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341A -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 Google Patents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341A
KR20130110341A KR1020120032209A KR20120032209A KR20130110341A KR 20130110341 A KR20130110341 A KR 20130110341A KR 1020120032209 A KR1020120032209 A KR 1020120032209A KR 20120032209 A KR20120032209 A KR 20120032209A KR 20130110341 A KR20130110341 A KR 2013011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icrophone
mode
music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0476B1 (en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신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32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476B1/en
Application filed by 신두식 filed Critical 신두식
Priority to SG11201406152SA priority patent/SG11201406152SA/en
Priority to EP12873429.0A priority patent/EP2833645B1/en
Priority to PCT/KR2012/009489 priority patent/WO2013147384A1/en
Priority to US14/388,007 priority patent/US9654858B2/en
Priority to JP2015503090A priority patent/JP2015515206A/en
Priority to CN201280072038.9A priority patent/CN104396275B/en
Publication of KR2013011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76B1/en
Priority to HK15103014.9A priority patent/HK1202749A1/en
Priority to US15/066,687 priority patent/US9743172B2/en
Priority to US15/066,760 priority patent/US20160196834A1/en
Priority to JP2017138012A priority patent/JP20172167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PURPOSE: A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in-the-ear type microphone is provided to maintain output quality by outputting stereo sound to ears when a user calls an opponent or listens to music. CONSTITUTION: A first earphone unit (110) includes a first speaker (111) and a first microphone (112). The first earphone unit is inserted into one ear of a user. A second earphone unit (120) includes a second speaker (121) a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ear of the user. A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unit (140) transmits and receives a sound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voice signal, which is output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sound signal, which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Reference numerals] (130) Control unit; (140)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unit; (AA) External device

Description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an ear plug-in microphone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본 발명은 유무선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기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device using a whiskey insertion microphone that controls a microphone and a speaker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근래에는 컴퓨터 및 각종 모바일기기(PMP,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등)와 같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음악 또는 음성을 청취하거나 음성을 송출할 수 있는 헤드셋(headset) 내지 이어폰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various mobile devices (PMP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mart phones, etc.) are widely used and used, and headsets that allow users to listen to music or voice or transmit voices without using their hands. (headset) to earphone devices are widely used.

종래의 이어폰 장치는 모두 마이크가 외부에 노출되어있어 마이크로 외부 잡음이 유입되기 때문에 시끄러운 환경에서나 폭풍 환경에서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없었고, 발진 현상을 막기 위하여 스피커와 마이크를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 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arphone device, since the micro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micro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so it is impossible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a noisy environment or a storm environment, and to keep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t a constant distance to prevent the oscillation phenomen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자는 귓속에 삽입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를 발명하여 공개한바 있다. 국내등록번호 10-1092957호에서 발명자는 한쪽 귀에 마이크를 삽입하고 반대 귀에 스피커를 삽입하는 형태의 이어폰 장치를 공개하였고, 국내등록번호 10-1109748호에서 발명자는 소음환경에 따라 귀속에 삽입하는 마이크와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를 공개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inventor has disclosed and disclosed an earphone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inserted into the ear. In Korean Registration No. 10-1092957, the inventor disclosed an earphone device in which a microphone is inserted into one ear and a speaker is inserted into the opposite ear, and in Korean Registration No. 10-1109748, the inventor uses a microphone inserted into an ear according to a noise environment. An earphone device using a microphone installed externally is disclosed.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기본적인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영화감상, MP3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음악이나 영화를 감상하는 경우 양쪽 귀에 스테레오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이 중요한데 발명자가 제안한 종래 발명 경우 마이크가 한쪽 또는 양쪽 귀에서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에 입력되면서 스피커로 출력되어 음악 감상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ching movies and playing MP3s as well as basic calling functions. When listening to music or movies, it is important to output stereo sound to both ear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proposed by the inventor, the microphone is arranged at one or both ears, so that the user's voice is input to the microphone and outputted to the speaker, which interferes with listening to music.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insertio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여 주변 환경의 소음에 관계없이 음성 송신이 가능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to provide an earphon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voice regardless of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using an ear-insertable microphone.

둘째, 주변 소음에 관계없이 음성 송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일정한 스테레오 품질을 출력하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voice regardless of ambient noise and outputting constant stereo quality when playing music.

셋째, 통화 상태 또는 음악 재생 상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파악하여 스피커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통화모드시 에코방지를 위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device for preventing echoes in a call mode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peaker or a microphone by manually 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call state or a music playing stat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는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1 이어폰부, 제2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2 이어폰부, 외부기기와 소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제1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arphone part including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and inserted into a user's ear, a second earphone part including a second speaker and inserted into a user's ear, A sig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ar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and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는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1 이어폰부, 제2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2 이어폰부, 외부기기와 소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연결부 및 제1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유선연결부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유선연결부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insertabl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and a second earphone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a second speaker inserted into a user's ear. 2 The earphone unit, a wired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and the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the first speak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o the second speaker.

제어부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음악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제어부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고, 제1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도록 하고, 음악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고, 제1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지 않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does not output sound from the first speaker when the call mode is set, and controls the sound to be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when the music mode is set, or the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sound from the first speaker when the call mode is set. The voice is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and when the music mode is set,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and the voice is not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이어폰 장치에 배치된 통화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는 이어폰 장치가 통화모드로 작동되도록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arrang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arphone device,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is not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so that the earphone device is operated in the call mode.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설정은 '사용자의 음성 인식',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헤드셋에 배치된 동작센서'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중 하나 이상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voice recognition of the user', 'motion sensor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headset', o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설정은 사용자가 제어부를 통해 사전에 설정하거나, 제어부가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unit, or may be automatically set by analyz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제어부가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사람의 음성만을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되면 통화모드로 설정하고, 제1 스피커또는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음악을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되면 음악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controller analyzes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to set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includes only human voice. Set to the mode, i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is analyzed to include music,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to the music mode.

외부기기가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설정은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상태신호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설정하고,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재생신호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음악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the external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is automatically set to a call mode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 call status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utomatically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 music playback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in the music mode.

외부기기가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설정은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receives and sets a control signal of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는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음성을 잡음없이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대방과 통화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음악 등을 수신하여 듣는 경우에도 양쪽 귀로 스테레오 사운드를 출력하여 출력 품질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canal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voice without noise even in a noisy environment. In addition, even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as well as receiving and listening to music, etc.,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output quality by outputting stereo sound to both ear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어폰 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but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Before describing the drawings in detail,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nstituent par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by main functions of each constituent part.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funct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nstituent units themselves, and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functionally interpreted, and for this reas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insertable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lear that it may be different from FIGS. 1 to 3 to the extent that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는 음성이나 음악을 듣는 스피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형태의 이어폰 장치이다. 즉,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이어폰 장치를 통해 음악을 듣거나 전화통화가 가능한 장치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가 이동통신단말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일정한 소리(음악 등)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음성을 송신할 수 있는 모든 기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콘서트 현장에서 사용하는 헤드셋(headset) 형태의 마이크 장치, 건설 현장 또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음성 송수신기 등에도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의 용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본 발명에 다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는 다양한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insertabl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phon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counterpart using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user's voice as well as a speaker for listening to voice or music. That is, a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music or making a phone call through an earphone device by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by wire or wirelessly. However,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insertio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onl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a certain sound (such as music) or may be used with any device for which the user can transmit a vo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in a headset-type microphone device used at a concert site, a voice transceiver used for construction sites, or military purposes. The use of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In other words,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devic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귓속에 삽입하는 형태의 이어폰은 시장에 다양한 형태가 출시되어 있다. 일체형으로 한쪽 귀에만 삽입하는 장치, 일체형으로 각각 양쪽 귀에 삽입하는 장치, 헤드셋 형태로 양쪽 귀에 밀착되는 장치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는 스테레오 사운드가 출력되는 경우에 유용하므로 양쪽 귀에 소리 신호가 전달되는 형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가 외부로 도출된 형태가 아니고 스피커와 일체로 귓속에 삽입되는 것이 특징이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earphones that are inserted into the ear.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a device for inserting into one ear only, a device for inserting into both ears in one piece, and a device for putting on both ears in the form of a headset.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insertio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when a stereo sound is output, so it is preferable to be used in a form in which a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both ears.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hone is not externally drawn out and is inserted into the ear integrally with the speaker.

또한 스피커 또는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회로와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장치(볼륨 조절, 전원 스위치, 통화버튼 스위치, 신호송수신장치 등이 배치됨)가 별도로 존재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도 2 및 도 3에 이어폰부(E1 및 E2로 표시)와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본체(B로 표시)를 유선으로 연결(굵은 곡선으로 도시)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나아가 도 1(b)에서는 본체(B)와 외부기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may be designed integrally with the control circuit, and a control device (volume control, a power switch, a call button switch,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etc.) connected to an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peaker by wire or wirelessly is disposed. ) May exist separate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scribed above.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ain body including the earphone unit (indicated by E1 and E2) and the controller 130 (indicated by B) in FIG. 1, FIG. As shown. Furthermore, Figure 1 (b)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ain body (B) and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by wire.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외부기기와의 연결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연결 경우에는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각종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술, 블루투스 통신 기술, wifi 통신 기술 또는 binary CDMA 통신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이어폰 장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 장치(100)와 외부기기 연결을 특정한 형태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insertio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possible in various forms. It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In the case of a wireless connection, various recently used near field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wifi communication technology or binary CDMA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used. Currently, the most used technology in earphone devices is Bluetooth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phone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ired or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a)는 외부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를 도시하고, 도 1(b)는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를 도시한다.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shows an earphone devic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FIG. 1 (b) shows an earphone device wired to an external device.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 장치(100)는 제1 스피커(111) 및 제1 마이크(112)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1 이어폰부(110), 제2 스피커(121)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2 이어폰부(120), 외부기기와 소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140) 및 제1 마이크(112)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신호 송수신부(14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신호 송수신부(14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소리 신호를 제1 스피커(111) 및 제2 스피커(121)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the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eaker 111 and a first microphone 112 and is inserted into an ear of a user. A second earphone unit 120 including a first earphone unit 110, a second speaker 121 and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 signal transceiver 140 and a first microphone 11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14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14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111 and the second speaker 121. The control unit 130 for outputting.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쪽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부에만 마이크가 포함된 형태의 이어폰 장치이다. 제1 이어폰부(110)에 제1 마이크(112)가 포함되며, 제1 이어폰부(110) 및 제2 이어폰부(120)에는 모두 스피커가 포함된다. 마이크는 하나이나 명확한 표현을 위하여 제1 마이크(112)로 명명한다. 제1 마이크(112)가 포함된 제1 이어폰부(110)는 사람의 양쪽 귀 중 하나에 삽입되며, 다른 쪽 귀에 제2 이어폰부(120)가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1 (a),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phone device in which a microphone is included only in an earphone part inserted into one ear. A first microphone 112 is included in the first earphone unit 110, and a speaker is included in both the first earphone unit 110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The microphone is referred to as first microphone 112 for the sake of clarity. The first earphone unit 110 including the first microphone 112 is inserted into one of both ears of the person,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ar.

제1 이어폰부(110)는 제1 스피커(111)와 제1 마이크(112)를 포함하는데, 제1 이어폰부(110)는 제1 스피커(111)와 제1 마이크(112)가 일체화되어 이어폰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삽입된다. 사용자는 귀에 삽입된 이어폰부를 통해서 말하고 듣는 구조이다. 즉, 스피커와 마이크가 귀속에 위치하여 외부 소음이 마이크로 유입되지않아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고 양손이 자유로워 업무 능률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earphone unit 110 includes a first speaker 111 and the first microphone 112, the first earphone unit 110 is the first speaker 111 and the first microphone 112 are integrated earphone It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user's ear using the device 100. The user speaks and hears through the earphone unit inserted into the ear. That is,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re located in the ear so that external noise does not flow into the microphone, so that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in a noisy environment and both hands can freely increase work efficiency.

여기서, 스피커(111, 121)는 다이너믹 스피커로 음질향상을 위해 밀폐식 자기 평형형 스피커(Balanced Armature Receiver) 및/또는 압전식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이트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마이크(112)는 잡음에 강인한 지향성 마이크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이크(112)는 사용자가 말을 할 때 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신호로서 제공받는 것이므로 지향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가 바람직한 것이다.
Here, the speakers 111 and 121 may use a sealed armature speaker and / or a piezoelectric speaker to improve sound quality as a dynamic speaker. This can reduce white noise. In addition, the first microphone 112 preferably uses a directional microphone component that is robust against noise. Since the first microphone 112 is provided with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ar as an input signal when the user speaks, a microphone having directivity is preferable.

또한, 이어폰부 외부는 바람소리가 이어폰부(110, 120)에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고, 이어폰부(110, 120)의 방수 위하여 이어폰부 외부를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earphone unit may suppress noise generated by wind noise hitting the earphone units 110 and 120, and may form the outside of the earphone unit with silicon to waterproof the earphone units 110 and 120.

신호 송수신부(140)는 외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신호 송수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음악신호 및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The signal transceiver 140 is a par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ignal transceiver 140 transmits and receives a music signal and a voice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external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제어부(130)는 이어폰부(110, 120)와 신호 송수신부(14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마이크(112)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악신호를 스피커(111, 121)로 전달하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스피커(121)로 전달하는 것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earphones 110 and 120 and the signal transceiver 140. Basically,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a voice signal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112 to an external device, transfers a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speakers 111 and 121, and receive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control the delivery to the speaker 121.

도 1(a)를 살펴보면, 제어부(130) 및 신호 송수신부(140)가 별도의 본체(B)에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폰부와 일체형으로 제어부(130) 및 신호 송수신부(14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B)가 별도로 있다고 전제하면, 본체(B)에는 스피커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장치, 이어폰 장치(100)의 출력을 on/off 할 수 있는 장치 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외부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여부를 결정하는 통화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1 (a),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is configured in a separate body (B).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and the signal transceiver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arphone unit. Assuming that the main body (B) is separat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peaker volume, a device for turning on / off the output of the earphone device 100 may be added to the main body (B). . Furthermore,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ll butt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talk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external device.

다른 실시예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는 본체(B)와 외부기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가 가능하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 (b), the earpho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form in which the main body (B) and the external device is wired.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선 이어폰 장치(100)는 제1 스피커(111) 및 제1 마이크(112)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1 이어폰부(110), 제2 스피커(121)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2 이어폰부(120), 외부기기와 소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연결부(145) 및 제1 마이크(112)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유선연결부(145)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유선연결부(145)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소리 신호를 제1 스피커(111) 및 제2 스피커(121)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b), the wired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eaker 111 and a first microphone 112 and is inserted into a user's ear. 1 earphone unit 110, including a second speaker 121,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from the wired connection unit 145 and the first microphone 11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For transmitting the output voice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145,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145 to the first speaker 111 and the second speaker 121. The controller 130 is included.

무선 이어폰 장치와 구성이 유사하나, 신호 송수신부(140)대신 유선 연결부(145)가 존재하는 것이 상이하다. 도 1(a)에 도시된 이어폰 장치(100)와 비교하면 외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이 유선 연결부로 교체된 것이고,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wireless earphone device, but the wired connection unit 145 is different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Compared with the earphone device 100 shown in FIG. 1 (a),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is replaced with a wired connection,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re the same.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 중 하나는 제어부(130)가 제1 이어폰부(110)에 포함된 제1 스피커(111) 또는 제1 마이크(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speaker 111 or the first microphone 112 included in the first earphone unit 110.

제어부(130)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스피커(111)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음악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스피커(111)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에 관계없이 제2 스피커(121)는 항상 소리가 출력된다. 제어부(130)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마이크(112)에 음성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음악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마이크(112)에 음성이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ound not to be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111 when the call mode is set, and controls the sound to be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111 when the music mode is set. The second speaker 121 always outputs sound regardless of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voice to be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112 when the call mode is set, and controls not to input the voice to the first microphone 112 when the music mode is set.

한편 제1 마이크(112)는 일반적으로 이어폰 장치의 제어와 관계없이 이동통신단말기(외부기기)에서 통화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출력이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icrophone 112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be outpu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ernal device) is not in the call mode, regardless of the control of the earphone device.

본 발명에서 통화모드 및 음성모드는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통화모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전화통화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모드이고, 음악모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음악 또는 영상을 재생하여 소리를 듣는 경우에 작동하는 모드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mode and the voice mode have the following meanings. The call mode is a mode for operating a phone call with a counterpart vi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usic mode is a mode for operating music or video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listen to a sound.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음악 또는 영화와 같은 동영상을 재생하여 듣는 경우에는 일정한 스테레오 사운드 품질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제1 이어폰부(110)에 제1 마이크(112)와 제1 스피커(111)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제어가 없다면 사용자가 음악모드에서 상대방과 통화하는 경우 제1 스피커로 출력된 음성이 제1 마이크로 입력되어 상대방과 통화시 에코(echo)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1 스피커(111) 또는 제1 마이크(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는 제1 스피커(111)를 차단하면서 제1 마이크(112)에 음성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When playing and listening to a video such as music or a movie through a mobile terminal, constant stereo sound quality is important. Since the first earphone unit 110 includes the first microphone 112 and the first speaker 111,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first speaker when the user talks to the other party in a music mode unless there is a separate control. When the voice is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an echo phenomenon may occur when talking to the other party.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speaker 111 and the first microphone 112. In the case of controlling at the same time, the first microphone 112 is blocked while the voice input is enabled.

도 2는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무선 형태의 이어폰 장치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1(b)과 같이 유선 형태의 이어폰 장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wired or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only the wireless earphone device is illustrated, but as shown in FIG. 1B, a wired earphone device is also possible.

도 2는 도 1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나 본체(B)에 모드 설정부(135)를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30)가 통화모드 및 음악모드를 제어하였느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드 설정부(135)가 통화모드 및 음악모드를 제어한다. 도 2에서는 모드 설정부(135)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1에서는 모드 설정부(135)가 제어부(130)에 포함된 형태라고 하겠다.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FIG. 1, but additionally illustrates a mode setting unit 135 in the body B.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all mode and the music mode.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the mode setter 135 controls the call mode and the music mode. In FIG. 2, the mode setting unit 135 is illustrat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but in FIG. 1, the mode setting unit 135 is included in the controller 130.

통화모드 및 음악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도 1의 제어부(130) 및 도 2의 모드 설정부(135)의 동작은 자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Operations of the controller 130 of FIG. 1 and the mode setting unit 135 of FIG. 2 for controlling the call mode and the music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1의 제어부(130) 또는 도 2의 모드 설정부(135)의 주요 기능은 제1 이어폰부(110)의 제1 스피커(111) 또는 제1 마이크(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므로, 제어부(130) 및/또는 모드 설정부(135)가 배치되는 본체(B)는 도 1 및 도 2와 달리 제1 이어폰부(110)와 외부기기 사이 또는 외부기기에 배치될 수도 있다.
Since the main function of the controller 130 of FIG. 1 or the mode setting unit 135 of FIG. 2 is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speaker 111 or the first microphone 112 of the first earphone unit 110. The body B in which the control unit 130 and / or the mode setting unit 135 are dispose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arphone unit 110 and an external device or in an external device, unlike FIGS. 1 and 2.

도 3은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2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나 이어폰부(E1, E2)와 본체(B)를 연결하는 유선 부위에 전자파필터부(150)를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전자파필터부(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에 배치할 수도 있고, 이어폰부(110, 120)에 구현될 수도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FIG. 2, but additionally illustrates the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50 at a wired portion connecting the earphone units E1 and E2 to the main body B. The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50 may be disposed on the lead wire as shown in FIG. 3,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earphone units 110 and 120.

전자파필터부(150)에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파 차단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50 may use various types of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devices that can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20-0317093호 "휴대용 통신장치 이어폰의 전자파 차단장치"와 같은 전자파 차단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폰부와 연결되는 리드선의 고주파 유입부에 쵸크필터를 설치하여 전자파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 전자파 차단 장치는 안테나에 수신된 전파가 통신장치에서 동조되더라고 이어폰부의 리드선에 유입되는 고주파가 쵸크필터에서 차단되어 이어폰부에 전자파가 유도되지 않는다.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such as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317093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arphone" may be used. The choke filter is installed at the high frequency inlet of the lead wire connected to the earphone unit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waves. In this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even though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antenna is tun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high frequency flowing into the lead wire of the earphone section is cut off by the choke filter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are not induced to the earphone section.

도 3에서 우측에 도시한 구성이 전자파필터부(150)를 확대한 회로 구조도이다. 쵸크필터로서 RF필터(LOW PASS FILTER)를 리드선(L)의 고주파 유입부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RF필터는 이어폰 장치의 제1 마이크(M1), 제1 스피커(S1) 및 제2 스피커(S2)에 연결되는 리드선에 각각 코일 인덕터(L1, L2, L3)를 접속하고, 도선 사이에 콘덴서(C1,C2,C3)를 접속하였다. 코일 인덕터(L1, L2, L3)가 이어폰부(E1, E2) 방향으로 고주파성분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대방과 깨끗한 통화와 양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한편 초크피터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고 있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is a circuit structure diagram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50 is enlarged. As a choke filter, an RF filter (LOW PASS FILTER) is attached to the high frequency inlet of the lead wire (L). Specifically, the RF filter connects the coil inductors L1, L2, and L3 to the lead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microphone M1, the first speaker S1, and the second speaker S2 of the earphone device, respectively. The capacitors C1, C2 and C3 were connected. The coil inductors L1, L2, and L3 block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proceeding toward the earphones E1 and E2, so that they can hear clean calls and quality music with the other party. On the other hand, the choke peter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that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tha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모드mode 설정 및 제어 Setting and control

이하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인 통화모드 및 음악모드에 따른 제어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 절에서 설명하는 모드 제어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130) 또는 도 2에 도시한 모드 설정부(135)에서 수행된다. 제어부(130) 및 모드 설정부(135)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에 따라서 제1 이어폰부와 외부기기(이동통신단말기)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외부기기에 배치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call mode and the music mode, which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ode contro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30 shown in FIG. 1 or the mode setting unit 135 shown in FIG. The controller 130 and the mode setting unit 13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arphone unit and an externa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isposed in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사용자가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별도의 스위치, 음성 인식 또는 동작 센서 등을 통해 수동으로 결정하는 경우를 수동모드라고 명명하고, 본 발명의 제어부(130) 또는 모드 설정부(135)가 환경에 맞게 통화모드/음악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경우를 자동모드라고 명명한다. 먼저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가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한다. 즉 모드실행이 어떤 순서로 또는 어떤 설정에 따라 진행되는지 살피고자 한다.
When the user manually determines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through a separate switch, voice recognition or motion sensor, etc., is called a manual mode, and the controller 130 or the mode setting unit 1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the environment. The case of setting call mode / music mode automatically is called auto mode. First, let me explain how manual mode or automatic mode can work. In other words, we want to see in what order or mode the mode execution proceeds.

모드실행Mode execution 제1  1st 실시예Example

제어부(130) 또는 모드 설정부(135)는 기본적으로 수동모드로 제어된다. 즉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작동을 선택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B)에 배치된 스위치, 음성인식 또는 동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조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특별한 선택이 없다면 이미 설정된 모드로 작동할 것이다. 나아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30 or the mode setting unit 135 is basically controlled in the manual mode. In other words, the user using the earphone device selects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opera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at least one of a switch, a voice recognition, or a motion sensor disposed in the main body B. In this case, it will operate in the already set mode unless you have special choice. Furthermore, the mode may be manually set through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모드실행Mode execution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가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작동하도록 사전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음성 인식 또는 동작 센서 등을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설정이 가능하다.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in advance to operate in the manual mode or automatic mode. In this case, it can be set through a switch for selecting a manual mode or an automatic mode, voice recognition, or a motion sensor. Also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also be configured through the application.

수동모드로 설정이 되었다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모드설정 제 1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거나, 사전에 선택된 모드로 작동한다. 자동모드로 설정이 되었다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후술한 자동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제1 모드 설정이라고 한다.
If the manual mode is set,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aits for a user's input or operates in a preselected mode as in the first mode setting. If the automatic mode is set,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automatic mode described below. Setting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is called first mode setting.

모드실행Mode execution 제3  Thir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소리 신호가 이어폰 장치로 전달되는 때에 사용자의 조작이 있다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모드로 작동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없다면 자동모드로 작동된다. 물론 자동 모드로 작동을 하고 있는 중이라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면 조작에 따른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로 작동한다. 제2 실시예와 구분하기 위하여, 음악모드 또는 통화모드를 선택하거나 설정하는 것을 제2 모드 설정이라고 한다.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the manual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f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arphone device, and operates in the automatic mode if the user's operation is not. Of course, even if you are operating in the automatic mode, if the user manually operates it operates in the call mode or music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To distinguish from the second embodiment, selecting or setting the music mode or the call mod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mode setting.

수동모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작동이 되지만, 다른 형태의 작동도 가능하다. 몇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Manual mode basically operates according to user input, but other types of operation are possible.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수동모드Manual mode 제1  1st 실시예Example

가장 기본적인 수동모드로서, 사용자가 스위치 같은 외부 단자 또는 이어폰 장치와 연동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설정한다.
In the most basic passive mode, the user sets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switch or an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 earphone device.

수동모드Manual mode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이어폰 장치의 제1 마이크(112)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한 음성 명령을 입력하면,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명령에 따라 이어폰 장치가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로 작동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통화"라고 입력하면 통화모드가 작동하고, "음악"이라고 입력하면 음악모드가 작동할 수 있다.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voice command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112 of the earphone device, the earphone device recognizes the voice and operates in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according to the voice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call", the call mode may operate, and when the user inputs "music", the music mode may operate.

수동모드Manual mode 제3  Third 실시예Example

이어폰 장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배치된 특정한 작동 센서를 통해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결정한다. 예컨대,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이어폰 장치를 일정한 횟수로 흔들거나, 일정한 모양으로 움직여서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타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 call mode or music mode is determined through a specific operation sensor arranged in the earphone devic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by using a gyro sensor or the like, the user may sha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arphone devi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ve in a predetermined shape to determine a call mode or a music mode. It is obvious that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may be determined through various sensors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수동모드에서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있는 중(음악모드)에 전화가 걸려와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이어폰장치 본체에 배치되는 통화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통화연결과 함께 통화모드로 전환이 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한다. 통화버튼과 별도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둘 수는 있으나, 통화버튼을 누르면 통화연결 및 통화모드 전환(제1 스피커 차단)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누른 후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을 재차 수행하는 것은 번거롭고, 에코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manual mode, when the user is listening to music (music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witch to the call mode with the call connection when the user presses a call button arrang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arphone device. . An input means for switching to the call mod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ll button, but it is preferable to press the call button to make a call connection and switch the call mode (blocking the first speaker).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again to input again to switch to the call mode, it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cho phenomenon may occur.

한편 전술한 수동모드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설정 내지 수행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anual mode embodiments may be set or performed by a user op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자동모드에 대하여 각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자동모드에 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부(130)가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한다고 전제한다. 물론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설정부(135)가 후술하는 자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mod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automatic mode,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ler 130 performs overall contro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cour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the mode setting unit 135 may control the automatic mode described later.

자동모드Auto mode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작동을 하는 경우 및 음악 재생을 하는 경우에 이동통신통신단말기 고유의 식별신호 내지 식별코드를 갖는다. 예컨대, 전화통화 중인 경우 001이란 식별코드(통화상태신호)를 갖고, 음악 재생을 하는 경우에는 002라는 다른 식별코드(음악재생신호)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식별신호 내지 식별코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어떤 동작으로 정의하는 식별코드는 제품마다 통일되어 있다. 제1 실시예는 이 식별신호 내지 식별코드를 이용하는 것이다. 외부기기인 이동통신단말기기 통화작동 중인 경우 음성신호를 신호 송수신부(140)와 주고 받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식별 신호 내지 식별코드를 신호 송수신부(140)가 수신할 수 있다. 이 식별신호 내지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001 코드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통화모드에 맞게 제어한다. 즉, 통화모드에서는 제1 스피커(111) 출력이 차단되고, 제1 마이크(112)는 음성을 입력받으면서 제2 스피커(121)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한다. 002 코드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음악모드에 맞게 제어한다. 음악모드에서는 모든 스피커(111,121)을 통해 소리가 출력되어, 사용자는 스트레오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n identification signal or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ase of a telephone call operation and music reproduction. For example, in a telephone call, 001 has an identification code (call state signal), and in the case of music reproduction, it has another identification code (002). The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identification code may vary depend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identification code defined by a certain operation is unified for each product. The first embodiment uses this identification signal or identification code.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ich is an external device, is in a call operation,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identification code as well as exchange a voice signal with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When the 001 code is received us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identification cod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earpho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call mode. That is, in the call mode,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111 is cut off, and the first microphone 112 receives the voice while the second speaker 121 output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When the 002 code is receive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earphon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usic mode. In the music mode, the sound is output through all the speakers 111 and 121,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tereo music.

자동모드Auto mod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가 등장하였다. 스마트폰은 개별적인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통화, MP3 음악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 등이 모두 개별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된다.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면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개별적인 식별신호 내지 식별코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130)가 애플리케이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가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Recently,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various functions have appeared. Smartphones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running individual applications. Voice calls, MP3 music playback, or video playback are all done through separate applications. When various applications operate, individual identification signals or identification codes are gener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to control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erate in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자동모드Auto mod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나아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어폰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이어폰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수행여부를 판단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통화 동작 또는 음악 재생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 전송하여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Furthermore,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smartphone, and the earphone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application. That is, the controller 130 of the earphone device 100 does not control to perform a call mode or a music mode operation, but controls the earphone device 100 by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call mode or a music mode in a control application. The control application analyzes the call operation or music reproduction state of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analyzed result to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 call mode or a music mode operation.

자동모드Auto mode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또 다른 실시예는 제어부(130)가 신호 송수신부(140)를 통해 이어폰 장치(100)로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설정한다. 소리 신호는 크게 음성 신호와 음악 신호로 구분한다. 음성 신호는 순수하게 사람의 대화 음성으로 구성된 소리 신호이고, 음악 신호는 음악을 재생할 때 발생하는 소리의 신호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earphone device 100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140, and sets a call mode or a music mo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sound signal is largely divided into a voice signal and a music signal. The voice signal is a sound signal composed purely of human speech, and the music signal is a signal of sound generated when playing music.

소리는 물리학적으로 파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의 세기, 파형의 높이, 파형의 규칙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음성 신호와 음악 신호를 구분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핵심이다.Sound can be represented physically as waveforms. Analyze frequency intensity, waveform height, and waveform regularit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oice signal and the music signal described above is the core of the present embodiment.

소리 신호의 일정 구간에 대한 주파수의 높이, 변화량, 규칙성을 분석하여 음성 신호와 음악 신호를 구분하는 것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10-2010-0098100에서 개시하고 있는 주파수 변화량의 평균값이 임계값을 넘는지 여부에 따라 음성 신호 및 음악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The distinction between the voice signal and the music signal by analyzing the height,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regularity of the frequency for a certain period of the sound signal can be perform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various way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or example, the voice signal and the music signal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whether the average value of the frequency change amount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98100 exceeds a threshold.

본 발명의 제어부(130)에서 음성 신호 및 음악 신호를 구분하여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로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음악신호인지를 구분하고, 분석된 결과를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 전달하여 이어폰 장치(100)의 자동모드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the control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signal and the music signal may be classified and set as a call mode or a music mode. Furthermore,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mart phone is distinguished from the voice signal or the music signal through the application driven by the smart phone, and the analyzed result of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ferring to the control mode of the silent mode of the earphone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의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100)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모드실행 1, 모드실행 2 및 모드실행 3은 각각 전술한 모드가 실행되는 실시예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다. 한편 수동모드 및 자동모드는 각각 점선 박스로 표시하였다. 도 4 왼쪽에 표시한 점섬 박스가 수동모드이고, 오른쪽에 표시한 점선 박스가 자동모드 동작에 해당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100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execution 1, the mode execution 2, and the mode execution 3 each show a proced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odes are executed. On the other hand, the manual mode and the automatic mode are indicated by dotted boxes, respectively. 4, the point sum box shown on the left side is in manual mode, and the dotted line box shown on the right side corresponds to the automatic mode operation.

모드실행 1은 자동모드 실행 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Mode execution 1 means the user manually selects a call mode or a music mode without executing the automatic mode.

모드실행 2는 사용자가 사전 설정에 따라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외부기기 신호가 수신(S1)된 후 사전 설정된 모드가 수동모드인지 또는 자동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가 필요하다. 판단에 따라 설정된 모드로 각각 작동한다. 사전에 설정된 모드가 수동모드(제1 모드)인데 사용자가 새롭게 제1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다면 직전에 설정된 제2 모드(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가 수행된다.Mode execution 2 operates in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user preset. Therefore, after receiving the external device signal (S1),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t mode is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S2). It operates in the set mode according to the judgment. If the preset mode is the manual mode (first mode) and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first mode, the second mode (call mode or music mode) set immediately before is performed.

모드실행 3은 외부기기 신호가 수신(S1)된 후 사용자가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제2모드)를 선택(S3)하면 수동모드가 되어 해당 모드를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다면 자동모드가 실행된다. 자동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악모드 또는 통화모드를 선택(S4)하면 해당 모드가 수동으로 변경되고, 사용자로부터 별다른 입력이 없다면 계속 자동모드로 실행이 된다.
Mode execution 3 is the manual mode when the user selects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second mode) after receiving the external device signal (S1), and enters the manual mode. Is executed. Even while operating in the automatic mode, if the user manually selects the music mode or the call mode (S4), the corresponding mode is manually changed, and if there is no input from the user, the automatic mode continues to run.

*자동모드 동작에 대해서 좀더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자동모드에 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드분석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모드분석 결과 수신된 소리신호가 음악신호라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제어부(130)를 통해 음악모드로 작동한다. 즉 제1 스피커(111) 및 제2 스피커(121)이 모두 on 상태가 된다. 반대로 모드분석 결과 수신된 소리신호가 음성신호라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제어부(130)를 통해 통화모드로 작동한다. 즉, 제1 이어폰부(110)의 제1 스피커(111)는 off 상태가 되고, 제2 스피커(121)는 on 상태가 된다.* Automatic mod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automatic mode, the mode analysis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ound signal is a music signal as a result of the mode analysis,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music mode through the controller 130. That is, both the first speaker 111 and the second speaker 121 are turned on. 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ound signal is a voice signal as a result of the mode analysis, the earphon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call mode through the controller 130. That is, the first speaker 111 of the first earphone unit 110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peaker 121 is turned on.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110 : 제1 이어폰부(E1) 111 : 제1 스피커(E2)
112 : 제1 마이크 120 : 제2 이어폰부
121 : 제2 스피커 130 : 제어부
135 : 모드 설정부 140 : 신호 송수신부
145 : 유선연결부 150 : 전자파필터부
B :본체
100: Wired or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an ear plug-in microphone
110: first earphone unit E1 111: first speaker E2
112: first microphone 120: second earphone unit
121: second speaker 130: control unit
135: mode setting unit 140: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45: wired connection 150: electromagnetic wave filter
B: Body

Claims (9)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와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가 설치된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1 이어폰부;
제2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2 이어폰부;
외부기기와 소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In the earphone device equipped with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voice,
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and inserted into an ear of a user;
A second earphone unit including a second speaker and inserted into an ear of a user;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and outputting a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a whiskey insertion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와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가 설치된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1 이어폰부;
제2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제2 이어폰부;
외부기기와 소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연결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유선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유선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악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In the earphone device equipped with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voice,
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and inserted into an ear of a user;
A second earphone unit including a second speaker and inserted into an ear of a user;
Wired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and outputting a music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a whiskey insertion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음악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고, 상기 제1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도록 하고, 음악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고, 상기 제1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지 않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not to output a sound from the first speaker when a call mode is set, or to output a sound from the first speaker when a music mode is set,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to the first microphone when the call mode is set, to output the sound to the first microphone, and to output the sound to the first microphone when the music mode is set.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a whiskey insertion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is controlled not to be inpu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이어폰 장치에 배치된 통화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장치가 통화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소리가 출력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dispo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arphone device, the control unit uses the ear-insertable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no sound is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so that the earphone device is operated in a call mode.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모드 또는 상기 음악모드 설정은 '사용자의 음성 인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헤드셋에 배치된 동작센서'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중 하나 이상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all mode or the music mode sett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user's voice recognition', 'motion sensor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headset', o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an ear plug-in micropho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모드 또는 상기 음악모드 설정은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사전에 설정하거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스피커 또는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The wired /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set in advance through the control unit, or the control unit is automatically set by analyz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스피커 또는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상기 통화모드 또는 음악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또는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사람의 음성만을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되면 통화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스피커또는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음악을 포함하고 있다고 분석되면 음악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to set the call mode or music mode,
The controller is set to a call mode when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includes only a human voice,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includes music. If it is analyzed that the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the ear plug-in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the music m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통화모드 또는 상기 음악모드 설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상태신호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재생신호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음악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external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If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all stat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set to the call mode, if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music playback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set to the ear mode microphone Wired and wireless earphone device 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가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통화모드 또는 상기 음악모드 설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external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mode or music mode setting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nd sets a control signal of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120032209A 2012-03-29 2012-03-29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KR101330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09A KR101330476B1 (en) 2012-03-29 2012-03-29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EP12873429.0A EP2833645B1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PCT/KR2012/009489 WO2013147384A1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14/388,007 US9654858B2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SG11201406152SA SG11201406152SA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JP2015503090A JP2015515206A (en) 2012-03-29 2012-11-09 Wired earset with in-ear microphone
CN201280072038.9A CN104396275B (en) 2012-03-29 2012-11-09 Use the wire and wireless earphone of insert type microphone in ear
HK15103014.9A HK1202749A1 (en) 2012-03-29 2015-03-24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15/066,687 US9743172B2 (en) 2012-03-29 2016-03-10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15/066,760 US20160196834A1 (en) 2012-03-29 2016-03-10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JP2017138012A JP2017216712A (en) 2012-03-29 2017-07-14 Wired and wireless ear 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09A KR101330476B1 (en) 2012-03-29 2012-03-29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41A true KR20130110341A (en) 2013-10-10
KR101330476B1 KR101330476B1 (en) 2013-11-15

Family

ID=4963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09A KR101330476B1 (en) 2012-03-29 2012-03-29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47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61B1 (en) * 2013-11-27 2015-03-20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KR20160137290A (en) * 2015-05-22 2016-11-30 중소기업은행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in a headset
KR20160137291A (en) * 2015-05-22 2016-11-30 중소기업은행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WO2018021629A3 (en) * 2016-07-29 2018-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audio device
KR20220130065A (en) * 2015-06-05 2022-09-26 애플 인크.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478B1 (en) 2015-11-23 2017-08-22 박정원 Soundproof Earplug
KR20210001646A (en) * 2019-06-28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dio device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KR102386110B1 (en) * 2020-10-12 202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885B1 (en) 2003-09-18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set
KR20070080011A (en)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circuit for embodiment ear mike phone of stereo earphone i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092957B1 (en) 2010-11-05 2011-12-12 신두식 Microphone
KR200456781Y1 (en) 2011-03-07 2011-11-22 주식회사 가온아이엔티 Bluetooth controll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61B1 (en) * 2013-11-27 2015-03-20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KR20160137290A (en) * 2015-05-22 2016-11-30 중소기업은행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in a headset
KR20160137291A (en) * 2015-05-22 2016-11-30 중소기업은행 Headset with a function for cancelling howling and echo
WO2017010609A1 (en) * 2015-05-22 2017-01-19 중소기업은행 Method for eliminating audio feedback and echo in headset, and computer program
KR20220130065A (en) * 2015-06-05 2022-09-26 애플 인크.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WO2018021629A3 (en) * 2016-07-29 2018-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audi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476B1 (en)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172B2 (en)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KR101330476B1 (en)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KR101381289B1 (en)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CN108496374B (en) Earphone work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audio circuit,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KR101578317B1 (en) Ultra-compact headset
EP2107825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EP2129088A1 (en) A hearing aid system with a low power wireless link between a hearing instrument and a telephone
TWI528274B (en) A system for augmenting multimedia playback on a mobile device, an apparatus for operating in a hearing-aid compatible (hac) voice call mode and a multimedia mode,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in a multimedia mode
KR101122767B1 (en) Hearing aid combination Bluetooth-Headset and Control Method
JP2010147982A (en) Stereo earphone microphone with remote control
CN107277208B (en) Communication method,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l
CN107769822B (en) Filtering processing system based on broadcast power of Bluetooth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CN107710779A (en) Communication earphone
KR20110080306A (en)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TW200608760A (en) Hands-free system of car stereo combining MP3 player, and method thereof
KR10042960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of wireless headset in portable phone onboard bluetooth
JP3112619U (en)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equipment
KR101672942B1 (en)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80011A (en) Method and circuit for embodiment ear mike phone of stereo earphone i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70188142A1 (en) Sound filtering system
CN2917112Y (en) Short range noise-reducing telephone
KR2008006354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KR20140030086A (en) Wire or wireless hearing-aid system
RU125799U1 (en) DEVICE FOR USING MOBIL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