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085A - 배타적 논리합 회로 - Google Patents

배타적 논리합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085A
KR20130113085A KR1020120035390A KR20120035390A KR20130113085A KR 20130113085 A KR20130113085 A KR 20130113085A KR 1020120035390 A KR1020120035390 A KR 1020120035390A KR 20120035390 A KR20120035390 A KR 20120035390A KR 20130113085 A KR20130113085 A KR 2013011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node
input terminal
leve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085A/ko
Priority to US13/604,548 priority patent/US8872545B2/en
Publication of KR2013011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로우 패스부, 하이 패스부 및 디스차지부를 포함한다.상기 로우 패스부는 제 1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데이터를 출력 노드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한다. 상기 하이 패스부는 상기 제 1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를 디스차지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디스차지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차지부는 상기 디스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킨다.

Description

배타적 논리합 회로{EXCLUSIVE OR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다수의 논리 회로를 사용하여 설계된다. 이 중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ECC(Error Correcting Code) 혹은 CRC(Cyclical Redundancy Check) 등과 같이, 신뢰도 증가를 위해 데이터 내에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포함하는 회로 설계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디램(DRAM) 뿐만 아니라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통신 설계, 그래픽 디램(Graphic DRAM)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타적 논리합 회로의 단위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종래의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제 1 오어 게이트(OR1), 제 1 낸드 게이트(ND1) 및 제 1 앤드 게이트(AD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오어 게이트(OR1) 및 제 1 낸드 게이트(ND1)는 각각 제 1 및 제 2 데이터(A, B)를 수신하고 논리 연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1 앤드 게이트(AD1)는 상기 제 1 오어 게이트(OR1) 및 제 1 낸드 게이트(ND1)의 출력을 연산하여 최종 데이터(C)로 출력한다.
결국, 제 1 및 제 2 데이터(A, B)를 수신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 결과를 얻게 된다.
제 1 데이터(A) 제 2 데이터(B) 최종 데이터(C)
0 0 0
0 1 1
1 0 1
1 1 0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회로는 서로 상보적인 두 개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일반적인 배타적 논리합 회로로 동작 한다.
오늘날의 반도체 장치는 저전압화, 고집적화 및 소형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수많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반도체 칩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데이터 처리 시간을 지연시키는 등의 설계 비효율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제 1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데이터를 출력 노드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로우 패스부; 및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키는 디스차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제 1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데이터를 출력 노드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로우 패스부; 상기 제 1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를 디스차지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디스차지 신호로 출력하는 하이 패스부; 및 상기 디스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키는 디스차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제 1 입력단과 출력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제 2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입력단과 제어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상기 제어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4 트랜지스터; 및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 노드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5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의하면 배타적 논리합 회로에 대한 효율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배타적 논리합 회로에 대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에 대한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의 단위 회로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디램을 포함한 다양한 메모리 장치뿐만 아니라 통신 설계 분야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로우 패스부(10), 하이 패스부(20) 및 디스차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로우 패스부(10)는 제 1 입력단으로 수신하는 제 1 데이터(A)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데이터(B)를 출력 노드(ND1)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 2 입력단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 2 데이터(B)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A)를 상기 출력 노드(ND1)로 인가한다.
반면, 하이 패스부(20)는 상기 제 1 입력단으로 수신하는 상기 제 1 데이터(A)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B)를 제어 노드(ND2)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입력단으로 수신하는 제 2 데이터(B)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A)를 상기 제어 노드(ND2)로 인가한다. 상기 하이 패스부(20)에 의해 제어 노드(ND2)에 인가된 전압 레벨은, 상기 디스차지부(30)를 제어하는 디스차지 신호(DSC)로 사용된다.
상기 디스차지부(30)는 상기 디스차지 신호(DSC)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ND1)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킨다.
결국, 상기 출력 노드(ND1)의 전압 레벨은 상기 로우 패스부(10) 및 상기 하이 패스부(20)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차지부(3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출력 노드(ND1)의 전압 레벨이 곧 최종 데이터(C)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모두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로우 패스부(10)에 의해 로우 레벨의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출력 노드(ND1)로 인가되므로, 로우 레벨의 최종 데이터(C)가 출력된다.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상보 레벨인 경우, 상기 로우 패스부(10)에 의해 하이 레벨의 데이터가 출력 노드(ND1)로 인가되고, 상기 디스차지부(30)가 턴오프되기 때문에 하이 레벨의 최종 데이터(C)가 출력된다.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하이 패스부(20)가 하이 레벨의 디스차지 신호(DSC)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상기 디스차지부(30)가 출력 노드(ND1)을 접지 전압(VSS)으로 디스차지시키기 때문에 로우 레벨의 최종 데이터(C)가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타적 논리합 회로는 구체적으로 C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우 패스부(10)는 두 개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1, P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P1)는 제 1 데이터(A)를 입력 받는 제 1 입력단과 출력 노드(ND1)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제 2 데이터(B)를 입력 받는 제 2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다.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P2)는 제 2 데이터(B)를 입력 받는 상기 제 2 입력단과 상기 출력 노드(ND1)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제 1 데이터(A)를 입력 받는 상기 제 1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다.
상기 하이 패스부(20)는 두 개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1, N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N1)는 제 1 데이터(A)를 입력 받는 상기 제 1 입력단과 제어 노드(ND2)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제 2 데이터(B)를 입력 받는 상기 제 2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다.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2)는 제 2 데이터(B)를 입력 받는 상기 제 2 입력단과 상기 제어 노드(ND2)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제 1 데이터(A)를 입력 받는 상기 제 1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다.
상기 디스차지부(30)는 엔모스 트랜지스터(N3)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는 상기 출력 노드(ND1)와 접지(VSS)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 노드(ND2)에 게이트가 연결된다.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모두 로우 레벨인 경우, 제 1 및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P1, P2)가 모두 턴온되므로 상기 출력 노드(ND1)에는 로우 레벨의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인가된다. 따라서 로우 레벨의 최종 데이터(C)가 출력된다.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상보 레벨인 경우, 제 1 및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P1, P2) 중 어느 하나가 턴온되어 하이 레벨의 데이터를 출력 노드(ND1)로 인가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1, N2) 중 어느 하나가 턴온되어 로우 레벨의 디스차지 신호(DSC)를 제어 노드(ND2)로 출력한다. 로우 레벨의 디스차지 신호(DSC)에 의해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가 턴오프되므로, 결국 하이 레벨의 최종 데이터(C)가 출력된다.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모두 하이 레벨인 경우, 제 1 및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N1, N2)가 모두 턴온므로 상기 제어 노드(ND2)에는 하이 레벨의 제 1 및 제 2 데이터(A, B)가 인가된다. 따라서 하이 레벨의 디스차지 신호(DSC)가 생성되고, 상기 디스차지 신호(DSC)에 의해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N3)가 턴온된다. 따라서 로우 레벨의 최종 데이터(C)가 출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로우 패스부
20 : 하이 패스부
30 : 디스차지부

Claims (5)

  1. 제 1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데이터를 출력 노드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로우 패스부; 및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키는 디스차지부를 포함하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
  2. 제 1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제 2 데이터를 출력 노드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로우 패스부;
    상기 제 1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를 디스차지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데이터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디스차지 신호로 출력하는 하이 패스부; 및
    상기 디스차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키는 디스차지부를 포함하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차지부는,
    상기 디스차지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디스차지시키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
  4. 제 1 입력단과 출력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제 2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입력단과 제어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상기 제어 노드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4 트랜지스터; 및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 노드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 5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3, 4 및 5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배타적 논리합 회로.
KR1020120035390A 2012-04-05 2012-04-05 배타적 논리합 회로 KR20130113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90A KR20130113085A (ko) 2012-04-05 2012-04-05 배타적 논리합 회로
US13/604,548 US8872545B2 (en) 2012-04-05 2012-09-05 Exclusive OR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90A KR20130113085A (ko) 2012-04-05 2012-04-05 배타적 논리합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85A true KR20130113085A (ko) 2013-10-15

Family

ID=4929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390A KR20130113085A (ko) 2012-04-05 2012-04-05 배타적 논리합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72545B2 (ko)
KR (1) KR201301130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0604B (zh) * 2014-11-28 2017-05-10 成都振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低压源耦异或逻辑电路结构
JP7007809B2 (ja) * 2017-03-24 2022-02-10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デジタル信号伝送装置、クロック信号伝送装置、及び、受信回路
CN111555751A (zh) * 2020-06-02 2020-08-18 杭州电子科技大学 基于忆阻器的三值异或和同或逻辑门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4888A (en) * 1993-04-19 1994-08-02 Intel Corporation Fast exclusive-or and exclusive-nor gates
US8653857B2 (en) * 2006-03-09 2014-02-18 Tela Innovations, Inc. Circuitry and layouts for XOR and XNOR logic
KR100991386B1 (ko) * 2008-12-10 2010-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배타적 논리합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72545B2 (en) 2014-10-28
US20130265082A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1901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on-die termination circuit
US10193548B2 (en) Biasing scheme for high voltage circuits using low voltage devices
CN105471409B (zh) 具有共享反相器的低面积触发器
US10304503B2 (en) Transmitting device using calibration circuit,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381099B2 (en) Test mode circuit for memory apparatus
KR20130113085A (ko) 배타적 논리합 회로
US7843219B2 (en) XOR logic circuit
US9239703B2 (en) Full adder circuit
KR100757933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5955226A (zh) 上电复位电路
US7639551B2 (en) Sense amplifiers operated under hamming distance methodology
US20150008970A1 (en) Pe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
US9203389B2 (en) Majority determination circuit, majority determin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US9385716B2 (en) Semiconductor device
TWI840929B (zh) 密鑰產生裝置以及密鑰產生方法
US9507361B2 (en) Initial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s an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20160336940A1 (en) High voltage level shifter in ultra low power supply memory application
US771933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60375A (ko) 3-입력 배타적 논리합 회로
JP4611395B2 (ja) 集積回路において定論理値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7049671A (ja) 集積回路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段の出力で出力信号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
JP2009239405A (ja) ラッチ回路及び電子機器
US20120274358A1 (en) Identical-data determination circuit
US9515640B2 (en) Apparatuses and devices for bias level correction
US9300325B2 (en) Error detection circuit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