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42B1 -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942B1 KR101672942B1 KR1020150036808A KR20150036808A KR101672942B1 KR 101672942 B1 KR101672942 B1 KR 101672942B1 KR 1020150036808 A KR1020150036808 A KR 1020150036808A KR 20150036808 A KR20150036808 A KR 20150036808A KR 101672942 B1 KR101672942 B1 KR 1016729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ring
- mobile device
- sound
- data
- hear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1 light adap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4559 Hearing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1879 Hearing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2203 Clupea hareng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14 herr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02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31500 TEC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8652 Videx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XZVVICBKDXVGW-NKWVEPMBSA-N ddIno Chemical compound O1[C@H](CO)CC[C@@H]1N1C(NC=NC2=O)=C2N=C1 BXZVVICBKDXVGW-NKWVEPMB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56 didanos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청력 보완 기능이 적용되도록 하는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은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이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M)에서 청력 검사 데이터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청력 검사 데이터에 대한 적용 환경이 결정되어 환경 적응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환경 적용 데이터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M)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소리 신호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신호에 상기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되어 이어폰(22)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device hav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device improvement method of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to be applied to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A method for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AP) for operation of the hearing device (10) in the mobile device (M); Preparing hearing test data in the mobile device (M); Determining an application environment for the hearing test data to produce environment adaptation data;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application data to the hearing device (10); Transmitting a sound signal to the hearing device (10)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device (M); And applying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the sound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 22.
Description
본 발명은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청력 보완 기능이 적용되도록 하는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device hav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device improvement method of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to be applied to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다양한 청력 보완 기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난청을 가진 사람의 청력 보완을 위하여 보청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화음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음을 외부로 전해지지 않도록 하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같은 수화기가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청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같은 수화기는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통화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기기와 연결된 이어폰 또는 헤드폰은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A variety of hearing aid devices ar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hearing aid can be used to supplement the hearing of a person with a hearing loss. On the other hand, a receiver such as an earphone or a headphone, which prevents the sound of a telephone call or a multimedia playba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may be connected to various kinds of multimedia devices to improve the listening function of the user. A receiver such as an earphone or a headphone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lling function or a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by wire or wirelessly. Earphones or headphones connected to such electronic devices, however, do not have the ability to protect or enhance the hearing of the user.
특허공개번호 10-2014-0143474는 전자기기에 탐지되어 있고, 더미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여 UART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되 이어폰 플러그를 통해 상기 데이터 비트를 출력하는 송신 장치와, 모바일에 탑재되어 있으며 이어폰 포트를 통해 상기 송신 장치의 이어폰 플러그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트 비트 중 상기 더미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비트는 유효 비트와 상기 더미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더미 비트는 상기 유효 비트 앞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의 이어폰 포트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3474 discloses a transmitting apparatus which is detected by an electronic device and generates a data bit including a dummy bit and transmits the data bit according to a UART communication method and outputs the data bit through an earphone plug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ata bit transmitted from the earphone plug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via an earphone port and extracting and decoding the remaining bits of the data bits excluding the dummy bit, Wherein the bit is composed of a valid bit and the dummy bit, and the dummy bit is coupled before the valid bit.
특허공개번호 10-2013-0057311은 보청기 및 외부 장치를 포함하고, 보청기는 외부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 보청기 변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및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트리거 시그널에 대한 응답으로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시그널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고, 외부 장치는 보청기와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 수단, 전기 오디오 시그널을 제공하기 위한 음향-전기 입력 변환기, 전기 오디오 시그널 샘플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사용자 입력 수단 및 사용자 입력 수단의 활성화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 오디오 시그널 샘플의 녹음을 시작하고 보청기로의 트리거 시그널 송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시그널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7311 includes a hearing aid and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hearing aid includes a connection means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means for storing hearing aid variables, and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a trigger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 connection means for provid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hearing aid, an acoustic-electrical input converter for providing an electrical audio signal, a memory means for storing electrical audio signal samples, And signal processing means configured to initiate recording of electrical audio signal samples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user input means and user input means and to initiate trigger signal transmission to the hearing aid.
특허공개번호 10-2014-0122750은 제1 클라이언트, 외부 디바이스, 제어 서버, 보청기 시스템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상기 외부 디바이스, 상기 제어 서버와 상기 보청기 시스템이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링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는 고유 사용자 식별을 갖는 선택된 보청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보청기를 피팅하도록 구성된 피팅 소프트웨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에 통신 채널을 확립되도록 상기 제어 서버에 요청하도록 구성된 피팅 접속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고유 디바이스 식별, 상기 고유 식별 디바이스 식별을 상기 제어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외부 디바이스 접속 소프트웨어 수단 및 상기 직접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콘텐츠를 상기 보청기 시스템에 보내도록 구성된 리다이렉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및 디바이스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에 상기 직접 통신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보청기 피팅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2750 includes a first client,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server, a hearing aid system and link mean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lient,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 server and the hearing aid system to communicate Wherein the first client is a fitting software configured to fit a hearing aid based on a selected hearing aid user profile having unique user identification and a fitting connection software configured to request the control server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client and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software means configured to provide the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to the control server, and the content of the data transmitted over the direct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hearing aid Wherein the control server comprises interface means configured to provide the direct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client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a corresponding user identific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the hearing aid fitting comprising a hearing aid fitting System.
상기 선행기술은 원격 피팅 시스템 또는 이어폰과 전자기기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청력 보완 기능이 적용된 수화기 또는 청력 보완 기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청력 보완 기기는 이어폰의 기능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거나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모바일 기기에 연결된 청력 보완 기기에서 이와 같은 기능이 적용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The prior art discloses a remote fitting system or a method of communicating an earphone and an electronic device, but does not disclose a handset or a hearing aid to which the hearing aid is applied. It is advantageous for the hearing aid to have the function of protecting or enhancing the hearing ability of the user while having the function of the earphone.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method for enabling such a function to be applied to a hearing aid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통신 음을 비롯한 다양한 재생 음의 수신이 가능한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개별 청력 향상 기능을 적용시키는 방법 및 그와 같은 히어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pplying individual hearing improvement functions in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d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playback tones including communication tones, and a similar hearing devic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은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청력 검사 데이터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청력 검사 데이터에 대한 적용 환경이 결정되어 환경 적응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환경 적용 데이터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소리 신호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신호에 상기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되어 이어폰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in a mobile device; Preparing hearing test data in the mobile device; Determining an application environment for the hearing test data to produce environment adaptation data;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application data to the hearing device; Transmitting a sound signal to the hearing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nd applying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the sound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환경 적용 데이터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환경 음이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application data to the hearing devic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introducing environmental sound into the hear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 통신 개시 신호를 전송시키는 기능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tart signal to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화 유닛; 모바일 기기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 유닛;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 및 대화 음을 처리하는 환경 유닛;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소리 신호에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개별 청력 데이터를 적용시키는 적응 처리 유닛; 및 적응 처리 유닛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이어폰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ring device having a hearing enhancement function is provided with a call unit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by close range communication; A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the mobile device; An environmental unit for processing environment sounds and conversation sounds input from the outside; An adaptive processing unit for applying individual hearing data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to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an earphone for receiving the processed signal in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에서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통화 개시 유닛 및 통화 상황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all initiation unit for starting communication in the mobile devi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all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청력 향상 기능의 적용 방법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수신음을 개인의 청력 또는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개인의 청력이 보호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individual hearing enhanc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o protect the hearing of the individual by making the reception sound adaptable to the hearing or use environment of the individual.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usability of the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향상 기능이 히어링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apply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hearing device.
2A and 2B show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향상 기능이 히어링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apply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hear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은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단계(P11);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청력 검사 데이터가 준비되는 단계(P222, P223); 상기 청력 검사 데이터에 대한 적용 환경이 결정되어 환경 적응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단계(P24); 상기 환경 적용 데이터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소리 신호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신호에 상기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되어 이어폰으로 전송되는 단계(P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setting a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of a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11)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in a mobile device; A step (P222, P223) of preparing hearing test data in the mobile device; A step (P24) in which an application environment for the hearing inspection data is determined to produce environment adaptation data;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application data to the hearing device; Transmitting a sound signal to the hearing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nd a step (P26) in which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is applied to the sound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earphone.
본 명세서에서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용 오디오 기기, 노트북, 웨어러블(wearable) 스마트 기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서 수화기의 기능을 가진 휴대용 기기를 말한다. 히어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위와 같은 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 환경 또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이어폰과 같은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음을 수신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사용자, 휴대용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사용 환경 또는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외부 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보청기 기능을 갖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리 신호 또는 환경 소리를 처리하므로 모든 사용자의 청각 환경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Herein, the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통신 기능 및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은 음악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자적으로 사람이 보거나 또는 들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generally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multimedia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multimedia reproduction function refers to making a voice or image signal including music and a moving picture electronically viewable or audible by a person.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기기와 페어링이 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에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될 수 있고 이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디바이스(10)의 블루투스 모듈을 검색함으로써 등록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가 모바일 기기와 페어링이 된 이후 각각의 기기를 켜고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페어링이 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서로 다른 모바일 기기와 페어링이 될 수 있고, 페어링이 된 히어링 디바이스는 각각의 모바일 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연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은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될 수 있고(P11), 모바일 기기(M)에서 애플리케이션(AP)이 실행되어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방법이 설정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AP)의 설치, 실행 및 작동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e application AP for operating the
실행된 애플리케이션(AP)에 의하여 청력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AP)은 청력 검사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청력 검사가 이루어지고(P221), 청력 검사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P222). 또한 애플리케이션(AP)은 모바일 기기(M)의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곳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P23). 예를 들어 청력 치료 기관의 서버로부터 청력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고, 수신된 청력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가 시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신된 청력 데이터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M)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청력 데이터가 생성되면(P222, P23), 청력 데이터에 대한 환경 적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P24). 청력 데이터에 대한 환경 적응은 예를 들어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사용 환경을 표준 설정, 실내 환경, 야외 환경, 대중교통 환경 또는 공공장소 환경으로 나누고 각각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청력 데이터에 대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거나 사용자 선호 음을 잡음 형태로 추가시키는 것과 같이 청력 데이터를 보완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 또는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청력 데이터에 대한 환경 적응이 적용되면(P24), 청력 데이터가 모바일 기기(M)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P25). 그리고 생성된 환경 적응 데이터가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제어 유닛(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유입되어 이어폰으로 전송되는 모든 소리 신호에 대하여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The hearing test can be performed by the executed application (AP). The application AP may include a hearing test program so that a hearing test is performed for the user (P221) and hearing test data may be generated (P222). Further, the application AP may receive the hearing data of the user stored in another place using the communication of the mobile device M (P23). For example, hearing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of the hearing care institution and whether the received hearing data is appropriate for the user may be tested. Supplementation of the received hearing data can be made if necessary. When the hearing aid data is generated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in the mobile device M (P222, P23), the environment adaptation to the hearing data can be performed (P24).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he hearing data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dividing the use environment of th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모바일 기기(M)로부터 멀티미디어의 재생으로 인하여 재생되는 재생 음 또는 통화음과 같은 소리 신호가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환경 유닛(33)이 획득한 외부 음이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P27). 설정에 따라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환경 유닛(33)으로 유입되는 외부 환경 음으로부터 사용 환경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31)은 환경 적응 데이터를 탐지된 사용 환경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로 소리 신호가 수신되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소리 신호에 대하여 환경 적응 데이터를 적용시켜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어폰으로 전송되는 소리 신호에 대하여 개별 청력 데이터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보완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청력 기능을 보호하면서 청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Th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양쪽 끝에 착용될 수 있는 모바일 기기(M)와 독립된 전자기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show an embodiment of a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작동 부품의 수용을 위한 조절 박스(212a, 212b)가 형성된 착용 유닛(21); 조절 박스(212a, 212b)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마이크(23a, 23b); 착용 유닛(21)에 결합되고, 조절 박스(212a, 212b)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22a, 22b); 조절 박스(212a, 212b)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및 착용 유닛(2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 마이크(231)를 포함할 수 있고, 착용 유닛(21)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기판에 배치된 제어 유닛(31)이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착용 유닛(21)은 양쪽 귀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부재(211) 및 착용 부재(21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에 필요한 일부의 부품이 수용되는 조절 박스(212a, 2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한쪽 끝 또는 양쪽 귀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착용 부재(211)는 예를 들어 이어폰(22a, 22b)과 같은 청취 디바이스, 인쇄회로기판, 근거리 통신 칩 또는 배터리와 같은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wearing
착용 부재(211)의 일부에 조절 박스(212a, 212b)가 형성되거나 또는 착용 부재(211)와 별도로 제조된 조절 박스(212a, 212b)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 박스(212a, 212b)는 부품이 수용되거나 작동 또는 선택 버튼이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절 박스(212a, 212b)의 내부에 예를 들어 마이크로 칩, 통신 칩 또는 이명 음원 발생기와 같은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 소자, 칩 또는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박스(212a, 212b)의 표면에 통화 버튼(241) 또는 음악 재생 버튼(242)과 같은 다양한 기능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박스(212a, 212b)는 착용 부재(211)의 양쪽 끝에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지만 조절 박스(212a, 212b)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버튼은 착용 유닛(21)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마이크(23a, 23b)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 마이크(23a, 23b)는 소리 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조절 박스(212a, 212b)에 설치될 수 있고 볼륨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절 박스(212a, 212b)에 통화 마이크(231)가 설치될 수 있다. 통화 마이크(231)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가 스마트 폰과 같은 통화 가능한 기기가 되는 경우 통화 음성을 모바일 기기(M)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외부 마이크(23a, 23b)는 대화 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마이크(23a, 23b)는 외부 환경 음이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통화 마이크(231)를 통하여 유입된 신호는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달되고 외부 마이크(23a, 23b)로 유입된 음은 적응 프로세서를 경유하여 이어폰(22a, 22b)으로 전달될 수 있다. 통화 마이크(231)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고유 필터 유닛을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 특성 또는 음성 주파수 특징이 미리 저장되고 고유 필터 유닛에 의하여 사용자 음성 또는 음성 주파수 특징을 가지는 이외는 소리 신호는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능의 작동은 선택 버튼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외부 마이크(23a, 23b)는 등록 신호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다른 히어링 디바이스(10)를 가진 사람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지고 등록 신호 필터 기능이 작동되는 경우 다른 히어링 디바이스(1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만이 이어폰(22a, 22b)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능은 선택 버튼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통화 마이크(231) 또는 외부 마이크(23a, 23b)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external microphone (23a, 23b) may be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10). The
히어링 디바이스(10)에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고,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배터리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가 될 수 있고 충전 포트(251)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어댑터로 충전되거나 또는 USB 포트로 충전될 수 있다.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배터리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배터리 상태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battery can be disposed in the
모바일 기기(M)로부터 수신된 음악과 같은 재생 음, 통신 음성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은 이어폰(22a, 22b)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은 각각의 조절 박스(212a, 212b)와 연결되도록 한 쌍이 될 수 있고 착용 유닛(21)의 내부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의 볼륨 조절 및 모드 조절을 위한 이어폰 기능 버튼(261)이 조절 박스(212a, 212b)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이어폰(22a, 22b)에 대하여 기능 버튼(26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에 접촉 탐지 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접촉 탐지 유닛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제어 유닛(31) 또는 적응 프로세서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31) 또는 적응 프로세서는 이어폰(22a, 22b)의 착용 여부에 따라 다양한 수신 신호의 전송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22a, 22b)이 착용되지 않는 상태라면 재생 음의 볼륨을 낮출 수 있고 이에 비하여 통화 신호는 볼륨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부가 기능이 이어폰(22a, 22b)에 추가될 수 있다.Playback sounds such as music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communication voice, and environmental sound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transmitted to th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수신된 소리 신호에 대하여 피팅 데이터를 적용시켜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피팅 데이터의 적용은 난청을 비롯하여 사용자의 청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리 신호에 대한 음성학적 변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팅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명 치료 기능 또는 선호 음색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또한 사용자의 청력 변화 이력을 탐지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청력 이력 데이터는 차후 모바일 기기(M)를 통하여 치료 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보청기의 피팅, 사용자의 청력 변화 또는 청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M)와 페어링이 된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작동 스위치가 켜지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리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히어링 디바이스(10)로부터 모바일 기기(M)로 신호 또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어링 디바이스(10)로부터 통화 개시 신호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고, 통신 번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통화가 중단된 경우 중단과 관련된 정보가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중단된 통화의 개시를 위한 신호 또는 정보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소리 신호를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가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제어 유닛(31)은 소리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개별 청력 데이터에 따른 적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소리 신호는 통신 신호, 재생 음 또는 통화음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제어 유닛(31)은 수신되는 소리의 종류를 구분하여 적응 처리 유닛(34)으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in the
모바일 기기(M)로부터 음악, 동영상, 방송 매체 또는 재생 매체에 따른 재생 음이 무선으로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달될 수 있고,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달된 재생 음은 적응 처리 유닛(34)에 의하여 처리되어 이어폰(3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적응 처리 유닛(34)은 개별 데이터 유닛(341)에 저장된 개인의 청력 데이터 또는 환경 적응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생 음을 사용자에게 적합한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3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유닛(31)은 환경 유닛(33)으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 또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환경을 결정하여 적응 처리 유닛(34)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음의 유입 과정에서 환경 유닛(33)을 통하여 대화 음이 유입되면 적응 처리 유닛(34)은 대화 음을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환경 적응 데이터를 적용하여 이어폰(35)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재생 음과 대화 음의 상대적인 볼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에 따라 재생 음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재생 음에 적용되는 피팅 데이터와 대화 음에 적용되는 피팅 데이터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재생 음에 적용되는 환경 적응 데이터와 재생 음에 적용되는 환경 적응 데이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과 같은 재생음의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색 또는 파형으로 변형시키면서 적절한 잡음이 추가되는 방식으로 환경 적응 데이터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대화 음에 적용되는 환경 적응 데이터는 사용자의 난청 영역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가장 인지되기 쉬운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능한 모든 환경 잡음이 제거될 수 있다.A reproduction sound according to a music, a moving picture, a broadcasting medium or a reproduction medium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재생 음 또는 대화 음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통화 신호가 전송되고, 통화 신호와 관련된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35), 외부 마이크(23)의 측면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수신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만약 수신이 거부되는 경우 적절한 메시지가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화가 되는 경우 재생음의 전달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통화가 사용자에 의하여 개시될 수 있다. 통화의 개시를 위하여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재생 음의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고, 통화 유닛(32)에 의하여 통화 신호가 선택되어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통화음은 적응 처리 유닛(34)에 의하여 처리되어 이어폰(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환경 유닛(33)을 통하여 유입되는 대화 음에 대하여 적응 처리 유닛(34)에 의하여 피팅이 되어 이어폰(35)으로 전송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layback sound or the conversation sound, a call signal is transmitted, and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related to the call signal can be transmitted. For example, the screen may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이어폰(35)에서 수신되는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된 각각의 소리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표시되어 제어 유닛(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31)은 개별 데이터 유닛(341)으로 새로운 환경 적응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청력 검사를 통하여 새로운 환경 적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환경 적응 데이터는 개별 데이터 유닛(341)에 저장될 수 있다.The user's satisfaction with each sound signal to which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received at th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유입되는 소리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환경 적응 데이터를 적용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과정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을 설정하고,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청력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S41); 모바일 기기로부터 소리 신호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단계(S42); 수신된 소리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개별 청력 보완이 적용되는 단계(S43); 소리 신호가 이어폰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중단 음의 유입 여부가 탐지되는 단계(S44); 중단 음이 탐지된 경우 중단 음의 종류에 따라 전달 우선성이 결정되는 단계(S45); 및 중단 음에 대한 연결이 설정되는 단계(S4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와 페어링이 된 상태에서 재생 신호, 통신 개시 음 또는 통화음을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2). 그리고 수신된 신호의 종류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합한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S43). 재생 음 또는 통신 음의 수신 과정에서 중단 음의 유입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S44). 중단 음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라면(NO)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재생 음이 이어폰으로 계속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중단 음의 유입이 탐지된다면(YES), 중단 음의 종류가 판단될 수 있다. 중단 음은 예를 들어 위험 신호, 대화 음 또는 통신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중단 음의 종류에 따라 전달 우선성이 결정될 수 있다(S45). 만약 전달될 필요가 없는 경우라면, 중단 음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재생 음 또는 통화음에 비하여 우선성을 가진다면 일시적으로 재생 또는 통화가 중단되고 중단 음이 우선적으로 이어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재생 또는 통화 상태는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음이 수신되는 과정에서 통화 개시 신호가 전송된다면 재생 음의 전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통화 개시 신호가 우선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입되는 소리 신호 사이의 우선성은 미리 결정되어 제어 유닛(31)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중단 음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다시 중단 이전의 상태로 연결의 설정될 수 있다(S46).The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신된 소리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청력 향상 기능의 적용 방법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수신음을 개인의 청력 또는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개인의 청력이 보호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individual hearing improv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히어링 디바이스 21: 착용 유닛
22a, 22b: 이어폰 23a, 23b: 외부 마이크
31: 제어 유닛 32: 통화 유닛
33: 환경 유닛 34: 적응 처리 유닛
35: 이어폰 211: 착용 부재
212a, 212b: 조절 박스 231: 통화 마이크
241: 통화 버튼 242: 음악 재생 버튼
251: 충전 포트 261: 이어폰 기능 버튼
341: 개별 데이터 유닛 AP: 애플리케이션
M: 모바일 기기10: Hearing device 21: Wearing unit
22a, 22b:
31: control unit 32: call unit
33: environmental unit 34: adaptive processing unit
35: Earphone 211: Wear member
212a, 212b: Adjustment box 231: Telephone microphone
241: Call button 242: Music play button
251: Charging port 261: earphone function button
341: Individual data unit AP: Application
M: Mobile devices
Claims (5)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기기(M)가 페어링이 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AP)이 실행되어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방법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M)에서 청력 검사 데이터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청력 검사 데이터에 대한 적용 환경이 결정되어 환경 적응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단계;
상기 환경 적응 데이터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M)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소리 신호가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신호에 상기 환경 적응 데이터가 적용되어 이어폰(22)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상기 모바일 기기(M)로 통화 개시 신호를 전송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AP) for operation of the hearing device (10)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M);
The pairing of the hearing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M);
Wherein the application (AP) is execute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hearing device (10) is set;
Preparing hearing test data in the mobile device (M);
Determining an application environment for the hearing test data to produce environment adaptation data;
Transmitting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the hearing device (10);
Transmitting a sound signal to the hearing device (10)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device (M); And
Applying the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the sound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earphone 22,
Wherein the hearing device (10)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all initiation signal to the mobile device (M).
모바일 기기(M)에 대한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 유닛(3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 및 대화 음을 처리하는 환경 유닛(33);
대화 음,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된 통신 신호, 재생 음 또는 통화음을 구분하여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개별 청력 데이터를 적용시키는 적응 처리 유닛(34);
적응 처리 유닛(34)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이어폰(35);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스크린; 및
모바일 기기(M)에서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통화 개시 유닛 및 통화 상황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히어링 디바이스.
A communication unit 32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M by close range communication;
A control unit (31)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the mobile device (M);
An environmental unit (33) for processing environmental sounds and conversation sounds input from the outside;
An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 for applying individual hearing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by distinguishing a conversation sound,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a playback sound or a voice signal;
An earphone 35 for receiving the processed signal in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
A screen on which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with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is displayed; And
A call initiation unit for starting communication in the mobile device (M),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mmunication situ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808A KR101672942B1 (en) | 2015-03-17 | 2015-03-17 |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6808A KR101672942B1 (en) | 2015-03-17 | 2015-03-17 |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1748A KR20160111748A (en) | 2016-09-27 |
KR101672942B1 true KR101672942B1 (en) | 2016-11-16 |
Family
ID=5710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6808A KR101672942B1 (en) | 2015-03-17 | 2015-03-17 |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94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30828B (en) * | 2017-06-14 | 2018-07-21 | 趙平 | Personalized system of smart headphone device for user-oriented conversation and use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3122B1 (en) * | 2004-06-18 | 2006-10-12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embodying function of hearing aid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pparatus thereof |
KR101175723B1 (en) * | 2010-08-12 | 2012-08-22 |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 Hearing aids and control method |
KR101464907B1 (en) | 2010-10-13 | 2014-11-24 | 비덱스 에이/에스 | Hearing aid system and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
AU2012369343B2 (en) | 2012-02-07 | 2015-04-30 | Widex A/S |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a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
KR20140011605A (en) * | 2012-07-18 | 2014-01-29 |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 The hearing adjusting method of hearing aid of user by using web application |
KR101476908B1 (en) | 2013-05-20 | 2014-12-26 |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 Transmitter, receiv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earphone port of mobile terminal |
-
2015
- 2015-03-17 KR KR1020150036808A patent/KR101672942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1748A (en) | 2016-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5793B1 (en) | Smart Hearing Aid Device | |
US9762317B2 (en) | Playing synchronized mutichannel media on a combination of devices | |
US9781524B2 (en) | Communication system | |
AU2009342798B2 (en) | Method for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hearing aid | |
KR100664564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magnetic field for the hearing impaired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9577710B2 (en) | Engaging terminal devices | |
KR101381289B1 (en) |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 |
US20160029114A1 (en) | Wireless earphone set | |
Kim et al. | A review of assistive listening device and digital wireless technology for hearing instruments | |
CN107306369A (en) | Portable sound devices | |
CN108886653A (en) | A kind of earphone sound channel control method, relevant device and system | |
KR20130110341A (en) |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 |
US9100821B2 (en) | Anti-eavesdropp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US202101273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 |
KR101672951B1 (en) | A Hear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Telephone Conversation Based on Individual Adaptation Property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ame | |
KR100779145B1 (en) | Multifunctional wrist watch | |
KR101672942B1 (en) |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637326B1 (en) |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 |
KR101886735B1 (en) | Wearable watch coupling stereo wireless earphones | |
CN105991832B (en) |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861357B1 (en) |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 |
KR101664195B1 (en) | Bluetooth headset with built-in speakers | |
KR101672947B1 (en) |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 |
KR101672949B1 (en) | A Hearing Device with a Connecting Structure of a Multimedia and a Method for Playing Sound of a Multimedia with the Same | |
US9913029B2 (en) | Sound filter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