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494A - 자세교정용 보조기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494A
KR20130106494A KR1020120028066A KR20120028066A KR20130106494A KR 20130106494 A KR20130106494 A KR 20130106494A KR 1020120028066 A KR1020120028066 A KR 1020120028066A KR 20120028066 A KR20120028066 A KR 20120028066A KR 20130106494 A KR20130106494 A KR 2013010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ser
posture
hip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164B1 (ko
Inventor
윤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노바
윤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노바, 윤봉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노바
Priority to KR102012002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1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 및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세교정용 보조기{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본 발명은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에서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함과 함께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와 요추는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각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기관으로서, 몸의 기둥역할을 하며 몸무게를 지탱해준다. 뿐만 아니라, 뇌에서 우리 몸의 각 부위로 연결되는 신경이 집중되는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척추와 요추가 바르지 못한 자세 등으로 인하여 전후 또는 좌우로 휠 경우, 신체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없으며, 중추신경에 압박이 가해져 각종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고관절은 다리와 골반을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걷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관절이다. 그리고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고관절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고관절을 지지하는 인대 및 근육의 진강이 풀어져 고관절이 쉽게 외전되고,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고관절에 무리가 가중되어 골반이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골격이 이상 변형 성장하거나 측만증, 디스크 및 신경통 등 치명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에 이르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이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세교정용 보조기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각각의 크기, 즉,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착용 범위가 가변되지 않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지 않는 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는 경우 오히려 자세교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세교정용 보조기들의 경우, 척추, 요추 및 고관절을 교정하기 위한 해당 구성부들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가짐으로써,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 즉, 요추 부위만을 교정하고자 하는 경우 척추교정부와 고관절교정부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 및 상기 척추교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상기 척추교정부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보조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척추교정부는,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는 척추지지대; 상기 척추지지대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의 상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 및 상기 척추지지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추교정부는, 상기 척추지지대의 등받이베이스)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요대벨트; 상기 요대벨트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요대벨트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도록 요대벨트의 양측단부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1접합부; 상기 탈착밴드에 위치되는 요대벨트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척추지지대의 탈착밴드에 요대벨트의 관통 삽입시 동시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접합부에 의해 요대벨트의 결착시 요대벨트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조임벨트; 및 상기 조임벨트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조임벨트의 결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관절교정부는, 상기 척추지지대의 등받이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벨트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는 한 쌍의 고관절벨트; 상기 고관절벨트의 일단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에 고관절벨트의 일단 관통시 일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 및 상기 고관절벨트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기능부는, 상기 척추교정부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기능백과; 상기 기능백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각각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그 착용 범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각 구성부들의 착용 범위가 가변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요추 교정을 위한 구성부인 요추교정부에 선택적으로 부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세교정 이외의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의 구성부들 상호간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결착되는 보조기능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가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의 구성부들 상호간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자세교정용 보조기에 결착되는 보조기능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110),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120),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130) 및 상기 요추교정부(120)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보조기능부(140)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자세교정용 보조기는, 요추교정부(120)만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거나, 또는 요추교정부(120)가 척추교정부(110)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및 등 부위에 착용되거나, 또는 고관절교정부(130)가 척추교정부(110)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 및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거나, 또는 척추교정부(110)에 요추교정부(120) 및 고관절교정부(130)가 동시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 허리와 배 부위 및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됨으로써, 선택적인 자세의 교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척추교정부(110)는, 상기 요추교정부(120)가 결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는 척추지지대(111),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113) 및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척추지지대(111)는,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어 척추를 서포트하는 것으로, 'Y'자 형상을 가지고 합성수지재 또는 가죽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가지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베이스(111a),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부위(111b) 및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상측부에 한 쌍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어깨끈(113)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가 구성되는 제2연결부위(111c)를 포함한다.
상기 어깨끈(113)은,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타단이 길이조절부(114)에 의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어 척추지지대(111)에 사용자의 등 부위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지고, 일단이 척추지지대(111)의 제1연결부위(111b)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2연결부위(111c)에 구성되는 길이조절부(114)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어깨끈(113)은, 척추지지대(111)의 제1연결부위(111b)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부위에는 한 쌍의 어깨끈을 상호간 연결하는 후크 등과 같은 연결부재가 더 구성되어 어깨끈(113)이 보다 타이트하게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길이조절부(114)는,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되어 어깨끈(113)의 타단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는 공지의 길이조절용 클립이거나, 또는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된 어깨끈연결고리에 어깨끈(113)의 타단 관통시 타단과 당접되는 해당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에 구비되어 어깨끈연결고리에 어깨끈(113)의 타단 관통시 타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어깨끈연결고리를 관통하는 단부에는 일정한 면적 또는 길이의 수벨크로테이프가 위치되고 상기 수벨크로테이프의 일측으로부터는 수벨크로테이프로부터 2배 이상의 면적 또는 길이를 가지는 암벨크로테이프가 위치되어 상기 수벨크로테이프가 암벨크로테이프에 접합되는 위치에 따라 어깨끈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벨크로테이프와 암벨크로테이프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의하면, 사용자의 등 부위가 척추지지대(111)와 어깨끈(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서포트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 부위에 착용되는 척추지지대(111)에 어깨 부위에 끼워지는 어깨끈(113)이 길이조절부(114)를 통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추교정부(120)는,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111d)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관통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밀착되는 요대벨트(121), 상기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요대벨트(121)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도록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1접합부(122), 상기 탈착밴드(111d)에 위치되는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121)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탈착밴드(111d)에 요대벨트(121)의 관통 삽입시 동시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접합부(122)에 의해 요대벨트(121)의 결착시 요대벨트(121)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조임벨트(123) 및 상기 조임벨트(123)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조임벨트(123)의 결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접합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요대벨트(121)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가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터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111d)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일단이 관통 삽입된다.
상기 제1접합부(122)는, 상기 요대벨트(121)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시 그 양측단부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실시예로 좌측단부(121a)의 외측면에 소정 길이와 면적의 암벨크로테이프(122a)가 위치되고 우측단부(121b)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와 면적의 수벨크로테이프(122b)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암벨크로테이프(122a)와 수벨크로테이프(122b)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합부(122)에 의하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감싸면서 요대벨트(121)가 착용되는 경우 좌측단부(121a)의 외측에 위치된 암벨크로테이프(122a)에 우측단부(121b)의 내측에 위치된 수벨크로테이프(122b)가 접합되도록 한다.
상기 조임벨트(123)는, 상기 탈착밴드(111d)에 위치되는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121)를 따라 연장되어 제1접합부(122)에 의해 요대벨트(121)의 결착시 요대벨트(121)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것으로, 요대벨트(121) 보다 작은 폭과 길이를 가지고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에 일단부가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상기 제2접합부(124)는, 상기 조임벨트(123)가 요대벨트(121)의 외측에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한번 더 견고하게 결착 착용되는 경우 그 양측단부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실시예로 조임벨트(123)의 좌측단부(123a)와 우측단부(123b) 외측면에 각각 그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와 면적을 가지면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수벨크로테이프(124a)가 요대벨트(121)의 우측단부(121b)의 외측면에 소정 길이와 면적을 가지면서 위치되는 암벨크로테이프(124b)에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벨크로테이프(124a)와 암벨크로테이프(124b)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추교정부(120)에 의하면,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가 안정적으로 서포트 될 수 있고, 상기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가 각각 제1접합부(122)와 제2접합부(124)를 통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요추 및 척추의 자세 교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관절교정부(130)는,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벨트연결고리(111e)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는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111e)에 고관절벨트(132)의 일단 관통시 일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133) 및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어 고관절을 서포트 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혼합사(나일론 또는 면 또는 고무 등이 혼합된 재질) 재질을 통해 소정의 탄력을 가진다.
상기 접합부(133)는,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 즉, 폐루프 형상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위(132a)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131)에 고관절벨트(132)의 연결부위(132a) 관통시 연결부위(132a)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벨트연결고리(131)를 관통하는 연결부위(132a)의 단부에는 일정한 면적 또는 길이의 수벨크로테이프(133a)가 위치되고 수벨크로테이프(133a)의 일측으로부터는 수벨크로테이프(133a)로부터 2배 이상의 면적 또는 길이를 가지는 암벨크로테이프(133b)가 위치되어 상기 수벨크로테이프(133a)가 암벨크로테이프(133b)에 접합되는 위치에 따라 고관절벨트(132)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벨크로테이프(133a)와 암벨크로테이프(133b)의 위치는 상호간 대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착부(134)는,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타단 즉, 폐루프 형상의 타단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고관절벨트(132)의 폐루프 형상의 외주연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되어 상호간 탈착되는 암/수버클(134a,134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관절교정부(130)에 의하면, 고관절벨트(132)가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경우 상기 요추교정부(120)와 척추교정부(110)의 결착시 각각에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등 부위가 척추교정부(110)에 밀착됨과 동시에 허리 부위에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결국 사용자의 척추와 요추가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관절벨트(132)가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를 감싸면서 골반이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골격이 이상변형 성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만증, 디스크 등과 같은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관절벨트(132)가 접합부(133)를 통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고관절의 자세 교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기능부(140)는, 상기 요추교정부(120)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내측면에 형성된 탈착밴드(111d)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탈부착되는 기능백(141)과 상기 기능백(1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즉,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14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기능부(140)에 의하면, 상기 요추교정부(120)의 착용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혈액순환촉진, 내장기능강화 등과 같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보조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척추교정부(110)의 척추지지대(111)에 요추교정부(120)와 고관절교정부(1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척추교정부(110)의 척추지지대(111)와 어깨끈(113)이 착용된다.
여기서, 상기 어깨끈(113)은, 일단이 척추지지대(111)의 제1연결부위(111b)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2연결부위(111c)에 구성되는 길이조절부(114)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후,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요추교정부(120)의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가 순차적으로 착용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와 요추가 각각 척추지지대(111)와 요대벨트(121)에 안정적으로 서포트되어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대벨트(121)와 조임벨트(123)는 각각 벨크로테이프들의 상호간 접합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을 감싸면서 고관절교정부(130)의 고관절벨트(131)가 착용된다.
여기서, 상기 고관절벨트(131)는, 상기 척추지지대(111) 또는 요대벨트(121)에 구비된 벨트연결고리(131)에 일단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일단에 구성되는 벨크로테이프들의 상호간 접합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관절벨트(131)가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됨에 따라 고관절벨트(131)의 일단이 연결된 척추지지대(111)와 요대벨트(121)의 연결부위에 견인력이 전달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등 부위가 당겨지게 되어 결국 사용자의 척추와 요추가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관절벨트(131)의 일단에 구비된 버클들의 상호 결착에 고관절벨트(131)들이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이 벌어지지 않게 되어 골격이 이상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교정부(120)의 요대벨트(121)의 내측면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142)이 기능백(141)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기능백(141)이 척추지지대(111)의 벨크로테이프와의 접합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됨으로써, 혈액순환촉진, 내장기능강화 등과 같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자세 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에 있어서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각각 그 착용 범위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벨크로테이프 또는 길이조절용 클립에 의해 각 구성부들의 착용 범위가 가변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사이즈의 조절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요추 교정을 위한 구성부인 요추교정부에 선택적으로 부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자세교정 이외의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척추교정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가 상호간 분리 또는 결착되도록 하여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의 상호간 결합을 통한 척추와 요추의 교정, 척추교정부와 고관절교정부의 상호간 결합을 통한 척추와 고관절의 교정, 척추교정부와 요추교정부 및 고관절교정부의 상호간 결합을 통한 척추와 요추 및 고관절의 교정 및 요추교정부만을 통한 요추의 교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해당 구성부들의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그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사용자의 어깨와 등 부위에 착용되어 척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110);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어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요추교정부(120); 및
    상기 척추교정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 부위에 착용되어 고관절의 자세를 교정하는 고관절교정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부(120)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요추에 온열 또는 냉열을 제공하거나 쿠션을 제공하는 보조기능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교정부(110)는,
    사용자의 등 부위에 밀착되는 척추지지대(111);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하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113); 및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이 연결되되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지지대(111)는,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베이스(111a);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어깨끈(11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부위(111b); 및
    상기 등받이베이스(111a)의 상측부에 한 쌍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어깨끈(113)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14)가 구성되는 제2연결부위(1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114)는,
    상기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되어 어깨끈(113)의 타단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관통 연결되는 길이조절용 클립; 또는,
    상기 어깨끈(113)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연결부위(111c)에 구비된 어깨끈연결고리에 어깨끈(113)의 타단 관통시 타단과 당접되는 해당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교정부(120)는,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 내측면에 형성되는 탈착밴드(111d)에 중앙부위가 위치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요대벨트(121);
    상기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요대벨트(121)가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에 착용되도록 요대벨트(121)의 양측단부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1접합부(122);
    상기 탈착밴드(111d)에 위치되는 요대벨트(121)의 중앙부위로부터 요대벨트(121)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탈착밴드(111d)에 요대벨트(121)의 관통 삽입시 동시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접합부(122)에 의해 요대벨트(121)의 결착시 요대벨트(121)의 외부에서 한번 더 사용자의 허리와 배 부위를 조여주도록 하는 조임벨트(123); 및
    상기 조임벨트(123)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조임벨트(123)의 결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접합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교정부(130)는,
    상기 척추지지대(111)의 등받이베이스(111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벨트연결고리(111e)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무릎에 걸림 지지되는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일단에 구비되어 벨트연결고리(111e)에 고관절벨트(132)의 일단 관통시 일단의 당접면끼리 접합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접합부(133); 및
    상기 고관절벨트(132)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관절벨트(132)가 상호간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능부(140)는,
    상기 척추교정부(110)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기능백(141)과;
    상기 기능백(1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온열 또는 냉열 또는 쿠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팩(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보조기.
KR1020120028066A 2012-03-20 2012-03-20 자세교정용 보조기 KR10136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66A KR101369164B1 (ko) 2012-03-20 2012-03-20 자세교정용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66A KR101369164B1 (ko) 2012-03-20 2012-03-20 자세교정용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494A true KR20130106494A (ko) 2013-09-30
KR101369164B1 KR101369164B1 (ko) 2014-03-25

Family

ID=4945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066A KR101369164B1 (ko) 2012-03-20 2012-03-20 자세교정용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1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3918A (zh) * 2016-06-15 2016-09-28 王元秀 一种可穿戴的人工腹肌
CN110538016A (zh) * 2019-08-30 2019-12-06 叶金鱼 腰椎减负护套
CN110786977A (zh) * 2019-12-02 2020-02-14 彭嘉欣 一种肩背姿势矫正带
CN111150533A (zh) * 2020-01-13 2020-05-15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骨科固定装置
KR20210011150A (ko) *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자세 교정용 밴드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693B1 (ko) * 2017-12-11 2020-04-02 이정화 발열 기능을 가지는 교정조끼
KR20190116880A (ko) 2018-04-05 2019-10-15 송귀철 자세 교정용 척추보정 지지대
KR102253097B1 (ko) 2020-12-02 2021-05-17 김승식 어깨 자세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92444Y (zh) 2005-05-10 2006-07-05 毛康松 一种英姿带
KR200395828Y1 (ko) 2005-06-10 2005-09-14 신상국 자세 교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3918A (zh) * 2016-06-15 2016-09-28 王元秀 一种可穿戴的人工腹肌
KR20210011150A (ko) *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자세 교정용 밴드 기기
CN110538016A (zh) * 2019-08-30 2019-12-06 叶金鱼 腰椎减负护套
CN110786977A (zh) * 2019-12-02 2020-02-14 彭嘉欣 一种肩背姿势矫正带
CN111150533A (zh) * 2020-01-13 2020-05-15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骨科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164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164B1 (ko) 자세교정용 보조기
CN108601666B (zh) 具有收紧带的斜倚式矫形器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AU2010200669B2 (en) Spinal Orthosis
EP2200545B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KR101584194B1 (ko) 척추 보호 및 보정 용구
US10548758B2 (en) Multifunctional hip brace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8758284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KR102017525B1 (ko) 요천추 척추 보조기
US9504596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US5782781A (en)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JP3189172B2 (ja) 骨盤サポータ
US20240108531A1 (en) Spinal Weighting Devices
US11452632B2 (en) Abdominal sacral waist support belt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EP3131509A1 (en) Dynamic lumbar realignment system
US20120289874A1 (en) Spinal Posture Brace
KR200305905Y1 (ko)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US20190038450A1 (en) Shoulder compression harness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JP2022038469A (ja) 骨盤矯正用サポータ及びその装着方法
JP3014829U (ja) 股関節部と腰椎部の緊縛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