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435B1 - Multi-cup - Google Patents

Multi-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435B1
KR101349435B1 KR1020120053690A KR20120053690A KR101349435B1 KR 101349435 B1 KR101349435 B1 KR 101349435B1 KR 1020120053690 A KR1020120053690 A KR 1020120053690A KR 20120053690 A KR20120053690 A KR 20120053690A KR 101349435 B1 KR101349435 B1 KR 10134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ner cup
wall surface
outer cu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9658A (en
Inventor
문철호
Original Assignee
문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철호 filed Critical 문철호
Priority to KR102012005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435B1/en
Publication of KR2013012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sever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컵과 내컵이 결합되어 상기 외컵의 바닥면과 내컵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에서 외컵의 외측벽면과 내컵의 외측벽면 사이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외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과 내컵에 수용되어 있는 또 다른 음식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다중 컵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외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으로 구성되는 다중 컵에 있어서, 상기 외컵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내컵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의 제1 외측벽면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의 제2 외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와 상기 외컵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up, more specifically,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s coupled to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up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up in a structure in which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up which can conveniently consume food contained in the outer cup and another food contained in the inner cup.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concep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ultiple cup consisting of the inner cup and the inner cup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the outer cup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sealing portion toward the opening portion The inner cup is moun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up so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up A spaced portion may be provid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between the spaced portion and the outer cup.

Description

다중 컵{Multi-cup}Multi-cup

본 발명은 다중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컵과 내컵이 결합되어 상기 외컵의 바닥면과 내컵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에서 외컵의 외측벽면과 내컵의 외측벽면 사이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외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과 내컵에 수용되어 있는 또 다른 음식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다중 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up, more specifically,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s coupled to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up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up in a structure in which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up which can conveniently consume food contained in the outer cup and another food contained in the inner cup.

컵은 음식이나 음료를 담아서 먹는데 사용되는 용기이다.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음료를 마실 때, 하나의 컵만 있으면 충분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이상의 음식을 동시에 담아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A cup is a container used to hold food or drinks. Generally, one cup is enough to drink one drink, but in some cases, two or more foods may need to be used at the same time.

예를 들어, 커피와 비스킷 또는 사과주스와 오렌지주스를 동시에 담아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두 가지 음식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면서 편리하게 마시거나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For example, coffee and biscuits or apple juice and orange juice need to be us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make the two foods convenient to drink or eat without mixing.

종래부터 이러한 요구는 많았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컵이 고안되거나 발명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329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2단 종이컵 및 빨대 통과 구멍을 가진 음식물 용기'가 있다. 선행기술1은 내컵(104)과 외컵(106)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컵(104)의 바닥면에 빨대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선행기술1의 경우 내컵(104)에 수용할 수 있는 음식은 건조한 다과류에 불과하고 액체상태의 음료는 내컵(10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08)을 통하여 외컵(106)으로 흘러들기 때문에 담을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컵(104)에 다과류가 담긴 상태에서는 빨대 구멍(108)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쉽게 삽입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There have been many such demands in the past, and various types of cups have been devised or invented to solve these problems.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132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 two-stage paper cup and a food container having a straw passage hole. Prior art 1 is composed of the inner cup 104 and the outer cup 106,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108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104 can be inser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1, the food which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04 is only a dry refreshment and the liquid drink flows into the outer cup 106 through the hole 108 formed in the inner cup 104. There is a disadvantage. In addition, since the straw hole 108 is hardly visible in a state where the refreshment is contained in the inner cup 104,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cannot be easily inserted.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078호(이하 '선행기술2'라 함) '내용물 분할형 컵'이 있다. 선행기술2는 하나의 컵이 좌우방향으로 양분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를 위한 금형이 복잡해 지거나 반원형태의 두 개의 용기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공정 또한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액체상태의 음료를 담기에는 적당하지만 다과류를 담기에는 수용부가 좁고 깊어서 사용이 불편해 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과류의 양이 적고 음료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많아지거나 컵의 분할면(40)이 한 쪽으로 치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40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Contents divided cup'. Prior art 2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complicated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mold for manufacturing in a form in which one cup is bilaterally divided into two or two semi-circular containers must be combin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uitable to contain a liquid drink, but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narrow and deep accommodating portion to contain the refreshments.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the refreshments is small and the amount of the beverage is larg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nused space is increased or the divided surface 40 of the cup must be biased to one side.

따라서 각 공간에 채워지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빨대를 통하여 쉽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은 구조의 다중 컵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be filled in each space, drink can be easily consumed through a straw, and the structure is simple, requires multiple cups of low manufacturing cost structure.

KRKR 20-026132920-0261329 A1A1 KRKR 20-043407820-0434078 A1A1 KRKR 10-044886310-0448863 A1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내컵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므로 두 가지 이상의 음식을 동시에 담을 수 있고, 내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각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내컵의 외측벽면과 외컵의 내측벽면 사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언제든지 빨디를 삽입할 수도 있는 다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내컵 또는 외컵에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각 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이 흘러내릴 염려 없이 다른 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다중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nsisting of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is formed in the two receiv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contain two or more foo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inner cup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each receiving space by adjusting the opening betwee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up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up is provided to provide a multi-cup that can be inserted at any time. In addition,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ver to the inner cup or the outer cup to provide a multi-cup that can be ingested food contained in the other cups without fear of the food contained in each cup flows dow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으로 구성되는 다중 컵에 있어서, 기 외컵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기 내컵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의 제1 외측벽면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의 제2 외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와 상기 외컵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concep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ulti-cup consisting of a cup and the inner cup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the outer cup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sealing portion toward the opening portion The inner cup is moun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cup so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up A spaced portion may be provid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between the spaced portion and the outer cu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 외측벽면은 상기 이격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2 외측벽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컵의 상단은 상기 외컵의 상단 이하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of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separation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may be configured to a height below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내컵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상기 제2 외측벽면에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may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or parallel to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컵에는 내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내컵커버는 상기 내컵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에 대응되는 부위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식음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up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ner cup cover, the inner cup cover is configured in the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inner cup, the food hole in the opposite edg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ortion This can be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컵에는 외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컵커버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식음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식음홀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쪽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식음홀이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식음홀은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up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uter cup cover, two food holes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outer cup cover, the two food holes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edges facing each other When the food and beverage hole is located in the opening, the other food and beverage hole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opposite edge of the open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컵의 상단 테두리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이고, 상기 내컵의 상단 테두리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up is a ring structure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u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structure protrudes in the outward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컵의 링 구조는 상기 외컵의 링 구조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structure of the inner cup is thicker than the ring structure of the outer cup.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에 의하며,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외컵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상기 외컵에 적합한 내컵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내컵과 외컵 사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내컵에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빨대를 삽입하여 외컵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빨대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양쪽 컵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컵의 크기나 형상만 조절하면 내컵과 외컵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내컵과 외컵의 개구부에는 링형 구조가 구비되어 컵을 기울이더라도 내컵이 외컵에 수용된 음료에 의하여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because only the inner cup suitable for the outer cup is provided while using any type of outer cup generally used as it is. In addition, an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so that the food contained in the outer cup can be ingested at any time by inserting a straw regardless of whether the inner cup contains food, and if necessary, both cups without the straw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easily eat the food contained in. In addition, by adjusting only the size or shape of the inner c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variously adjusted the size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openings of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are provided with a ring-shaped structure to prevent the inner cup from rising by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outer cup even when the cup is tilted.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2개의 음식물을 동시에 두 사람 이상이 섭취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및 수용되는 음식물의 조합을 다양하게 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성 컵이라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suggest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gested by two or more people at the same time as a simple structure, a multi-functional cup that can not on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provide a variety of user convenience and acceptable food combinations There is a big advantage in th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에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내컵 또는 외컵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내컵이 외컵의 수용부 내부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내컵과 외컵 사이에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다중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ultiple cu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inner cup or the outer cup,
6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inner cup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multiple cup having two openings formed between an inner cup and an outer cup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과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200)으로 구성된다. 외컵(100)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내컵(200)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200)을 형성하는 제1 외측벽면(230)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100)을 형성하는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컵(200)과 상기 외컵(100)의 사이에 개구부(150)가 형성되될 수 있다.
1 and 2,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outer cup 100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sealing portion from the opening portion, the inner cup 20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In additi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forming the inner cup 200 is provided with a spaced portion 250 such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forming the outer cup 100.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an opening 15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100. .

외컵(100)은 종이컵 또는 커피전문점이나 음료용 컵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의 형상으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는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컵(100)의 수용부 벽을 형성하는 제2 외측벽면(13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때, 외컵(100)의 형상은 그립(grip)의 편의성과 제조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부(도면을 기준으로 바닥면이 구비된 쪽을 말함, 이하 동일)가 좁고 상부(도면을 기준으로 개방부가 구비된 쪽을 말함, 이하 동일)가 넓은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를 나타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컵(100)과 내컵(200)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설명한다.The outer cup 100 is a known shape generally applied to a paper cup or a coffee shop or a beverage cup, and has one end open and a bottom surface at the other end, and a second outer side forming a receiving wall of the outer cup 100. The wall surface 130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width is narrow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outer cup 10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for the convenience of the grip (grip) and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bottom (refer to the side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based on the drawings, the same below) ) Is narrow and the upper portion (referring to the side having an opening based on the drawing, hereinafter the sam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ide conical shape. However, this structure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will be described below.

내컵(200)은 바닥면이 전술하여 설명한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된다. 내컵(200)의 수용부 벽을 형성하는 제1 외측벽면(230)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에 이격부(250)가 구비되어 상기 내컵(200)이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이격부(250)가 상기 외컵(100)의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통공(이하 '개구부(150)'라 함)이 형성된다. 이격부(250)와 개구부(150)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inner cup 200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described above.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forming the receiving wall of the inner cup 200 is provided with a spaced portion 250 i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inner cup 200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In this case, the spacer 25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of the outer cup 100 to form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ning portion 150'). The spacer 250 and the opening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내컵(200)이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될 때,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이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When the inner cup 200 is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re is a variety of way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먼저,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의 형상이 외컵(100)의 수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의 넓이가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의 넓이보다 넓게 구성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내컵(200)을 외컵(100)의 수용부에 장착하면 상기 내컵(200)은,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내부면적이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과 일치하는 위치까지만 결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부의 지름이 10㎝이고 하부의 지름이 5㎝인 외컵(100)에 바닥면의 지름이 7㎝인 내컵(200)이 결합 되면, 상기 내컵(200)은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지름이 7㎝인 위치까지만 삽입되면서 결합 된다. 따라서 외컵(100)의 바닥면과 내컵(200)의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First, when the shap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of the inner cup 200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the outer cup 100 There is a way to be configur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ner cup 200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inner cup 200,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coincid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Only up to the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inner cup 200 having a diameter of 7 cm on the bottom surface is coupled to the outer cup 100 having a diameter of 10 cm and a diameter of 5 cm at the bottom, the inner cup 200 is the outer cup 100.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diameter of only 7㎝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while being combined. Therefor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이때,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이 동일한 경우에 내컵(200)의 상부 외경이 외컵(100)의 수용부 상단과 동일하면 상기 내컵(200)과 상기 외컵(100)의 상단은 거의 일치하게 결합 된다. 그러나 내컵(200)의 상부 외경이 외컵(100)의 수용부 상단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내컵(200)의 상단은 상기 외컵(100)의 상단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 되고, 상기 내컵(200)의 상부 외경이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 상단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외컵(100)이 상기 내컵(200)의 상단보다 돌출되면서 상기 외컵(100)이 상기 내컵(200)을 완전히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 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re the same, if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up 200 is the same as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The top of the 100 is coupled almost identically. However, when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up 200 is larger than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is coupled to protrude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100, the inner cup of the 200 When the upper out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outer cup 100 is protruded tha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the outer cup 100 is coupled in a form that completely receives the inner cup 200 do.

이와 같이, 내컵(200)의 바닥면 크기에 따라 상기 내컵(200)의 바닥면이 상기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내컵(200)의 상부 외경에 따라 상기 내컵(200)을 상기 외컵(1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외컵(100)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Accordingly, the inner cup 20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up 100 or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여기서, 내컵(200) 바닥면 외경의 크기에 따라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내컵(200)이 외컵(10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내컵(200)의 상단이 돌출되는 것은 상기 내컵(200)에 수용될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함이고, 외컵(100)과 내컵(200)의 상단이 동일하면서 내컵(200)의 바닥면 외경을 변화시키는 것은 외컵(100) 전체 공간 내에서 내컵(200)의 수용공간과 이격공간의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Her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when the inner cup 20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100,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is protruding from the inner cup 200 In order to secure more space to be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is the same, while chang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the inner cup 200 in the entire space of the outer cup 100 ), The ratio of the receiving space to the space is adjusted.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외컵(100)과 내컵(200)의 결합만으로 상하단으로 2개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 음식물 수용공간과 외부로 연결되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하단의 음료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편리한 다중 컵을 제안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of the simple structure to accommodate the two foods in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forms an opening connected to the lower food receiving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lower We propose a convenient multiple cups for easy consumption of beverages.

또한 본 발명은 내폭이 좁아지는 일반적인 컵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단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오컵(100)과 내컵(200)을 분리하여 각각 적재할 수 있으므로, 관리하기가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and lower the unit cost by using a general cup structure that narrows the inner width, since the five cups and the inner cup 200 can be separately loaded, it is very easy to manage.

더하여, 2개의 음식물을 수용할 때, 각 컵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그대로 내컵(200)을 외컵에 수용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음식물을 편리하게 세팅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내컵(200) 및 외컵(100)에서 서로 다른 음료를 수용할 수도 있고, 외컵(100)의 하단에 음료(커피, 국물 등)를 수용하고, 내컵(200)에는 고형음식(머핀, 팝콘, 떡볶이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ccommodating two foods, by accommodating the food in each cup, and the inner cup 200 in the outer cup as it is, there is a great advantage that can be conveniently set a variety of foods. For example, different cups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100, the beverage (coffee, broth, etc.) may be accommod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may have a solid food (muffin). , Popcorn, tteokbokki, etc. can also be used.

그리고, 외컵(100) 하단에 따뜻한 음료가 수용된 경우,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이 내컵(200) 바닥면으로 밀폐되어 단열효과를 얻을 수도 있고, 하단의 따뜻한 음료의 열로 인하여 상단의 내컵(200)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if a warm drink is accommod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up 100, the portion except the opening may be sea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to obtain a heat insulation effect, the inner cup 20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cup due to the heat of the lower warm drink There is an advantage to obtain the effect of heating food.

내컵(200)의 바닥면이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구조의 또 다른 방법으로,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이 제2 외측벽면(130) 보다 큰 경사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컵(200)의 상부 테두리가 외컵(100)의 제2 외측벽면(130)과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내컵(200)의 상부 테두리의 크기에 따라 내컵(200)의 결합위치 및 외컵(100)의 바닥면과 내컵(20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게 된다. 한편,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은 경사각이 없이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제2 외측벽면(130)에 비하여 경사각이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컵(200)의 하부 테두리가 제2 외측벽면(130)과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내컵(200)의 하부 테두리 크기에 따라 내컵(200)의 결합위치 및 외컵(100)의 바닥면과 내컵(20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 차이에 따라 후술하여 설명할 이격부의 구조도 다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각 차이에 따른 이격부의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설명한다.As another method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of the inner cup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may have a larg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up 200 is mounted while contacting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of the outer cup 100, the coupling position and the outer cup of the inner cup 2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up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determined. Meanwhile,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of the inner cup 200 may be formed vertically without an inclination angle, or may have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In this case, since the lower edge of the inner cup 200 is mounted while contacting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inner cup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edge of the inner cup 200. And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the structure of the spacer part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omewhat different. The structure of the spacer par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inclination angle will be described later. Explain.

이와 같이, 내컵(200)의 바닥면이 외컵(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면서 결합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 상기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 전체가 밀착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As such,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is coupl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Howe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re the same or similar, the entir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re moun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Combination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컵(200)의 제1 외측벽면(230)은 이격부(25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이 제2 외측벽면(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형상이란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기울기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of the inner cup 200 is to be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except for the spaced portion 250. Can be. Herein, the corresponding shape is a concept including a form in which the inclinations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re identical or similar.

그리고 내컵(200)의 상단은 외컵(10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내컵(200)과 외컵(100)의 상단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컵(200)의 상부 외경과 내컵(200)의 수용부 상단 지름이 일치하거나 유사하게 하면 된다.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may be matched with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100, in order to match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10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up 200 The outer diameter and the upper end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inner cup 200 may be the same or similar.

이격부(250)는, 내컵(200)과 외컵(100)이 결합되는 경우에,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가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란 제2 외측벽면(130)과 접촉하는 제1 외측벽면(230)의 외주면의 일부구간을 말하며, 상하방향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는 개념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부(250)가 구비되어, 내컵(200)과 외컵(100)이 결합될 경우에, 상기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 사이에 소정의 틈이 생기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의 이격부(250)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의 형상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paced part 250 refers to a portion where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when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 Here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refers to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nd includes a partial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not it. Therefore, when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100 ar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side If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130, a spaced part 250 having various shapes may be implemented, and the shape of the spaced apart part may be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as described abov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angle difference of 130).

예를 들어,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의 제2 외측벽면(130)과 비교할 때, 내컵의 제1 외측벽면(230)의 경사각이 상기 제2 외측벽면(1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외측벽면(130)에 비하여 커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pl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pared with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of the outer cup 10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of the inner cup is greater tha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130, or may be formed larger or smaller tha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이 경우,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 일부구간이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즉 내컵(200)의 수용부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외측벽면(230)의 경사각이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 중 상부의 일부 구간에만 이격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외측벽면(230)의 하부는 제2 외측벽면(130)에 비하여 경사각이 크기 때문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이 상기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이격부(250)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후술하여 설명할 빨대(170)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제1 외측벽면(230)의 경사각이 제2 외측벽면(130)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우(경사각이 없는 수직형태도 포함)에는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둘레방향의 일부 중 하부의 일부 구간에만 이격부(250)가 구비되어도 빨대(17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50)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re the same,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extends upward and downward i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It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at is, bent or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inner cup 200. Howe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only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s separated ( 250). Because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has a larg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moves away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toward the lower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straw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sufficiently pass even if a separate separation unit 250 is not provided. On the contrary,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including the vertical form without the inclination angle), the low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may be Even if the spacing part 250 is provided only in some sections, the opening 150 for inserting the straw 170 may be sufficiently secured.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제2 외측벽면(1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이 내컵(200)의 수용부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함몰되면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내컵(2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제2 외측벽면(130)에 평행하기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외측벽면(230)의 일부가 원형 또는 호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내컵(200)의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a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may be bent or recessed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inner cup 200.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a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is bent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200, or a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bent parallel to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may be formed to be bent or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inner cup 200 in the shape of a circular or arc or polygon.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내컵(200)을 외컵(100)의 수용부에 삽입하면, 이격부(250)에 의하여 제1 외측벽면(230)과 제2 외측벽면(130) 사이에 개구부(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컵(100)에는 음료를 채우고, 외컵(100)에는 다른 음료 또는 간단한 다과류를 채워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컵(200)에 채워지 다과를 먹다가 음료가 먹고 싶은 경우에는 개구부(150)에 삽입되어 있는 빨대(170)를 통하여 외컵(100)에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이때, 외컵(100)과 내컵(200)에 채워지는 음식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0)는 빨대(170)를 삽입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빨대없이 직접 입으로 컵을 기울여서 음료를 마시는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ner cup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opening 1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230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by the spacer 250. Is formed. Therefore, the outer cup 100 may be filled with a beverage, and the outer cup 100 may be filled with other beverages or simple refreshments. When the user wants to have a refreshment while filling the inner cup 200, the user may drink the beverage in the outer cup 100 through the straw 170 inserted into the opening 150. At this time, the type of food to be filled in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Here, the opening 150 may be used by inserting the straw 170, or may be used as a passage for drinking a drink by tilting the cup directly into the mouth without a stra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과 내컵(200)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컵(100)과 내컵(200)이 결합되는 원리와 개구부(150)를 형성하는 원리는 전술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외컵(100)과 내컵(2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삼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can be used in a triangle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principle that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is coupled and the principle of forming the opening 15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However, the shapes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polygons as well as the triangles shown in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에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내컵 또는 외컵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coupled to the inner cup or the outer cup.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내컵(200)의 개방부에 내컵커버(2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컵커버(290)는 내컵(200)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하여 설명한 이격부(250)에 대응되는 부위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식음홀(300)이 형성될 수 있다.4 and 5, in the multipl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cup cover 29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opening of the inner cup 200. At this time, the inner cup cover 290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inner cup 200, the food and beverage hole 300 is formed on the opposite edg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ortion 250 described above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외컵(100)에는 음료가 내컵(200)에는 다과류가 담겨져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외컵(100)과 내컵(200) 모두에 음료가 담겨져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컵(200)의 개방부에 내컵커버(290)를 채우고, 상기 내컵커버(290) 중 개구부(150)의 반대쪽에 식음홀(300)을 구비하면, 내컵(200)에 채워진 음료와 외컵(100)에 채워진 음료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다. 즉, 내컵(200)에 구비된 음료는 내컵커버(290)에 구비된 식음홀(300)을 통하여 마실 수 있는데, 이 경우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내컵(200)에 막혀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를 통하여 빨대(170)를 이용하여 마시거나 빨대(170) 없이 컵을 기울여서 마실 수도 있다. 컵을 기울여서 마시는 경우에 내컵(200)에 구비된 음료는 내컵커버(290)에 의하여 흘러내리지 않게 되고,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를 통하여 쉽게 흘러나올 수 있게 된다.In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up 100 may be used to contain a refreshment in the inner cup 200, but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may be used to contain the beverage. In this case, when the inner cup cover 290 is fill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ner cup 200, and the food hole 30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50 of the inner cup cover 290, the beverage and the outer cup filled in the inner cup 200. The beverage filled in the 100 can be selected to drink. That is,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inner cup 200 may be drunk through the food and beverage hole 300 provided in the inner cup cover 290. In this case,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outer cup 100 may not be blocked by the inner cup 200. do. In addition,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outer cup 100 may be drunk using the straw 170 through the opening 150 or by tilting the cup without the straw 170. When the cup is inclined to drink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inner cup 200 is not flowed down by the inner cup cover 290,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outer cup 100 can be easily flowed through the opening 15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외컵(100)에는 외컵커버(19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컵커버(190)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식음홀(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식음홀(300)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쪽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식음홀(300)이 개구부(150)에 위치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식음홀(300)은 상기 개구부(150)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외컵(1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와 상기 개구부(150)에 구비된 식음홀(300)을 통하여 마시고, 내컵(200)에 구비된 음료는 개구부(150)의 반대쪽에 구비된 식음홀(300)을 통하여 마실 수 있게 된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up 1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uter cup cover 190, and two food and beverage holes 300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outer cup cover 190. In this case, the two food and beverage holes 300 are provided at opposite edges facing each other so that when one of the food and beverage holes 300 is located in the opening 150, the other food and beverage hole 300 is the opening 150. I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opposite edge of the. Thus,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outer cup 100 is drinked through the opening 150 and the food and beverage hole 300 provided in the opening 150, and the beverage provided in the inner cup 200 is provid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50. It is possible to drink through the food and beverage hall (300).

도 6은 내컵이 외컵의 수용부 내부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inner cup is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컵은, 내컵(200)의 상단이 외컵(100)의 수용부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면서 장착되되, 상기 내컵(200)의 상단이 외컵(100)의 상단 이하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컵(100)을 기울이는 경우에도 외컵(100)에 수용된 음료에 의해 내컵(200)이 부상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컵(100) 및 내컵(200)의 상단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multi-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is mounted while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is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100 It can be accommodated as follows. Thus, even when the outer cup 100 is inclined, the inner cup 200 is not injured by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outer cup 100, and a constant thickness is formed at the top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so as to form a stable coupling structure. It will form a ring-shaped structure having.

링형 구조는 내컵(200)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제1 결합링(240)과 외컵(100)의 개방부에 구비되는 제2 결합링(140)이 있다. 제1 결합링(240)은 내컵(200)의 개방부 바깥쪽으로 말려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링(140)은 외컵(100)의 개방부 안쪽으로 말려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내컵(200)이 외컵(100)의 수용부 내측에 삽입되면 제1 결합링(240)이 제2 결합링(140)에 걸리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The r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upling ring 240 provided at the opening of the inner cup 200 and a second coupling ring 140 provided at the opening of the outer cup 100. The first coupling ring 240 may be configured to be rolled out of the opening of the inner cup 200, and the second coupling ring 140 may be configured to be rolled into the opening of the outer cup 100. have. Thus, when the inner cup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100, the first coupling ring 240 is coupled to the structure that is caught by the second coupling ring 140.

제1 결합링(240)과 제2 결합링(140)은 제1,2 외측벽면(130, 230)의 끝단보다 두꺼우면서 둥그런 형상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가 입을 접촉하여 음료 등을 섭취하더라도 상해를 입지않게 되고, 각각의 컵을 적재하는 경우 쉽게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컵(100)에 음료를 수용하여 기울이더라도 내컵(200)이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ring 240 and the second coupling ring 140 have a thicker and rounder shape tha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wall surfaces 130 and 230, and may be injured even when a user ingests a drink by touching the mouth. Do not wear, and when loading each cup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drink is inclined to the outer cup 100, the inner cup 200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or separating by buoya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컵(200)이 외컵(1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하단의 음료로 인하여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컵(200)의 상단이 외컵(100)의 상단 이하로 수용되면서 결합되고(Hout>Hin), 각각의 컵 테두리는 링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up 200 is stably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100 to prevent injury due to the lower beverage,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200 is coupled while being receiv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100. (H out > H in ), each cup rim preferably forms a ring structure.

특히 외컵(100)의 테두리 구조는 내측으로 돌출한 링형 구조이고, 내컵(200)의 테두리는 외측으로 돌출한 링형 구조로서, 내컵(200)의 링형 구조가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내컵(200)의 제1 결합링(140)이 두꺼워 외컵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후, 외컵(100)의 제2 결합링( 내측 방향이어서 내컵(200)의 돌출 구조가 더 두껍기 때문에, 외컵(100)과 내컵(200)의 분리도 용이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edge structure of the outer cup 100 is a ring-shaped structure protruding inward, and the edge of the inner cup 200 is a ring-shaped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and the ring-shaped structure of the inner cup 200 is preferably thicker. Since the first coupling ring 140 of the inner cup 200 is thick and easily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and after being accommodated, since the second coupling ring of the outer cup 100 is inward, the inner structure of the inner cup 200 is thicker. , The separation of the outer cup 100 and the inner cup 200 is also eas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내컵과 외컵 사이에 2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다중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multiple cup having two openings formed between an inner cup and an outer cup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외측벽면(130)과 이격부(250) 사이에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컵 하부에 적재된 음료수를 식음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컵(100)에 내컵(200)의 수용하여 안착시킴으로써, 내컵(200)에 수용된 음식물과 함께, 내컵(200) 하단에 수용된 음료수를 두 사람이 동시에 빨대 등을 이용해 식음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As shown in FIG. 7, an embodiment in which two openings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30 and the separation part 250 to form a hole for drinking beverages loaded in the lower inner cup is illustrated. By receiving and seating the inner cup 200 in the (100), together with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200, proposes a structure in which two people can drink and drink at the bottom of the inner cup 200 using a straw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는 영화관 등에서 팝콘 등 고형 음식물을 내컵(200)에 수용하고, 콜라와 같은 음료수를 외컵(100) 하단에 수용하여 내컵(200)을 외컵에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연인 등 2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팝콘이나 콜라를 취식할 수 있는 간단한 다중 컵을 제안하는 것이다. 내컵(200)과 외컵(100)의 상단 테두리의 체결구조는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다.
Such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by receiving a solid food, such as popcorn in the inner cup 200 in the cinema, and accommodates the beverage such as coke in the lower end of the outer cup 100 by combining the inner cup 200 in the outer cup, lovers, etc. It is proposed a simple multi-cup that allows two users to eat the popcorn or cola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up 200 and the outer cup 100 is as described in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외컵
130: 제2 외측벽면
150: 개구부
190: 외컵커버
200: 내컵
230: 제1 외측벽면
250: 이격부
290: 내컵커버
300: 식음홀
100: single cup
130: second outer wall surface
150: opening
190: outer cup cover
200: my cup
230: first outer wall surface
250: spacing
290: inner cup cover
300: food and beverage hall

Claims (7)

외컵과 상기 외컵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내컵으로 구성되는 다중 컵에 있어서,
상기 외컵은 개방부에서 밀폐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내컵은 바닥면이 상기 외컵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컵의 수용부 내에 장착되되, 상기 내컵의 제1 외측벽면에는 둘레방향의 일부 구간이 상기 외컵의 제2 외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외측벽면은 상기 이격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2 외측벽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컵의 상단은 상기 외컵의 상단 이하 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와 상기 외컵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In the multiple cup consisting of an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The outer cup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sealing portion from the opening portion,
The inner cup is moun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up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up, at least one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cu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up The spaced apart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is provid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of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spaced apart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up is composed of a height less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up is the separation Multiple cup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 and the outer cup.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내컵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상기 제2 외측벽면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portion
And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up or parallel to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컵에는 내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내컵커버는 상기 내컵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부에 대응되는 부위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식음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inner cup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ner cup cover, the inner cup cover is configured in the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inner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hole is formed on the opposite edg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ortion Multiple cup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컵에는 외컵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외컵커버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식음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식음홀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쪽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식음홀이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식음홀은 상기 개구부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outer cup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uter cup cover, two food holes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outer cup cover, the two food holes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edge facing each other so that any one food hole is located in the opening Wherein the other food and beverage hole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opposite edge of the op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컵의 상단 테두리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이고, 상기 내컵의 상단 테두리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up is a ring structure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up is a multi-cup protruding ring structur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링 구조는 상기 외컵의 링 구조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컵.

The method of claim 6,
The ring structure of the inner cup is thicker than the ring structure of the outer cup.

KR1020120053690A 2012-05-21 2012-05-21 Multi-cup KR101349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90A KR101349435B1 (en) 2012-05-21 2012-05-21 Multi-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90A KR101349435B1 (en) 2012-05-21 2012-05-21 Multi-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58A KR20130129658A (en) 2013-11-29
KR101349435B1 true KR101349435B1 (en) 2014-01-08

Family

ID=4985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690A KR101349435B1 (en) 2012-05-21 2012-05-21 Multi-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4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50Y1 (en) * 2014-06-05 2014-10-1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The container having different beverages in it located on the top of a cu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08Y1 (en) * 2014-06-16 2014-11-07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Cup capable of containing plural beverage being stacked together
KR200486413Y1 (en) * 2016-10-24 2018-05-15 유승석 Multi purpose take-out assemblies
CN110584426A (en) * 2019-10-30 2019-12-20 褚小双 Multifunctional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nking flow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92U (en) * 1992-05-20 1993-12-07 ジョン、イェン Composite cup
JP2001002052A (en) 1999-06-22 2001-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Heat insulating paper cup
KR200282144Y1 (en) 2002-04-17 2002-07-22 하상철 Double instrument for glass insert
KR200288316Y1 (en) * 2002-05-22 2002-09-10 강성모 Food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292U (en) * 1992-05-20 1993-12-07 ジョン、イェン Composite cup
JP2001002052A (en) 1999-06-22 2001-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Heat insulating paper cup
KR200282144Y1 (en) 2002-04-17 2002-07-22 하상철 Double instrument for glass insert
KR200288316Y1 (en) * 2002-05-22 2002-09-10 강성모 Food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50Y1 (en) * 2014-06-05 2014-10-13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The container having different beverages in it located on the top of a cup
WO2015186876A1 (en) * 2014-06-05 2015-12-10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Container coupled to upper end of cup and enabling drinking of different kinds of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58A (en)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776B1 (en) Cup with nestable food container and cover
US20160150902A1 (en) Multipurpose drink and snack container set
US20130334166A1 (en) Two piece beverage/drinking or food container
WO2006060691A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KR101349435B1 (en) Multi-cup
US20150114963A1 (en) Combination Beverage Cup and Lid or Base
CN211066041U (en) Inner cup structure and double-layer cup structure
US11779156B2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US20140082914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KR20090009093U (en) coupling structure of cap with separate vessel
KR20090008895U (en) Coupling structure of food vessel
KR200491426Y1 (en) Take-out A disposable receptacle
KR20180001412U (en) Carrier Accomodating Both Beverage Container And Food Container
KR200486146Y1 (en) Double container
JP3117225U (en) Removable bottle
KR101683560B1 (en) Double cup
KR101935856B1 (en) Cup holder for preventing dewing
KR20170031354A (en) Preventing condensation beverage containers
KR200274344Y1 (en) Food cup
KR200474750Y1 (en) The container having different beverages in it located on the top of a cup
US20050045791A1 (en) Cupholding plate
KR101391783B1 (en) Double cup
US20190118990A1 (en) Dual chamber drinking vessel
KR20170046283A (en) Improved ease-of-use beverage containers
TWM530802U (en) Snack bevera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