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010A - 계영다반 - Google Patents

계영다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010A
KR20130114010A KR1020130038142A KR20130038142A KR20130114010A KR 20130114010 A KR20130114010 A KR 20130114010A KR 1020130038142 A KR1020130038142 A KR 1020130038142A KR 20130038142 A KR20130038142 A KR 20130038142A KR 20130114010 A KR20130114010 A KR 20130114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eating
container
heat storag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식
Original Assignee
강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식 filed Critical 강현식
Publication of KR2013011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83Serving tray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영다반에 관한 것으로서,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며, 찻주전자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축열공간 내에 수용된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온수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은 주전자를 흘러내린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주전자를 통과한 온수의 열을 재사용하므로 온수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온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용된 온수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계영다반{A tea tray}
본 발명은 계영다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전자를 따라 흘러내린 온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수단이 마련된 계영다반에 관한 것이다.
다반은 찻잔 등의 다구를 올려놓거나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쟁반으로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이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7827호에는 다용도 차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다용도 차반은 양측에 대칭 설치되는 제 1사이드패널의 상부 내측에 제 1받침판이 연결되는 하부차반과, 상기 제1 사이드패널의 상단부에 고정핀으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사이드패널이 설치되며 그 상부에 제2받침판이 연결되는 상부차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다반에는 안착부에 안착된 주전자를 가열하기 위해 외부에서 고온의 온수를 붓는 종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다반의 경우, 하면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주전자에 흘러내린 온수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주전자 및 찻잔을 통과한 온수의 열을 재사용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다반의 경우, 내부에 일정 수위가 차도록 온수가 부어지면 관리자가 직접 다반에 수용된 온수를 비워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전자를 흘러내린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온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마련된 계영다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은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찻주전자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상기 축열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온수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열공간의 하부측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관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관로의 단부에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온수가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관로가 포함되되, 상기 제1 및 제2관로의 연결부분은 상기 온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축열공간의 바닥면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판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관로는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은 상기 기둥부재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축열공간 바닥면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면에 찻잔이 안착되는 찻잔안착면이 마련된 찻잔안착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은 찻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내주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에 상기 용기의 내주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찻잔안착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쟁반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쟁반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찻주전자로 부어진 온수가 상기 쟁반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은 상기 용기의 내벽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열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온수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이 마련된 보조가온부와, 상기 보조공간에 수용된 상기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온수를 상기 축열공간으로 배출하는 서브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배출부는 상기 용기의 내벽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공간의 하부측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되게 제3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관로의 단부에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온수가 상기 축열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제4관로가 마련되되, 상기 제3 및 제4관로의 연결부분은 상기 온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은 주전자를 흘러내린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주전자를 통과한 온수의 열을 재사용하므로 온수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온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용된 온수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시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계영다반이 설치되는 다탁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계영다반(10)은 찻주전자(11)가 안착되는 안착부(21)가 마련되며, 상기 찻주전자(11)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22)이 형성된 용기(20)와, 상기 축열공간(22) 내에 수용된 상기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온수를 상기 용기(2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배출부(30)를 구비한다.
용기(20)는 내부에 상기 축열공간(22)이 마련되고,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용기(20)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2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러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용기(2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용기(20)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받침대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20)는 도자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강도와 성형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동, 은, 돌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부(21)는 축열공간(22)의 바닥면에 형성된 기둥부재(23)와, 기둥부재(23)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판(24)을 구비한다. 한편, 용기(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이 아니라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기둥부재(23)는 축열공간(22)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기둥부재(23)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메인배출부(30)의 제1관로(31)로 온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25)가 형성된다.
안착판(24)은 기둥부재(23)의 상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기둥부재(23)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안착판(24)은 상면에 용이하게 찻주전자(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편한 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4)의 상면은 찻주전자(11) 뿐만 아니라 다수의 찻잔(12)도 함께 안착될 수 있도록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안착부(21)는 축열공간(22)에 수용된 온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찻주전자(11)를 지지한다.
메인배출부(30)는 기둥부재(23)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열공간(22)의 하부측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관로(31)가 마련되고, 상기 제1관로(31)의 단부에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온수가 상기 용기(2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33)가 형성된 제2관로(32)가 포함된다. 이때, 제1 및 제2관로(31,32)의 연결부분은 온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관로(31)는 용이하게 내부로 온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둥부재(23)의 유입구(25)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2관로(32)는 상기 배출구(33)가 용기(2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배출부(30)의 제1 및 제2관로(31,32)가 안착부(21)의 기둥부재(23) 내부에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관로(31,32)의 형성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20)의 내벽면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계영다반(10)은 도 11을 참조하면, 다반용 다탁(50)에 안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다반용 다탁(50)은 상면 중앙부분에 계영다반(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51)이 마련된다. 삽입공간(51)은 계영다반(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다반용 다탁(50)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계영다반(10)의 삽입시, 배출구(33)에 대응되는 위치의 삽입공간(51) 바닥면에는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된 온수가 삽입공간(5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1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착부(21)의 안착판(24) 상면에 찻주전자(11)를 안착시키고, 찻주전자(11)에 수용된 찻물이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찻주전자(11)의 외측면에 고온의 온수를 붓는다. 찻주전자(11)로 부어진 온수는 찻주전자(11)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찻주전자(11)를 가열시킨다.
찻주전자(11)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온수는 용기(20)의 축열공간(22) 내로 유입되어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축열공간(22) 내에 수용된 온수의 열기에 의해 찻주전자(11)는 고온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축열공간(22) 내에 공급된 온수의 수위가 제1 및 제2관로(31,32)의 연결부분보다 높아질 경우, 제1 및 제2관로(31,32)에 사이펀 효과가 발생되어 축열공간(22) 내에 저수된 온수는 용기(20) 외부로 배출되어 온수가 용기(20)에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영다반(10)은 주전자를 흘러내린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22)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주전자를 통과한 온수의 열을 재사용하므로 온수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온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용된 온수를 비워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착부(120)는 상면에 찻주전자(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2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121)를 구비한다. 이때, 용기(20)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덮개(1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123)가 형성된다. 지지돌기(123)는 상기 용기(2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21)는 상기 용기(20)의 상단부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찻주전자(11)에 부어진 온수가 용기(20)의 축열공간(22)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덮개(121)의 상면은 비교적 넓은 면적의 안착면을 제공하므로 찻주전자(11) 외에도 다수의 찻잔(12)을 안착시킬 수 있다. 덮개(121)에 의해 찻주전자(11) 및 찻잔(12)들은 축열공간(22)에 수용된 온수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안착되므로 온수로부터 열기를 제공받아 가열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계영다반(200)은 찻잔(12)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찻잔안착부재(210)를 구비한다. 찻잔안착부재(210)는 기둥부재(23)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축열공간(22) 바닥면에 상방으로 연장된 이격부재(211)와, 이격부재(211)의 상단부에 형성되면, 상면에 찻잔(12)이 안착되는 찻잔안착면이 마련된 찻잔판(212)을 구비한다.
이격부재(211)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을 형성된다. 찻잔판(212)은 상면에 비교적 넓은 면적의 찻잔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이경부재의 반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찻잔안착부재(210)는 안착부(21)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배출부(30)의 제1 및 제2관로(31,32)가 기둥부재(23)에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관로(31,3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찻잔안착부재(210)의 이격부재(211)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찻잔안착부재(210)에 의해 축열공간(2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된 찻잔(12)은 축열공간(22)에 저수된 온수로부터 열기를 제공받아 가열되어 장시간 고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찻잔안착부재(22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찻잔안착부재(220)는 다수개가 안착부(21)의 안착판(24)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찻잔안착부재(220)는 안착판(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부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찻잔안착부재(220)가 상기 안착판(24)의 외주면에 4개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찻잔안착부재(220)의 형성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2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도 찻잔안착부재(23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찻잔안착부재(230)는 다수개가 용기(20)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찻잔안착부재(230)는 용기(20)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부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찻잔안착부재(230)는 안착부(21)의 안착판(24)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찻잔안착부재(230)가 용기(20)의 내주면을 따라 4개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찻잔안착부재(23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2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영다반(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착판(24)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축열공간(22)으로 공급되는 상기 온수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311)이 마련된 보조가온부(310)와, 상기 보조공간(311)에 수용된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보조공간(311)에 수용된 온수를 상기 축열공간(22)으로 배출하는 서브배출부(320)는 구비한다.
상기 보조공간(311)은 온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찻주전자(11)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온수 중 일부는 상기 보조공간(311)으로 유입되어 수용되고, 보조공간(311)에 수용된 온수의 열기에 의해 찻주전자(11)는 가열된다.
서브배출부(320)는 안착판(24)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조공간(311)의 하부측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되게 제3관로(321)가 형성되고, 제3관로(321)의 단부에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상기 온수가 축열공간(22)으로 배출되도록 토출구(323)가 마련된 제4관로(322)가 마련된다. 이때, 제3 및 제4관로(321,322)의 연결부분은 보조공간(311) 내의 온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323)는 제4관로(322) 내로 유입된 온수가 용이하게 축열공간(22)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축열공간(22)의 바닥면에 대향되는 안착판(24)의 하면에 형성된다.
보조공간(311) 내에 공급된 온수의 수위가 제3 및 제4관로(321,322)의 연결부분보다 높아질 경우, 제3 및 제4관로(321,322)에 사이펀 효과가 발생되어 보조공간(311) 내에 저수된 온수는 축열공간(22)으로 배출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보조공간(311) 내에 저수된 온수로부터 발생된 열기에 의해 안착부(21)에 안착된 찻주전자(11)를 다단으로 가열하여 장시간 고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도 9에는 보조가온부(33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가온부(330)는 용기(20)의 내벽면에 설치된 저수부재(331)를 구비한다. 상기 저수부재(331)는 용기(20)의 내벽면에 축열공간(22)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저수부재(331)는 상면에 찻주전자(11)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온수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332)이 마련되며, 상기 온수가 보조공간(332)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서브배출부(320)는 용기(20)의 내벽면 내부에 설치되고, 제4관로(322)의 토출구(323)는 저수부재(331) 하측의 용기(20)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공간(332) 내에 공급된 온수의 수위가 제3 및 제4관로(321,322)의 연결부분보다 높아질 경우, 제3 및 제4관로(321,322)에 사이펀 효과가 발생되어 보조공간(332) 내에 저수된 온수는 축열공간(22)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계영다반
11: 찻주전자
12: 찻잔
20: 용기
21: 안착부
22: 축열공간
23: 기둥부재
24: 안착판
25: 유입구
30: 메인배출부
31: 제1관로
32: 제2관로
33: 배출구

Claims (8)

  1.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찻주전자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온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축열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상기 축열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온수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열공간의 하부측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관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1관로의 단부에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온수가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관로가 포함되되, 상기 제1 및 제2관로의 연결부분은 상기 온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축열공간의 바닥면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관로는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축열공간 바닥면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면에 찻잔이 안착되는 찻잔안착면이 마련된 찻잔안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6. 제3항에 있어서,
    찻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내주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에 상기 용기의 내주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찻잔안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쟁반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쟁반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찻주전자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찻주전자로 부어진 온수가 상기 쟁반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벽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열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온수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보조공간이 마련된 보조가온부와;
    상기 보조공간에 수용된 상기 온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온수를 상기 축열공간으로 배출하는 서브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배출부는 상기 용기의 내벽면 또는 상기 안착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공간의 하부측에 연통되며, 상방으로 연장되게 제3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관로의 단부에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온수가 상기 축열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제4관로가 마련되되, 상기 제3 및 제4관로의 연결부분은 상기 온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다반.












KR1020130038142A 2012-04-06 2013-04-08 계영다반 KR20130114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6289 2012-04-06
KR1020120036289 2012-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010A true KR20130114010A (ko) 2013-10-16

Family

ID=4963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142A KR20130114010A (ko) 2012-04-06 2013-04-08 계영다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0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9777A (zh) * 2015-11-21 2016-01-20 罗建华 一种装有手机支架和花瓶的茶盘
CN108095495A (zh) * 2018-01-19 2018-06-01 福建省德化县家福瓷业有限公司 具有出液装置的茶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9777A (zh) * 2015-11-21 2016-01-20 罗建华 一种装有手机支架和花瓶的茶盘
CN108095495A (zh) * 2018-01-19 2018-06-01 福建省德化县家福瓷业有限公司 具有出液装置的茶盘
CN108095495B (zh) * 2018-01-19 2023-08-11 福建省德化县家福瓷业有限公司 具有出液装置的茶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5327B2 (en) Submersible table and seat assembly for use in a swimming pool
US20120052171A1 (en) High powered, single serve, automatic drip brewed beverage maker and related scoop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KR20130114010A (ko) 계영다반
CN104427916B (zh) 泡沫饮料制备装置和配备有该装置的机器
JP2006512947A (ja) 飲料の均一な分配をする容器受入ユニット
US5852966A (en) Reusable coffee brewing filter
JP2018516808A (ja) ウォーターディスペンサー用複合型温水筒構造
CN101368326B (zh) 熨斗
EP0806167B1 (en) Assembly for preparing coffee
KR101753819B1 (ko) 격판 이동형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JP2008043715A (ja) お茶の風味を保つ急須
CN201055208Y (zh) 茶杯
CN108348091A (zh) 流量可调节的冲泡篮
EP0966221B1 (en) Apparatus for filling a storage jug with instant coffee, and mixing pipe intended for placement on a storage jug for coffee
CN108095495B (zh) 具有出液装置的茶盘
KR200484272Y1 (ko) 계영배 찻잔
CN211459855U (zh) 多功能组合调奶器
JP7199188B2 (ja) 貯水装置
KR20120077664A (ko) 받침대가 있는 정수기
CN102429522B (zh) 一种防烫手的泡茶装置
CN221265813U (zh) 一种出水柔和稳定的手冲壶
KR20220002572U (ko) 주전자
CN210989743U (zh) 落地型自动冲泡机
CN213882857U (zh) 饮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