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796A - Twin drink bottle - Google Patents

Twin drink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796A
KR20130108796A KR1020120030531A KR20120030531A KR20130108796A KR 20130108796 A KR20130108796 A KR 20130108796A KR 1020120030531 A KR1020120030531 A KR 1020120030531A KR 20120030531 A KR20120030531 A KR 20120030531A KR 20130108796 A KR20130108796 A KR 20130108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beverage
drink
bever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범
Original Assignee
(주)흥국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국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흥국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2003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8796A/en
Publication of KR2013010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7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Twin beverage containers are provided to divide accepted beverages conveniently and hygienically without the waste of the beverages by forming two container bodies into a set. CONSTITUTION: A first container body (10a)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11a) which receives beverages and a first vent (13a) which discharges the beverages of the first storage unit. A second container body (10b) includes a second storage unit (11b) receiving beverages which are identical with or different from the beverages accepted in the first storage unit and a second vent (13b) which discharges the beverages of the second storage unit and is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second container body. An ejection pin (21) is protruded from at least one among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fitting groove (23) is depressed and formed in at least other one among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the ejection pi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Description

커플 음료 용기{TWIN DRINK BOTTLE}Couple Drinkware {TWIN DRINK BOTTLE}

본 발명은, 커플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용기 본체를 세트화하여, 각 용기 본체에 동일 또는 상호 다른 종류의 음료를 각각 수납하며, 두 개의 용기 본체가 상호 이격하도록 분리되는 커플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two container body is set, to store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beverage in each container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container body separated from each other Being a couple drink containers.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청량 음료, 생수, 차, 술 등의 각종 음료를 저장 보관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beverage container stores and stores various beverages such as soft drinks, bottled water, tea, and liquor, and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be easily consumed regardless of a place.

통상적인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일정 체적의 수용 공간을 가지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가진다.A typical beverage container has a volume of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s a container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 beverage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discharged.

또한, 통상적인 음료 용기는 한 사람이 하나의 용기 내의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하나의 용기에 담긴 음료를 두 사람 이상이 나누어 마실 때는 별도의 컵에 각각 음료수를 따라서 마시고 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allows one person to drink all of the beverages in one container, and when two or more people drink the beverage contained in one container, each drink in a separate cup along the beverage.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나의 용기 내에 담긴 음료를 한 사람이 모두 마시거나 두 사람 이상이 나누어 마시는 것에 관계없이, 하나의 용기에는 한 가지의 음료만이 담겨 있으므로 음료를 마시는 취향이 다른 두 사람이 각각 원하는 음료를 조금씩 마시려하여도 각각 원하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regardless of whether one person drinks all of the beverages contained in on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or two or more people share the same drink, since one container contains only one beverage, two people with different tastes to drink each drink Even if you want to drink a little bit of the desired drink, there is a problem that each must buy a container containing the desired drink separately.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 구입한 용기 내부의 음료는 모두 마시지 못할 경우 버려야 하는 것이므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됨은 물론 환경오염까지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ll the drinks inside the purchased containers are to be discarded if they are not drinkable, resulting in a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용기 본체를 세트화하여, 수납된 음료의 낭비없이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나누어서 마실 수 있고, 또한 세트화된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는 커플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couple of container body, can be easily divided and drinkable hygienically without waste of the stored beverage, and also a couple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selectively drink the beverage in the set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aste To provide.

상기 목적은, 음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를 갖는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되는 음료와 동일 또는 상이한 음료가 수납되는 제2수납부와, 상기 제2수납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용기 본체에 착탈하는 제2용기 본체와;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를 착탈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음료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ncludes: a first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a beverage and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of the first storage unit; A second container having a second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same or different beverage as the beverag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beverage of the second storage part is discharged,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f the second container; A main body; It is achieved by a couple drink container comprising a detachable portion for detaching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여기서, 상기 착탈부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핀과,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이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s an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portion, at least one protruding pi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vessel body and the second vessel body, and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vessel body and the second vessel body recess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fitting groove to which the protrusion pin is fitted.

또한, 상기 착탈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etachable part may include one or more sl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lide groov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he slide projection is slidably fitted.

그리고, 상기 착탈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착탈부는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의 대향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는 벨크로 테이프, 양면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portion, the detachab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Velcro tape, double-sided tape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는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has a shape that i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ther symmetrically.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용기 본체를 세트화하여, 각 용기 본체에 동일 또는 상호 다른 종류의 음료를 각각 수납하고, 두 개의 용기 본체가 상호 이격하도록 분리됨으로써, 수납된 음료의 낭비없이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나누어서 마실 수 있고, 또한 세트화된 용기 내의 음료를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two container body, each of the container body to store the same or different kinds of beverages, and the two container body is separat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ygienically convenient without waste of the stored beverage The drink can be divided and the beverage in the set container can be selectively drunk according to t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front view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view of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1)는 한 쌍의 용기 본체(10a,10b)와, 한 쌍의 용기 본체(10a,10b)를 착탈시키는 착탈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uple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achable portion for detaching a pair of container body (10a, 10b), a pair of container body (10a, 10b) And 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도 3의 우측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를 제1용기 본체(10a)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를 제2용기 본체(10b)라고 한다. 또한, 제1용기 본체(10a)에 수납된 음료를 제1음료라고 하고, 제2용기 본체(10b)에 수납된 음료를 제2음료라고 한다. 여기서, 제1음료와 제2음료는 동일 음료, 또는 상호 다른 음료일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tainer main body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3 is called the 1st container main body 10a, and the container main body located on the left side is called the 2nd container main body 10b. In addition,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1st container main body 10a is called 1st drink, and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2nd container main body 10b is called 2nd drink. Here, the first drink and the second drink may be the same drink or different drinks.

제1용기 본체(10a)는 내부에 제1음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부(11a)가 형성된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진다.The first container main body 10a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first storage portion 11a in which the first beverage is stored is formed.

제1용기 본체(10a)의 상측에는 제1수납부(11a)에 수납된 제1음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배출구(13a)의 외주에는 뚜껑(15a)이 마련되어 있다.A first outlet 13a through which the first beverag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a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a lid 15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outlet 13a. This is provided.

제1용기 본체(10a)의 일측에는 제2용기 본체(10b)와 대향하며 면접촉하는 제1접촉면(17a)이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is formed with a first contact surface 17a facing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한편, 제2용기 본체(10b)는 제1용기 본체(10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동시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has a symmetrical shape at the same time.

즉, 제2용기 본체(10b)는 내부에 제2음료가 수납되는 제2수납부(11b)가 형성된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진다.That is,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10b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econd storage portion 11b in which the second beverage is stored is formed.

제2용기 본체(10b)의 상측에는 제2수납부(11b)에 수납된 제2음료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1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배출구(13b)의 외주에는 뚜껑(15b)이 마련되어 있다.A second discharge port 13b through which the second beverag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1b is discharged is formed above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10b, and a lid 15b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3b. This is provided.

제2용기 본체(10b)의 일측에는 제1용기 본체(10a)와 대향하며 면접촉하는 제2접촉면(17b)이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is formed with a second contact surface 17b facing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ontainer body 10b.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1)의 착탈부(20)는 제1용기 본체(10a)의 제1접촉면(17a)과 제2용기 본체(10b)의 제2접촉면(17b)에 마련된다.Meanwhile, the detachable portion 20 of the couple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 17b).

도 2에는 본 발명의 착탈부(20)의 일 실시예로서,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두 쌍의 돌출핀(21)과, 돌출핀(21)이 끼움 결합되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두 쌍의 끼움홈(23)을 포함한다.2, as an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pairs of protrusion pins 21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wo pairs of fitting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pins 21 are fitted are fitted. Groove 23.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핀(21)이 제1용기 본체(10a)의 전면에 인접하게 제1접촉면(17a)으로부터 상하로 이격하며 돌출되어 있고, 다른 한 쌍의 돌출핀(21)이 제2용기 본체(10b)의 후면에 인접하게 제2접촉면(17b)으로부터 상하로 이격하며 돌출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protruding pins 21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other pair of protruding pins 21 It protrudes from the 2nd contact surface 17b up and down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is 2nd container main body 10b.

또한, 각 끼움홈(23)은 각 돌출핀(21)에 대응하여 제1접촉면(17a)과 제2접촉면(17b)에 함몰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끼움홈(23)은 제1용기 본체(10a)의 후면에 인접하게 제1접촉면(17a)에 상하로 이격하며 함몰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쌍의 끼움홈(23)은 제2용기 본체(10b)의 전면에 인접하게 제2접촉면(17b)에 상하로 이격하며 함몰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grooves 23 are recessed in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7b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otruding pins 21. That is, the pair of fitting grooves 23 are spaced apart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other pair of fitting grooves 23 are It is recessed and spaced up and down on the 2nd contact surface 17b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2 container main body 10b.

이와 같이, 두 쌍의 돌출핀(21)과 두 쌍의 끼움홈(23)을 마련함으로써,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는 상호 구분됨이 없이 상호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As such, by providing two pairs of protruding pins 21 and two pairs of fitting grooves 23,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ntainer. The main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10b may be coupled symmetrically without being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각 돌출핀(21)이 각 끼움홈(2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의 보관시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가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휴대하고 이동하기 편리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protruding pins 21 is fitted to each fitting groove 23, so that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In addition, the first container main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10b can be stably stored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couple drink container is stor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venient to carry and mov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반쪽의 하트 문양을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1)에는 전체적으로 하트 형상을 형성한다. 이로써, 커플 음료 용기(1)의 미적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감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반쪽의 하트 문양은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half heart pattern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respectively. Thus, as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are mutually coupled, the couple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eart shape as a whole. Thereby, while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uple drink container 1, the user's sensitivity can be increased. Here, the half heart pattern may be form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first vessel body 10a and the second vessel body 10b.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핀(21)과 끼움홈(23)이 각각 두 쌍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돌출핀(21)과 끼움홈(23)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돌출핀(21)과 끼움홈(23)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돌출핀(21)과 끼움홈(23)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돌출핀(21)이 제1용기 본체(10a)로부터 돌출되고, 하나 이상의 끼움홈(23)이 제2용기 본체(10b)에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wo pairs of the protruding pin 21 and the fitting groove 23 are provided, respectively, but the quantity of the protruding pin 21 and the fitting groove 23 is not limited to each one or a plurality of them. It can be prepared as. In addition, the protrusion pin 21 and the fitting groove 23 is described a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the protrusion pin 21 and the fitting groove 23 may have an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lthough not shown, one or more protruding pins 21 may protrude from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one or more fitting grooves 2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에 동일 종류의 음료가 수납된 경우, 제1용기 본체(10a)의 돌출핀(21)을 제2용기 본체(10b)의 끼움홈(23)으로부터 이탈시켜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를 상호 이격하도록 분리시킴으로써, 각 용기 본체(10a,10b)에 수납된 음료의 낭비없이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나누어서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에 상호 다른 종류의 음료가 수납된 경우, 마찬가지로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를 상호 이격하도록 분리시킴으로써, 세트화된 용기 내의 음료를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ame kind of beverag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the protruding pins 21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re moved to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being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23 of the You can drink separately. In addition, when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are simil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them. In addition, the beverage in the set container can be selectively drinking according to taste.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1')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착탈부(20')로서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25a)와, 슬라이드 돌기(2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25b)을 포함한다.5 shows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uple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achable portion 20' and a pair of slide protrusions 25a and slide protrusions,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air 25a includes a pair of slide grooves 25b to be slidably fitted.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25a)가 제1용기 본체(10a)의 후면에 인접하게 제1접촉면(17a)으로부터 제1용기 본체(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25a)가 제2용기 본체(10b)의 전면에 인접하게 제2접촉면(17b)으로부터 제2용기 본체(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slide projection 25a protru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other one. The slide projection 25a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17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또한, 한 쌍의 슬라이드 홈(25b)은 각 슬라이드 돌기(25a)에 대응하여 제1접촉면(17a)과 제2접촉면(17b)에 함몰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슬라이드 홈(25b)은 제1용기 본체(10a)의 전면에 인접하게 제1접촉면(17a)에 제1용기 본체(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홈(25b)은 제2용기 본체(10b)의 후면에 인접하게 제2용기 본체(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다.Further, the pair of slide grooves 25b are recessed in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7b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ide projections 25a. That is, one slide groove 25b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on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other slide. The groove 25b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이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25a)와 한 쌍의 슬라이드 홈(25b)을 마련함으로써,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용기 본체(10a)와 제2용기 본체(10b)는 상호 구분됨이 없이 상호 대칭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us, by providing a pair of slide protrusion 25a and a pair of slide grooves 25b, the 1st container main body 10a and the 2nd container main body 10b have a shape which is mutually symmetrical, and the 1st container The main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10b may be coupled symmetrically without being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25a)와 한 쌍의 슬라이드 홈(25b)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돌기(25a)와 슬라이드 홈(25b)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돌기(25a)가 제1용기 본체(10a)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홈(25b)이 제2용기 본체(10b)에 마련될 수도 있다.
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a pair of slide projections 25a and a pair of slide grooves 25b are provided, the quantity of the slide projections 25a and the slide grooves 25b is not limited thereto, respectively. One or more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e or more slide protrusions 25a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one or more slide grooves 25b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 음료 용기(1")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착탈부(20")로서 양면 테이프(27a,27b)가 마련되어 있다.6 shows a coupl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uple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double-sided tapes 27a and 27b as detachable portions 20",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제1용기 본체(10a)와 상기 제2용기 본체(10b)의 대향 접촉하는 면, 즉 제1용기 본체(10a)의 제1접촉면(17a)과 제2용기 본체(10b)의 제2접촉면(17b)에는 양면 테이프(27a,27b)가 마련되어 있다.A surface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face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 17b) is provided with double-sided tapes 27a and 27b.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착탈부로서 양면 테이프(27a,27b) 대신에, 제1용기 본체(10a)의 제1접촉면(17a)과 제2용기 본체(10b)의 제2접촉면(17b)에 벨크로 테이프가 마련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here, instead of the double-sided tapes 27a and 27b as detachable parts, the first contact surface 17a of the first container body 10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7b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0b are not shown. Velcro tape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용기 본체를 세트화하여, 각 용기 본체에 동일 또는 상호 다른 종류의 음료를 각각 수납하고, 두 개의 용기 본체가 상호 이격하도록 분리됨으로써, 수납된 음료의 낭비없이 위생적으로 나누어서 마실 수 있고, 또한 상호 다른 종류의 음료가 수납된 경우 세트화된 용기 내의 음료를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container bodies are set to store the same or different kinds of beverages in each container body, and the two container bodies are separa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waste of the stored beverage. It is possible to drink hygienically divided, and when the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are stor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rink the beverages in the set container according to tast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1" : 커플 음료 용기 10a : 제1용기 본체
10b : 제2용기 본체 11a : 제1수납부
11b : 제2수납부 13a : 제1배출구
13b : 제2배출구 15a,15b : 뚜껑
17a : 제1접촉면 17b : 제2접촉면
20,20',20" : 착탈부 21 : 돌출핀
23 : 끼움홈 25a : 슬라이드 돌기
25b : 슬라이드 홈 27a,27b : 양면 테이프
1,1 ', 1 ": Couple drink container 10a: 1st container body
10b: 2nd container main body 11a: 1st storage part
11b: 2nd storage part 13a: 1st outlet
13b: 2nd outlet 15a, 15b: lid
17a: first contact surface 17b: second contact surface
20,20 ', 20 ": Detachable part 21: Protruding pin
23: fitting groove 25a: slide projection
25b: slide groove 27a, 27b: double-sided tape

Claims (5)

음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를 갖는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1수납부에 수납되는 음료와 동일 또는 상이한 음료가 수납되는 제2수납부와, 상기 제2수납부의 음료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용기 본체에 착탈하는 제2용기 본체와;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를 착탈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음료 용기.
A first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storage portion for storing a beverage and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A second container having a second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same or different beverage as the beverage stored in the first storage part,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beverage of the second storage part is discharged,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f the second container; A main body;
And a detachable part configured to attach and detach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핀과,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이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음료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comprises:
One or more protruding pi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vessel body and the second vessel body;
Coupl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is recessed and includes one or more fitting groove to which the protruding pin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돌기와;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제2용기 본체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음료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sl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vessel body and the second vessel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he couple drink container including one or more slide grooves to which the slide protrusion is slidably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의 대향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는 벨크로 테이프, 양면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음료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chable portion is a couple drink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Velcro tape, double-sided tap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facing the opposit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용기 본체와 상기 제2용기 본체는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음료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has a shape that i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is a couple drink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ther symmetrically.
KR1020120030531A 2012-03-26 2012-03-26 Twin drink bottle KR201301087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31A KR20130108796A (en) 2012-03-26 2012-03-26 Twin drink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31A KR20130108796A (en) 2012-03-26 2012-03-26 Twin drink bot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96A true KR20130108796A (en) 2013-10-07

Family

ID=4963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531A KR20130108796A (en) 2012-03-26 2012-03-26 Twin drink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879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20B1 (en) 2019-07-15 2020-11-04 (주) 하은캡 The couple bottle
KR20210018746A (en) 2019-12-23 2021-02-18 (주) 하은캡 The couple bottle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20B1 (en) 2019-07-15 2020-11-04 (주) 하은캡 The couple bottle
KR20210018746A (en) 2019-12-23 2021-02-18 (주) 하은캡 The couple bottle manufactured by blow mo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9090395B2 (en) Drinking system
AU2005311724A1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KR20130108796A (en) Twin drink bottle
CN211066041U (en) Inner cup structure and double-layer cup structure
US20180127169A1 (en) Multi-function water bottle having multi-function cap
KR101450181B1 (en) Cup lid for mounting of the capsule
KR20140095987A (en) Contents partition-type container for beverage
JP6328371B2 (en) Drink cup lid and drink cup
KR101349435B1 (en) Multi-cup
KR101725792B1 (en) Drinking receptacle with a paper cup
WO2006085737A1 (en) Purified water dispensing system
KR20110001814U (en) The Cup be Easy to Storage Stirrer
KR101227279B1 (en) A vessel
KR200434078Y1 (en) Contents partition-type cup
KR200272190Y1 (en) Measuring cup double container
KR20140106156A (en) Hygienic Drinking Having Bottle
KR20190033848A (en) Cup and lid
KR101539228B1 (en) puzzle food tray
US11839317B1 (en) Multi-chambered drinking vessel
GB2364889A (en) Mug with compartment for biscuits
KR20170053602A (en) Receptacle for food and drink
US20170283109A1 (en) Bottle
KR200274343Y1 (en) Food cup
US20100224635A1 (en) Three partitioned liquo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