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247A - 복수개의 불용성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불용성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247A
KR20130111247A KR1020127034065A KR20127034065A KR20130111247A KR 20130111247 A KR20130111247 A KR 20130111247A KR 1020127034065 A KR1020127034065 A KR 1020127034065A KR 20127034065 A KR20127034065 A KR 20127034065A KR 20130111247 A KR20130111247 A KR 2013011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everage
liquid
bodies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323B1 (ko
Inventor
이안 데니스 피스크
아이세 툴레이 마세이
Original Assignee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713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112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filed Critical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1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6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making liquid products, e.g. for making chocolate milk drinks and the products for their preparation, pastes for spreading, milk crum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23L2/395Dry compositions in a particular shape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5Rehydration or dissolving of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6Pods, i.e. closed containers made only of filter paper or simi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및 식료품의 제조에서의 개선, 특히 머신 내에서 음료 및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에 액체를 첨가하여 제조되고, 1종 이상의 음료 또는 식품 성분 및 1종 이상의 제조 보조제를 포함한다. 제조 보조제는 실질적으로 불용성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하고, 제조 보조제는 액체와 조성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소정의 효과를 갖도록 선택된다. 몸체의 직경은 0.1mm 내지 200mm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mm 범위 또는 100 내지 200mm 범위이다.

Description

복수개의 불용성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PRODUCT COMPRISING A PLURALITY INSOLUBLE MATERIAL BODIES}
본 발명은 음료 및 식료품의 제조에서의 개선, 특히 머신 내에서 음료 및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료, 예컨대 커피 및 차를 브루잉하기 위한 자동 브루잉 (brewing) 머신 (또한 온-디맨드 시스템으로 공지됨)은 통상적으로 안에서 물이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브루잉 물 저장소를 가진다. 가열된 물은 그 후 저장소로부터 브루잉 성분, 예컨대 커피 분쇄물 또는 찻잎을 함유하는 브루잉 챔버로 전달되며, 가열된 물이 통과하여 흘러 브루잉된 음료가 제조된다. 음료는 브루잉 챔버 유출구 아래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예컨대 주전자 또는 컵 안으로 흘러들어간다.
다수의 최신 가정용 음료 머신은 마시는 용기 안으로 음료의 개인 서빙을 직접 분배하고, 음료 성분의 벌크 공급으로부터 또는 음료 성분의 개별 포장물, 예컨대 팟 (pod), 패드 또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얻는다. 이러한 포장물을 사용하는 머신은 세척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음료, 예컨대 커피, 차, 핫 초콜렛 등 및 또한 식료품, 예컨대 수프, 커스타드 등의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음료는 물 중에 음료 또는 식품 성분을 브루잉, 혼합,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것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피 음료에 있어서, 안에 함유된 압착시킨 커피 분쇄물로부터 향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가압하에서 가열된 물을 강제로 포장물에 통과시킨다. 이러한 머신에서 포장물을 사용하는 것은 그의 편리성 및 제조되는 음료의 품질에 기인하여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EP-A-0904717에는 두 개의 여과지의 원반으로 만들어지고 그 둘레에 둘러 솔기로 연결된 부드럽고 유연한 팟 또는 파우치 형태인 포장물이 기재되어 있다. 팟은 고온의 물이 가압하에서 공급되고, 음료 성분으로 채워진 팟을 통과하도록 디자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부드러운 팟과 관련된 큰 문제는 그의 모양 및 디자인이, 팟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정확하게 조절하기에 이상적이지 않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EP-A-0904717의 팟에는, 팟을 음료 머신에 사용할 수 있기 전에 이를 넣을 특수하게 디자인된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는 보다 경질인 포장물, 예컨대 EP-A-1440903에 기재된 카트리지로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카트리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둘 이상의 이러한 재료의 라미네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안으로 물을 도입하기 위한 유입구, 및 음료 성분으로부터 제조되는 음료를 위한 유출구를 가진다. 카트리지는 외부 부재, 외부 부재 안에 삽입된 내부 부재 및 음료의 분출을 제조하기 위한 유출구에 유입구를 연결시키는 음료 유동 경로 내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일부 유형의 음료의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쓴 화합물 및 목적하지 않는 구성성분의 추출은 최소화하면서, 음료 성분 (예컨대, 커피)의 유익한 풍미의 추출을 최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여러 상이한 브루잉 파라미터를 최적화함으로써 달성된다. 최적 온도보다 차가운 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커피는 신맛이 나고, 이 온도보다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커피는 쓴맛이 난다는 것이 식견있는 커피 드링크에 의해 인정된다. 원두로부터의 산이 가장 먼저 용해되는 물질이므로, 온도가 너무 낮을 때 나타나는 신맛은 과소 추출로 인한 것이다. 일부 바리스타들이 주장하는 에스프레소에 있어서 최적의 온도는 92 내지 96℃이다. 커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에는 커피 원두의 로스팅 및 숙성, 분쇄물 크기, 브루잉 전 분쇄물의 압착 및 브루잉 시간이 포함된다. 최고급 품질 커피는 이러한 브루잉 공정의 주요 요소들의 균형을 맞춰 달성된다.
온-디맨드 음료 머신을 통과하는 브루잉 물 (또는 다른 액체)의 상이한 유속은 따라서 브루잉된 음료에서 특징, 특히 그의 맛의 변동을 야기할 것이다. US-B-5901635에는 브루잉 챔버 내 커피 분쇄물을 통과하는 고온수의 비교적 빠른 유속이, 보다 느린 유속으로 제조된 것보다 적은 풍미 및 카페인을 갖는 비교적 희석된 커피를 초래할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보다 빠른 유속으로 브루잉된 "레귤러" 또는 카페인-함유 커피와 비견되는 맛을 갖는 디카페인 커피 드링크를 적절하게 브루잉하기 위해 비교적 느린 속도를 사용해야 한다. 유속은 여러 변수, 예컨대 물이 저장소에 도입되는 속도, 저장소와 브루잉 챔버 사이의 도관 또는 통로의 크기 및 브루잉 챔버 위의 물 배급기 또는 샤워헤드 (showerhead)내 구멍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US-B-5901635에서는 충전 챔버와 저장소 사이에서 조정가능 밸브를 사용하여 충전 챔버에서 저장소로의 물의 유속을 조정한다.
WO-02/074661에는 고객 기호에 맞춘 브루잉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각각 상이한 부피의 성분, 예컨대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를 함유하는 2 성분 추출 챔버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완성된 브루잉된 음료의 농도는 브루잉 유체를 하나 또는 다른 챔버를 통과시키거나, 각각의 챔버를 통과하도록 유동을 분할함으로써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이한 성분이 상이한 챔버에 제공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온-디맨드 머신은 통상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변수 물 유속 및 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조 파라미터를 개질시키는 다른 방법을 찾아내어 음료 또는 식료품의 특징을 변화시키는 것, 바람직하게는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경질 카트리지보다 통과하는 물 유동을 조절하기 어려운 연질 팟을 사용하는 머신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따라서, 조성물에 액체를 첨가함으로써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음료 또는 식품 성분 및 액체와 조성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소정의 효과를 미치는 1종 이상의 제조 보조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 보조제는 실질적으로 불용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몸체의 직경은 0.1mm 내지 200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mm 또는 100 내지 200mm 범위이다.
상호작용은 여러 방법으로 개질시켜 특정 효과, 예컨대 증가된 추출, 증가된 크레마 또는 포옴, 보다 우수한 용해, 고체의 보다 우수한 분리, 증가된 수화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미리 정의된 물 유속 및 온도를 갖는 개방된 온-디맨드 머신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음료 및 식료품의 제조를 최적화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몸체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이다.
소정의 효과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액체 내 성분(들)의 움직임을 방지하거나 액체 내 성분(들)의 동요를 촉진시킨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비-부유성 (non-buoyant)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는, 복수개의 연부 및/또는 모서리를 포함한 모양 또는 구조 및/또는 몸체 내 또는 주변을 흐르는 액체의 난류를 촉진시키는 모양 또는 구조를 가진다.
몸체는, 몸체가 서로 압착되었을 때 작은 유동 경로가 그 사이에 생성되도록 하는 모양, 구조 또는 텍스처화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평활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부유성이다.
몸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거나 대안적으로 2가지 이상의 상이한 크기이다.
제조 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비-부유성 및 부유성 몸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포장물을 포함하고, 음료 또는 식료품이 제조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상기 포장물은 챔버로의 액체 첨가를 위한 유입구 및 제조된 생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포장물은 연질 팟 또는 적어도 반 경질 카트리지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조성물로 포장물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포장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이제, 오로지 예시로서, 아래와 같은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샘플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조성물의 샘플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2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여러 제조 보조제의 도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기에 적합한 유연한 팟의 형태인 포장물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데 또한 적합한, 경질 카트리지 형태의 포장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주로 브루잉 머신으로 제조된 브루잉된 음료, 예컨대 차 및 커피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액체, 예컨대 물 중에 음료 또는 식품 성분을 혼합, 용해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다수의 다른 음료 및 식료품의 제조에도 또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음료 또는 식품 조성물 (10)은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1종 이상의 성분 (11), 및 복수개의 몸체 (12a)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제조 보조제 (12)를 포함한다. 몸체 (12a)는 독립적이거나 서로에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조성물 (10)은 바람직하게는, 제조 공정이 이루어지는 챔버 (이 용어는 유연한 팟 내 에워싸인 공간을 포함함) (23)를 갖는 포장물 (15), (20) 내에 함유된다. 제조 보조제 (12)는 챔버 (23) 내에 남아있고, 음료 또는 식료품의 제조 동안 물 또는 다른 액체와 챔버 (23) 내 성분의 상호작용을 개질시키도록 설계된다. 상호 작용은 특정 효과, 예컨대 증가된 추출, 증가된 크레마 또는 포옴, 보다 우수한 용해, 고체의 보다 우수한 분리, 증가된 수화 등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방식으로 개질시킬 수 있다.
제조 보조제 (12)의 몸체 (12a)는 식품 등급 재료, 즉 음료 성분으로부터의 분해에 저항성이고, 식품/건강 및 안전 규정을 준수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재료 자체는 불침투성, 불용성, 바람직하게는 무미이고 최종 음료 제품에 풍미를 적게 부여하거나 전혀 부여하지 않는다. 몸체 (12a)의 형태는, 전체로서 불침투성은 아니지만, 즉 액체가 몸체 (12a) 내 작은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지만, 재료 자체에 의해 흡수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제조 보조제(들) (12)는 여러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의 일부 예는 아래 기재한다.
완성된 음료 또는 식료품은, 예를 들어 커피, 차, 초콜렛, 유제품-기재 음료, 수프, 디저트, 쥬스 등일 수 있다. 사용되는 성분 (11)은 미립자 고체일 수 있고, 분말화, 분쇄되거나 잎-기재일 수 있다. 성분 (11)은 불용성 또는 가용성일 수 있고, 일부는 불용성이고 일부는 가용성인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의 예에는,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 잎 차, 분말화 수프, 우유 분말, 초콜렛 분말, 풍미첨가 커피-믹스 분말, 쥬스 농축물, 허브, 향신료, 커스타드 분말, 그레이비, 제약 제제, 재수화가능 독감 치료제 등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서, 제조 보조제 (12)는 성분 (11)과 혼합되는 복수개의 작은 부유성 몸체 (12a)를 포함한다. 부유성 몸체 (12a)는 구형, 유사-구형, 타원체 또는 다른 모양일 수 있다. 부유성 몸체 (12a)의 표면은 평활할 수 있거나, 돌기부, 예컨대 이랑 또는 갈래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성 몸체 (12a)는 고체일 수 있거나, 액체가 그 속을 통과해 흐를 수 있게 하는 내부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12a)용으로 적합한 재료에는 특히, 유리,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셀룰로오스, 종자 껍질, 금속 복합물 및 재료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부유성 몸체 (12a)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거나, 이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몸체 (12a)의 최적 크기 및 분포는 성분 (11)의 성질 및 제조할 생성물의 목적하는 특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부유성 몸체 (12a)의 직경의 적합한 범위는 0.1mm 내지 200m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00mm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적용에서, 직경은 100 내지 200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부유성 몸체 (12a) 대 성분의 부피비는 1 내지 2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액체가 챔버 (23)로 들어가서 성분 (11)과 혼합되면, 부유성 몸체 (12a)는 액체 중에 부유하고, 액체의 난류와 함께 움직인다. 그 결과 이는 성분 (11)에 영향을 주어 그의 물리적 교반을 야기하고 이는 물질 전달 및 성분 (11)로부터의 가용성 고체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서, 보조제 (12)는 복수개의 작은 비-부유성 몸체 (12b)를 포함한다. 비-부유성 몸체 (12b)는 마찬가지로 구형, 또는 또 다른 모양일 수 있고, 상기한 바와 유사한 크기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비-부유성 몸체 (12b)에 있어서 적합한 재료에는, 특히 유리,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커피 공정 스트림 (예, 추출되어 소비된 분쇄물의 압착된 펠릿), 메타 복합물 및 재료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비-부유성 몸체 (12b)의 효과는 성분 (11)에 영향을 주어 조밀한 베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 결과, 챔버 (23) 안으로의 액체의 유입은 이러한 압착 베드를 실질적으로 어지럽히지 않고, 비-부유성 몸체 (12b)는 제조 공정의 초기 단계 동안 초기 교반을 방지한다. 이는 또한, 추출 동안 추가적 혼합을 방지 또는 감소시킨다. 이는 브루잉 되는 음료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서, 조성물 (10)은 부유성 몸체 (12a) 및 비-부유성 몸체 (12b)의 혼합물인 두 제조 보조제 (12)를 포함한다. 비-부유성 몸체 (12b)는 챔버 (23)의 하부에 조밀한 압착 베드를 생성하고, 이는 배압을 생성하며, 부유성 몸체 (12a)는 조밀하지 않은 성분 재료에 영향을 주어 그로부터 가용성 고체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이는 특히 2 성분, 예컨대 커피 및 크리머 또는 설탕, 또는 차 및 크리머 또는 설탕을 갖는 제품에 있어서 특히 적합할 것이다. 커피 분쇄물 또는 찻잎은 비-부유성 몸체 (12b)에 의해 압착되어 유지되는 반면, 크리머 또는 설탕에는 부유성 몸체 (12a)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에서, 제조 보조제 (12)는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공동 및 작은 유동 경로를 포함하거나 생성하는 복수개의 난류 촉진 몸체 (12c)를 포함한다. 공동 및 작은 유동 경로는, 액체가 몸체 (12c) 내 및 주변을 통과함으로써 액체 내에 부가적인 난류를 생성하며, 이는 높은 압력 및 낮은 압력을 갖는 영역을 생성하여 혼합물을 공기와 섞고 성분 (11)으로부터의 수율을 증가시킨다. 이는 성분 (11)으로부터의 아로마 추출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일부 경우, 최종 생성물 중 포옴 또는 크레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러 다양한 모양이 이러한 난류 촉진 몸체 (12c)에 있어서 적합하지만, 연부 또는 모서리를 갖는 모양 또는 텍스처화 표면을 갖는 모양이 특히 유용하다. 모양 또는 표면 텍스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몸체 (12c)와 조합으로 공동 및 마이크로-채널을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실제 도면에는 보이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난류 촉진 몸체 (12c) 자체에 내부 또는 외부 공동 또는 채널이 도입될 수 있다. 상호연결 모양이 또한 매우 적합하다. 난류 촉진 몸체 (12c)에 있어서 일부 적합한 모양이 도 3에 보여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유연한 팟 (15)이 도 4에 예시되어 있고, EP-A-0904717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팟 (15)은 여과지로 만들어지는 원형 상부 시트 (16) 및 원형 하부 시트 (17) 또는 유사한 여과지를 포함한다. 시트 (16, (17)는 고리형 솔기 (18)를 따라 그의 둘레에 둘러 부착되어 조성물 (10)을 에워싼다.
사용시 팟 (15)은 머신 내에 직접 놓거나 지지 용기 컨테이너 내에 놓는다. 고온수 (또는 다른 액체)가 팟 (15)을 상부 시트 (16)를 통해 관통하도록 가압하에 공급되어 조성물 (10)과 혼합된다. 완성된 음료 또는 식료품은 하부 시트 (17)를 통과하고, 용기, 예컨대 컵 또는 보울 안으로 배출되기 위해 (주로 지지 컨테이너 내의) 홈에 의해 유출구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식품 또는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에 또한 적합한 경질 유형의 카트리지 (20)는 도 5에 예시되어 있고, EP-A-1440903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카트리지 (20)는 일반적으로 케이싱 (21) 및 밀봉 수단 (22)을 포함한다. 케이싱 (21)은 조성물 (10)을 함유하는 챔버 (2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챔버 (23)는 유입구 (24), 유출구 (25)를 가지고, 유입구 (24)를 유출구 (25)에 연결하는 유체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유입구 (24) 및 유출구 (25)는 밀봉 수단 (22)으로 초기에 밀봉되어 있고, 사용시 밀봉 수단 (22)의 피어싱 또는 커팅에 의해 개봉된다.
사용시 물 (또는 다른 액체)은 가압하에서 카트리지 (20)로 들어가고 유입구 (24)를 통해 챔버 (23)로 흘러 들어간다. 물은 챔버 (23) 안으로 흘러들어가 그 안에 함유된 조성물 (10)과 혼합된다. 완성된 음료 또는 식료품은 유출구 (25)로 보내지고, 여기서 이는 머신에 의해 용기, 예컨대 컵 또는 보울로 배출되도록 유도된다.
하기 내용은, 본 발명의 제조 보조제 (12)의 효과를 예시한다.
야콥 크뢰눙 (Jacobs Kroneung)의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를 성분 (11)로서 사용하기 위해 400 내지 500㎛의 평균 입자 크기로 분쇄한다. 세 세트의 연질 팟 (15)을 표준 여과지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EP-A-0904717에 기재된 것과 같은 표준 팟 추출 머신을 사용하여 세 세트의 팟 (15)으로부터 커피 음료를 제조했다. 생성된 음료의 아로마 프로파일, 포옴 높이 및 브루잉 수율을 평가했다.
제1 세트의 팟 (15)을 충전 중량 5.2g의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로 충전했다. 제2 세트의 팟 (15)을 충전 중량 7.2g의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로 충전했다. 제3 세트의 팟 (15)을, 5.9g의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 및 10mm 직경의 고도 텍스처화 (이랑이 있는) 타원형 폴리프로필렌 비드 형태로 복수개의 비-부유성 몸체 (12b)를 포함하는 1.3g의 제조 보조제 (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충전했다.
평가 1: 크레마 / 포옴 최적화
포옴 높이를 10초의 브루잉 동안 표준 투명 실험실 비이커 (85mm의 내부 직경을 가짐) 내에서 측정했고, 결과를 하기 표 및 막대 차트에 나타내었다. 제조 보조제 (12)를 함유하는 팟 내 포옴 높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터키스 (Tukeys)를 이용한 아노바 (ANOVA), n=6, P<0.05)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 재료 성분의 총 중량이 감소했을 때 보통 관찰되는 감소와는 완전히 대조적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평가 2: 아로마 최적화
제1 세트의 팟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 중량 7.2g의 로스팅하고 분쇄한 커피를 사용하여 제조했고, 제2 세트의 팟은 비-부유성 10mm 직경 텍스처화 표면 유리 비드 형태로 2g의 제조 보조제 (12)를 첨가하여 제조했다. 브루잉 시, 주요 아로마 화합물은, 두 팟에서 표준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GC-MS로 측정했다. 하기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보조제 (12)를 함유하는 팟으로부터 방출된 아로마 화합물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터키스를 이용한 아노바, n=4, P<0.05) 증가되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Claims (18)

1종 이상의 음료 또는 식품 성분, 및 액체와 조성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소정의 효과를 갖는 1종 이상의 제조 보조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 보조제는 실질적으로 불용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포함하며, 몸체의 직경은 0.1mm 내지 200mm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mm 범위 또는 100 내지 200mm 범위인, 조성물에 액체를 첨가하여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몸체를 형성하는 재료가 실질적으로 불침투성인 조성물.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효과가 액체 내 성분(들)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인 조성물.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효과가 액체 내 성분(들)의 교반을 촉진하는 것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비-부유성 (non-buoyant)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복수개의 연부 및/또는 모서리를 포함하는 모양 또는 구조를 갖는 것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몸체 내 또는 주변에서 흐르는 액체의 난류를 촉진시키는 모양 또는 구조를 갖는 것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몸체가 서로 압착되었을 때 그 사이에 작은 유동 경로가 생성되도록 하는 모양, 구조 또는 텍스처화 표면을 갖는 것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평활한 표면을 갖는 것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부유성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것인 조성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가 둘 이상의 상이한 크기의 것인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제조 보조제가 비-부유성 및 부유성 몸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챔버로의 액체 첨가를 위한 유입구 및 제조된 생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음료 또는 식료품이 제조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포장물.
제14항에 있어서, 연질 팟(pod) 또는 적어도 반 경질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포장물.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포장물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포장물을 제조하는 방법.
액체를 챔버의 유입구를 통해 통과시켜 음료 또는 식료품을 유출구 밖으로 그리고 용기 안으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포장물로부터의 작동 사이클 동안 음료 또는 식료품을 분배하는 방법.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포장물 및 포장물을 수령하도록 그리고 액체를 첨가하여 그로부터 음료 또는 식료품을 분배하도록 적합화된 음료 또는 식품 분배 머신을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품 분배 시스템.
KR1020127034065A 2010-06-01 2011-05-26 복수개의 불용성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KR101948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09179.1 2010-06-01
GB1009179.1A GB2480828B (en) 2010-06-01 2010-06-01 Improvements in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food products
PCT/US2011/038131 WO2011153064A1 (en) 2010-06-01 2011-05-26 Composition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product comprising a plurality insoluble material bod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247A true KR20130111247A (ko) 2013-10-10
KR101948323B1 KR101948323B1 (ko) 2019-02-14

Family

ID=4237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065A KR101948323B1 (ko) 2010-06-01 2011-05-26 복수개의 불용성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9592952B2 (ko)
EP (1) EP2575489B1 (ko)
JP (2) JP2013534414A (ko)
KR (1) KR101948323B1 (ko)
CN (1) CN103025172B (ko)
BR (1) BR112012030465A2 (ko)
CA (1) CA2801033A1 (ko)
ES (1) ES2480990T3 (ko)
GB (1) GB2480828B (ko)
HK (1) HK1177667A1 (ko)
RU (1) RU2585230C2 (ko)
WO (1) WO20111530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670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0301B1 (en) 2009-06-17 2013-10-30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System, method and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US9637415B2 (en) 2013-10-24 2017-05-02 Surmet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high purity polycrystalline aluminum oxynitride bodies useful in semiconductor process chambers
US11724873B2 (en) 2016-08-03 2023-08-15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containing pellets
US11330931B2 (en) 2016-09-29 2022-05-17 Levo Oil Infu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and dispensing oils, and drying and heating infusing materials
US20190142209A1 (en) 2017-11-16 2019-05-16 LEVO Oil Infus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oils
GB2587321B (en) * 2019-08-15 2023-06-07 Douwe Egberts Bv Beverage ingredient container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06603B (en) * 1977-11-01 1982-02-24 Gen Foods Ltd Coffee product and process
CA2090169A1 (en) 1992-03-12 1993-09-13 Jerome F. Trumbetas Colloidal roasted coffee as aromatizer
CA2275929C (en) * 1996-12-24 2003-04-29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queous suspension composition and water-dispersible dry composition
US5901635A (en) 1997-07-08 1999-05-11 Signature Brands, Inc. Flow control and flow rate control mechanisms for use in brewing machines with fluidly connected chambers
NL1007171C2 (nl) 1997-09-30 1999-03-31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gebruik in een koffiemachine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houder en pouch van dat samenstel.
GB2334659A (en) * 1998-02-26 1999-09-01 Keith Spicer Limited Agglomerated beverage composition
US6488976B1 (en) * 1999-12-13 2002-12-03 Affinitea Brewing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tea with an espresso machine
GB2397492B (en) * 2003-01-24 2005-10-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030039731A1 (en) * 2001-03-16 2003-02-27 The Procter & Gamble Co. Beverage brewing devices
BRPI0406896A (pt) 2003-01-24 2006-01-03 Kraft Foods R & D Inc Cartucho, pluralidade de cartuchos, e, método de fabricar um cartucho
RU2340527C2 (ru) * 2003-01-24 2008-12-10 Крафт Фудз Р Унд Д, Инк. Картридж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IL154766A (en) 2003-03-05 2007-02-11 David Nini Particles for use in delivering a distinct and enhanced taste sensation to a drink
US20050048186A1 (en) * 2003-08-27 2005-03-03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Usa Infusion system for enhanced flavor beverages
US20050158426A1 (en) * 2004-01-20 2005-07-21 Ruguo Hu Beverage portioned package for preparing a foamy beverage from soluble powder
EP1784344B1 (en) 2004-08-23 2009-04-08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a drink by injecting a pressurized fluid into the capsule
US7661352B2 (en) * 2004-08-31 2010-02-16 Nestec S.A. Method and system for in-cup dispensing, mixing and foaming hot and cold beverages from liquid concentrates
GB0423531D0 (en) * 2004-10-22 2004-11-24 Kraft Foods R & D Inc Flexible pad for preparing a beverage
EP1906745B1 (en) * 2005-07-22 2011-09-14 Unilever PLC Beverage precursor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US20070051836A1 (en) 2005-09-07 2007-03-08 The Coca-Cola Company Bi-modal roller grinder
GB2437483B (en) * 2006-04-27 2010-12-08 Kraft Foods R & D Inc System pod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US8495890B2 (en) * 2007-01-22 2013-07-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oling member
GB0704095D0 (en) * 2007-03-02 2007-04-11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material
MY164116A (en) * 2008-03-10 2017-11-30 Keurig Green Mountain Inc A beverage cartridge
CA2772077C (en) * 2009-08-28 2017-12-05 Green Mountain Coffee Roasters Beverage cartridge and method for beverage formation using filter aid
WO2011087900A1 (en) * 2010-01-12 2011-07-21 Inbru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flavoring brewed bever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670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55059A (ru) 2014-07-20
EP2575489B1 (en) 2014-05-14
JP2013534414A (ja) 2013-09-05
JP2016052316A (ja) 2016-04-14
RU2585230C2 (ru) 2016-05-27
HK1177667A1 (en) 2013-08-30
GB2480828B (en) 2013-06-19
US9592952B2 (en) 2017-03-14
CN103025172A (zh) 2013-04-03
CA2801033A1 (en) 2011-12-08
BR112012030465A2 (pt) 2015-09-08
WO2011153064A1 (en) 2011-12-08
GB2480828A (en) 2011-12-07
US20170164641A1 (en) 2017-06-15
CN103025172B (zh) 2014-12-17
EP2575489A1 (en) 2013-04-10
ES2480990T3 (es) 2014-07-29
US20130122156A1 (en) 2013-05-16
KR101948323B1 (ko) 2019-02-14
GB201009179D0 (en)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1395C (en) A beverage composition
AU2006226048B2 (en)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US20170164641A1 (en) Composition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Product Comprising a Plurality of Insoluble Material Bodies
EP3152115B1 (en) Method of preparing a single-serve beverage container containing cannabis
US8900648B2 (en) Single-serve coffee pod
EP2580143B1 (en)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2014509532A (ja) 飲料物質、ポーションカプセル、および、飲料製造方法
KR20170127477A (ko) 음료 카트리지 및 방법
CA2782324C (en) Adaptor device for a machine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obtained by means of infusion of a powdery sub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