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187A -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187A
KR20130106187A KR1020120027889A KR20120027889A KR20130106187A KR 20130106187 A KR20130106187 A KR 20130106187A KR 1020120027889 A KR1020120027889 A KR 1020120027889A KR 20120027889 A KR20120027889 A KR 20120027889A KR 20130106187 A KR20130106187 A KR 2013010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ressure
temperature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965B1 (ko
Inventor
서상민
류득곤
정창환
Original Assignee
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542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0618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민 filed Critical 서상민
Priority to KR102012002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9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지 않거나, 전문성이나 숙련도 있는 관리자 등이 없더라도 동파, 펌프나 내연기관의 시동불량, 펌프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손상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수계설비가 고장나거나 작동하지 않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내 물을 순환시켜 운동에너지로 동파를 막을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보일러에서 만들어 지는 온수를 펌프 흡입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관 말단부에 정하여진 온도 아래에서는 밸브시트를 개방시켜 물을 순환시키고, 배관의 온도가 정하여진 범위이상을 유지할 경우는 밸브시트를 차단하여 보온함으로써 수계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WATER-BASED EQUIPPMENT PROTECTING APPAE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설정된 온도, 압력에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계설비는 물을 펌프나 배관을 통하여 이용하는 설비로 상수설비, 소방용 소화설비, 공업용수설비 등이 있다.
수계설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펌프 등을 포함하는 가압송수장치를 작동시켜 배관 말단의 밸브를 통하여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계설비는 물에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동파, 펌프나 내연기관의 시동불량, 펌프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손상 등 다양한 이유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나서 일반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재산상 손실이나 대형참사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최근 부산 해운대의 초고층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의 경우도 수계 소화설비 중 스프링쿨러가 작동하지 않아 화재에 따른 인명피해와 대형참사를 가져왔다.
수계소화설비는 자동 또는 수동의 방법으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대단히 효과적인 소방시설로, 초고층 사다리차 등 소방장비로는 대응할 수 없는 초고층건물이나 지하층,화재발생 시 인명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노유자시설 등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수계소화설비는 주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작동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나 관리자의 안이한 사고, 전문성부족, 숙련도 미비, 번거러움 등 여러 사유로 긴급한 상황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동파를 방지하는 방법 중 종래의 방법은 배관에 보온재 등을 감싸거나, 펌프의 외부에 열선을 감싸거나, 펌프실에 난방기를 설치하여 배관 내부에 온도를 빙점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가 있지만, 영하의 온도가 장시간 계속되면 많은 에너지를 낭비할 뿐만 아니라 배관 내 용수가 얼어 동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지 않거나, 전문성이나 숙련도 있는 관리자 등이 없더라도 동파, 펌프나 내연기관의 시동불량, 펌프 내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손상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수계설비가 고장나거나 작동하지 않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내 물을 순환시켜 운동에너지로 동파를 막을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보일러에서 만들어 지는 온수를 펌프 흡입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관 말단부에 정하여진 온도 아래에서는 밸브를 개방시켜 물을 순환시키고, 배관의 온도가 정하여진 범위이상을 유지할 경우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차단하여 보온함으로써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는 배관을 개폐하도록 배관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배관내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배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온도센서와, 전기적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밸브시트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밸브시트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배관내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배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압력센서가 소정의 온도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했을 때 상기 밸브시트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어셈블리와,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압력센서가 소정의 온도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했을 때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제 1 전선 또는 제 2 전선을 통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선 또는 상기 제 2 전선를 통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코일어셈블리내에서 전자기적으로 병진구동하여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시트의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수계소화설비의 작동불능, 동절기 결빙으로 인한 배관의 동파, 이상 작동으로 인한 체절압력하에서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문성이나 숙력도가 떨어지거나 점기점검을 하지 않더라도 수계설비를 정상유지시킬 수 있으며, 외부조건에 따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에 따르면,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반과 수계설비 보호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정기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반과 연결된 온수 보일러와 연결된 보조펌프를 이용하여 배관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의 구성도.
도 2은 배관내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펌프 측의 체절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인 경우 수계설비 이상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계설계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계설계 계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수계설비 보호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수계설비 보호장치>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는 모든 구성요소를 수납 및 지지하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내에 배치되는 입구(I)와 출구(0)를 연결하는 배관(C)을 개폐하도록 배관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102)와, 상기 배관(C)내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배관(C)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온도센서(103)와, 전기적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밸브시트(102)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밸브시트(102)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04)와, 상기 배관(C)내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배관(C)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압력센서(105)와, 상기 온도센서(103) 또는 상기 압력센서(105)가 소정의 온도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했을 때 상기 밸브시트(102)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어셈블리(106)와, 상기 온도센서(103) 또는 상기 압력센서(105)가 소정의 온도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했을 때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제 1 전선(108) 또는 제 2 전선(109)을 통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컨택트(110)와, 상기 컨택트(110)가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선(108) 또는 상기 제 2 전선(109)를 통해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코일어셈블리(106)내에서 전자기적으로 병진구동하여 상기 밸브시트(102)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시트(102)의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104)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러저(110)와, 상기 플런저(110)를 수동으로 구동시켜서 상기 밸브시트(102)를 개폐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는 상기 온도센서(103)와 압력센서(104)가 배관(C)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시트(102)를 개폐구동시키는 플런저(110)가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슬림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104)는 압력 벨로우즈를 이용하여 소정 압력 이상일 때에는 별다른 장비없이 내부 부압에 의하여 컨택트(110)가 상기 제 2 전선(109)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는 배관내 온도와 센서를 측정하는 상기 온도센서(103) 및 상기 압력센서(105)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밸브시트(102)를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조작부(111)를 두어 전원이 연결되지 않거나 내부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수동을 밸브시트(102)가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방법은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배관 내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여서 배관이 동파될 위험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방법은 온도센서(103)에 의하여 배관 내에 온도를 측정하고(S110), 상기 온도센서(103)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온도센서(103)과 전원을 연결하는 제 1 전선(108)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컨택트(110)가 연결되도록 하여(S130) 상기 제 1 전선(108)을 통해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S140).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어셈블리(106)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107)가 상기 밸브시트(102)로부터 멀어지도록 병진운동하고 상기 플런저(107)에 연결된 상기 탄성부재(104)가 신장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07)의 일단에 배치되는 밸브시트(102)를 개방하도록 한다(S150).
상기 밸브시트(102)가 개방되면, 상기 밸브시크(102)가 설치된 배관(C)이 개방되면서 유수가 공급되어(S160) 상기 배관(C)내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배관(C)내 소정의 유수가 공급되고 다시 배관내 온도가 상기 온도센서(103)에 의하여 측정되면 상기 컨택트(107)가 분리되어(S170) 상기 제 1 전선(108)로부터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대하여 전원인가가 차단된다(S180).
이와 같이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대하여 전원인가가 차단되면, 상기 플런저(110) 일단부와 상기 밸브시트(10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0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신속하게 상기 밸브시트(102)가 배관(C)을 폐쇄하도록 한다(S190).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펌프 측근에 부착되어 체절 압력을 낮춰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방법은,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 측근에 부착된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배관(C)을 개방하여 체절압력을 낮출 수 있다.
다만, 가압송수장치인 펌프(P)의 측근 배관(C)에는 고온을 감지 할 수 있는 고온 민감형 온도센서(103)를 사용하고, 배관(C) 말단에는 온도가 낮아져서 결빙에 의한 동파의 위험이 있으므로, 저온을 잘 감지할 수 있는 저온 민감형 온도센서(103)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에 의해서 밸브시트(102)를 개방하여 체절 압력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센서(105)에 의해서 배관(C) 내의 수압을 측정하고(S210), 상기 배관내 압력이 이상적으로 상승하거나, 워터 햄머 등 압력의 과도한 변화가 측정되는 경우(S220), 상기 압력센서(105)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압력 밸로우즈(105)가 거동되어 상기 컨택트(107)가 상기 제 2 전선(109)와 상기 코일어셈블리(106)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S230)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S240).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어셈블리(106)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110)가 상기 밸브시트(102)로부터 멀어지도록 병진운동하고 상기 플런저(110)에 연결된 상기 탄성부재(104)가 신장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04)의 일단에 배치되는 밸브시트(102)를 민감하게 개방하도록 하여(S250) 유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S260) 체절 압력을 낮추어 수세설비를 보호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수가 이루어지면 상기 배관내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가 되어(S222) 상기 컨택트(107)가 상기 제 2 배선(109)와 상기 코일어셈블리(106) 사이에서 분리되고(S270), 상기 코일어셈블리(106)에 전원이 차단되면(S280), 상기 탄성부재(104)가 원상복귀하여 밸브시트(102)가 상기 배관(C)을 폐쇄하도록(S290) 작동되는 것은 도 2와 마찬가지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를 이용한 수계설비 보호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계설계 계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계설비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120), 배관 내부에 수압을 감시하고 있다가 밸브 개방 등 사용으로 수압이 낮아지면 펌프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기동용수압개폐장치(130), 온수보일러(140), 펌프(150), 또는 이들과 연결된 릴리프밸브(160)로부터 멀리 떨어진 배관의 말단부, 예를들어, 유수검지장치(170)를 매개로 2차로 연결되는 고층건물의 스프링쿨러(171, 172), 포소화설비(S173), 물문부소화설비(S174, 175)와 연결되는 배관의 말단부 각 각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설치하여 배관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와 이상 압력발생을 감지하여 수계설비 보호장치(100)의 밸브시트(102)를 구동시켜 배관(C)을 개방하여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온도를 올려주거나 압력을 낮출 수 있어서 수계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조(120), 가동용수압개폐장치(130), 온수보일러(140), 펌프(150), 또는 이들과 연결된 릴리프밸브(160)의 토출 측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설치하여 체절운전 시 발생하는 열과 압력을 온도센서(103)과 압력센서(105)로 감지하여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온도와 압력을 낮출 수 있어서 수계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계설비의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계설비 보호방법은 전문가나 숙련자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정기적인 점검을 할 수 있도록 수계설비 제어반(200)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기 수계설비 제어반(200)는 타이머(210)를 구비하여, 상기 타이머(210)가 수조(120), 가동용수압개폐장치(130), 온수보일러(140), 펌프(150), 또는 이들과 연결된 릴리프밸브(160)로부터 멀리 떨어진 배관의 말단부에 설치된 수계설비 보호장치(100) 및 수조(120), 가동용수압개폐장치(130), 온수보일러(140), 펌프(150), 또는 이들과 연결된 릴리프밸브(160)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수계설비 보호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하여진 시간간격으로 정하여진 시간 만큼 전원을 상기 수계설비 보호장치(100, 100')에 공급하여 배관을 개방하고 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펌프 측의 체절압력을 낮추어 기동용수압개폐장치를 가동시켜서 펌프 등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하여진 시간이후 모든 수계설비 보호장치(100, 100')에 전원이 차단되면, 펌프(150)에서 발생한 압력이 배관 내부에서 증가한다.
기동용수압개폐장치(130)에 정하여진 압력만큼 증가하면 펌프(15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기적인 점검을 하기 위하여서는 시간을 설정한 타이머(210)가 내장된 제어반(200)와 수계설비 보호장치(100, 100')를 결합하여 펌프(150) 등을 작동시켜 작업자의 안이함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200)은 정기적으로 작동 점검할 주기가 설정된 타이머(210)를 설치하여 설정된 시간에 전기적 신호를 설정된 시간 동안 수계설비 보호장치(100)에 전송하여 배관(C) 말단부에 설치되는 밸브시트(102)를 작동시켜 배관 내에 물이 토출되어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기동용수압개폐장치(130)의 압력스위치가 설정압력이면 작동되어 펌프(150)를 작동되도록 하여 정기작동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펌프나 내연기관의 설정된 작동시간이 지나면 전기적 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수계설비 보호장치(100)의 밸브시트(102)가 닫히고 배관 내 물이 설정압력 만큼 유지되면 기동용 수압개폐장치(130)에 부착된 압력스위치가 전기신호를 차단하여 펌프(150)를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배관(C) 말단부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계설비 보호장치(100)가 배관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진 것을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제어반(200)에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수계설비 보호장치(100) 자체가 배관 말단부를 개방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140) 토출측의 수계설비 보호장치(100')가 배관을 개방시켜 배관 내의 소화용수가 배관 말단부로 토출되면 가압송수장치인 펌프(150) 중 60L/ MIN 이하의 토출수를 방출 할 수 있는 보조펌프(부스타 펌프)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보조펌프(152)가 보일러(140) 토출 측과 연결되어 있어 보조 펌프(152) 작동 시 보일러의 토출 측 온수가 보조펌프(152)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인 소화용수가 상기 펌프(150)를 거쳐 배관 발단부의 수계설비 보호장치(100)를 경유하여 소화수조(120)로 흐르도록 폐회로를 구성하여 유수에 의하여 결빙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설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계설비 보호장치(100)의 밸브시트(102)에 의해서 배관(C)이차단되어 수계설비는 사용가능한 준비 상태를 유지하여 준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 양태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바, 하기에 제시되는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현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예시한 것으로, 반듯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 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100' : 수계설비 보호장치 101 : 하우징
102 : 밸브시트 103 : 온도센서
104 : 탄성부재 105 : 압력센서
106 : 코일 어셈블리 107 : 컨택트
110 : 플런저 120 : 수조
130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140 : 보일러
150 : 펌프 151 : 보조펌프
170 : 유수감지장치
200 : 제어반 210 : 타이머

Claims (10)

  1. 배관을 개폐하도록 배관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와, 상기 배관내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배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온도센서와, 전기적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밸브시트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밸브시트에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배관내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배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압력센서가 소정의 온도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했을 때 상기 밸브시트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어셈블리와,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압력센서가 소정의 온도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했을 때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제 1 전선 또는 제 2 전선을 통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가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선 또는 상기 제 2 전선를 통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코일어셈블리내에서 전자기적으로 병진구동하여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시트의 일단에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수세설비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를 수동으로 구동시켜서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세설비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선 또는 제 2 전선은 타이머를 내장하는 제어반에 연결되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소정 시간동안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수계설비 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압력 벨로우즈이며, 상기 온도센서와 압력센서가 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도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세설비 보호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세설비 보호장치를 이용한 수세설비 보호방법에 있어서,
    배관 내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여서 배관이 동파될 위험이 있는 경우 온도센서에 의하여 배관 내에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전원이 인가되어 밸브시트가 배관을 개방하여 유수를 공급함으로서 배관내 온도를 높이는 수세설비 보호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내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이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대하여 전원인가가 차단되고, 상기 밸브시트가 배관을 폐쇄하는 수세설비 보호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압력센서에 의해서 배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고, 상기 배관내 압력이 이상적으로 상승하거나, 워터 햄머 등 압력의 과도한 변화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코일어셈블리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밸브시트가 상기 배관을 개방하여 유수가 배수되어 체절 압력을 낮추는 수세설비 보호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수조, 배관 내부에 수압을 감시하고 있다가 밸브 개방 등 사용으로 수압이 낮아지면 펌프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온수보일러, 펌프, 이들과 연결된 릴리프밸브의 토출 측 또는 이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층건물의 스프링쿨러, 포소화설비, 물문부소화설비 등과 연결되는 배관의 말단부 각각의 수세설비 보호장치를 설치하고, 이들을 타이머를 포함하는 제어반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소정 시간동안 전원을 인가하여 정기점검 정기 작동을 수행하는 수세설비 보호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수세설비 보호장치의 온도센서로부터 배관 말단부가 소정의 온도 이하라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기동용수압개폐장치를 가동시켜서 상기 기동용수압개폐장치와 연결된 보조펌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보조펌프가 상기 보일러의 토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온수를 상기 배관 말단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세설비 보호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로 물을 가온 시키는 것은 전기, 화석연료, 태양열, 산업용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계설비 보호방법.
KR1020120027889A 2012-03-19 2012-03-19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KR10141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89A KR101410965B1 (ko) 2012-03-19 2012-03-19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89A KR101410965B1 (ko) 2012-03-19 2012-03-19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87A true KR20130106187A (ko) 2013-09-27
KR101410965B1 KR101410965B1 (ko) 2014-06-30

Family

ID=4945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89A KR101410965B1 (ko) 2012-03-19 2012-03-19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16A1 (ko) * 2018-11-08 2020-05-14 (주)씨에스이 배관 파이프 동결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657B1 (ko) * 2021-09-15 2022-06-08 대한민국 소화성능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586A (ja) * 1993-02-25 1994-09-06 Toshiba Corp 循環水系設備の制御装置
KR100584471B1 (ko) * 2004-12-16 2006-06-07 강흥묵 결빙 방지장치
KR100977438B1 (ko) * 2008-04-03 2010-08-24 윤경훈 스마트밸브를 이용한 관개시스템
JP2012047198A (ja) * 2010-08-24 2012-03-08 Mikuni Corp 流体調整装置および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16A1 (ko) * 2018-11-08 2020-05-14 (주)씨에스이 배관 파이프 동결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965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835B1 (en) Tank monitor system
CN103363672B (zh) 热水器及其操作方法
US6369714B2 (en) Water leak detection and correction device
WO201106280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ter consumption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1410965B1 (ko)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CN103272359A (zh) 一种用于建筑消防给水系统的实时监控系统及方法
WO2015034111A1 (ko) 수계설비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JP6074060B2 (ja) 浸水監視保護装置
JP5005052B2 (ja) 給水ポンプ制御装置および給水ポンプ制御方法
CN211175608U (zh) 漏水保护器
CN201156183Y (zh) 一种全自动漏水报警保护装置
CN212481661U (zh) 一种带湿度感应防浸泡功能的壁挂炉
KR102579317B1 (ko) 가압수 신뢰성을 높인 옥내소화전 장치
CN204065738U (zh) 热水清洗机智能中央控制系统
KR101077059B1 (ko) 블래더 파손 감지 기능을 갖는 격막식 압력탱크를 이용한 배관 시스템
US10472807B2 (en) Prevention of freezing of outdoor water line
RU205043U1 (ru) Гидрострелка
CN203280957U (zh) 一种用于建筑消防给水系统的实时监控系统
JP7294218B2 (ja) 貯湯式給湯装置
CN219691848U (zh) 一种水泵自动排气系统
CN217632587U (zh) 用于高压危急遮断模块冷却及防护装置
US20240052607A1 (en) Purge controllers for plumbing systems
CN107917437B (zh) 火焰检测探头的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408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223

Effective date: 2021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