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062A -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062A
KR20130106062A KR1020120027677A KR20120027677A KR20130106062A KR 20130106062 A KR20130106062 A KR 20130106062A KR 1020120027677 A KR1020120027677 A KR 1020120027677A KR 20120027677 A KR20120027677 A KR 20120027677A KR 20130106062 A KR20130106062 A KR 2013010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aw material
composi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영
Original Assignee
김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영 filed Critical 김윤영
Priority to KR102012002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062A/ko
Publication of KR201301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4Pteridophyta [fern allies];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초, 현미, 장명채, 율무, 쇠뜨기, 및 임의 성분인 양파, 포공영, 당근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다제내성균 등에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미용 제품, 또는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Antibacterial composition obtained from natural plant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장초, 현미, 장명채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 미용제품, 약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하절기에 많이 발생되는 질병 중 하나인 식중독은 주로 주요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살모넬라, 대장균, 리스테리아 등의 세균에 의하여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여 발생한다. 식중독균에 감염될 경우 경미한 경우라면 자연스럽게 치유될 수도 있으나, 증세가 심한 경우 항생제 처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중증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항생제 가운데 가장 강력한 항생제 중 하나인 반코마이신(vancomycin)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을 장기간 사용 시 내성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1996년 반코마이신에 강한 내성을 보이는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이 발견되었고, 이외에도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CRAB) 등 다제내성균이 상당수 발견되면서 이러한 항생제 내성균, 즉 슈퍼박테리아를 사멸시키기 위하여 합성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슈퍼박테리아 출현의 문제점은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시간보다 세균들이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는 내성을 획득하는 시간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는 점이다.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 전반에 빠르게 전파되어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하여 잠재적으로 내성균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다제내성균의 출현과 항생제의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입수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내성 등의 부작용이 적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 물질과 관련하여, 한국 특허 공개 제2006-119406호는 은행잎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특허 공개 제2010-20123호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등의 김치 유산균의 복합균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은 항균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아,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자는 슈퍼박테리아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 식물의 항균 효과에 대하여 장기간 연구를 계속해왔으며, 그 결과 고장초, 현미, 장명채, 율무, 및 쇠뜨기의 열수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식중독균이나 슈퍼박테리아에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장명채, 쇠뜨기 등과 같은 식물의 항균 효과가 알려져 있는 것은 사실이다.
예를 들면, 장명채(쇠비름)는 예로부터 강심작용, 혈압상승작용 등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한국 특허 공개 제2001-4857호에서는 장명채를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진 항암, 항균 효과가 있는 음료를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장명채, 쇠뜨기 만을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실질적으로 식중독균이나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를 억제하는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식중독균과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미용 제품과 같은 항균 활성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는 필수 성분인 고장초, 현미, 장명채, 율무, 및 쇠뜨기와 양파, 포공영, 당근 중 하나 이상의 임의 성분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와 같은 다양한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항균 활성을 이용하는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 식품, 소화 촉진 또는 소화 불량 개선용 조성물, 미용 제품, 또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천연 식물 원료를 열수 추출 및/또는 농축하여 얻어진 것으로 원료의 입수가 용이하고 합성 항생제와 달리 내성 등의 부작용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과 같은 식중독균 및 다양한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활성을 이용하여 차, 음료와 같은 건강 기능 식품, 목욕용품, 화장품과 같은 미용 제품, 세정제, 및 식중독 치료제, 항균제와 같은 약제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항균 조성물 0%),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 1의 농도별(5%, 10%, 15%, 30%, 50%) 희석액의 대장균(E. coli ATCC 25922) 균주에 대한 생육 저해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별 균수(log Cfu/ml)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대조군(항균 조성물 0%) 및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항균 조성물 1의 희석액(50%)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균주 번호 K01-140) 균주에 대한 생육 저해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별 균수(log Cfu/ml)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대조군(항균 조성물 0%) 및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항균 조성물 1의 희석액(50%)의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주 번호 07AC-052) 균주에 대한 생육 저해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별 균수(log Cfu/ml)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대조군(항균 조성물 0%),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 2의 농도별(5%, 10%, 15%, 30%, 50%) 희석액의 황색 포도상 구균(S. aureus ATCC 25923) 균주에 대한 생육 저해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별 균수(log Cfu/ml)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는, 고장초, 현미, 장명채, 율무, 및 쇠뜨기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 원료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 식물 원료의 함량은, 예를 들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고장초 100중량부, 현미 30 내지 70중량부, 장명채 20 내지 50중량부, 율무 20 내지 50중량부, 및 쇠뜨기 10 내지 30중량부일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천연 식물 원료 이외에 양파, 포공영, 당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임의 부가적 원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적 원료의 함량은 고장초 100중량부(건조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최종 제품의 용도, 항균 효과와 식미 등을 고려하여, 각 원료의 함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식물 원료의 열수 추출물은 각 원료를 별도로 열수 중에서 추출 및/또는 농축한 것이거나, 모든 원료를 혼합하여 열수 중에서 추출 및/또는 농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수 추출물은 상기 천연 식물 원료를 각각 별도로 70 내지 100℃의 수중에서 6 내지 9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혼합하여 원료 농축물을 얻은 다음 상기 원료 농축물을 30 내지 50℃의 온도 하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보존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상기 천연 식물 원료를 모두 혼합하여 70 내지 100℃의 수중에서 6 내지 96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료 농축물을 얻고; 그리고 상기 원료 농축물을 30 내지 50℃의 온도 하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보존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원료물질을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배의 물을 투입한 후 70 내지 100℃에서 6 내지 96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료 농축물을 얻는다. 필요에 따라, 가열 동안 물이 추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열수 추출물"이란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거쳐 얻어진 최종 원료 성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추출물"과 "농축물"이라는 용어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상기 열수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원료 농축물 중의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 과정을 추가로 거쳐 얻어질 수 있다. 여과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수 추출물은 약 100 내지 300메쉬(mesh),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200 메쉬의 체로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고장초 분말, 현미 분말, 장명채 분말, 율무 분말, 쇠뜨기 분말, 양파 분말, 포공영 분말, 당근 분말 중 하나 이상의 원료 분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되는 원료 분말의 함량은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수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일 수 있다.
모든 원료 물질은 각각 독립적으로 말리지 않은 천연 재료 그대로의 상태(이하 ‘생재’라 한다), 건조된 상태,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 동결된 상태(생재를 열수에 데친 후 동결된 상태 포함) 또는 이들의 혼합물 상태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각 원료를 분말 상태로 사용할 경우 원료를 세정한 다음 스팀 등으로 살균하고, 건조한 다음 세절하여 분말화한다.
상기한 모든 원료는 품종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천연 식물 원료의 원료 농축물의 고형물 농도는 예를 들면, 30브릭스(Brix) 이상, 또는 30 내지 70브릭스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만, 양파 및 포공영의 원료 농축물은 그 고형물 농도가 5브릭스 이상, 당근의 열수 추출물은 그 고형물 농도가 2브릭스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브릭스(brix)는 추출물 중의 고형 원료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0브릭스란 추출물 중 원료 고형분의 중량 비율이 30%라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구성하는 천연 식물의 효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장초는 줄풀이라고도 불리는 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뿌리, 줄기에는 상당량의 단백질, 지질, 칼슘, 인, 철,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비타민 B12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간장병, 고혈압,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명채는 쇠비름, 오행초 등으로도 불리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서, 탄닌과 사포닌, 베타카로틴, 글루틴, 칼륨, 비타민 C, D, E, 오메가3 등이 있고, 약리작용으로는 해열, 해독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미는 예로부터 변비예방, 동맥경화예방, 노화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율무는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진통·진경·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신경통·류머티즘·방광결석 등에 약재로도 쓰이고 있는 식물이다.
쇠뜨기는 뱀밥이라고도 불리는 식용, 약용 식물로서, 이뇨제, 방광염, 고혈압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는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이황화프로필, 황화알릴 등의 화합물이 있고,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이뇨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공영은 국화과 민들레로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이며, 열독을 내리고 종기를 삭히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근은 비타민 A 및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으로서, 한방에서 학슬풍이라는 약재로도 사용되어 이질, 백일해, 복부팽만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과 같은 세균뿐만 아니라, 특히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는 슈퍼박테리아인,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CRAB) 등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항균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항균 활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증강용 건강 식품;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소화 촉진을 위한 차, 음료와 같은 건강 식품; 목욕용품, 화장품, 세정제, 또는 헤어용품과 같은 미용 제품;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또는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CRAB)에 대한 항균 약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건강 식품의 경우, 식미와 외관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 이외에 감미제, 보존제, 향료, 색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항균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과, 정제 등의 예비 처리를 거칠 수 있다.
각 제품 내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용도 및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15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정제, 캡슐제, 시럽제, 환제, 현탁액제, 연고제, 좌제, 또는 주사제 형태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투여량 또한 치료되는 대상의 종류, 투여경로, 체중, 성별, 나이, 질환의 정도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원료의 선별 및 농축물의 제조
고장초, 현미, 장명채, 율무, 및 쇠뜨기를 세척한 다음 잘게 절단하고, 3∼10배의 물을 투입한 다음 약 90℃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이를 농축기로 옮겨 약 90℃에서 고형분 함량이 약 50브릭스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각 원료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양파, 포공영, 및 당근을 세척한 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고형분 함량이 각각 약 5 브릭스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고장초의 경우 엽록체가 사라지고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시기인 10월 말부터 익년 2월까지 채취한 줄기 및 잎 부분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장초, 장명채, 쇠뜨기, 포공영, 양파와 당근의 경우, 생재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생재의 함수율이 높으므로, 재료에 대하여 3-4중량배의 물을 혼합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건재를 사용하는 경우 건재 재료에 대하여 5~6중량배의 물을 혼합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고장초, 장명채, 쇠뜨기, 및 포공영은 건초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양파와 당근은 생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미와 율무는 수확 후 건조 및 탈곡된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1: 샘플 조성물 1의 제조
상기한 바와 같이 얻어진 고장초 추출물 100중량부, 현미 추출물 40중량부, 장명채 추출물 30중량부, 율무 추출물 30중량부, 및 쇠뜨기 추출물 25중량부(각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50브릭스)를 혼합하여 40℃에서 72시간 동안 보존한 다음 150메쉬로 여과하여 샘플 조성물 1을 얻었다.
제조예 2: 샘플 조성물 2의 제조
상기한 바와 같이 얻어진 고장초 추출물 100중량부, 현미 추출물 40중량부, 장명채 추출물 30중량부, 율무 추출물 30중량부, 쇠뜨기 추출물 25중량부(이상 각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50브릭스), 양파 추출물 25중량부, 포공영 추출물 20중량부, 및 당근 추출물 10중량부(이상 각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5브릭스)를 혼합하여 40℃에서 72시간 동안 보존한 다음 150메쉬로 여과하여 샘플 조성물 2를 얻었다.
시험예 1: 항균 활성 측정
1) 사용균주 및 시약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식중독의 대표적인 균인 대장균(E. coli ATCC 25922), 황색 포도상구균(S. aureus ATCC 25923),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균주 번호 K01-140, 식중독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된 균주), CRAB(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균주 번호 07AC-052, 중환자실에 입원한 폐렴 환자로부터 분리한 균주)였다. 미생물 균수 측정용 배지는 트립틱 소이 브로스(Tryptic soy broth) 또는 트립틱 소이 아가(Tryptic soy agar)를 사용하였다.
2) 미생물 생육 저해도 측정
트립틱 소이 브로스에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샘플 조성물 1과 2의 농도별 희석액(5%, 10%, 15%, 30%, 또는 50%)을 제조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균주를 0.5McFarland 탁도로 맞추어 균 농도가 약 106/ml가 되도록 한 후 각각의 농도별로 브로스에 접종하였다. 37℃에서 배양하면서 0, 4, 8, 12, 24, 48시간 간격으로 균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대조군(샘플 조성물 미포함) 및 샘플 조성물 1의 희석액 처리시 대장균, MRSA, 및 CRAB 함유 배지에서의 시간별 균수의 변화를 도 1 내지 도 3에, 대조군 및 샘플 조성물 2의 희석액 처리시 황색 포도상구균 함유 배지에서의 시간별 균수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각 샘플 조성물 별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도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체적인 양상을 보면 샘플 조성물이 15% 이상 첨가된 배지에서 24~48시간에 대부분의 균이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다양한 세균에 대하여 현저한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4)

  1. 고장초, 현미, 장명채, 율무, 및 쇠뜨기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 원료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로서, 상기 천연 식물 원료의 함량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고장초 100중량부, 현미 30 내지 70중량부, 장명채 20 내지 50중량부, 율무 20 내지 50중량부, 및 쇠뜨기 10 내지 30중량부인,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원료의 열수 추출물은 양파, 포공영, 및 당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가적 천연 식물 원료의 열수 추출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 천연 식물 원료의 함량은 고장초 100중량부(건조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부인 항균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은:
    상기 천연 식물 원료를 각각 별도로 70 내지 100℃의 수중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혼합하여 원료 농축물을 얻은 다음 상기 원료 농축물을 30 내지 50℃의 온도 하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보존하여 얻어지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천연 식물 원료를 모두 혼합하여 70 내지 100℃의 수중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료 농축물을 얻고; 그리고 상기 원료 농축물을 30 내지 50℃의 온도 하에서 24 내지 96시간 동안 보존하여 얻어지는 것인, 항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은 원료 농축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것인 항균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 100 중량부에 고장초 분말, 현미 분말, 장명채 분말, 율무 분말, 및 쇠뜨기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료 분말 1 내지 2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원료의 열수 추출물은 그의 고형물 농도가 50브릭스(Brix)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파 및 포공영의 열수 추출물은 그 고형물 농도가 5브릭스 이상, 상기 당근의 열수 추출물은 그 고형물 농도가 2브릭스 이상인 항균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인 항균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물질은 각각 독립적으로 생재, 건조된 상태,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 동결된 상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항균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제품으로, 상기 항균 제품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및 카바페넴내성 아시네토박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인 항균 제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 식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소화 촉진 또는 소화 불량 개선용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제품으로서, 상기 미용제품은 목욕용품, 화장품, 세정제, 또는 헤어용품인 미용 제품.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
KR1020120027677A 2012-03-19 2012-03-19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130106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677A KR20130106062A (ko) 2012-03-19 2012-03-19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677A KR20130106062A (ko) 2012-03-19 2012-03-19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62A true KR20130106062A (ko) 2013-09-27

Family

ID=4945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677A KR20130106062A (ko) 2012-03-19 2012-03-19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0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808A (ko) * 2018-02-28 2019-09-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11685131A (zh) * 2020-06-15 2020-09-22 山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利用马齿苋提取物预防花生锈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000568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025054A (ko) 2021-08-13 2023-0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쇠뜨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808A (ko) * 2018-02-28 2019-09-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11685131A (zh) * 2020-06-15 2020-09-22 山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利用马齿苋提取物预防花生锈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000568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025054A (ko) 2021-08-13 2023-0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쇠뜨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er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seed and leaf extract of Carica Papaya var. Pusa dwarf Linn
Castillo et al. Extracts of edible and medicinal plants in inhibition of growth, adherence, and cytotoxin produ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JP2019069963A (ja) 新規なバチルス・ベレゼンシスcjbv及びそれを含む抗菌組成物
KR101710194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음료첨가물용 조성물
Hamad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L.) root and its application in functional yoghurt
KR101471710B1 (ko) 천연식물 유래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715622B1 (ko)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Mousavi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hydroalcoholic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leaves and seeds in sistan region, Southeastern Iran
KR20130106062A (ko) 천연식물 유래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Hematian et al. Kashk with caper (Capparis spinosa L.) extract: quality during storage
Wilberforce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ves extracts of Mangifera indica and Carica papaya
Haque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jambul (Syzygium cumini) fruit extract on enteric pathogenic bacteria
KR10160255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1337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aini et al.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proximat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KR101911847B1 (ko) 우엉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15304B1 (ko) 아이스플랜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중독균 저해용 항균 조성물
KR20080077438A (ko)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Narzary et al. Study of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ix wild vegetables of medicinal value consumed by the Bodos of Assam, India
KR101959729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퍼밀러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Sharma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different selective MIC extraction of Amla
KR102390839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유래 항균물질 혼합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