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754A -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 Google Patents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754A
KR20130113754A KR1020120036198A KR20120036198A KR20130113754A KR 20130113754 A KR20130113754 A KR 20130113754A KR 1020120036198 A KR1020120036198 A KR 1020120036198A KR 20120036198 A KR20120036198 A KR 20120036198A KR 20130113754 A KR20130113754 A KR 2013011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ig
members
air flow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637B1 (ko
Inventor
이봉왕
유영목
김병우
조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7Pigs with rings shaped cleaning members, e.g. cup shaped p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ewage (AREA)

Abstract

피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Pig Having Wing Part Having Air Flow Hole}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등의 내부를 청소하는 피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확장 및 축소 가능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유체를 이송시키거나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파이프라인은 그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가 많아 내부가 오염될 경우 인력으로 이를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파이프라인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피그(Pig)가 사용되고 있다.
피그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파이프라인의 내측 형상 및 직경에 대응되는 원형의 둘레부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피그는 파이프라인의 일측을 통해 내부에 투입되고, 둘레부가 파이프라인 내벽면에 밀착된상태로 타측으로 진행되며 파이프라인의 내부를 청소하게 된다.
다만, 종래의 피그는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된 사이즈를 갖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를 하기 위한 대상 파이프라인에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피그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이프라인의 직경이 구간에 따라 변화하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피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 중 최전방에 위치된 날개부보다 후방에 위치된 날개부에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복수의 제1부재 및 한 쌍의 제1부재 사이에 상기 제1부재와 교대로 구비된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재의 전면은 인접한 한 쌍의 제1부재 후면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날개부 간의 제1부재는 서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홀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굽힘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는 상기 날개부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그의 날개부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관계 없이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어떤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라인이라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제작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피그만으로 다양한 파이프라인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이 용이하고, 구입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의 날개부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가 파이프라인의 제1구간을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가 파이프라인의 제2구간에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가 파이프라인의 제2구간을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가 파이프라인의 제3구간에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가 파이프라인의 제3구간을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00)의 전체 모습이 도시되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00)의 날개부(120, 130, 140)가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00)는 몸체부(110)와 복수 개의 날개부(120, 130, 14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피그(100)의 베이스를 형성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11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굽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청소할 파이프라인이 다양한 방향으로 꺾여 있을 경우에도 몸체부(110)는 대응되는 방향에 따라 휘어지며 파이프라인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1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굽힘 방식 역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다관절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주름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굽힘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피그(100)가 직선형의 파이프라인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몸체부(110)가 반드시 굽혀질 필요는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달리 몸체부(110)는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날개부(120, 130, 140)는 몸체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피그(100)가 파이프라인에 삽입될 경우 날개부(120, 130, 140)의 가장자리는 파이프라인의 내벽에 밀착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피그(100)가 전진함에 따라 파이프라인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20, 130, 140)는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몸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고, 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몸체부(110) 측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즉 날개부(120, 130, 140)는 둘레의 크기가 축소 또는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그(100)는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대응되는 둘레를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20, 130, 140)에 외력을 인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피그(100)를 파이프라인에 삽입시킨 후 별도의 공기분사장치로 압축공기를 후방에서 분사하여 날개부(120, 130, 140)에 전달됨에 따라 피그(100)를 전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 시 압축공기는 날개부(120, 130, 140)의 후면에 부딪히게 되고, 피그(100)는 이에 따라 전진된다. 또한 압축공기에 의해 날개부(120, 130, 140)가 펼쳐져 둘레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게 되므로, 파이프라인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피그(100)의 둘레도 대응되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날개부(120, 130, 140)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총 3개가 구비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110)의 최후방에 위치된 날개부를 제1날개부(120), 최전방에 위치된 날개부를 제3날개부(140), 제1날개부(120)와 제3날개부(140) 사이에 위치된 날개부를 제2날개부(130)라 칭하도록 한다. 물론 날개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각 날개부(120, 130, 140)는 후방으로 만곡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피그(100)는 전방으로 진행 시 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날개부(120, 130, 140)는 제1부재(122b, 132b, 142b) 및 제1부재(122b, 132b, 142b)사이에 제1부재(122b, 132b, 142b)와 교대로 구비된 제2부재(122a, 132a, 142a)를 포함한다. 특히 제2부재(122a, 132a, 142a)의 전면은 인접한 양측 한 쌍의 제1부재(122b, 132b, 142b) 후면과 일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후방으로 외력이 인가될 경우 제1부재(122b, 132b, 142b)와 제2부재(122a, 132a, 142a)는 서로 접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날개부(120, 130, 140)가 확장된다. 반대로 전방에서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제1부재(122b, 132b, 142b)와 제2부재(122a, 132a, 142a)는 서로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며 날개부(120, 130, 140)가 축소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각 날개부(120, 130, 140)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므로,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가 최후방의 제1날개부(120)에 막혀 제2날개부(130)와 제3날개부(140)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날개부(120)와 제2날개부(130)에는 각각 공기유동홀(124, 13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는 공기유동홀(124, 134)을 통과하여 전방에 위치된 날개부에 도달할 수 있어 각 날개부(120, 130, 140)는 모두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3날개부(140)의 경우 최전방에 위치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제3날개부(140)에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각 날개부(120, 130, 140)의 확장을 돕기 위하여, 날개부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는 몸체부(110)와 각 날개부(120. 130. 140)의 결합부분에 구비되어 날개부 전방에서의 외력이 감소하였을 때, 날개부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보다 신속하게 날개부의 둘레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날개부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00)가 파이프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가 파이프라인(P)을 통과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파이프라인(P)은 총 3개의 구간을 가지며, 각 구간에 따라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그(100)가 최초로 통과하게 되는 구간을 제1구간, 이후 통과하는 구간을 제2구간, 최후로 통과하게 되는 구간을 제3구간이라 칭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피그(100)가 제1구간에 삽입된 모습이 도시된다. 이후 피그(100)는 별도의 공기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피그(100)는 제1구간의 직경(d1)에 대응되도록 날개부(120, 130, 140)가 파이프라인 내측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피그(100)가 제1구간에서 제2구간으로 진입하는 순간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간의 직경(d2)은 제1구간의 직경(d1)보다 크기 때문에, 피그(100)가 제2구간에 진입하는 순간 제3날개부(140)는 압축공기에 의해 더욱 확장되어 제2구간의 내벽에 밀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10)는 굽힘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파이프라인(P)의 휘어짐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굽혀져 피그(100)는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피그(100)가 제2구간을 통과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그(100)가 제2구간에 진입 시 제3날개부(140)가 먼저 확장되었으며, 이후 제2날개부(130) 및 제1날개부(120)가 순차적으로 제2구간에 진입되면서 확장된다. 따라서 전체 날개부(120, 130, 140)는 제2구간의 내벽에 밀착되고, 제2구간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피그(100)가 제2구간에서 제3구간으로 진입하는 순간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구간의 직경(d3)은 제2구간의 직경(d2)보다 작기 때문에, 피그(100)가 제3구간에 진입하는 순간 제3날개부(140)는 파이프라인(P)의 내벽에 의해 몸체부(110) 측으로 축소된다. 따라서 제3날개부(140)는 제3구간의 직경(d3)에 대응되는 둘레를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피그(100)가 제3구간을 통과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그(100)가 제3구간에 진입 시 제3날개부(140)가 먼저 축소되었으며, 이후 제2날개부(130) 및 제1날개부(120)가 순차적으로 제3구간에 진입되면서 축소된다. 따라서 전체 날개부(120, 130, 140)는 제3구간의 내벽에 밀착되고, 제3구간을 통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100)는 파이프라인의 다양하게 직경이 변화되거나 절곡 부분이 존재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200)의 전체 모습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피그와 몸체부(210)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200)는 날개부(220, 230, 240)가 3개 형성되며, 각각은 제1부재(222b, 232b, 242b)와 제2부재(222a, 232a, 242a)를 포함하는 점, 각 날개부(220, 230, 240)가 후방으로 만곡 형성되는 점 및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에 공기유동홀(224, 234)가 형성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200)는 서로 인접한 날개부 간의 제1부재가 서로 교차 형성되고, 공기유동홀은 제1날개부(220, 230)의 제1부재(222b, 232b)에만 형성된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2실시예의 피그(200)는 제2날개부(230)가 제1실시예에 비해 몸체부(2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 회전되어, 제2날개부(230)의 제1부재(232b)는 제1날개부(220) 및 제3날개부(230)의 제1부재(222b, 242b)와 교차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날개부(220)의 제1부재(222b) 전방에는 제2날개부(230)의 제2부재(232a)가 위치되며, 제2날개부(230)의 제1부재(232b) 전방에는 제3날개부(240)의 제2부재(242a)가 위치된다.
그리고 공기유동홀(224, 234)은 제1날개부(220) 및 제2날개부(230)의 제1부재(222b, 232b)에만 형성되므로, 공기유동홀(222b, 232b) 역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200)는 압축공기가 제1날개부(220)에 도달하였을 경우와, 제1날개부(220) 또는 제2날개부(230)를 통과하여 전방에 위치된 날개부의 제2부재(232a, 242a)의 후방에 전달될 경우 해당 날개부를 더욱 신속하게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제2부재(222a, 232a, 242a)에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다 큰 저항이 인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2부재(222a, 232a, 242a)는 인접한 한 쌍의 제1부재(222b, 232b, 242b) 후면과 일부가 접하도록 형성되므로, 제2부재(222a, 232a, 242a)가 압축공기에 의해 펼쳐짐에 따라 제1부재(222b, 232b, 242b)가 제2부재(222a, 232a, 242a)에 밀려 함께 신속하게 확장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피그(200)는 제1날개부(220, 230)의 제1부재(222b, 232b)에만 공기유동홀(224, 234)가 형성됨에 따라 압축공기를 전방에 위치된 날개부에 전달함과 동시에 각 날개부(220, 230, 240)를 신속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피그 110: 몸체부
120: 제1날개부 122a, 132a, 142a: 제2부재
122b, 132b, 142b: 제1부재 124, 134: 공기유동홀
130: 제2날개부 140: 제3날개부
P: 파이프라인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
    를 포함하는 피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 중 최전방에 위치된 날개부보다 후방에 위치된 날개부에는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피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복수의 제1부재; 및
    한 쌍의 제1부재 사이에 상기 제1부재와 교대로 구비된 제2부재;
    를 포함하는 피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전면은 인접한 한 쌍의 제1부재 후면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된 피그.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날개부 간의 제1부재는 서로 교차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홀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된 피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굽힘이 가능한 피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피그.
KR1020120036198A 2012-04-06 2012-04-06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KR10134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98A KR101348637B1 (ko) 2012-04-06 2012-04-06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98A KR101348637B1 (ko) 2012-04-06 2012-04-06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54A true KR20130113754A (ko) 2013-10-16
KR101348637B1 KR101348637B1 (ko) 2014-01-10

Family

ID=4963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98A KR101348637B1 (ko) 2012-04-06 2012-04-06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95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가스공사 배관검사용 피그
US10533695B2 (en) 2016-03-08 2020-01-14 Bronislav Walter Guide for a pipeline pig
KR102598226B1 (ko) * 2022-06-03 2023-11-06 (주)아세아텍 배관 세척용 피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538A1 (de) * 1999-04-23 2000-10-26 Pii Pipetronix Gmbh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Molches durch eine Rohrleitung, wie eine Pipeline, und Dichteinrichtung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CA2480534C (en) * 2004-09-02 2013-03-12 Pii (Canada) Limited Device for moving a pig through a conduit, such as a pipel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3695B2 (en) 2016-03-08 2020-01-14 Bronislav Walter Guide for a pipeline pig
KR20190081095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가스공사 배관검사용 피그
KR102598226B1 (ko) * 2022-06-03 2023-11-06 (주)아세아텍 배관 세척용 피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637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637B1 (ko)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
US8719989B1 (en) Chemical pigging apparatus for pipelines
US10591098B2 (en) Garden hose with metal sheath
JP2006336764A (ja) 管継手
JP5801109B2 (ja) 洗浄ノズル
US10830552B1 (en) Cleaning device for barrel of paintball gun
JP6810417B2 (ja) 清掃用移動体
US10967408B2 (en) Pressurized conduit rodder
US9660429B2 (en) Electrical wire protection tube and wire harness
JP2008284317A (ja) 内視鏡の管路内掃除ブラシ
JP6574596B2 (ja) 管状体内面のライニング装置およびライニング方法
JP2018173128A (ja) 管内案内装置
KR101973506B1 (ko) 열교환기용 피그 장치
CN106678167A (zh) 转轴及电子设备
KR101891665B1 (ko) 튜브 세척용 브러쉬볼 및 이를 포함하는 브러쉬볼 조립체
JP5738619B2 (ja) 挿入ユニット
JP2016084645A (ja) 配管用継手
CN110906104B (zh) 一种基于液动人工肌肉的模块化管道机器人
JP6893014B2 (ja) 配管洗浄具
JP3161594U (ja) 遊技場の機械台の掃除道具
JP2017068076A5 (ja) 内視鏡用ガイドチューブ装置
KR100931979B1 (ko) 스타일러스 펜
JP5675398B2 (ja) 挿入ユニット
JPH08326959A (ja) 管内案内装置
JP2001087728A (ja) 配管洗浄装置および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