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956A -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956A
KR20130108956A KR20120054392A KR20120054392A KR20130108956A KR 20130108956 A KR20130108956 A KR 20130108956A KR 20120054392 A KR20120054392 A KR 20120054392A KR 20120054392 A KR20120054392 A KR 20120054392A KR 20130108956 A KR20130108956 A KR 20130108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ntenna
radiator
human
fe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5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440B1 (ko
Inventor
최재훈
권결
하재근
이순용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3/00241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47470A1/ko
Priority to US14/387,828 priority patent/US9831544B2/en
Publication of KR2013010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체 착용형 안테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0차 공진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를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중 대역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는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WEARABLE ANTENNA WITH DUAL BAN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근접하거나 인체를 중심으로 하는 RF 무선 통신은 인체 근거리 통신(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그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RF 무선 통신은 몸에 이식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장치를 인체에 탑재하여 인체를 하나의 노드로 형성한 WBAN 뿐만 아니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및 무선 사설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과 결합하여 다양한 응용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응용분야 중 인체 내부에 의료 장비를 이식하여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장비들은, 예를 들어, 심장 박동이나 혈압 등을 체크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동작하며,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안테나가 사용된다.
안테나를 포함하는 종래의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 인체의 높은 유전율로 인해 안테나의 반사손실 특성이 변화되어 실제 사용시 성능 저하가 발생하거나 원하지 않는 동작 특성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낮은 방사 효율, 낮은 소비 전력, 주변 의료기기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방사 전력 제한 등의 한계로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와 직접 통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이중 대역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0차 공진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를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비아홀에 삽입되며,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제1 급전 선로 및 상기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0차 공진 안테나의 제2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락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 받아 RF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체; 상기 기판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급전 선로는 CPW 급전 선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체는 상기 제2 급전 선로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제2 급전 선로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덕터는 칩 인덕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 착용형 안테나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밴드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MICS 대역에서 인체 내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인체 외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0차 공진 안테나;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비아홀에 삽입되며,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0차 공진 안테나의 급전 선로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락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0차 공진 안테나;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를 둘러싸고 있는 접지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중 대역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는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중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를 실험하기 위한 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가 팬텀 위에 위치할 때와 공기 중에 있을 때의 반사 손실 성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에서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측정된 평균 SAR 값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에서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로 신호가 무선 전송되는 경우 높은 유전율을 갖는 인체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로부터 생체 신호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 신호를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중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 착용형 중계 시스템은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 및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는 인체 내부에 이식되어 심장 박동이나 혈압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는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로 전송한다. 즉,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는 전송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는 일반적으로 MICS(Medical Implantable Communication Service) 대역(402MHz~405MHz)에서 동작하며,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2.4GHz~2.485GHz)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는 ISM 대역과 MICS 대역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도록 이중대역을 갖는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의 상부는 ISM 대역에서 인체 외부 지향성 방사 패턴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로 구현되며, 하부는 MICS 대역에서 인체 내부 지향성 방사 패턴을 가지는 0차 공진(Epsilon Negative Zeroth Order resonance, ENG ZOR)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기판의 상부에 급전 선로가 배치되고 기판의 하부에 접지면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안테나로서, 급전 선로와 접지면 사이로 신호가 전송되는 안테나이다.
따라서, 하나의 기판에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0차 공진 안테나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0차 공진 안테나는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접지면 및 접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방사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는 하나의 접지면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및 0차 공진 안테나를 동시에 구현한다.
이하,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전체 기판(11)은 RF 신호의 방사를 위한 유전율을 제공하며 안테나가 결합되는 바디부로서 기능한다. 도 2의 상부 구조 및 도 3의 하부 구조는 유전체 기판(11)상에 형성되며, 다양한 금속 결합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체 기판(11)상에 결합된다. 일례로, 에칭, 프린팅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체 기판(11)상에 도 2 및 도 3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전체 기판(11)은 비유전율이 4.4이며, 1.6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FR-4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기판의 두께 및 재질은 사용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저가의 FR-4 기판의 상, 하면을 이용함으로써 단일 평면 구조의 착용형 시스템에 적합한 간단한 안테나를 설계할 수 있으며, 제작 원가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유전체 기판(11)의 상부에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현을 위해 제1 방사체(12) 및 제1 급전 선로(13)가 형성된다.
또한, 유전체 기판(11)의 하부에는 0차 공진 안테나의 구현을 위해 접지면(15), 제2 급전 선로(16), 제2 방사체(17) 및 인턱터(18)가 형성된다.
우선,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로 구현되는 유전체 기판(11)의 상부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제1 급전 선로(13)는 급전부(14)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제1 방사체(12)에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제1 급전 선로(13)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급전 선로(13)가 커넥터와 결합될 때 급전 신호가 제공되는 커넥터의 내심이 제1 급전 선로(13)와 결합된다.
제1 방사체(12)는 인셋(inset) 엣지 급전을 위해 제1 급전 선로(13)와 소정 거리 이격 될 수 있다.
유전체 기판(11)의 하부에 형성된 접지면(15)을 통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신호는 제1 급전 선로(13)와 접지면(15) 사이에 필드 형태로 유기되어 전달된다.
또한, 제1 방사체(12)의 하부에 접지면(15)이 존재하므로, 접지면(15)은 제1 방사체(12)로부터 인체로 방사되는 전파의 양을 줄여 전파의 인체 흡수율인 SAR(Specific Absorption Rate)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사체(12)의 길이 및 폭에 의해 방사되는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는 'ㄷ'자 형태의 제1 방사체(12)가 도시되어 있으나 방사체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인체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ISM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ISM 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길이 및 폭이 27.5mm인 제1 방사체(12)에 급전부(14)와 연결된 폭 3 mm의 제1 급전 선로(13)를 형성한다. 또한, 엣지 급전 구조의 구현을 위해 제1 방사체(12)와 제1 급전 선로(13)간의 간격은 길이 8.75mm, 폭 7mm로 설정하였다. 물론, 상기 제1 방사체(12) 및 제1 급전 선로(13)의 길이 및 폭은 사용 주파수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0차 공진 안테나로 구현되는 유전체 기판(11)의 하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유전체 기판(11)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급전 선로(16)는 유전체 기판(11)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비아홀에 삽입된 단락 기둥(19)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제2 방사체(17)에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즉, 하나의 급전부(14)를 통해 제공되는 급전 신호는 제1 급전 선로(13)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단락 기둥(19)을 통해 제2 급전 선로(16)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하나의 급전부(14)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0차 공진 안테나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급전 선로(16)는 제2 급전 선로(16)의 동일 평면상의 주변으로 형성된 접지면(15)이 존재하는 CPW 구조의 급전 선로(16)로 구현된다. CPW 구조의 급전 선로는 급전 선로의 동일 평면상의 주변으로 접지면을 형성하고, 급전 선로와 접지면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켜 RF 신호를 전송하는 급전 선로로서 평판 구조의 안테나에 주로 사용된다.
접지면(15)은 전기적으로 접지와 결합되어 접지 전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면(15)은 2 급전 선로(16) 및 제2 방사체(17)를 둘러싸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0차 공진 안테나는 CPW 급전 구조를 가지기에 접지면(15)은 제2 급전 선로(16)와는 커플링 가능한 거리로 이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접지면(15)을 통해 유전체 기판(11)의 상부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고 하부는 0차 공진 안테나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방사체(17)는 CPW 구조의 급전선로(16)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갭 피딩 방식으로 급전된다. 제2 방사체(17)의 길이 및 폭에 의해 방사되는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사각형 형상의 제2 방사체(17)가 도시되어 있으나 방사체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방사체(17)와 접지면(15)은 인덕터(18)에 의해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0차 공진 안테나는 인덕터(18)를 제2 방사체(17)와 접지면(15) 사이에 결합시킴으로써 음의 유전율을 갖는 0차 공진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0차 공진 안테나는 인덕터(18)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덕터(18)는 칩 인덕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높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체 기판(11)의 하부면에 형성된 0차 공진 안테나는 인체 이식형 기기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MICS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MISC 대역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2 급전 선로(16)의 길이를 8mm, 폭을 6 mm로 설정하였다. 또한, 제2 방사체(17)의 길이를 7mm, 폭을 14mm로 설정하였으며 제2 급전 선로(16)와 방사체(17)간의 간격을 0.2mm로 설정하였다. 물론, 제2 방사체(17) 및 제2 급전 선로(16)의 길이 및 폭은 사용 주파수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ISM 대역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기판(11)의 상부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12) 하부에 형성된 접지면(15)의 영향으로 인체 표면과 안테나의 간격이 가까워져도 반사 손실 특성이 변하지 않고, 인체 외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갖게 된다.
또한, MISC 대역에서 동작하는 유전체 기판(11) 하부의 0차 공진 안테나는 상부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영향으로 인체 외부 방향으로의 방사가 억제되어 인체 내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갖고, 0차 공진의 특성 상 인체 표면과 안테나의 간격이 가까워져도 반사 손실 특성이 거의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MICS 대역에서는 인체 내부 지향성, ISM 대역에서는 인체 외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가지므로 높은 유전율을 갖는 인체가 안테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둔감해지게 되어 통신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가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와 인체 외부 무선기기(120)간의 통신을 중계함으로써 종래의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가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120)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 발생하는 통신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0차 공진 안테나를 통해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별도의 신호 처리 장치(미도시)를 통해 주파수 변조되어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통해 인체 외부 무선기기(12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는 인체의 피부 곡률에 따라 유연성이 있게 밀착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밴드상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유전체 기판(11)은 신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는 인체가 착용하는 옷 내부에 삽입되거나 옷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가 인체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를 실험하기 위한 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높이 70mm, 270 m×200mm의 인체 등가 유전율을 갖는 반고체형 팬텀(Phantom)의 표면 중앙으로부터 10mm만큼 떨어져 있는 상태로 안테나의 성능 측정을 진행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가 팬텀 위에 위치할 때와 공기 중에 있을 때의 반사 손실 성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ICS 대역과 ISM 대역 모두에서 인체가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와 가깝게 위치할 때,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의 반사 손실 특성은 인체의 영향에 매우 둔감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에서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의 하부에 구현된 0차 공진 안테나는 MICS 대역에서 동작하는 인체 내부에 이식된 무선기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403.5MHz에서 인체 내부 지향성 반사패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체 착용형 안테나(110)의 상부에 구현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동작하는 인체 외부 무선기기(120)와 통신하기 위하여 2459MHz 에서 인체 외부 지향성 방사 패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형 안테나의 측정된 평균 SAR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휴대 전화 SAR 측정 입력전력인 250 mW를 인가하였을 때 도 6(a) 와 같이 MICS 대역의 403.5 MHz에서는 0.411 W/kg로 측정되었으며 도 6(b)와 같이 ISM 대역의 2450MHz에서는 0.455 W/kg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ANSI/IEEE 기준인 1.6W/kg에 비해 충분히 작은 값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인체 이식 무선기기 110: 인체 착용형 안테나
120: 인체 외부 무선기기
11: 유전체 기판 12: 제1 방사체
13: 제1 급전 선로 14: 급전부
15: 접지면 16: 제2 급전 선로
17: 제2 방사체 18: 인덕터
19: 단락 기둥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인체 이식형 무선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0차 공진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를 인체 외부의 무선기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접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비아홀에 삽입되며,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제1 급전 선로 및 상기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0차 공진 안테나의 제2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락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급전 선로로부터 급전 신호를 제공 받아 RF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체;
    상기 기판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면;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접지면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선로는 CPW 급전 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상기 제2 급전 선로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제2 급전 선로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칙용형 안테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칩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착용형 안테나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밴드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MICS 대역에서 인체 내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인체 외부 지향성의 방사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11.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0차 공진 안테나;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비아홀에 삽입되며,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0차 공진 안테나의 급전 선로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락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12.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0차 공진 안테나;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0차 공진 안테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를 둘러싸고 있는 접지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KR1020120054392A 2012-03-26 2012-05-22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KR10146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2417 WO2013147470A1 (ko) 2012-03-26 2013-03-22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US14/387,828 US9831544B2 (en) 2012-03-26 2013-03-22 Human body wearable antenna having dual bandwid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0485 2012-03-26
KR1020120030485 201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956A true KR20130108956A (ko) 2013-10-07
KR101466440B1 KR101466440B1 (ko) 2014-12-02

Family

ID=4963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392A KR101466440B1 (ko) 2012-03-26 2012-05-22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31544B2 (ko)
KR (1) KR101466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25B1 (ko) * 2014-09-18 2016-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통신용 중계 시스템 안테나
KR102358643B1 (ko) * 2020-09-01 2022-0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대역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2738A1 (en) * 2014-07-22 2016-01-28 Kabushiki Kaisha Toshiba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enna
US9450298B2 (en) * 2014-10-01 2016-09-20 Salutron, Inc. User-wearable devices with primary and secondary radiator antennas
JP6295372B2 (ja) * 2015-03-20 2018-03-14 株式会社東芝 植込み型医療デバイスからの信号を検出してリレーするための第1のスロットアンテナと第2のスロットアンテナとを備えるリレーデバイス
US10734713B2 (en) 2016-04-27 2020-08-04 Fractus Antennas, S.L. Ground plane booster antenna technology for wearable devices
GB201712326D0 (en) 2017-08-01 2017-09-13 Univ Southampton Wearable antenna and intra-uterine monitoring system
CN109904602B (zh) * 2019-03-11 2024-02-06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双频段双模式无线体域网天线
US11870135B2 (en) * 2022-01-04 2024-01-09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Dual resonant wearable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630A (en) * 1994-10-13 1997-05-06 Ael Industries, Inc. Medical telemetry system using an implanted passive transponder
JP2009106307A (ja) 2007-09-28 2009-05-21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医療無線通信システム用の人体埋設型アンテナ
KR20110011849A (ko) * 2009-07-29 2011-02-09 전자부품연구원 임플란트용 마이크로스트립 타입 듀얼밴드 안테나
KR20110025047A (ko) * 2009-09-01 2011-03-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상된 대역폭 및 높은 효율을 가지며 구현이 간단한 소형 0차 공진 안테나
KR20110060389A (ko) 2009-11-30 2011-06-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요성 기판에 제작된 0차 공진 메타 안테나
KR101021495B1 (ko) 2009-12-30 2011-03-16 한국과학기술원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US8599089B2 (en) * 2010-03-30 2013-12-03 Apple Inc. Cavity-backed slot antenna with near-field-coupled parasitic sl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25B1 (ko) * 2014-09-18 2016-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통신용 중계 시스템 안테나
KR102358643B1 (ko) * 2020-09-01 2022-0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대역 안테나
WO2022050537A1 (ko) * 2020-09-01 2022-03-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대역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8981A1 (en) 2015-02-19
US9831544B2 (en) 2017-11-28
KR101466440B1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440B1 (ko)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WO2013147470A1 (ko) 이중 대역을 가지는 인체 착용형 안테나
US10468757B2 (en) Wearable device and antenna thereof
US8860613B2 (en) Patch antenna
CN107205649B (zh) 可穿戴无线电子装置
KR101533155B1 (ko)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US9368860B2 (en) Patch antenna
US9531075B2 (en) Antenna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61353A1 (en)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via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devices
KR20150072119A (ko) 인체 통신을 위한 mimo 안테나
KR101687921B1 (ko) 다중 밴드 안테나
KR101533160B1 (ko) 소형화된 구조를 가지는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KR101593825B1 (ko) 인체 통신용 중계 시스템 안테나
JP6465260B1 (ja) Rfidタグ付き金属製リング及びrfidタグの取付方法
KR20190040995A (ko) 무선 전기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체와 상기 장치의 고정구 역할을 하는 스트랩 포함 전자 장치
EP3454411B1 (en) Antenna arrangement for wearable device
KR101533153B1 (ko) 인체 부착형 인체 통신용 중계기 안테나
KR101722341B1 (ko) 모노폴과 같은 방사 특성을 가지는 이중 대역 평면형 안테나
Malik et al. Extremely low profile flexible antenna for medical body area networks
Tak et al. Design of a dual band repeater antenna for medical self-monitoring applications
KR101601599B1 (ko) 인체 착용형 장비 안테나
CN110444873A (zh) 一种用于体域网的穿戴式纽扣天线
KR101428928B1 (ko) 인체통신용 이중대역 중계기 안테나
KR101801734B1 (ko) 인체통신망을 위한 안테나
EP4071929A1 (en) A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