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267A - 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267A
KR20130112267A KR1020120034511A KR20120034511A KR20130112267A KR 20130112267 A KR20130112267 A KR 20130112267A KR 1020120034511 A KR1020120034511 A KR 1020120034511A KR 20120034511 A KR20120034511 A KR 20120034511A KR 20130112267 A KR20130112267 A KR 2013011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upled
circumferential surface
magnetic circu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799B1 (ko
Inventor
이천익
박근도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7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 시스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케이스의 후면케이스에 스피커의 자기회로부가 결합되고, 케이스의 전면케이스에 스피커의 음향발생부가 결합되므로, 스피커 시스템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이스코일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틴셀와이어의 중앙부측과 대향하는 자기회로부의 부위가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음향발생부가 진동할 때, 틴셀와이어가 자기회로부와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시스템 {SPEAKER SYSTEM}
본 발명은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고,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를 평판 표시 장치 등과 같은 제품에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케이스에 설치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10)와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스피커(10)는 프레임(11), 프레임(11)에 일면측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13) 및 프레임(11)의 타면측에 설치되며 자기회로부(13)와 작용하여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발생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피커(10)의 프레임(11)이 케이스(20)에 지지 설치되며, 스피커(10)가 결합된 케이스(20)가 평판 표시 장치 등과 같은 제품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10)와 케이스(20)가 별도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되므로,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일면에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전면케이스와 일면은 개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고 타면은 밀폐된 후면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지지공과 대향하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타면에 결합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지지공의 내주면측에 지지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발생부를 가지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케이스의 후면케이스에 스피커의 자기회로부가 결합되고, 케이스의 전면케이스에 스피커의 음향발생부가 결합되므로, 스피커 시스템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이스코일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틴셀와이어의 중앙부측과 대향하는 자기회로부의 부위가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음향발생부가 진동할 때, 틴셀와이어가 자기회로부와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설치된 스피커(200)를 포함한다.
이하, 케이스(1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케이스(10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케이스(100)는 상호 결합된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를 가진다.
전면케이스(110)는 상면은 밀폐되어 지지공(113)이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된다. 후면케이스(120)는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밀폐된다. 그리하여, 개방된 전면케이스(110)의 하단면(下端面)과 개방된 후면케이스(120)의 상단면(上端面)이 상호 접촉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전면케이스(110)의 상면이 케이스(100)의 상면을 이루고, 후면케이스(120)의 하면이 케이스(110)의 하면을 이룬다.
스피커(200)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210)와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발생부(220)를 포함한다. 자기회로부(210)는 지지공(113)과 대향하는 후면케이스(120)의 하면에 설치되고, 음향발생부(220)는 지지공(113)측에 지지 설치된다.
자기회로부(210)는 요크(211), 마그네트(213) 및 플레이트(215)를 가진다.
요크(211)는 후면케이스(120)의 하면에 결합된 링형상의 받침판(211a)과 받침판(211a)의 내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폴(211b)을 가진다. 마그네트(21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판(211a)에 결합되고, 플레이트(21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213)에 결합된다. 이때, 폴(211b)의 외주면과 플레이트(215)의 내주면 사이 및 폴(211b)의 외주면과 마그네트(213)의 외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음향발생부(220)는 에지(221), 진동판(223) 및 보이스코일(225)을 가진다.
에지(22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측이 지지공(113)에 결합된 지지부재(115)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진동판(223)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측이 에지(221)의 내주면측에 결합된다. 진동판(223)은 케이스(100)에 수직하는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보이스코일(225)은 보빈(225a)과 코일(225b)을 가진다. 보빈(225a)은 상부측 외주면은 진동판(223)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측 부위는 자기회로부(210)의 갭(G)에 위치된다. 그리고, 코일(225b)은 보빈(225a)의 하측 부위 외주면에 권선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코일(225b)에 공급되면, 코일(225b)과 자기회로부(21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225)이 상하로 진동하고, 보이스코일(225)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판(223)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스피커(200)의 자기회로부(210)가 후면케이스(120)의 하면에 결합되고, 스피커(200)의 음향발생부(220)가 지지공(113)이 형성된 전면케이스(110)의 상면에 지지 설치되므로, 부피가 감소된다.
지지부재(115)에는 러그(231)가 설치되고, 러그(231)에는 틴셀와이어(233)의 일단부측이 지지된다. 틴셀와이어(233)의 일단부측에는 외부의 전원이 접속되고, 타단부측은 진동판(223)을 관통하여 코일(225b)의 인출선과 접속된다. 이때, 틴셀와이버(233)의 중앙부측은 플레이트(215)의 상측에 위치된다.
음향발생부(220)가 진동하면, 틴셀와이어(233)도 진동한다. 그러면, 틴셀와이어(233)의 중앙부측이 플레이트(215)에 부딪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스피커(200)에는 틴셀와이어(233)가 자기회로부(22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틴셀와이어(233)의 중앙부측과 대향하는 플레이트(215) 부위, 마그네트(213) 부위 및 받침판(211a)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연통된 함몰부(215a, 213a, 211aa)로 마련된다. 그러면, 틴셀와이어(233)의 중앙부측과 대향하는 자기회로부(210)의 부위는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틴셀와이어(233)가 자기회로부(210)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된다.
틴셀와이어(233)가 에지(221)의 우측 부위에 설치된 경우에는 플레이트(215)의 우측 부위, 마그네트(213)의 우측 부위 및 받침판(211a)의 우측 부위에만 함몰부(215a, 213a, 211aa)가 형성되고, 틴셀와이어(233)가 에지(221)의 우측 부위 및 좌측 부위에 설치된 경우에는 플레이트(215), 마그네트(213) 및 받침판(211a)의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에 각각 함몰부(215a, 213a, 211aa)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도 2의 미설명 부호 130은 음향발생부(220)에서 재생된 음향을 외부로 방사하는 덕트이고, 도 3 및 도 4의 미설명 부호 240은 진동판(223)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211: 요크
213: 마그네트
215: 플레이트
211aa, 213a, 215a: 함몰부
233: 틴셀와이어

Claims (4)

  1. 일면에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전면케이스와 일면은 개방되어 상기 전면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고 타면은 밀폐된 후면케이스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지지공과 대향하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타면에 결합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지지공의 내주면측에 지지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상기 케이스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발생부를 가지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부는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된 링형상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폴을 가지는 요크,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내주면이 상기 폴의 외주면과 간격을 가지는 링형상의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되며 내주면이 상기 폴의 외주면과 간격을 가지는 링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발생부는 외주면측이 상기 지지공의 내주면측에 결합된 에지, 상기 에지의 내주면측에 외주면측이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 일면은 상기 진동판에 결합되고 타면측은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폴 사이에 위치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타면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을 가지며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케이스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보이스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공측 상기 전면케이스의 부위에는 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러그에는 틴셀와이어의 일측이 지지되어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며,
    상기 틴셀와이어의 타측은 진동판을 관통하여 상기 코일의 인출선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틴셀와이어의 중앙부측과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부위와 상기 마그네트의 부위 및 상기 받침판의 부위에는 상기 폴의 중심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함몰부는 상호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에는 상기 에지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러그가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
KR1020120034511A 2012-04-03 2012-04-03 스피커 시스템 KR101317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11A KR101317799B1 (ko) 2012-04-03 2012-04-03 스피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11A KR101317799B1 (ko) 2012-04-03 2012-04-03 스피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67A true KR20130112267A (ko) 2013-10-14
KR101317799B1 KR101317799B1 (ko) 2013-10-15

Family

ID=4963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511A KR101317799B1 (ko) 2012-04-03 2012-04-03 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354A (ko) * 2021-02-02 2022-08-09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WO2023195756A1 (ko) * 2022-04-07 2023-10-12 에스텍 주식회사 점진동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393B1 (ko) 2008-03-05 2009-03-26 주식회사 블루콤 휴대폰 장착용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354A (ko) * 2021-02-02 2022-08-09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WO2023195756A1 (ko) * 2022-04-07 2023-10-12 에스텍 주식회사 점진동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799B1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924U (ja) 圧電セラミックデュアル周波数イヤホン構造
JP6178696B2 (ja) ダイナミックヘッドホン
JP3198475U (ja) 圧電セラミックスデュアルバンド低音強化型イヤホン
WO2015198683A1 (ja) 骨伝導スピーカ
JPWO2015064340A1 (ja) 音声振動発生素子
WO2018218766A1 (zh) 扬声器模组以及电子设备
JP6108649B2 (ja) スピーカ装置
WO2015096526A1 (zh) 悬挂式弹力膜片
KR101317799B1 (ko) 스피커 시스템
KR101273734B1 (ko) 댐퍼리스 스피커
CN206611570U (zh) 喇叭单体及设置有该喇叭单体的耳机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JP3192587U (ja) マルチボイスコイル同軸同音源スピーカ
JP3193184U (ja) 同軸同音源スピーカ構造
KR101257634B1 (ko) 스피커 시스템
JP5825522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086950B1 (ko) 스피커 시스템
KR101267751B1 (ko) 평면 스피커
KR101413965B1 (ko) 시스템 스피커
KR20110085102A (ko) 스피커
JP3193934U (ja) 偏心軸同音源スピーカ
KR101394905B1 (ko) 시스템 스피커
CN207692023U (zh) 一种低音音箱
KR101173392B1 (ko) 스피커
KR102048000B1 (ko) 중저음 발생용 음향발생부를 구비한 패널 가진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