11-23 1986-02-11 Superior I.D. Tube Cleaners Incorporated Tube cleaners
JPH02115696A (ja) 1988-10-22 1990-04-27 Hitachi Ltd 多管式熱交換器用洗浄装置
US5447193A (en) * 1993-11-18 1995-09-05 C.Q.M. Ltd. Apparatus for injecting a volume of liquid into a liquid-conducting system
CN1098736C (zh) 1996-06-25 2003-01-15 球技术能源有限公司 清洗流体输送管道的清洗系统
JP2002081893A (ja) * 2000-09-05 2002-03-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洗浄装置
EP1508017B1 (en) 2002-05-30 2006-08-09 Hydroball Technics Holdings Pte Ltd An improved cleaning system
KR100469670B1 (ko) * 2003-07-04 2005-02-02 김영호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KR100537943B1 (ko) * 2003-07-14 2005-12-20 설원실 볼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JP2008502871A (ja) 2004-06-15 2008-01-31 ウォン シール セオル イジェクタを利用した熱交換器洗浄装置
ATE520947T1 (de) * 2004-07-16 2011-09-15 Hydroactive Veloball Internat System und vorrichtung zur nicht kraftbetriebenen reinigung von röhrenförmigen wärmetauschersystemen
JP4118267B2 (ja) 2004-09-16 2008-07-16 大阪瓦斯株式会社 洗浄装置
JP3151221U (ja) 2009-01-07 2009-06-18 宗岳 何 凝縮器自動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3572A (ja) 2013-12-05
MY160910A (en) 2017-03-31
JP5784126B2 (ja) 2015-09-24
US20130219638A1 (en) 2013-08-29
US9182183B2 (en) 2015-11-10
CN103189709A (zh) 2013-07-03
CN103189709B (zh) 2015-06-03
AU2010361464A1 (en) 2013-05-02
AU2010361464B2 (en) 2016-07-14
WO2012044249A1 (en) 2012-04-05
SG189196A1 (en)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155A (ko) 세척 시스템
US8182612B2 (en) Method for removing lint from a heat exchanger of a domestic appliance and corresponding domestic appliance
JP5512790B2 (ja) 洗浄管材用の洗浄システム
EP312468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1027532B (zh) 管式热交换系统的无动力清洗系统和装置
US20150241129A1 (en) Heat exchanger
ITTO990004A1 (it) Disposizione di tubi in un evaporatore di un condizionatore d'aria.
CA2484069C (en) An improved cleaning system
KR101897538B1 (ko) 열교환기 튜브 세정 시스템
KR100537943B1 (ko) 볼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CN115638481A (zh) 换热结构、冷凝器及空调
CN109185279A (zh) 一种液压管道冲洗回油管道
JPH05280890A (ja) 伝熱管自動クリーニング装置
CN108571914B (zh) 具有清洁功能的翅片换热器系统和方法
CN209926980U (zh) 冷凝器在线清洗系统
CN108709347B (zh) 一种多重换热油分装置及其热泵系统
KR101557135B1 (ko) 세정볼 운전 장치
CN106725205A (zh) 一种蒸汽冷却装置及使用有该蒸汽冷却装置的清洗机
JP5316898B2 (ja) 管式熱交換器のボール洗浄システム
KR100661874B1 (ko)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JP3200793B2 (ja) 管式熱交換器の洗浄方法
CN110017723A (zh) 冷凝器在线清洗系统及清洗方法
CN110996632A (zh) 一种清洁散热式服务器机柜
JP2005061814A (ja) 熱交換器伝熱管洗浄システムおよび関連した装置
JP2012021719A (ja) 管式熱交換器の伝熱管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