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453A -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453A
KR20130111453A KR20130034607A KR20130034607A KR20130111453A KR 20130111453 A KR20130111453 A KR 20130111453A KR 20130034607 A KR20130034607 A KR 20130034607A KR 20130034607 A KR20130034607 A KR 20130034607A KR 20130111453 A KR20130111453 A KR 2013011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ouch
input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595B1 (ko
Inventor
웬헤 지앙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1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source user)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preset gesture information)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target user)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하는 동안 기존의 정보 송신 방식을 개선하는데, 종래기술과 비교해 보면, 정보를 송신할 때 수신자 및 보내기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터치 또는 누름 동작이 필요 없으며, 대신 사전설정된 편리한 제스처를 사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하므로, 정보를 즉시 송신하는 실행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사전설정된 제스처는 입력에 편리하며, 사용자가 터치 장치 상에서 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TOUCH-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신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터치 스마트폰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신 모드는 종래의 PC(퍼스널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신 모드와 일치한다. 사용자 A와 B 간의 인스턴트 통신(instant communication)을 예를 들어 보면, 사용자 A는 스마트폰 상에서 터치함으로써 다이얼로그 응용 프로그램을 개시하고, 사용자 B를 정보 수신자로서 선택한 후, 가상의 보내기 버튼을 눌러 인스턴트 정보를 사용자 B에 송신해야 하며; 마찬가지로, 사용자 A는,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 B에 송신할 때는, 일련의 터치 동작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보내기 버튼을 눌러 단문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
기존의 터치 방식을 사용해서 정보를 송신할 때는, 종래의 정보 송신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정보 송신 방식은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고, 수신자를 선택하고, 보내기 버튼을 누르는 등의 일련의 복잡한 터치 입력 동작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정보를 즉시 송신하는 실행 과정이 좋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 장치상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편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정보를 즉시 송신하는 실행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한 관점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터치 기반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source user)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preset gesture information)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target user)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터치 기반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및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획득되고,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송신된다는 것을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하는 동안 기존의 정보 송신 방식을 개선하는데, 종래기술과 비교해 보면, 정보를 송신할 때 수신자 및 보내기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터치 또는 누름 동작이 필요 없으며, 대신 사전설정된 편리한 제스처를 사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하므로, 정보를 즉시 송신하는 실행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을 이하에 간략히 설명한다. 당연히,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하의 실시예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잘 이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 101: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source user)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으로 송신되는 정보는 인스턴트 통신 모드의 정보이거나, 또는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의 정보일 수 있다. 입력 정보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되는 정보일 수 있거나, 또는 키보드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정보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일 수 있거나, 워드 파일, 이미지 정보, 비디오 정보 등과 같이 저장되기 전의 파일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입력 방법이나 정보의 특정한 유형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종래기술에서 정보를 송신할 때,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수신자를 선택하며 보내기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일련의 복잡한 터치 입력 동작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 입력 영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에 텍스트 박스(text box)가 설정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 입력 영역 내에서,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나 기존의 파일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2: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정보 송신 모드에 대응해서 상이한 제스처를 미리 정할 수 있는데, 각 제스처는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를 나타낸다. 소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터치 궤적이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를 만족하면, 입력 정보는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 직접 송신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정보 송신 모드 및 정해진 특정한 제스처에 있어서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는 터치 단말에 있어서 기존의 정보 송신 방식을 개선하는데, 종래기술과 비교해 보면, 정보를 송신할 때 수신자 및 보내기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터치 또는 누름 동작이 필요 없으며, 대신 사전설정된 편리한 제스처를 사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하므로, 정보를 즉시 송신하는 실행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사전설정된 제스처는 입력에 편리하며, 사용자가 터치 장치 상에서 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스턴트 통신 모드를 사용할 때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201: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인스턴트 통신 모드로 진입한다.
소스 사용자는 현재의 터치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다.
단계 202: 인스턴트 통신 사용자 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인스턴트 통신 모드를 선택할 때, 소스 사용자는 자주 연락하는 사용자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끌어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명의 자주 접촉하는 사용자를 끌어와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사용자 4가 정보 입력 영역 위의 상부 영역에 아이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데, 각각 상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좌측, 하부 우측에 위치하며; 또는 자주 연락하는 사용자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한 쪽에 위에서 아래로 배열되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정보 송신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아이콘을 감출 수도 있다.
단계 203: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보 입력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부분에 텍스트 박스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입력 영역에서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04: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아이콘으로의 플리크 제스처(flick gesture)인지를 결정하며; 예이면, 단계 205를 수행하고, 아니오이면, 현재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터치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플리크 동작은 통상의 슬라이딩 동작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두 개의 포인트 A 및 B가 있다. 슬라이딩은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떨어지지 않은 채 포인트 A에서 포인트 B로 이동하는 프로세스로서 정의되고; 플리킹은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포인트 A와 포인트 B를 연결하는 라인 세그먼트 상에서 포인트 A에서 포인트 C로 이동하고(포인트 C는 포인트 A에 가까이 있다), 포인트 C와 포인트 B 간에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들어올리는 이동으로서 정의된다.
단계 205: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서 취하여 입력 정보를 타겟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사용자가 사용자 4에 입력 정보를 송신하려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보 입력이 끝난 후 그리고 손가락으로 입력 박스 내의 임의의 포인트를 누르고 유지한 후, 소스 사용자는 사용자 4의 방향으로 플리킹하고, 이에 의해 단말은 정보를 사용자 4에 자동으로 송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리크 제스처가 사용자의 아이콘으로 향하는지는, 제스처의 매핑된 궤적의 확장 선이 타겟 사용자의 아이콘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예이면, 제스처 정보가 타겟 사용자의 아이콘에 대한 플리크 제스처를 만족한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스턴트 통신 모드를 사용할 때 정보를 송신하는 다른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301: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인스턴트 통신 모드로 진입한다.
소스 사용자는 현재의 터치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다.
단계 302: 인스턴트 통신 사용자 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인스턴트 통신 모드를 선택할 때, 소스 사용자는 자주 연락하는 사용자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끌어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명의 자주 접촉하는 사용자를 끌어와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사용자 4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좌측, 하부 우측에 아이콘의 형태로 각각 디스플레이되며; 또는 자주 연락하는 사용자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한 쪽에 위에서 아래로 배열되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인터페이스를 순서대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정보 송신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아이콘을 감출 수도 있다.
단계 303: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보 입력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에 텍스트 박스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입력 영역에서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04: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인지를 결정하고; 예이면, 단계 305를 수행하고, 아니오이면, 현재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적어도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정보 입력 영역을 누른 후,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동시에 스트레칭 동작으로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일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가 송신되도록 사전설정될 수 있다.
단계 305: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서 취하여 입력 정보를 타겟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력 영역의 중앙부에 도시된 4개의 검은 포인트는 네 손가락으로 눌려진 위치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손가락이 중앙으로서 위치하고 있는 포인트를 사용해서 각 손가락이 스트레칭 동작을 (도 3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동시에 수행하면, 입력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사용자 4에 송신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사용할 때 정보를 송신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401: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진입한다.
소스 사용자는 현재의 터치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선택한 후, 소스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주소록 내의 사용자를 단문 메시지를 보낼 타겟 사용자로서 선택하거나, 타겟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수신자로서 입력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화번호 13800000001을 입력한다.
단계 402: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정보 입력 영역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진입한 후에, 기존의 정보 입력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403: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방향으로의 플리크 제스처인지를 결정하며; 예이면, 단계 404를 수행하고, 아니오이면, 현재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방향으로의 플리크 제스처는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도록 정의된다. 예를 들어, 플리크 제스처는 상부 우측 쪽으로 플리킹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한 정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단계 404: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선택된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서 취하여 타겟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사용자가 정보 입력 영역에서 편집된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려 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소스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손가락으로 정보 입력 영역 내의 임의의 포인트를 누른 다음, 상부 우측 쪽으로 플리킹하고, 이에 의해 단말은 전화번호가 13800000001인 타겟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사용할 때 정보를 송신하는 다른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501: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진입한다.
소스 사용자는 현재의 터치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제스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그룹에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선택한 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바로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502: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정보 입력 영역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진입한 후에, 기존의 정보 입력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503: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인지를 결정하고; 예이면, 단계 504를 수행하고, 아니오이면, 현재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적어도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정보 입력 영역을 누른 후,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동시에 스트레칭 동작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일 때,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가 송신되도록 사전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가 송신되지 않아도 되는데, 예를 들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된 복수의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가 송신된다.
단계 504: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서 취하여 입력 정보를 타겟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력 영역의 중앙부에 도시된 4개의 검은 포인트는 네 손가락으로 눌려진 위치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손가락이 중앙으로서 위치하고 있는 포인트를 사용해서 각 손가락이 스트레칭 동작을 (도 5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동시에 수행하면,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가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소록 내의 적어도 두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가 송신되는데, 이것은 소스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겟 사용자가 사용자의 그룹일 때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601: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그룹 및 상기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제스처 정보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한다.
인스턴트 통신 모드 또는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는 수 개의 연락처를 포함한 대응하는 연락 목록을 가진다. 연락처는 미리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척을 포함하는 그룹을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에 부가되는 연락처는 엄마, 아빠, 삼촌, 고모와 같은 친척을 포함하며; 또는 직장동료를 포함하는 그룹 또는 친구를 포함하는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각 그룹에 대응하는 제스처는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제스처는 친척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할 수 있고, 사각형의 제스처는 친구를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602: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정보 송신 모드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는 인스턴트 통신 모드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예로 사용한다.
단계 603: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정보 입력 영역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진입한 후에, 기존의 정보 입력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604: 그룹에 대응해서 정의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며; 예이면, 단계 605를 수행하고, 아니오이면, 현재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 605: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내의 각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소스 사용자가 입력 정보를 모든 친척에게 송신하려 하는 경우, 소스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한 후,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원과 같이, 정보 입력 영역에서 친척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해서 사전설정되어 있는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친척을 포함하는 그룹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해서, 본 발명은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획득 유닛(710) 및 송신 유닛(720)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7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720)은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진입 유닛(810), 획득 유닛(820), 및 송신 유닛(830)을 포함한다.
진입 유닛(810)은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정보 송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획득 유닛(82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830)은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830)은,
정보 송신 모드가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일 때,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방향 쪽으로의 플리크 제스처이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선택된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송신 실행 유닛(도 8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830)은 또한,
정보 송신 모드가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일 때, 상기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면,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송신 실행 유닛(도 8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보 송신을 위한 장치는 진입 유닛(910), 디스플레이 유닛(920), 획득 유닛(930), 및 송신 유닛(940)을 포함한다.
진입 유닛(910)은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정보 송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920)은 진입 유닛(910)이 인스턴트 통신 모드로 진입할 때, 인스턴트 통신 사용자 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획득 유닛(93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940)은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940)은,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아이콘으로의 플리크 제스처이면, 사용자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실행 서브유닛(도 9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940)은 또한,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실행 유닛(도 9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저장 유닛(1010), 진입 유닛(1020), 획득 유닛(1030), 및 송신 유닛(1040)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1010)은,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미리 생성된 그룹 및 상기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제스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입 유닛(1020)은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정보 송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획득 유닛(103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1040)은,
상기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제스처 정보가 수신될 때, 그룹 내의 각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룹 정보 송신 서브유닛(1041)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획득되고,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입력 정보는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송신된다는 것을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하는 동안 기존의 정보 송신 방식을 개선하는데, 종래기술과 비교해 보면, 정보를 송신할 때 수신자 및 보내기 버튼을 선택하는 등의 터치 또는 누름 동작이 필요 없으며, 대신 사전설정된 편리한 제스처를 사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하므로, 정보를 즉시 송신하는 실행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전설정된 제스처는 입력에 편리하며, 사용자가 터치 장치 상에서 정보를 송신할 때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은 소프트웨어 및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ROM/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퍼스널 컴퓨터, 서버, 도는 네트워크 장치가 될 수 있음)를 명령하는 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명세서에서의 각 실시예는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단순히 서로 인용된다. 각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점에 중점을 두고 설명되었다. 실제로,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장치 실시예는 간략하게 설명되었으며, 관련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중 일부를 참조하면 획득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 등가의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주 내에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source user)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preset gesture information)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target user)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정보 송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모드가 인스턴트 통신 모드일 때, 인스턴트 통신 사용자 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아이콘으로의 플리크 제스처(flick gesture)이면,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multi-point touch extension)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모드가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일 때,
    상기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방향 쪽으로의 플리크 제스처이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선택된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 모드가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일 때,
    상기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면,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기반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제스처 정보이면, 상기 그룹 내의 각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그룹 및 상기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제스처 정보는 미리 생성되어 저장되는, 터치 기반 방법.
  9.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전설정되어 있는 정보 입력 영역을 통해 소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및
    사전설정된 제스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정보 송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진입 유닛
    을 더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유닛이 인스턴트 통신 모드로 진입할 때, 인스턴트 통신 사용자 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을 더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아이콘으로의 플리크 제스처이면,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실행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실행 유닛
    을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정보 송신 모드가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일 때,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방향 쪽으로의 플리크 제스처이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선택된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송신 실행 유닛
    을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정보 송신 모드가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일 때, 상기 정보 입력 영역을 중앙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멀티 포인트 터치 확장이면, 주소록 내의 모든 사용자를 타겟 사용자로 취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4 송신 실행 유닛
    을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미리 생성된 그룹 및 상기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제스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저장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된 제스처 정보가 상기 그룹에 대응해서 정해진 상기 제스처 정보일 때 상기 그룹 내의 각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룹 정보 송신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터치 기반 장치.
KR20130034607A 2012-03-29 2013-03-29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 KR101478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087560.6A CN102662576B (zh) 2012-03-29 2012-03-29 基于触摸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CN201210087560.6 201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453A true KR20130111453A (ko) 2013-10-10
KR101478595B1 KR101478595B1 (ko) 2015-01-02

Family

ID=4677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4607A KR101478595B1 (ko) 2012-03-29 2013-03-29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63013A1 (ko)
EP (2) EP2645223A3 (ko)
KR (1) KR101478595B1 (ko)
CN (1) CN102662576B (ko)
WO (1) WO2013143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4524A (en) * 2010-10-14 2012-04-18 Powervation Ltd Pin programming a power supply controller
CN102662576B (zh) * 2012-03-29 2015-04-29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触摸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KR101922464B1 (ko) * 2012-08-16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2013443B1 (ko) 2012-09-25 2019-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2904998B (zh) * 2012-09-28 2015-04-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信息发送控制方法
KR101990074B1 (ko) * 2012-11-12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메시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024162B (zh) * 2012-12-03 2015-02-1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信息发送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3076977B (zh) * 2013-01-08 2016-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在待机状态下触发信息传输的方法及系统
CN103220424B (zh) * 2013-04-10 2016-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ITRM20130383A1 (it) * 2013-06-28 2014-12-29 Simone Giacco Metodo di elaborazione di un messaggio audio
CN103353829B (zh) * 2013-07-17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快速分享微博的方法及其触屏终端
CN103399688B (zh) * 2013-07-26 2017-03-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动态壁纸和桌面图标的交互方法和装置
CN104469712A (zh) * 2013-09-23 2015-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自动发送短消息方法、装置与终端
CN105022553A (zh) * 2014-04-30 2015-11-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及相关装置
US10228841B2 (en) * 2015-06-04 2019-03-12 Cisco Technology, Inc. Indicators for relative positions of connected devices
CN105207899A (zh) * 2015-10-21 2015-12-30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即时通讯群组会话方法及设备
CN110177041B (zh) * 2019-05-31 2022-05-03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语音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274B1 (en) * 1999-05-25 2004-11-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posi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mail
US7418663B2 (en) * 2002-12-19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Contact picker interface
KR20050104382A (ko) * 2003-02-19 2005-1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디바이스들 사이의 콘텐트 아이템들의 ad hoc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상호작용 방법들
US8046701B2 (en) * 2003-08-07 2011-10-25 Fuji Xerox Co., Ltd. Peer to peer gesture based modular presentation system
US20060253787A1 (en) * 2003-09-09 2006-11-09 Fogg Brian J Graphical messaging system
US7180501B2 (en) * 2004-03-23 2007-02-20 Fujitsu Limited Gesture based navigation of a handheld user interface
US7724242B2 (en) * 2004-08-06 2010-05-25 Touchtable, Inc. Touch driven method and apparatus to integrate and display multiple image layers forming alternate depictions of same subject matter
US7728821B2 (en) * 2004-08-06 2010-06-01 Touchtable, Inc. Touch detecting interactive display
US7890871B2 (en) * 2004-08-26 2011-02-15 Redlands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maintaining, and growing an online social network
US7761814B2 (en) * 2004-09-13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Flick gesture
US8487910B2 (en) * 2005-05-02 2013-07-16 Smart Technologies Ulc Large scale touch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same
US7685530B2 (en) * 2005-06-10 2010-03-23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20070129090A1 (en) * 2005-12-01 2007-06-07 Liang-Chern Tarn Methods of implementing an operation interface for instant messages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769144B2 (en) * 2006-07-21 2010-08-03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conversation threads having email, voicemail and chat messages
US7823073B2 (en) * 2006-07-28 2010-10-26 Microsoft Corporation Presence-based location and/or proximity awareness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890778B2 (en) * 2007-01-06 2011-02-15 Apple Inc. Power-off metho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80177771A1 (en) * 2007-01-19 2008-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location collaboration
US8407603B2 (en) * 2008-01-06 2013-03-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multiple recipients
US8650507B2 (en) * 2008-03-04 2014-02-11 Apple Inc. Selecting of text using gestures
CN101551723B (zh) * 2008-04-02 2011-03-2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相关的控制方法
JP2010015238A (ja) * 2008-07-01 2010-01-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補助情報の表示方法
WO2010009152A1 (en) * 2008-07-15 2010-01-2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ifting haptic feedback function between passive and active modes
CN101339489A (zh) * 2008-08-14 2009-01-07 炬才微电子(深圳)有限公司 人机交互方法、装置和系统
US20100107067A1 (en) * 2008-10-27 2010-04-29 Nokia Corporation Input on touch based user interfaces
US8443303B2 (en) * 2008-12-22 2013-05-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esture-based navigation
JP5568352B2 (ja) * 2009-03-30 2014-08-06 アバイア インク. グラフィカルな呼び接続表示を用いて同時進行している複数の通信セッションを管理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1593598B1 (ko) * 2009-04-03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CN101546233A (zh) * 2009-05-05 2009-09-30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触摸屏界面手势识别操作方法
KR101034136B1 (ko) * 2009-05-11 2011-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US20120327009A1 (en) * 2009-06-07 2012-12-2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US20110014929A1 (en) * 2009-07-20 2011-01-20 Convene, LLC Location specific streaming of content
KR101784466B1 (ko) * 2009-09-15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8766928B2 (en) * 2009-09-25 2014-07-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624933B2 (en) * 2009-09-25 2014-01-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a multi-section document
KR101635967B1 (ko) * 2009-09-28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휴대기기 및 상기 터치스크린 휴대기기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US8457651B2 (en) * 2009-10-02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CN102741779B (zh) * 2009-10-08 2016-08-03 萨姆万斯集团知识产权控股私人有限公司Acn131335325 共享数据的方法、系统和控制器
US9621706B2 (en) * 2009-11-18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haptic communication at a portable computing device
EP2966638B1 (en) * 2009-11-26 2018-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63297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39385B2 (en) * 2010-01-26 2013-09-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cise positioning of objects
US8499257B2 (en) * 2010-02-09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Handles interactions for human—computer interface
EP2539759A1 (en) * 2010-02-28 2013-01-02 Osterhout Group, Inc. Local advertising content on an interactive head-mounted eyepiece
US8595645B2 (en) * 2010-03-11 2013-1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rquee scrolling within a display area
CN105138270B (zh) * 2010-04-02 2018-11-06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式
US20110289455A1 (en) * 2010-05-18 2011-11-24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s And Gesture Recognition For Manipulating A User-Interface
US8457353B2 (en) * 2010-05-18 2013-06-04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s and gesture modifiers for manipulating a user-interface
WO2011151501A1 (en) * 2010-06-01 2011-12-08 Nokia Corporation A method, a device and a system for receiving user input
US9542091B2 (en) * 2010-06-04 2017-0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US8593398B2 (en) * 2010-06-25 2013-11-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8854316B2 (en) * 2010-07-16 2014-10-0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20120030567A1 (en) * 2010-07-28 2012-02-02 Victor B Michael System with contextual dashboard and dropboard features
US9075434B2 (en) * 2010-08-20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lating user motion into multiple object responses
US20120050032A1 (en) * 2010-08-25 2012-03-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cking multiple contacts on an electronic device
US9619035B2 (en) * 2011-03-04 2017-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9081810B1 (en) * 2011-04-29 2015-07-14 Google Inc. Remote device control using gesture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US8666406B2 (en) * 2011-05-12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Gesture-based commands for a group communication se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902180B2 (en) * 2011-12-16 2014-12-02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abling use of remote devices with pre-defined gestures
KR101655876B1 (ko) * 2012-01-05 2016-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기반의 대화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662576B (zh) * 2012-03-29 2015-04-29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触摸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8862104B2 (en) * 2012-06-29 2014-10-14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based management
US9529439B2 (en) * 2012-11-27 2016-12-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 device pairing and sharing via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2576A (zh) 2012-09-12
KR101478595B1 (ko) 2015-01-02
US20130263013A1 (en) 2013-10-03
WO2013143410A1 (zh) 2013-10-03
EP2851782A3 (en) 2015-05-13
EP2645223A3 (en) 2014-01-01
EP2851782A2 (en) 2015-03-25
EP2645223A2 (en) 2013-10-02
CN102662576B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595B1 (ko)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터치 기반 방법 및 장치
US9158409B2 (en) Object determining method, object display method, object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9062479B (zh) 分屏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209123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354553A1 (en) Automatically switching touch input modes
KR20160041899A (ko) 대화 병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CN104133581A (zh) 物理对象检测和触摸屏交互
CN103631510A (zh) 通过识别书写手势控制移动终端功能执行的方法及装置
KR102253453B1 (ko)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7911556B (zh) 联系人提醒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90927B (zh) 一种显示消息的方法、装置及设备
JP2010530655A (ja) 振動入力認識を有する電子装置と方法
WO2013097129A1 (zh) 联系人搜索方法、装置及其应用的移动终端
JP2016536695A (ja) 通信方法、クライアント、及び端末
US20110296347A1 (en) Text entry techniques
WO2022156668A1 (zh)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6453823B (zh) 一种快捷发送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
CN104169861A (zh) 合并联系人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
US10194289B2 (en) SMS message process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10427138A (zh) 翻译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301202A (zh) 一种即时通讯的振动信息表达方法和系统
US20140143726A1 (en) Method of choosing software button
EP311586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60210766A1 (en) Method for displaying text and graph message
EP34572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ne-handed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