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874B1 -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874B1
KR100661874B1 KR1020030068106A KR20030068106A KR100661874B1 KR 100661874 B1 KR100661874 B1 KR 100661874B1 KR 1020030068106 A KR1020030068106 A KR 1020030068106A KR 20030068106 A KR20030068106 A KR 20030068106A KR 100661874 B1 KR100661874 B1 KR 10066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ody
conduit
heat exchanger
clean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830A (ko
Inventor
설원실
Original Assignee
설원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원실 filed Critical 설원실
Priority to KR102003006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8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체순환펌프와; 상기 유체순환펌프와 내부의 튜브관경이 커지는 순서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순환펌프 및 열교환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세정체분리기와; 상기 세정체분리기의 세정체유출구와,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튜브관경이 가장 작은 제1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을 연결하는 세정체회수용 도관과; 상기 유체순환펌프의 흡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과;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과, 세정체반송용 도관 사이에 상기 각 열교환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세정체회수기와; 상기 세정체회수기 상부의 세정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도관과; 상기 세정체회수기 하부의 유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반송용 도관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하부연결도관과; 제2열교환기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과 상기 상부연결도관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는 세정체투입용 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 세정체, 세정체분리기, 세정체회수기, 튜브, 세정체홀더

Description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Serially connected multiple heat exchangers auto clea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체순환펌프 2 : 유체유입도관
3 : 제1열교환기 4 : 제2열교환기
5 : 제n열교환기 6 : 세정체분리기
7 : 유체유출도관 8 : 세정체유출구
9 : 세정체회수용 도관 10 : 상부연결도관
11 : 세정체투입용 도관 12 : 제1세정체회수기
13 : 제2세정체회수기 14 : 제n세정체회수기
15 : 하부연결도관 16 : 세정체반송용 도관
17 : 소형펌프 18 :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
19 :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 20 : 전자밸브
21 : 체크밸브 22 : 수동밸브
23 : 세정체 24 : 세정체홀더
25 :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
종래부터 셀엔드튜브(shell & tube)형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의 세정방식으로 스폰지볼과 같은 세정체를 열교환기 튜브 내부에 투입하여 세정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오 왔는데, 이들 방식은 한가지 크기의 스폰지볼을 열교환기 튜브 내부에 통하게 하는 방식으로, 흡수식 냉동기, 흡수식 냉온수기 등에서와 같이 튜브관경(tube size)이 다른 2개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 열교환기 중 튜브관경이 큰쪽의 열교환기는 세정효과가 현저히 떨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각각의 열교환기에 별도의 독립된 세정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이 경우 한 대의 세정대상기기에 2대의 자동세정장치가 설치되어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 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튜브관경이 크지는 순서로 열교환기를 연결하고, 튜브관경이 가장 큰 최종의 열교환기의 출구측에만 세정체분리기를 설치하고, 열교환기와 같은 수만큼 대응되는 세정체회수기를 설치하여 내부에 대응되는 열교환기의 튜브관경에 적합한 크기의 세정체를 저장하여 열교환기로 투입·회수하는 방식으로,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여 설치공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설치비용을 낮출 수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나의 제어부에서 세정장치를 일괄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둘 이상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체순환펌프와; 상기 유체순환펌프와 내부의 튜브관경이 커지는 순서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순환펌프 및 열교환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세정체분리기와; 상기 세정체분리기의 세정체유출구와,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튜브관경이 가장 작은 제1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을 연결하는 세정체 회수용 도관과; 상기 유체순환펌프의 흡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는 세정체 반송용 도관과;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과, 세정체반송용 도관 사이에 상기 각 열교환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세정체회수기와; 상기 세정체회수기 상부의 세정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도관과; 상기 세정체회수기 하부의 유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반송용 도관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하부연결도관과; 제2열교환기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과 상기 상부연결도관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는 세정체투입용 도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과 상부연결도관에는 일정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체크밸브는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의 상부연결도관과 연결되는 세정체회수용 도관의 양측과, 세정체투입용 도관과, 이 세정체투입용 도관이 연결된 상부연결도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연결도관에 설치된 체크밸브는 세정체투입용 도관의 연결부와 세정체회수용 도관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도관에는 유로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전자밸브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밸브는 하부연결도관과 세정체반송용 도관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세정체반송용 도관에 설치된 전자밸브는 유체순환펌프의 토출측 유체유입도관의 연결부와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의 하부연결도관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와, 유체순환펌프의 흡입측 유체유입도관의 연결부와 최종방의 제n세정체회수기의 하부연결도관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정체반송용 도관에는 소형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소형펌프는 유체순환펌프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의 일단과,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의 하부연결도관과 세정체반송용 도관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세정체분리기의 세정체유출구에 세정체홀더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세정체홀더의 세정체유출구에는 세정체회수용 도관이 연결되며, 세정체홀더의 유체유출구에는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이 연결되되, 이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의 타단은 유체순환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의 일단과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 사이의 세정체반송용 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의 중간부에 전자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열교환기와, 유체순환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세정체를 분리하는 세정체분리기와, 상기 세정체분리기에서 분리된 세정체를 회수하는 세정체회수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열교환기는 내부의 튜브관경이 커지는 순서로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발명의 구성을 제시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구와 토출구에 유체유입도관(2)이 연결되고,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구에 연결된 유체유입도관(2)의 타단에 튜브관경이 가장 작은 열교환기(제1열교환기)(3)가 연결되고 순차적으로 적어도 먼저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보다 튜브관경이 큰 열교환기가 연결된다. 이하, 튜브관경이 두번째로 작은 열교환기를 제2열교환기(4)라 하고, 마지막의 튜브관경이 가장 큰 열교환기를 제n열교환기(5)라 한다. 튜브관경이 가장 큰 최종의 열교환기의 출구측에 세정체분리기(6)가 연결되고, 세정체분리기(6)의 유체유출구에는 유체유출도관(7)이 연결되며 세정체유출구(8)에는 제1열교환기(3)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세정체회수용 도관(9)이 연결된다.
본 발명은 메인 펌프인 유체순환펌프(1)로 인한 유체 흐름을 최대한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 유체유입도관(2)과 흡입측 유체유입도관(2)에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되, 이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는 소형펌프(17)와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 및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소형펌프(17)는 세정체(23)를 투입하는 데 필요한 유체흐름을 발생할 때 작동된다.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와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 사이의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는 열교환기와 같은 수만큼의 연결도관(하부연결도관)(15)이 연결되고, 이 연결도관의 타단에는 세정체회수기의 유체출입구가 연결된다.
세정체회수기의 세정체출입구에도 연결도관(상부연결도관)(10)이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9)에 연결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체회수기는 열교환기와 같은 수만큼 설치되되 세정체회수용 도관(9)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병렬로 설치된다. 이 병렬 설치된 세정체회수기를 소형펌프(17)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제1세정체회수기(12), 제2세정체회수기(13), ..., 제n세정체회수기(14)라 하며, 제1열교환기(3), 제2열교환기(4), ..., 제n열교환기(5)와 각각 대응되는 세정체회수기이다.
제2세정체회수기(13)부터 이후의 모든 세정체회수기의 유체출입구와 세정체회수용 도관(9)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도관(10)의 중간부위에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을 연결하고 이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의 타단을 대응되는 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에 연결한다. 여기서 제1세정체회수기(12)의 상부연결도관(10)에만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을 연결하지않는 이유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교환기(3)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에 연결된 세정체회수용 도관(9)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하부연결도관(15)에 전자밸브(20)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연결도관(10)과 세정체투입용 도관(11) 및 세정체회수용 도관(9)에 한쪽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21)가 적정위치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체순환펌프(1)와;
상기 유체순환펌프(1)와 내부의 튜브관경이 커지는 순서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순환펌프(1) 및 열교환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세정체분리기(6)와 ;
상기 세정체분리기(6)의 세정체유출구(8)와,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튜브관경이 가장 작은 제1열교환기(3)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을 연결하는 세정체 회수용 도관(9)과;
상기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는 세정체 반송용 도관(16)과;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9)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 사이에 상기 각 열교환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세정체회수기와;
상기 세정체회수기 상부의 세정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9)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도관(10)과;
상기 세정체회수기 하부의 유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하부연결도관(15)과;
제2열교환기(4)부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과 상기 상부연결도관(10)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는 세정체투입용 도관(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9)과 상부연결도관(10)에는 일정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체크밸브(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21)는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12)의 상부연결도관(10)과 연결되는 세정체회수용 도관(9)의 양측과, 세정체투입용 도관(11)과, 이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이 연결된 상부연결도관(10)에 설치되되, 상부연결도관(10)에 설치된 체크밸브(21)는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의 연결부와 세정체회수용 도관(9)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연결도관(15)에는 유로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전자밸브(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밸브(20)는 하부연결도관(15)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설치되되,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설치된 전자밸브(20)는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 유체유입도관(2)의 연결부와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12)의 하부연결도관(15)의 연결부 사이에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가 설치되고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 유체유입도관(2)의 연결부와 최종방(제n세정체회수기) 하부연결도관(15)의 연결부 사이에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가 설치된다.
또한,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는 소형펌프(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형펌프(17)는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일단과,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12)의 하부연결도관(15)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세정체회수기에는 대응되는 열교환기의 튜브관경에 적합한 크기의 세정체(23)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튜브관경이 다른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체순환펌프(1)와 가장 가까운 최전방의 제1열교환기(3)에 세정체(23)를 투입하는 과정은, 모든 전자밸브(20)가 최초에 모두 닫혀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설치된 소형펌프(1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소형펌프(17)의 일측에 설치된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를 열고, 또한 제1세정체회수기(12)의 하부연결도관(15)에 설치된 전자밸브(20)를 열면,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의 유체유입도관(2) 내부의 일부 유체가 세정체반송용 도관(16), 하부연결도관(15), 제1세정체회수기(12), 상부연결도관(10), 세정체회수용 도관(9), 제1열교환기(3)부터 다음의 모든 열교환기, 세정체분리기(6), 유체유출도관(7) 등을 따라 흐르게 되며, 따라서 제1세정체회수기(12) 내부의 세정체(23)는 유체의 흐름에 편승하여 제1열교환기(3) 튜브 내부로 투입되어 세정작용이 이루어진 후 세정체분리기(6)에 머물게 된다. 이때 제1열교환기(3)에 투입되는 세정체(23)는 제2열교환기(4) 등의 세정체(23)보다 작으므로 제2열교환기(4) 등을 통과하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다만 통과하여도 세정효과 적을 뿐이다.
다음의 세정체(23) 회수과정은, 소형펌프(17)를 정지하고, 소형펌프(17) 일측의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를 닫고,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를 열면, 세정체분리기(6), 세정체회수용 도관(9), 상부연결도관(10), 제1세정체회수기(12), 세정체반송용 도관(16),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 유체유입도관(2) 등을 따라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여 세정체분리기(6)에 모여 있던 세정체(23)가 제1세정체회수기(12)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투입·회수과정을 일정시간 반복함으로써 제1열교환기(3)의 세정작용이 이루어진다.
제2열교환기(4)에 세정체(23)를 투입하는 과정은, 모든 전자밸브(20)가 최초에 모두 닫혀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설치된 소형펌프(1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소형펌프(17)의 일측에 설치된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를 열고, 또한 제2세정체회수기(13)의 하부연결도관(15)에 설치된 전자밸브(20)를 열면,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의 유체유입도관(2) 내부의 일부 유체가 세정체반송용 도관(16), 하부연결도관(15), 제2세정체회수기(13), 상부연결도관(10), 세정체투입용 도관(11), 제2열교환기(4)부터 다음의 모든 열교환기, 세정체분리기(6), 유체유출도관(7) 등을 따라 흐르게 되며, 따라서 제2세정체회수기(13) 내부의 세정체(23)가 유체의 흐름에 편승하여 제2열교환기(4) 튜브 내부로 투입되어 세정작용이 이루어진 후 세정체분리기(6)에 머물게 된다.
다음의 세정체(23) 회수과정은, 소형펌프(17)를 정지하고, 소형펌프(17) 일측의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를 닫고,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를 열면, 세정체분리기(6), 세정체회수용 도관(9), 상부연결도관(10), 제2세정체회수기(13), 세정체반송용 도관(16),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 유체유입도관(2) 등을 따라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여 세정체분리기(6)에 모여 있던 세정체(23)가 제2세정체회수기(13)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투입·회수과정을 일정시간 반복함으로써 제2열교환기(4)의 세정작용이 이루어진다.
다음의 모든 열교환기 튜브도 제2열교환기(4)와 같은 방식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체분리기(6)의 세정체유출구(8)에 세정체홀더(24)가 더 설치되고, 세정체홀더(24)의 세정체유출구(8)에는 세정체회수용 도관(9)이 연결되며, 세정체홀더(24)의 유체유출구에는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이 연결되되, 이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의 타단은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일단과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 사이의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연결되고,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의 중간부에 전자밸브(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세정체홀더(24)가 더 설치된 경우의 세정원리는 상기한 세정체홀더(2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세정방식과 극히 유사하며, 다만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에 설치된 전자밸브(20)를 투입과정에서 열어두고, 회수과정에서 닫아둔다는 것이 다를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세정체홀더(24)가 더 설치된 경우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세정체(23)가 세정체분리기(6)에 머물지않고 세정체홀더(24)로 즉시 흡입되므로, 투입과정중에 세정체분리기(6) 내부에 세정체(23)가 머물게 되는 것과 비교하여 유체 저항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는 둘 이상의 열교환기와, 유체순환펌프(1)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세정체(23)를 분리하는 세정체분리기(6)와, 상기 세정체분리기(6)에서 분리된 세정체(23)를 회수하는 세정체회수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열교환기는 내부의 튜브관경이 커지는 순서로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정장치를 작동함에 있어서, 제1열교환기(3)부터 마지막 열교환기까지 순차적으로 세정할 수도 있고, 임의의 순서로 세정할 수도 있다. 이는 소형펌프(17)와 전자밸브(20)의 작동순서를 적당하게 조합하면 되는 자명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소형펌프(17)와 모든 전자밸브(20)는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어있지 않음)에서 보내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소형펌프(17), 전자밸브(20), 제어부는 모두 당업자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는 관용의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흡수식 냉동기, 흡수식 냉온수기 등에서와 같이 튜브관경(tube size)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세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중복 설치되는 부품의 수를 최소로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설치공간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하나의 제어부에서 전체 세정장치를 관리.운용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장치를 운영할 수 있다.

Claims (9)

  1. 둘 이상의 열교환기가 하나의 유체흐름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체순환펌프(1)와;
    상기 유체순환펌프(1)와 내부의 튜브관경이 커지는 순서로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순환펌프(1) 및 열교환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세정체분리기(6)와;
    상기 세정체분리기(6)의 세정체유출구(8)와,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튜브관경이 가장 작은 제1열교환기(3)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을 연결하는 세정체회수용 도관(9)과;
    상기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16)과;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9)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 사이에 상기 각 열교환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세정체회수기와;
    상기 세정체회수기 상부의 세정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회수용 도관(9)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도관(10)과;
    상기 세정체회수기 하부의 유체출입구와 상기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는 하부연결도관(15)과;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튜브관경이 두 번째로 작은 제2열교환기(4)부터 튜브관경이 가장 큰 제n열교환기(5)까지 각 열교환기의 입구측 유체유입도관(2)과 상기 상부연결도관(10)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는 세정체투입용 도관(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3)와 대응되는 제1세정체회수기(12)의 상부연결도관(10)과 연결되는 세정체회수용 도관(9)의 양측과, 세정체투입용 도관(11)과, 이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이 연결된 상부연결도관(10)에는 일정방향으로만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체크밸브(21)가 설치되되, 상기 상부연결도관(10)에 설치된 체크밸브(21)는 세정체투입용 도관(11)의 연결부와 세정체회수용 도관(9)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도관(15)에는 유로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전자밸브(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20)는 하부연결도관(15)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설치된 전자밸브(20)는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 유체유입도관(2)의 연결부와 제1열교환기(3)에 대응되는 제1세정체회수기(12)의 하부연결도관(15)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세정체투입용 전자밸브(18)와,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 유체유입도관(2)의 연결부와 제n열교환기(5)에 대응되는 제n세정체회수기(14)의 하부연결도관(15)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된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는 소형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펌프(17)는 유체순환펌프(1)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일단과, 최전방의 제1세정체회수기(12)의 하부연결도관(15)과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8.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체분리기(6)의 세정체유출구(8)에 세정체홀더(24)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세정체홀더(24)의 세정체유출구(8)에는 세정체회수용 도관(9)이 연결되며, 세정체홀더(24)의 유체유출구에는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이 연결되되, 이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의 타단은 유체순환펌프(1)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세정체반송용 도관(16)의 일단과 세정체회수용 전자밸브(19) 사이의 세정체반송용 도관(16)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체홀딩유체회수용 도관(25)의 중간부에 전자밸브(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 다수 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9. 삭제
KR1020030068106A 2003-09-26 2003-09-26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KR10066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06A KR100661874B1 (ko) 2003-09-26 2003-09-26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06A KR100661874B1 (ko) 2003-09-26 2003-09-26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30A KR20030084830A (ko) 2003-11-01
KR100661874B1 true KR100661874B1 (ko) 2006-12-27

Family

ID=3238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106A KR100661874B1 (ko) 2003-09-26 2003-09-26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8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830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155A (ko) 세척 시스템
US4333773A (en) Method for internal washing or cleaning and rinsing or drying of tubular materials
CN103808201B (zh) 凝汽器胶球清洗多点集中发球系统
KR101126787B1 (ko) 소형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KR101954997B1 (ko) 세미 연속순환방식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KR100661874B1 (ko) 직렬연결 다수열교환기 자동세정장치
US8474082B2 (en) Cleaning system with balls, in particular for a heat exchanger of the plate type
KR101897538B1 (ko) 열교환기 튜브 세정 시스템
KR100607685B1 (ko) 펌프이용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KR100389723B1 (ko) 콘덴서 내의 유체수송관 세정장치
JPH05280890A (ja) 伝熱管自動クリーニング装置
CN109185279A (zh) 一种液压管道冲洗回油管道
KR20030064364A (ko) 볼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CN1969166B (zh) 使用喷射器的热交换器自动清洁系统
KR200294153Y1 (ko)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200294127Y1 (ko) 볼 순환펌프를 이용한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KR101088603B1 (ko) 다관식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의 볼 분리기
CN111715646A (zh) 一种采样袋清洗装置和方法
CN105396308B (zh) 基于气流清洁的蒸发器
KR200318721Y1 (ko) 멀티형 열교환기 튜브 자동세정장치
JPS61147099A (ja) ボ−ルクリ−ニング装置
JP2006003007A (ja) 洗浄装置
CN217273552U (zh) 天然气管道杂质收集系统
KR20150140511A (ko) 냉매 회수, 세척 및 충전 작업을 일괄 처리하는 자동화 장치와 그 방법
JP5316898B2 (ja) 管式熱交換器のボール洗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