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412A - 다기능 비데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비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412A
KR20130109412A KR1020120031130A KR20120031130A KR20130109412A KR 20130109412 A KR20130109412 A KR 20130109412A KR 1020120031130 A KR1020120031130 A KR 1020120031130A KR 20120031130 A KR20120031130 A KR 20120031130A KR 20130109412 A KR20130109412 A KR 2013010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
unit
bidet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329B1 (ko
Inventor
공주석
Original Assignee
공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석 filed Critical 공주석
Priority to KR102012003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2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비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커버부의 중심부에 투명 관찰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전에 좌변기 내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좌변기의 불필요한 물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좌변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 세균의 외부 비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에 에어 커튼 노즐을 형성하고, 시트부를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장착함으로써, 비데 장치 및 화장실 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비데 사용이 완료된 이후 커버부를 자동으로 회동시키고 에어 커튼 노즐 및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항상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비데 장치{Multi-Functional Bidet}
본 발명은 다기능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커버부의 중심부에 투명 관찰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전에 좌변기 내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좌변기의 불필요한 물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좌변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 세균의 외부 비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에 에어 커튼 노즐을 형성하고, 시트부를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장착함으로써, 비데 장치 및 화장실 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비데 사용이 완료된 이후 커버부를 자동으로 회동시키고 에어 커튼 노즐 및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항상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 장치는 좌변기에 부속 설치되는 장치로서, 그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시킴으로써 항문세척이나 여성의 질 세척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데 장치는 최근 그 사용 범위가 매우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공공 장소의 화장실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개인 위생에 대한 의식이 급속히 변화되어 청결함과 깔끔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이러한 비데 장치가 더이상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단순 세정 및 세척 기능 이외에도 비데 장치에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고급화, 복합화, 첨단화되는 경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비데 시장 또한 급속히 팽창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장의 팽창에 따른 업체 난립과 과열 경쟁으로 인해 최근에는 비데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기 보다는 다양한 옵션 기능을 추가하여 가격 상승을 불러일으키는 등의 부정적 발전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부정적 발전 성향을 바로 잡아 더욱 건전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요구가 새롭게 나타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비데 장치의 본연의 기능 및 목적에 충실하고 건강과 실질적으로 연계되는 중요한 기능만을 재구성하여 건강과 편리함을 아울러 추구할 수 있는 새로운 비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커버부의 중심부에 투명 관찰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전에 좌변기 내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좌변기의 불필요한 물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변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 세균의 외부 비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에 에어 커튼 노즐을 형성하고, 시트부를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장착함으로써, 비데 장치 및 화장실 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데 사용이 완료된 이후 커버부를 자동으로 회동시키고 에어 커튼 노즐 및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항상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에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부에 지압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고, 지압 돌기를 돌출 및 돌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압 기능을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의 상면 후단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이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좌변기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와,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회동 접촉하는 커버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관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의 둘레를 따라 공기를 하향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 커튼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에는 자외선 살균 램프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투명 관찰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투시홀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재질의 하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는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는 상기 시트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는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 바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바디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지압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지압 플레이트; 상기 지압 돌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부 바디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돌출 해제되도록 상기 지압 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하부 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커버부를 회동 구동하는 커버 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 구동부는 상기 로드셀에 의한 측정값에 따라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 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 컴프레셔 및 자외선 살균 램프가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커버부의 중심부에 투명 관찰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전에 좌변기 내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좌변기의 불필요한 물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변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 세균의 외부 비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에 에어 커튼 노즐을 형성하고, 시트부를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장착함으로써, 비데 장치 및 화장실 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데 사용이 완료된 이후 커버부를 자동으로 회동시키고 에어 커튼 노즐 및 자외선 살균 램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항상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에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부에 지압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고, 지압 돌기를 돌출 및 돌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압 기능을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커버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체중 조작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시트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시트부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커버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체중 조작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20)는 좌변기(10)의 상면 후단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01)이 장착되는 본체부(100)와, 좌변기(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부(200)와,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부(200)의 상면에 회동 접촉하는 커버부(300)와, 다수개의 기능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커버부(3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관찰부(301)가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00)가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커버부(300)의 중심부분에 투명 관찰부(301)가 형성된다. 투명 관찰부(301)는 단순 관통홀의 형태가 아니라 커버부(300)의 중심부분에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좌변기 내부 공간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좌변기(10)의 사용 상태를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전 불필요하게 좌변기의 물을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00)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00)가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시트부(200)의 둘레를 따라 공기를 하향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 커튼 노즐(3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자외선 살균 램프(303)가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커버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관찰부(301)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투시홀(311)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310)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커버 플레이트(3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재질의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커버 플레이트(310)는 불투명 재질로 색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다만, 투명 관찰부(30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투시홀(311)이 형성된다.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는 완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부 커버 플레이트(310)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가 결합하면,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투시홀(311)을 통해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을 육안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살균 램프(303)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310)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가 투명 재질로 형성됨과 동시에 자외선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자외선 살균 램프(303)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를 통과하여 시트부(200) 및 좌변기(10) 등을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300)가 시트부(200)에 접촉하도록 회동하게 되면, 자외선 살균 램프(303)와 시트부(200)가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시트부(200)에 대한 자외선 살균 램프(303)의 살균 기능이 매우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200)의 둘레를 따라 공기를 하향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 커튼 노즐(3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 커튼 노즐(302)에는 별도의 에어 컴프레셔(340)가 연결 호스(33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 호스(330)에는 다수개의 에어 커튼 노즐(302)에 각각 연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 포트(33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에어 컴프레셔(340)와 에어 커튼 노즐(302)은 별도의 연결 호스(330)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하부 커버 플레이트(320)에 공기 유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 유로에 에어 커튼 노즐(302)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에어 컴프레셔(3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에어 커튼 노즐(302)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는데, 이때, 커버부(300)가 시트부(200)에 회동 접촉한 상태에서 에어 커튼 노즐(302)의 공기 분사 방향은 시트부(200)를 향해 하향 분사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에어 커튼 노즐(302)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면, 좌변기(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 세균이나 이물질이 좌변기(10)의 외부로 비산 방출되지 않아 화장실의 환경이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좌변기(10)에서는 각종 유해 세균이 발생하여 외부 공간으로 비산 방출되는데, 이러한 유해 세균에 의해 화장실 내부 공간이 위생적으로 양호하지 못하게 되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화장실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좌변기의 사용후에는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커버를 닫아두게 되는데, 단순히 커버의 닫힘 구조만으로는 각종 유해 세균의 비산 방출을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 커튼 노즐(302)을 시트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여 공기를 하향 분사하게 되면, 시트부(200)의 둘레를 따라 에어 커튼이 형성되므로, 좌변기(10)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 세균이 외부로 비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장실 환경을 더욱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커버부(3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는 커버부(300)를 자동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 구동부(350)가 구비된다.
커버 구동부(3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커버부(300)를 회동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체부(100) 내부에는 별도의 제어부(600)가 장착되어 조작부(4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해당 구성 요소를 동작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조작부(400)의 비데 기능 버튼 또는 건조 송풍 기능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분사 노즐(101)에 의해 물이 분사되거나 바람이 분사되도록 동작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부(600)에 의한 비데 기능은 일반적인 비데 장치에 적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커버부(300)를 회동 구동하는 커버 구동부(350)가 장착되고, 커버 구동부(350)가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 제어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완료된 이후 커버 구동부(350)가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시트부(200)에 착석하여 용변을 본 후 시트부(200)로부터 일어나게 되면, 제어부(600)는 이를 감지하여 커버 구동부(350)를 작동시키고, 커버 구동부(350)의 작동에 의해 커버부(300)가 좌변기를 폐쇄하도록 회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커버부(300)를 회동시키지 않더라도 제어부(600) 및 커버 구동부(350)에 의해 자동으로 커버부(300)가 회동하여 좌변기(1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이 완료되어 시트부(200)로부터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감지 수단은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부(200)로부터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후술하는 로드셀(260)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시트부(200)에 로드셀(26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커버부(3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00)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 수단(304)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600)는 이러한 회동 감지 수단(304)의 감지 신호에 따라 에어 컴프레셔(340) 및 자외선 살균 램프(303)가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즉, 에어 컴프레셔(340) 및 자외선 살균 램프(303)는 커버부(300)가 시트부(200)에 회동 접촉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비데 장치의 사용이 완료되어 시트부(200)로부터 일어나게 되면, 후술할 로드셀(260)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제어부(600)는 로드셀(260)에 의한 신호를 인가받아 커버 구동부(350)를 제어하여 커버부(300)를 시트부(200)에 회동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부(300)가 시트부(200)에 회동 접촉하게 되면, 회동 감지 수단(304)에 의해 커버부(300)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600)는 회동 감지 수단(304)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커버부(300)가 회동 완료한 상태에서 에어 컴프레셔(340) 및 자외선 살균 램프(303)가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커버부(300)가 닫히며, 닫힌 상태에서 에어 컴프레셔(340) 및 자외선 살균 램프(303)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항상 에어 컴프레셔(340) 및 자외선 살균 램프(303)를 통해 유해 세균의 비산 방지 및 살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화장실 환경을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200)에는 그 내부 공간에 시트부(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260)이 장착되며, 조작부(400)에는 로드셀(260)에 의해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셀(2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200)에 다수개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비데 기능과 관련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비데 기능 조작부(410)와, 체중 측정과 관련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체중 기능 조작부(420)로 분리 형성될 수 있는데, 체중 기능 조작부(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200)의 전방 상단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체중 기능 조작부(420)에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체중 기능 조작부(4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버튼(423), 입력 조작 버튼(422) 및 디스플레이부(4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21)는 LCD와 같은 액정 화면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21)를 통한 입력 기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21)는 사용자의 현재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현재 체중 표시부(421-1)와, 이전에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을 표시하는 이전 체중 표시부(421-2)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로드셀(26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은 제어부(600)로 인가되어 디스플레이부(421)의 현재 체중 표시부(421-1)에 표시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은 별도의 데이터 저장 장치(미도시)에 저장되며, 이후 사용자가 다시 체중을 측정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421)에는 현재 체중 표시부(421-1) 및 이전 체중 표시부(421-2)를 통해 현재 체중 및 이전 체중이 모두 표시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 변화를 계속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 조작 버튼(422)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고, 지정된 사용자마다 체중 데이터가 각각 분리되어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되며, 해당 사용자의 체중 데이터가 각각 디스플레이부(421)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시트부(200)의 상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를 지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압 돌기(2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압 돌기(221)는 시트부(200)의 상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중심으로 시트부(20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시트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비데 장치의 시트부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드셀(260)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지압 돌기(221)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에 지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압 돌기(2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시트부(200)는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상부 바디(210)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바디(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220)와, 상부 바디(210)와 지지 플레이트(220)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지압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지압 플레이트(220)와, 지압 돌기(221)가 상부 바디(210)의 관통홀(211)을 통해 상부 바디(210)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돌출 해제되도록 지압 플레이트(2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30)와, 지지 플레이트(2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2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로드셀(260)은 지지 플레이트(220)와 하부 바디(27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 바디(210)의 관통홀(211)을 통해 지압 플레이트(220)의 지압 돌기(221)가 상향 돌출되거나 돌출 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만 지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압 플레이트(220)는 별도의 액츄에이터(230)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액츄에이터(230)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바디(210)의 상면에는 관통홀(211)이 외부로부터 폐쇄되도록 별도의 보호 커버(28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 커버(280)는 지압 돌기(221)가 상향 돌출할 때 탄성 변형하며 지압 돌기(221)와 함께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 돌기(221)가 관통홀(211)을 통해 상향 돌출되면, 보호 커버(280)는 지압 돌기(221)에 의해 관통홀(211) 부위에서 탄성 변형하며 지압 돌기(221)와 함께 상향 돌출되도록 탄성 변형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 돌기(221)가 돌출 해제되도록 하향 이동하면, 보호 커버(280)는 다시 원상 복귀하며 관통홀(211)을 폐쇄한 상태로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지압 플레이트(220)의 하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 플레이트(220)를 상하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압 플레이트(220) 및 지압 돌기(221)가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에 대한 지압 기능 뿐만 아니라 마사지 기능 또한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진동 수단(240)은 모터(미도시)와 모터축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 블록(미도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압 플레이트(220)는 지지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부 바디(210)와 지지 플레이트(220)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상부 바디(210)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압력은 지지 플레이트(2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260)은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게 된다. 로드셀(26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은 체중 기능 조작부(420)의 디스플레이부(421)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좌변기 20: 비데 장치
100: 본체부 200: 시트부
221: 지압 돌기 260: 로드셀
300: 커버부 301: 투명 관찰부
302: 에어 커튼 노즐 303: 자외선 살균 램프
304: 회동 감지 수단 340: 에어 컴프레셔
350: 커버 구동부 400: 조작부
420: 체중 기능 조작부 500: 제어부

Claims (8)

  1. 좌변기의 상면 후단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이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좌변기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와,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회동 접촉하는 커버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관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좌변기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의 둘레를 따라 공기를 하향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 커튼 노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자외선 살균 램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투명 관찰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투시홀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투명 재질의 하부 커버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 램프는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는 상기 시트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체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 바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바디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지압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지압 플레이트;
    상기 지압 돌기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부 바디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돌출 해제되도록 상기 지압 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하부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커버부를 회동 구동하는 커버 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 구동부는 상기 로드셀에 의한 측정값에 따라 작동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 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 감지 수단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 컴프레셔 및 자외선 살균 램프가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KR1020120031130A 2012-03-27 2012-03-27 다기능 비데 장치 KR10136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30A KR101367329B1 (ko) 2012-03-27 2012-03-27 다기능 비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30A KR101367329B1 (ko) 2012-03-27 2012-03-27 다기능 비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12A true KR20130109412A (ko) 2013-10-08
KR101367329B1 KR101367329B1 (ko) 2014-02-28

Family

ID=4963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30A KR101367329B1 (ko) 2012-03-27 2012-03-27 다기능 비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779A (ko) * 2014-12-17 2016-06-27 (주)옥토끼이미징 자동 점멸식 극장용 일렬의자
KR20170002184U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글라스원 양변기용 기능성 덮개
CN110475933A (zh) * 2017-04-05 2019-11-19 豪威株式会社 具有坐浴盆座消毒功能的坐浴盆
KR20210080909A (ko) * 2019-12-23 2021-07-01 박준석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KR102282940B1 (ko) * 2020-09-03 2021-07-28 나형준 좌변기용 에어커튼 장치
KR20220010080A (ko) *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지경테크 비데의 살균 및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45B1 (ko) *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KR102157307B1 (ko) * 2020-06-22 2020-09-17 허현우 살균기능을 포함하는 변기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71A (ja) * 2001-02-15 2002-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洗浄便座装置
JP2003265357A (ja) * 2002-03-14 2003-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KR200444927Y1 (ko) * 2007-11-08 2009-06-17 강서익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KR20090129703A (ko) * 2008-06-13 2009-12-17 방현정 악취 확산을 방지하는 양변기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779A (ko) * 2014-12-17 2016-06-27 (주)옥토끼이미징 자동 점멸식 극장용 일렬의자
KR20170002184U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글라스원 양변기용 기능성 덮개
CN110475933A (zh) * 2017-04-05 2019-11-19 豪威株式会社 具有坐浴盆座消毒功能的坐浴盆
KR20210080909A (ko) * 2019-12-23 2021-07-01 박준석 양변기용 공기순환식 악취배출장치
KR20220010080A (ko) *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지경테크 비데의 살균 및 정화 장치
KR102282940B1 (ko) * 2020-09-03 2021-07-28 나형준 좌변기용 에어커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329B1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29B1 (ko) 다기능 비데 장치
TWI666365B (zh) 內建清潔器組件之清洗系統及方法
KR1008358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벽면 부착용 손 소독기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JP2002364055A (ja) 衛生洗浄便座装置
US11445869B2 (en) Toilet seat assembly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KR101154576B1 (ko) 다기능 화장실
JP2004232283A (ja) スイッチ表示方法
KR20080098105A (ko) 살균장치를 가진 좌변기
KR20130066740A (ko) 살균기능을 갖춘 양변기커버
KR101257204B1 (ko) 자동 작동 변기
JP3729073B2 (ja) 洋風便器装置
KR100719063B1 (ko) 좌변시트의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와 이를 이용한살균 및 세척방법
KR20140108948A (ko) 이동식 사용기능을 갖는 다기능 손 세정장치
JP3181671U (ja) 洗浄機能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一体型車椅子
KR20120001647A (ko) 손 세척기
KR20160069103A (ko)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JP7448900B2 (ja) ユニットバス
KR200386636Y1 (ko) 변기
KR20180133293A (ko) 건강 체크 기능을 갖춘 비데
KR101248194B1 (ko) 다기능 비데 장치
CN211584211U (zh) 一种便携式中医肛肠用治疗机
KR100454811B1 (ko) 좌변기용 좌대의 살균 시스템
KR102642465B1 (ko) 하이브리드 IoT 양변기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