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042A -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 - Google Patents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042A
KR20130112042A KR1020137014562A KR20137014562A KR20130112042A KR 20130112042 A KR20130112042 A KR 20130112042A KR 1020137014562 A KR1020137014562 A KR 1020137014562A KR 20137014562 A KR20137014562 A KR 20137014562A KR 20130112042 A KR20130112042 A KR 2013011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ansmitter power
power backoff
indication
back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150B1 (ko
Inventor
사미르 베르마니
라훌 탄드라
산토시 폴 아브라함
헤만스 삼파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1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TVWS (television white space)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제어를 이용하는 기술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시적인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시징을 이용하여 TVWS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IEEE 802.11af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이고 2010년 11월 8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61/411,354 의 이익을 주장하며, 여기서는 이를 참조로서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자세하게는 TVWS (television white space)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제어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유저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OFDMA (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및 SC-FDMA (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요구되는 대역폭 요건들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white-fi" 라 알려진 일 방식은 텔레비전 (TV) 대역 (즉, TV 화이트 스페이스) 에서 미사용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Wi-Fi 기술을 확장하는 것을 수반한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f 테스크 그룹은 TVWS (TV white space) 을 이용하기 위한 IEEE 802.11 표준에 대한 보정안을 정의하도록 설립되었다. IEEE 802.11 는 단거리 통신 (예를 들어, 수십 미터 내지 수백 미터) 을 위하여 IEEE 802.11 협의회에 의해 개발된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의 세트를 지칭한다. 그러나, 1 GHz 미만 주파수들을 가진 TVWS 를 이용함으로써, IEEE 802.11af 는 TV 스펙트럼에서의 미사용 주파수들에 의해 제공되는 증가된 대역폭 뿐만 아니라 보다 큰 전파 거리가 실현되는 것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TVWS (television white space) 디바이스들에 대한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으로서,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 및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 2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 및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 및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상기 열거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상기 간략하게 요약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일부가 첨부 도면들에 예시되는 양태들을 참조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물의 소정의 통상의 양태들만을 예시하며,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며, 설명을 위해, 다른 등가의 효과적인 양태들을 인정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2 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및 유저 단말기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라,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AP) 또는 스테이션 (STA) 의 관점에서부터 전력 제어를 이용한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 3a 는 도 3 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수단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전력 제어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른 2개의 무선 엔티티들 사이의 전력 제어 프레임들의 예시적인 교환을 나타낸다.
도 6 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라, HT 제어 필드 내에 포함되거나 HT 제어 필드를 뒤따르는 도 4 의 전력 제어 프레임을 갖는 예시적인 HT (High Throughput) 제어 필드를 나타낸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물 전반에 걸쳐 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들 양태들은, 본 개시물이 철저하고 완전하며, 본 개시물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원의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물의 임의의 다른 양태에 관계없이 구현되든 또는 본 개시물의 임의의 다른 양태와 결합되든 간에, 본 개시물의 범위가 본원에 개시된 개시물의 임의의 양태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전술된 임의의 수의 양태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범위는 본원에 전술된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더하여 또는 이 다양한 양태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와 기능성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개시된 개시물의 임의의 양태는 특허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단어 "예시적인" 은 본원에서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에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양태가 반드시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또는 이로운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특정 양태들이 본원에 설명되지만, 이들 양태들의 많은 변화들 및 치환들이 본 개시물의 범위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양태들의 일부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물의 범위는 특정 이익들, 사용들 또는 목적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물의 양태들은 일부가 다음에 오는 바람직한 양태들의 설명에서 및 도면들에서 일 예로 예시되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한 것으로 의도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하는 것보다는 본 개시물을 단지 예시할 뿐이며, 본 개시물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항들 및 이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일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스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여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 (S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직교 FDMA (OFDMA), 단일-캐리어 FDMA (SC-FDMA) 등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다수의 유저 단말기들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TDMA 시스템은 송신 신호를 상이한 타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유저 단말기들이 동일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타임 슬롯들은 상이한 유저 단말기에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을 이용한다. 이 부반송파들은 또한 톤 (tone), 빈 (bin)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OFDM 에서, 각각의 부반송파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로 변조될 수도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부반송파들을 통하여 송신하는 인터리브된 FDMA (IFDMA), 인접하는 부반송파들의 블록을 송신하는 국부화된 FDMA (LFDMA), 또는 인접하는 부반송파들의 다수의 블록들을 송신하는 인핸스드 FDMA (EFDMA) 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 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A 에 의해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본원의 교시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 (예를 들어, 노드들) 에 통합 (예를 들어, 이들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수행) 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본원의 교시에 따라 구현된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AP") 는 Node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eNB (evolved Node B), 기지국 제어기 ("BSC"), 기지국 트랜시버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기지국 ("BS"), 트랜시버 기능부 (Transceiver Function; "TF"), 무선 라우터,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 (Basic Service Set; "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 (Extended Service Set; "ESS"), 무선 기지국 ("RBS")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것으로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 ("AT") 는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기, 유저 단말기, 유저 에이전트, 유저 디바이스, 유저 장비, 유저국 (user station),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것으로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 코드리스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 ("STA"), 테블릿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일부 다른 적합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에 교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폰 (예를 들어, 셀룰러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 (예를 들어, 랩톱),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태블릿,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예를 들어, 뮤직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셀룰라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 에 대한 또는 이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은 액세스 포인트들과 유저 단말기들을 갖는 다중 액세스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시스템 (100) 을 나타낸다. 간략화를 위하여, 단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110) 만이 도 1 에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유저 단말기들과 통신하고 또한 기지국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는 고정국이다. 유저 단말기는 고정될 수도 또는 이동성일 수도 있으며, 이동국, 무선 디바이스,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10) 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기들 (12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즉, 포워드 링크) 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유저 단말기들로의 통신 링크이며, 업링크 (즉, 역방향 링크) 는 유저 단말기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 링크이다. 유저 단말기는 또한 다른 유저 단말기와 피어 투 피어 통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기 (130) 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커플링하여 액세트 포인트들에 대한 코디네이션 및 제어를 제공한다.
다음 개시물의 부분들이 특정 양태들에 대해 SDMA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를 통하여 통신가능한 유저 단말기들 (120) 을 기술하고 있지만, 유저 단말기들 (120) 은 또한 SDMA 를 지원하지 않는 몇몇 유저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태들에 대하여, AP (110) 는 SDMA 유저 단말기 및 비-SDMA 유저 단말기 양쪽 모두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편리하게, 보다 구형의 버전들의 유저 단말기들 ("레가시" 스테이션들) 이 사업적으로 배치되어 이들의 유용한 수명이 연장되게끔 허용하면서, 보다 신규한 SDMA 유저 단말기들이 적절하게 의도한 대로 유저 단말기들에 도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시스템 (100) 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다중 송신 다중 수신 안테나들을 채용한다. 액세스 포인트 (110) 에는 Nap 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다중 입력 (MI)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다중 출력 (MO) 을 나타낸다. K 개의 선택된 유저 단말기들 (120) 의 세트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다중 출력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다중 입력을 총괄적으로 나타낸다. 순수 SDMA 에 대해, K 개의 유저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몇몇 수단에 의해 코드, 주파수 또는 시간에서 멀티플렉싱되지 않으면, Nap ≥K≥1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TDMA 기술들, CDMA 에 의한 상이한 코드 채널들, OFDM 에 의한 서브대역들의 디스조인트 세트 등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경우, K 가 Nap 보다 클 수도 있다. 각각의 선택된 유저 단말기는 유저 특정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고/하거나 유저 특정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선택된 유저 단말기에는 하나 이상의 다중 안테나들 (즉, Nut≥1) 이 설치될 수도 있다. K 개의 선택된 유저 단말기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또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일 수도 있다. TDD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FDD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한다. MIMO 시스템 (100) 은 또한 송신을 위하여 단일 반송파 또는 다중 반송파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는 단일 안테나 (예를 들어, 비용을 낮추기 위함) 가 설치될 수도 있거나 다중 안테나 (예를 들어, 추가 비용이 지원될 수 있는 경우) 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또한, 송신/수신을 상이한 타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유저 단말기들 (120) 이 동일 주파수 채널을 공유한다면 TDMA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타임 슬롯은 상이한 유저 단말기 (120) 에 할당된다.
도 2 는 MIMO 시스템 (100) 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110) 와 2 개의 유저 단말기들 (120m 및 120x) 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액세스 포인트 (110) 에는 Nt 개의 안테나들 (224a 내지 224t) 이 설치되어 있다. 유저 단말기 (120m) 에는 Nut,m 개의 안테나들 (252ma 내지 252mu) 이 설치되어 있고, 유저 단말기 (120x) 에는 Nut,x 개의 안테나들 (252xa 내지 252xu) 이 설치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 (110) 는 다운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업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 (120) 는 업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다운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송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며, "수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다음 설명에서, 아래 첨자 "dn" 은 다운링크를 나타내며, 아래 첨자 "up" 는 업링크를 나타내며, N up 개의 유저 단말기들은 업링크를 통한 동시 송신을 위하여 선택되며, N dn 개의 유저 단말기들은 다운링크를 통한 동시 송신을 위하여 선택되며, N up N dn 와 동일할 수도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N up N dn 는 고정된 값일 수도 있거나 또는 각각의 스케쥴링 간격에 대해 변할 수 있다. 빔 스티어링 또는 몇몇 다른 공간 처리 기술이 액세스 포인트 및 유저 단말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업링크에 대해, 업링크 송신을 위하여 선택된 각각의 유저 단말기 (120) 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 (288) 는 데이터 소스 (286) 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 및 제어기 (280) 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88) 는 유저 단말기에 대해 선택된 레이트와 연관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 (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브, 및 변조) 하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 (290) 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Nut,m 개의 안테나들에 Nut,m 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 유닛 (TMTR)(254) 은 각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의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하여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Nut,m 개의 송신기 유닛들 (254) 은 Nut,m 개의 안테나들 (252) 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송신을 위해 Nut,m 개의 업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N up 개의 유저 단말기들은 업링크를 통한 동시 송신을 위하여 스케쥴링될 수도 있다. 각각의 이들 유저 단말기들은 자신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업링크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자신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의 세트를 송신한다.
액세스 포인트 (110) 에서, N ap 개의 안테나들 (224a 내지 224ap) 은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모든 N up 개의 유저 단말기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각의 안테나 (224) 는 각각의 수신기 유닛 (RCVR)(222) 에 수신 신호를 제공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 (222) 는 송신기 유닛 (254) 에 의해 수행된 처리와 상보적인 처리를 수행하고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 (240) 는 N ap 개의 수신기 유닛들 (222) 로부터의 N ap 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들에 대한 수신기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N up 개의 리커버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처리는 CCMI (channel correlation matrix inversion),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SIC (soft interference cancellation) 또는 몇몇 다른 기술들에 따라 수행된다. 각각의 리커버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추정값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242) 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그 스트림에 이용된 레이트에 따라 각각의 리커버된 업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처리 (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한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는 저정을 위하여 데이터 싱크 (244) 에 및/또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제어기 (230) 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110) 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 (210) 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스케쥴링된 N dn 개의 유저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 소스 (208) 로부터의 트래픽 데이터, 제어기 (230) 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혹은 스케쥴러 (234) 로부터의 다른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상이한 송신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10) 는 그 유저 단말기에 대하여 선택된 레이트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 (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 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10) 는 N dn 개의 유저 단말기들에 대해 N dn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 (220) 는 N dn 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에 대한 (본 개시물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리코딩 또는 빔포밍과 같은)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N ap 개의 안테나에 대해 N ap 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 유닛 (222) 은 각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N ap 개의 송신기 유닛 (222) 은 N ap 개의 안테나 (224) 로부터 유저 단말기들로의 송신을 위한 N ap 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 (120) 에서, Nut,m 개의 안테나들 (252) 은 N ap 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액세스 포인트 (110) 로부터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유닛 (254) 은 연관 안테나 (252) 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 (260) 는 Nut,m 개의 수신기 유닛 (254) 로부터 수신된 Nut,m 개의 심볼 스트림들에 대한 수신기 공간 처리를 수행하고 유저 단말기에 대해 리커버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처리는 CCMI, MMSE 또는 몇몇 다른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270) 는 유저 단말기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리커버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처리 (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한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 (120) 에서, 채널 추정기 (278) 는 다운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고 다운링크 채널 추정값을 제공하는데, 이 추정값은 채널 이득 추정값, SNR 추정값, 노이즈 변동값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채널 추정기 (228) 는 업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여 업링크 채널 추정값을 제공한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대한 제어기 (280) 는 일반적으로 그 유저 단말기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응답 매트릭스 (H dn,m ) 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를 유도한다. 제어기 (230) 는 유효 업링크 채널 응답 매트릭스 (H up,eff ) 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공간 필터 매트릭스를 유도한다. 각각의 유저 단말기에 대한 제어기 (280) 는 피드백 정보 (예를 들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고유 벡터들, 고유 값들 (eigenvalues), SNR 추정값들 등) 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기들 (230 및 280) 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유저 단말기 (120) 에서 각각 여러 처리 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TVWS 디바이스들의 예시적인 전력 제어
TVWS (television white space) 를 이용한 최근 주류는 모든 TV 대역 디바이스들 (TVBD) 이 송신 전력 제어를 통합하여, 성공적인 통신에 필요한 그들의 동작 전력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가고 있다. 전력 제어 특징 메카니즘의 기술 내용은 장치 검증서 (equipment certification) 를 제출할 때 포함되어야 한다. 성공적인 통신이 주류에서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성공적인 통신의 의미에 대한 몇몇 가설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는 낮은 스펙트럼 효율을 요구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성공적인 통신은 가장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가장 복잡한 변조 및 코딩 방식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이 경험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수반할 수도 있다.
도 3 은 액세스 포인트 (AP), 유저 단말기, 또는 임의의 적절한 스테이션 (STA) 과 같은 제 1 장치의 관점에서부터, 전력 제어를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 (300) 을 나타낸다. 동작 (300) 은 302 에서,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시작할 수도 있다.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304 에서, 제 1 장치는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 2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에서, 동작들은 제 1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메시지는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3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장치는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결정하는 것은 (1) 제 2 장치에 대한 수신된 다른 메시지의 전력 (Preceived) 및 노이즈 플로어 (NoiseFloor) 를 결정하는 것; 및 (2)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 (Bnew) 를 Bnew = Preceived - (NoiseFloor + SNRtarget) + Bcurrent (여기에서, SNRtarget 은 무선 통신에 대한 타겟 신호 대 잡음 비이고, Bcurrent 는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임) 로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을 나타낸다.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은 현재 백오프 필드 (402) 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현재 백오프 필드는 현재 송신기 전력 백오프 (Bcurrent) 를 나타낼 수도 있다. Bcurrent 는 예를 들어, 하나의 옥텟 (즉, 8 개의 비트들) 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현재 백오프 필드 (402) 에 이어서,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은 제안된 백오프 필드 (404) 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제안된 백오프 필드는 송신물을 수신하도록 의도된 수신기에 대해 제안된 전력 백오프 (Bsuggested) 를 나타낼 수도 있다. Bsuggested 도 또한 예를 들어 하나의 옥텟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은 STA1 및 STA2 과 같은 두개의 스테이션들 사이에 송신되는 매 패킷마다 존재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두개의 무선 엔티티들 (502, 504; STA1 및 STA2 라 라벨링함) 사이의 전력 제어 프레임들의 예시적인 교환 (500) 을 나타낸다. 두개의 무선 엔티티들은 특정 양태들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110) 와 유저 단말기 (120) 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양태들에서는 피어 투 피어 방식으로 통신하는 두개의 유저 단말기들 (1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STA1 는 현재 백오프 필드 (4021) 에서 STA1 에 대한 현재 송신기 전력 백오프 (Bcurrent) 의 표시 및 제안된 백오프 필드 (4041) 에서 STA2 에 대한 제안된 전력 백오프 (Bsuggested) 의 표시를 갖는 전력 제어 프레임 (4001) 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 쌍의 STA들 사이의 특정 통신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은 전력 백오프가 이 교환 (제 1 교환) 동안에 각각 이용되지도 제안되지도 않음을 나타내는 Bcurrent = 0 및 Bsuggested = 0 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제 1 통신은 STA1 와 STA2 사이에서의 RTS (request-to-send)/CTS (clear-to-send) 프레임 교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프레임 (4001) 을 수신시, STA2 는 특정 목표 신호 대 잡음 비 (SNRtarget) 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력 백오프 (Bnew) 를 컴퓨팅할 수도 있다. STA1 로부터의 패킷 (예를 들어, RTS 메시지) 의 송신된 전력 (Preceived) 및 현재 백오프 (Bcurrent) 에 기초하여, 다음 식에 따라 새로운 전력 백오프 (Bnew) 가 결정될 수도 있다.
Bnew = Preceived - (NoiseFloor + SNRtarget) + Bcurrent 식 (1)
여기서 NoiseFloor 는 데시벨 (dB) 단위의 서멀 노이즈의 측정값이고 SNRtarget 는 (모든 STA들에 대해 동일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가장 복잡한 변조 및 코딩 방식 (MSC) 을 경험하는 것을 허용한다.
Bnew 를 결정한 후, STA2 는 Bnew 를 전력 제어 프레임 (4002) 을 통하여 패킷으로 STA1 에 통신하는데, Bnew 는 Pmax - Bsuggested 과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전력 제어 프레임 (4002) 은 현재 백오프 필드 (4022) 에서의 Bsuggested 의 표시 및 제안된 백오프 필드 (4042) 에서의 Bnew 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Pmax 에서, STA2 로부터 수신된 제안된 백오프 필드 (4042) 에서의 값 (= STA2 로부터 가장 늦게 수신된 Bnew) 를 뺀 값과 동일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STA1 로부터 STA2 로의 후속하는 패킷들은 송신할 수도 있어, 현재 백오프 필드 (4021) 가 이 현재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표시 (STA1 의 Bcurrent = STA2 로부터 수신된 Bnew) 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를 위한 프레임 포맷에서는, 특히 TV 화이트 스페이스 네트워크들에 레가시 디바이스가 현재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의 오더 비트 (order bit) 가 전력 제어에 재이용될 수도 있다. 도 6 은 두개의 상이한 옵션으로서 HT 제어 필드에 포함되거나 또는 HT 제어 필드를 뒤따르는 도 4 의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을 가진 예시적인 HT (High Throughput) 제어 필드 (600) 를 나타낸다. 제 1 옵션에서는, 오더 비트가 1 과 동일하게 (또는 다른 양태에서는 0 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HT 제어 필드 (600) 에서의 예약 비트가 이용될 수도 있는데, 예약 비트는 1 로 (또는 다른 경우에 0 으로) 설정될 경우에, HT 제어 필드 (600) 를 뒤따르는 두개의 후속 바이트들이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첫번째 옵션에서,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은 4-바이트 HT 제어 필드 (600) 의 일부는 아니지만 HT 제어 필드를 바로 뒤따라서 간단히 송신된다.
두번째 옵션에서는, HT 제어 필드 (600) 의 크기가 증가되어 (즉, 2 추가 바이트를 추가함으로써), 전력 제어 프레임 (400) 을 HT 제어 필드 내에 통합시킬 수도 있다. 그 후, HT 제어 필드에서 오더 비트를 1 (또는 다른 양태들에서는 0) 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IEEE 802.11n HT 제어 필드에 2 추가 바이트가 추가된 6-바이트 IEEE 802.11af 제어 필드의 존재를 나타낸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의 여러 동작들은 대응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수단은 여러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작들이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 동작은 대응하는 카운터파트 수단에 기능 컴포넌트들을 더하는 것을 유사한 넘버링으로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동작 (300) 은 도 3a 의 수단 (300A) 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송신 수단은 도 2 에 나타낸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송신 유닛 (222) 또는 도 2 에 묘사된 유저 단말기 (120) 의 송신기 유닛 (254) 과 같은 송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수단은 도 2 에 묘사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수신기 유닛 (222) 또는 유저 단말기 (120) 의 수신기 유닛 (254) 과 같은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 수단, 결정 수단, 또는 생성 수단은 도 2 에 나타낸, 유저 단말기 (120) 의 RX 데이터 프로세서 (270), TX 데이터 프로세서 (288) 및/또는 제어기 (280), 또는 액세스 포인트 (110) 의 RX 데이터 프로세서 (242), TX 데이터 프로세서 (210) 및/또는 제어기 (230) 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결정 (determining)" 은 매우 광범위한 액션들을 망라한다. 예를 들어, "결정"은 계산 (calculating), 컴퓨팅 (computing), 처리 (processing), 유도 (deriving), 검사 (investigating), 룩업 (looking up) (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 내에서의 룩업 동작), 확인 (ascertainin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 (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평가 (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평가하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resolving), 선택 (selecting), 선정 (choosing), 확립 (establishin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한다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아이템들의 모든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물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써 구현되거나 실시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인 예에서는 이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물과 연계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용될 수도 있는 저장 미디어의 몇 가지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 전용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가능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다른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그리고 다중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됨으로써,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 단계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상호교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정될 수도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면,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 내의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는 처리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한 조건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개수의 상호 접속하는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판독가능 매체,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과 함께 링크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무엇보다도 네트워크 어댑터를 버스를 통하여 처리 시스템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들의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120) (도 1 참조) 의 경우에서는, 사용자 페어링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 도 또한 버스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버스는 타이밍 소스들, 주변 회로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 당업계에 주지된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시킬 수도 있으며, 따라서 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서는, 머신-판독가능 미디어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여, 버스 및 범용 처리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용도 프로세서들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예들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부가 포함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는지 간에,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머신-판독가능 미디어는, 예를 들자면, RAM (Random Access), 플래시 메모리,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판독가능 미디어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예에서는, 머신-판독가능 미디어는 프로세서로부터 별개인 처리 시스템의 일부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머신-판독가능 미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부분은 처리 시스템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일 예로서는, 머신-판독가능 미디어는 송신 라인, 데이터에 의하여 변조된 반송파, 및/또는 무선 노드로부터 별개인 컴퓨터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들 모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액세스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는 이에 부가하여, 머신-판독가능 미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부분은 캐시 및/또는 범용 레지스터 파일들이 있는 경우에서와 같이 프로세서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처리 시스템은, 모두가 외부 버스 아키텍쳐를 통하여 다른 지원 회로부와 함께 링크되는, 프로세서 기능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머신-판독가능 미디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범용 처리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처리 시스템은 프로세서를 가지는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버스 인터페이스, (액세스 단말의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회로부, 및 단일 칩 내에 집적된 머신-판독가능 미디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또는 하나 이상의 FPGA들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LD들 (Programmable Logic Devices),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부, 또는 본 개시물 전체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한 조건들에 의존하여 처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기능성을 어떻게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머신-판독가능 미디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면 처리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 내에 상주하거나 또는 다중 저장 디바이스들을 통해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는,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 내에 로드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도중에, 프로세서는 명령들 중 일부를 캐시에 로드함으로써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하나 이상의 캐시 라인들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범용 레지스터 내에 로드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성을 참조할 때, 이러한 기능성은 해당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의 명령들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미디어 및 통신 미디어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니라 예를 들기 위해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미디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전달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물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이를테면 적외선, 라디오, 및/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때, 디스크 (disk 및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몇 가지 양태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유형의 매체)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양태들에 대해서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신호)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양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그 위에 저장된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하여 실행가능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한다. 특정 양태들에 대해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이 적용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하여 다운로드되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서버로 커플링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는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 (예를 들어, RAM, ROM, 물리적 저장 매체, 예컨대 컴팩트 디스크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 을 통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로 커플링하거나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허청구범위들이 위에서 설명된 세부적인 구성 및 구성요소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개조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24)

  1.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로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 시스템; 및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2.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 또는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TVWS (television white space) 에서 동작하는 TVBD (television band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현재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는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안된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 또는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장치로의 제 1 송신에 대해 0 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의 상기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른 메시지는,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3 표시; 및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상기 제 1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장치의 상기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다른 메시지의 전력 (Preceived)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노이즈 플로어 (NoiseFloor) 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 (Bnew) 를 Bnew = Preceived - (NoiseFloor + SNRtarget) + Bcurrent 로 계산하는 단계로서, SNRtarget 은 상기 무선 통신에 대한 목표 신호 대 잡음 비이고 Bcurrent 는 상기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인, 상기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HT (high throughput)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표시 각각은 상기 HT 제어 필드에서 1 바이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HT (high throughput) 제어 필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송신된 상기 HT 제어 필드 바로 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HT 제어 필드에서의 비트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송신된 HT 제어 필드 바로 뒤에 송신됨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로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 또는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TVWS (television white space) 에서 동작하는 TVBD (television band device)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현재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는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안된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 또는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장치로의 제 1 송신에 대해 0 인,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의 상기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다른 메시지는,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3 표시; 및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상기 제 1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장치의 상기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를 결정하는 수단은,
    수신된 상기 다른 메시지의 전력 (Preceived)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노이즈 플로어 (NoiseFloor) 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 (Bnew) 를 Bnew = Preceived - (NoiseFloor + SNRtarget) + Bcurrent 로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SNRtarget 은 상기 무선 통신에 대한 목표 신호 대 잡음 비이고 상기 Bcurrent 는 상기 제 3 송신기 전력 백오프인,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HT (high throughput) 제어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표시 각각은 상기 HT 제어 필드에서 1 바이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수단은 HT (high throughput) 제어 필드를 송신하고 송신된 상기 HT 제어 필드 바로 뒤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HT 제어 필드에서의 비트는 상기 메시지가 상기 송신된 HT 제어 필드 바로 뒤에 송신됨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장치.
  24.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제 1 장치에서,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에 대한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1 표시;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제 2 송신기 전력 백오프의 제 2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전력 백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37014562A 2010-11-08 2011-11-08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 KR101518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135410P 2010-11-08 2010-11-08
US61/411,354 2010-11-08
US13/290,864 US8831668B2 (en) 2010-11-08 2011-11-07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US13/290,864 2011-11-07
PCT/US2011/059798 WO2012064753A1 (en) 2010-11-08 2011-11-08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42A true KR20130112042A (ko) 2013-10-11
KR101518150B1 KR101518150B1 (ko) 2015-05-06

Family

ID=4602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62A KR101518150B1 (ko) 2010-11-08 2011-11-08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31668B2 (ko)
EP (1) EP2638744B1 (ko)
JP (2) JP5766812B2 (ko)
KR (1) KR101518150B1 (ko)
CN (1) CN103202073B (ko)
WO (1) WO20120647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51A1 (ko) * 2022-10-13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계수에 기반하여 백 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1668B2 (en) * 2010-11-08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US9351185B2 (en) * 2011-04-15 2016-05-24 Broadcom Corporation LTE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on TV white space bands
DE102011090110A1 (de) * 2011-12-29 2013-07-04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system mit Steuerung des Zugriffs auf ein gemeinsames Kommunikationsmedium
RU2628110C2 (ru) 2012-08-13 2017-08-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каналообразования в полосе свободного диапазона часто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го
US20160165619A1 (en) * 2014-12-04 2016-06-09 Facebook, Inc. Multi-frequency directional access point communication
US10616838B2 (en) * 2016-10-12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transmit power related information
RU2739900C1 (ru) * 2017-05-24 2020-12-29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Диспетчеризация устройст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9507B2 (en) 2003-11-21 2009-05-26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WO2006039800A1 (en) 2004-10-13 2006-04-20 Mcmaster University Operating environment analysis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827117B1 (ko) 2005-03-29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하여 기지국으로 단말의 최대 송신기 전력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9009549A2 (en) 2007-07-09 2009-0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sending small packets in a peer-to-peer (p2p) network
US8068826B2 (en) 2008-02-01 2011-11-2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and incumbent protection in a cognitive radio system
CN102047736A (zh) 2008-03-26 2011-05-04 诺基亚西门子通信公司 功率净空报告的扩展以及触发条件
US9072060B2 (en) * 2008-06-03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US9031044B2 (en) 2008-08-20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wireless LAN stations
US20100046656A1 (en) * 2008-08-20 2010-02-25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extensions
JP2010081360A (ja) * 2008-09-26 2010-04-0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565082B2 (ja) 2009-07-31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決定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583159B2 (en) 2009-10-0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ing transmit power of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341192B1 (ko) 2010-02-09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US8831668B2 (en) * 2010-11-08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51A1 (ko) * 2022-10-13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계수에 기반하여 백 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8744B1 (en) 2017-06-14
JP5766812B2 (ja) 2015-08-19
CN103202073A (zh) 2013-07-10
US20120115536A1 (en) 2012-05-10
EP2638744A1 (en) 2013-09-18
JP2015156660A (ja) 2015-08-27
JP2014502455A (ja) 2014-01-30
KR101518150B1 (ko) 2015-05-06
CN103202073B (zh) 2017-03-08
WO2012064753A1 (en) 2012-05-18
US8831668B2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1999B2 (en) Measuring distance in wireless devices
US93005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roughput of 5 MHZ WLAN transmissions
US9813994B2 (en)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KR101518150B1 (ko) Tv 화이트 스페이스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력 제어
KR102161148B1 (ko) 다중-사용자 송신들에 대한 보호
US20130044681A1 (en)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KR102111940B1 (ko) 즉각적인 응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송신 기술
US9585025B2 (en) Managing transmit power for better frequency re-use in TV white space
KR20150111968A (ko) Wifi 대역들에서 범위 및 지연 확산의 확장
CN109417821B (zh) 用于空间重利用和传输机会持续时间表示的方法和装置
JP2017510129A (ja) Phyレイヤとmacレイヤとの間のシグナリング
KR20160084424A (ko) 응답 프레임들에 대한 변조 코딩 방식 선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10191798B2 (en) Extended interframe space (EIFS) exemptions
JP2017534206A (ja) Plcpサービスデータユニット(psdu)トーン上の制御チャネル
US20170155536A1 (en) Embedding data based on orthogonal codes
WO2017136393A2 (en) Efficient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with request-to-send (rts) frame and clear-to-send (cts) frame
WO2015069610A1 (en) Aid switch negot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