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253A -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253A
KR20130113253A KR1020120035687A KR20120035687A KR20130113253A KR 20130113253 A KR20130113253 A KR 20130113253A KR 1020120035687 A KR1020120035687 A KR 1020120035687A KR 20120035687 A KR20120035687 A KR 20120035687A KR 20130113253 A KR20130113253 A KR 2013011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terminal
cloud
content
keyword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숙
김진한
천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3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253A/ko
Publication of KR2013011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04N21/2323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using file m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단말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의 제 1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키워드 결정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사용자의 제 1 단말과 매핑된 사용자의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SERVER FOR PROVIDING KEYWORD CLOU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검색과 재생을 분리할 수 있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제공되는 대표적인 콘텐츠의 하나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양방향 통신 서비스와 융합되어 IPTV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은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케이블과는 다르다.
최근 이러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셋톱박스 내부에는 PVR(Personal Video Recording) 또는 DVR(Digital Video Recording) 저장 장치가 내장되어 실시간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개인 녹화 서비스, 이어보기 등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이용되고 있다. IPTV 환경하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11-0116201호에는 휴대 전화용 TV 위젯의 텔레비전 기반 광고 및 배포에 대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IPTV 서비스는 방송 시스템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생성된 위젯을 통해 광고 등을 휴대 전화로 전송하는 기술에 불과하므로, 사용자가 위젯의 생성에 관여를 하는 것과 같은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제한적이다. 또한,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콘텐츠 관련 검색을 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중지해야 하거나 또는 화면을 가리게 되므로,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있어 제약으로 작용될 수 있다.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연관된 키워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키워드에 기반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로 유동적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할 수 있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단말에는 콘텐츠를 재생하고 모바일 단말로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이용한 검색을 할 수 있어 검색과 시청이 각각 분리될 수 있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 1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키워드 결정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 상기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사용자의 제 1 단말과 매핑된 상기 사용자의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단말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제 1 단말과 매핑된 상기 사용자의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초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한 후, 다수의 사용자 참여로 인해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 및 검색 등이 반영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로 유동적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영상 표시 단말에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로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이용한 검색을 할 수 있어, 검색과 시청이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시청중인 영상을 정지하거나 가리지 않고도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의 수와 종류가 증대됨으로 인해 콘텐츠의 선택 및 검색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의 모음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1)은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1)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4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4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4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의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이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제 1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한다. 이때,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는 제공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및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장면 프레임에 대응하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며,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사용자의 제 1 단말(100)과 매핑된 사용자의 제 2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제 1 단말(100)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단말이고, 제 2 단말(200)은 사용자의 모바일일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가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순위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웹 부가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가 콘텐츠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응하는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콘텐츠 요청 신호를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며,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제 2 단말(200)에서 키워드 클라우드 내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가 전송한 콘텐츠를 제 1 단말(100)에서 재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에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의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인 제 2 단말(200)을 구비한 사용자일 수 있고, 제 2 단말(200)에서 제 1 단말(100)의 콘텐츠 내용을 콘텐츠를 정지하거나 화면을 가리는 일 없이 검색하고 싶은 사용자일 수 있으며, 제 1 단말(100)의 키워드가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검색어를 쉽게 넣지 못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제 2 단말(200)은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에서 생성되어 전달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의 입력에 따라,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유동적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에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제 2 단말(200)의 사용자는 TV, IPTV 등과 같은 제 1 단말(100)을 구비한 사용자일 수 있으며, TV 등에서 재생되는 콘텐츠 중 내용, 인물, 소품, 음악 등을 검색하고 싶은 사용자일 수 있고, 해당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TV 화면 등을 가리거나 TV를 정지시키지 않고 TV를 시청하면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싶은 사용자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검색 엔진이 아닌, 해당 콘텐츠에 관련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검색을 손쉽고 편하게 하고 싶은 사용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는, 메타 데이터에서 얻어진 키워드들을 분석하고, 중요도나 인기도 등을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늘어놓아 웹 사이트에 표시한 클라우드(Cloud)일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는 2 차원의 표와 같은 형태로 태그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순서는 알파벳/가나다 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시각적인 중요도를 강조하기 위해 각 키워드들은 그 중요도나 인기도 등에 따라 글자의 색상이나 굵기 등 형태가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각 키워드 클라우드 내의 키워드는 올린 글이나 이미지, 콘텐츠 등을 찾아갈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메타 데이터에 원래 연결된 웹페이지의 링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는 수많은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가중치를 둘 수 있다. 이때, 인기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적으로 갱신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의 클릭이 있을 때마다 카운트하여 해당 순위의 집계 결과에 따라 갱신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키워드 클라우드의 갱신을 위한 업데이트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 또는 푸시(Push)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는 이벤트나 광고 키워드, 베스트 키워드, 카테고리별 키워드 등의 인기 키워드와 함께 구성될 수 있고, 키워드 수를 조정하여 일정 수만큼의 키워드만을 노출할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는 1 차적으로 등장인물, 감독, 배경음악 등 미리 알려진 객체 정보에 대해 플랫폼에서 미리 수집된 콘텐츠의 메타 정보, 오피니언 마이닝 솔루션을 통해 콘텐츠와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가 사업자에 의하여 미리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런칭시 또는 새로운 콘텐츠가 입수될 때마다 키워드 클라우드에 유관 키워드를 미리 등록해둠으로써, 어느 시청자도 참여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사업자가 미리 구축한 디폴트 키워드 클라우드로서 노출될 수도 있다.
이렇게,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초기 콘텐츠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를 1 차적으로 생성해놓고, 2 차적으로 다수의 시청자가 한 장면에 대해 다양한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시청자가 많이 조회한 인기순 또는 최신순으로 키워드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키워드의 조회수를 집계하여 인기 키워드를 모아둔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키워드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일정 수만큼의 키워드만이 키워드 클라우드 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베스트 키워드 순위, 이벤트 안내, 공지 사항 안내 등 부가정보를 키워드 클라우드의 일 구성 요소로서 노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의 구성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부(310), 키워드 결정부(320),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330),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340), 업데이트 처리부(35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310)는 사용자의 제 1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단말(100)로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의 일 예는, 신호, 정보, 메세지 영상 스트림(Stream)과 같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노드들간에 이동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310)가 제 2 단말(200)로부터 키워드 클라우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선택 콘텐츠를 제 1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에서 재생가능한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이를 IPTV 등과 같은 제 1 단말(100)의 큰 화면으로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310)는 지상파 등의 신호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TV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 후에도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시청 전, 후나 시청중에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객체정보인, 등장인물, 촬영장소, 배경음악, 상품 등에 대해 객체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키워드 및 키워드와 관련있는 부가 정보 및 광고를 등록하고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의 조회수를 집계하여 인기있는 키워드를 탐색하고, 키워드와 관련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키워드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TV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객체에 대한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에 대한 관련 부가정보를 시청자가 입력하고, 다른 시청자가 입력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시청자가 TV 시청중 정보를 얻고 싶은 경우나, TV시청 전후에 프로그램 관련 부가정보를 인기순, 최신순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TV 시청중 궁금한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즉시 충족시킬 수 있다.
키워드 결정부(320)는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한다. 이때,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는 제공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및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장면 프레임에 대응하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객체정보는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등장인물정보, 상품정보, 촬영장소정보, 배경음악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부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순위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웹 부가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가 콘텐츠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응하는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결정부(320)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키워드 중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결정부는 제공된 콘텐츠의 메타 정보 또는 콘텐츠를 이용한 데이터 마이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콘텐츠 관련 웹 부가정보의 입력은 키워드를 등록 후, 관련 키워드별 웹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고, 또는 웹 부가정보를 입력하면서 동시에 관련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웹 부가정보와 관련된 키워드를 적어도 1 개 이상 등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1 개의 콘텐츠에 적어도 1 개 이상의 여러 키워드를 통해 1 개의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다수 또는 중복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웹 부가정보는 콘텐츠 타이틀, 상세정보, 이미지, 관련 URL 정보, 관련 웹 동영상 URL 등일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33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클라우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은 상기 키워드 각각의 검색순위, 인기순위, 중요도 순위 및 등록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각각의 표시 위치, 표시 방식 및 표시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와 관련된 조회수를 집계하여 인기있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VOD, TV 시청 전후나, 시청중에 콘텐츠 및 관련된 부가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시청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한 결과가 키워드 클라우드일 수 있으므로, 정보 구축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청자 간의 정보 공유를 활성화시켜 볼거리를 풍부하게 하며, 콘텐츠의 소비를 증진시킬 수 있다.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340)는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사용자의 제 1 단말(100)과 매핑된 사용자의 제 2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340)는 제 2 단말(200) 내에 설치된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단말(100)에서 나오는 장면, 인물, 음악, 상품정보 등과 동기화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할 수 있고, 이들은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그 이외의 웹브라우저, 마켓 등에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제 1 단말(100)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단말이고, 제 2 단말(20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클라우드는 키워드의 조회 횟수를 통계로 집계하여 시청자들이 많이 조회한 키워드들을 모아둔 키워드 클라우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인기있는 키워드를 제시하고, 시청자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탐색하다가 한 개의 키워드를 선택하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콘텐츠 리스트와 웹 부가정보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고, 그 중 한 개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시청자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키워드들을 파악할 수 있고, 관련 콘텐츠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키워드가 이슈되는 이유를 알 수 있으며, 콘텐츠를 선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의 N-스크린 융합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 2 단말(200)에서 키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재생하던 콘텐츠를 제 1 단말(100)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시청중에는 장면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고, 시청 전후에는 콘텐츠 전체에 관한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다.
업데이트 처리부(350)제 2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키워드 클라우드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요청에 기초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요청은 제 2 단말(200)에 제공된 키워드 클라우드 내의 키워드 선택, 선택된 키워드에 연관된 콘텐츠의 생성, 생성된 콘텐츠에 부가정보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310)는 사용자의 제 1 단말(100)로 제공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다른 사용자의 제 3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하고, 업데이트 처리부(350)는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 3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제 3 단말(미도시)은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의 보유자와 다른 제 3 자의 보유 단말일 수 있으며, 제 1 단말(100)을 보유한 사람이 업데이트 요청을 하여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 3 자도 이용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100)로 제공된 콘텐츠를 제 3 자가 이용할 경우에만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 요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다른 추가 키워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추가 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 처리부(350)는 제공된 키워드 클라우드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업데이트 요청들을 카운트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키워드로 이루어진 키워드 클라우드가 존재하고, 제 2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이며, 해당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3G나 4G의 데이터 정액제 사용자가 아니라고 하면, 해당 콘텐츠를 보는 동안,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시마다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하게 된다면, 3G나 4G 데이터 요금이 부하가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를 위해, 업데이트 주기를 사용자, 또는 업데이트 처리부(350), 또는 설정된 디폴트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실시하되, 분 단위, 초 단위, 시 단위 등 다양한 주기로 설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본원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3110), 수신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단말(100)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S3120).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키워드를 결정하여(S3130),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고(S3140), 제 2 단말(200)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한다(S3150).
제 2 단말(200)에서 키워드 클라우드 내의 키워드를 선택하거나, 해당 콘텐츠에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S3160), 해당 입력을 제 2 단말(200)로부터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3170). 해당 입력에 따라.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하게 된다(S3180).
제 2 단말(200)에서 키워드 클라우드 내의 정보를 선택한 경우(S3190), 선택한 정보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 입력되고(S3200),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해당 입력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제 1 단말(100)로 제공한다(S3210).
제 3 단말(500)에서 제 1 단말(100)로 제공된 콘텐츠 요청 신호를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 요청할 경우(S3220), 제 2 단말(200)의 입력으로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 3 단말(500)로 제공하게 된다(S3230).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받은 제 3 단말(500)은 키워드 클라우드 내의 키워드를 선택하거나 검색을 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받게 되며(S3240), 해당 입력은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로 전송된다(S3250). 해당 입력에 따라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는 해당 콘텐츠에 연관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하게 된다(S32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3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0에서, 콘텐츠 제공부(310)는 사용자의 제 1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단말(100)로 콘텐츠를 제공한다. 단계 S4200에서 키워드 결정부(320)는 콘텐츠 제공부(310)에서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한다.
S4300에서, 키워드 결정부(320)에서 결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350)에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한다. S4400에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370)는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350)에서 생성한 키워드 클라우드를 사용자의 제 1 단말(100)과 매핑된 사용자의 제 2 단말(200)로 제공한다.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시스템
100: 제 1 단말 200: 제 2 단말
300: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310: 콘텐츠 제공부
320: 키워드 결정부 330: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
340: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 350: 업데이트 처리부
400: 네트워크

Claims (19)

  1. 단말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 1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키워드 결정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부;
    상기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사용자의 제 1 단말과 매핑된 상기 사용자의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는 상기 제공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 상기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및 상기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장면 프레임에 대응하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는, 상기 제공된 콘텐츠에 포함된 등장인물정보, 상품정보, 촬영장소정보, 배경음악정보 및 제작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단말이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인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순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웹부가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가 콘텐츠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응하는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키워드 클라우드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 1 단말로 제공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다른 사용자의 제 3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처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제 3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다른 추가 키워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추가 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처리부는,
    상기 제공된 키워드 클라우드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업데이트 요청들을 카운트하여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키워드 중 상기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제공된 콘텐츠의 메타 정보 또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한 데이터 마이닝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은 상기 키워드 각각의 검색순위, 인기순위, 중요도 순위 및 등록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각각의 표시 위치, 표시 방식 및 표시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정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선택 콘텐츠를 상기 제 1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16.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단말로 키워드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 1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콘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제 1 단말과 매핑된 상기 사용자의 제 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키워드 클라우드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 1 단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가 다른 사용자의 제 3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제 3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선택 콘텐츠를 상기 제 1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KR1020120035687A 2012-04-05 2012-04-05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KR20130113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687A KR20130113253A (ko) 2012-04-05 2012-04-05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687A KR20130113253A (ko) 2012-04-05 2012-04-05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253A true KR20130113253A (ko) 2013-10-15

Family

ID=4963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687A KR20130113253A (ko) 2012-04-05 2012-04-05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2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464A (ko)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러닝을 통한 러닝 콘텐츠 수집 및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소셜 러닝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464A (ko)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러닝을 통한 러닝 콘텐츠 수집 및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소셜 러닝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4714B2 (ja) 拡張現実において補完コンテンツを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609097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stantly sharing video content on social media
KR102137681B1 (ko) Sns 분석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US9323755B2 (en) Secondary content
US20140096162A1 (en) Automated Social Media and Event Driven Multimedia Channels
US201500267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selectable advertisement when video has a background advertisement
JP7019669B2 (ja) 静的ナレッジグラフおよび時間的ナレッジグラフに基づいて用語の曖昧性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30097301A1 (en) Method for exchange information based on computer network
US97128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10061068A1 (en) Tagging media with categories
US20110138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mments regarding content
CN103748530A (zh) 媒体中心
US9614882B2 (en) System independent remote storing of digital content
US20120331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associated information
WO2012031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back supplementation of media program metadata
US201301599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related information
KR20130017786A (ko)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물 속성 부가 컨텐츠 전송 방법
KR20130113253A (ko)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키워드 클라우드 제공 방법
JP2013142906A (ja) イベント評価装置及びイベント評価方法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180530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Lin et al. Content characteristics of IPTV: analysis of sensationalism, localism, and interactivity
JP2019101942A (ja) 配信状況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17776A (ko)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sns 결합 방송 영상 전송 방법
KR100870559B1 (ko) Iptv 콘텐츠와 관련된 고객 참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