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947A -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947A
KR20130105947A KR1020120027471A KR20120027471A KR20130105947A KR 20130105947 A KR20130105947 A KR 20130105947A KR 1020120027471 A KR1020120027471 A KR 1020120027471A KR 20120027471 A KR20120027471 A KR 20120027471A KR 20130105947 A KR20130105947 A KR 20130105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groove
unit
floor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오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석 filed Critical 오광석
Priority to KR102012002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5947A/ko
Publication of KR2013010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서,
일 바닥패널의 마주보는 두 장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는;
바닥재의 표면을 구성하는 상부립과 상부립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절단된 홈전면부, 상기 홈전면부의 내부에 혀돌출부를 수용하고도 공간이 남도록 넓게 마련되는 제1수용부, 홈부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하부립,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로 돌출한 상향돌출부 등이 기본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가 체결된 후에 상부립의 하부면과 혀돌출부의 상부면이 접촉하지 않고 상기 상부립의 하부면과 혀돌출부의 상부면 사이에 보조물이 위치할 수 있는 적당한 공간이 확보되며,
일 바닥패널의 마주보는 두 장변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혀부는;
홈부의 전면부와 접촉하며 혀돌출부의 상부면이 상부립의 하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홈부의 전면부보다 아래로 훨씬 길게 형성되어 보조물이 홈부의 제1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보조물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 할 수 있는 혀전면부. 보조물을 위로 밀어 올리는데 적당하도록 가공된 혀돌출부, 홈부의 상향돌출부를 수용하는 제3수용부를 형성하며 하부립의 상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혀기저부가 형성되어 포함된 바닥재.

Description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omitted}
본 발명은 바닥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바닥에 장착하는 기계적 결합 요소를 구비한 조립식 바닥재와 그의 보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 패널은 건물의 바닥을 치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 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재에 형성된 체결 요소 및 보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바닥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 패널들은 목재, 합판, MDF, HDF, PB ,PVC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닥재 패널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재 패널의 모든 측면에 기계적 체결 요소를 구비하며 접착제나 못 등의 보조적인 고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바닥재들을 상호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를 구비한 바닥재들은 마루 바닥재의 시공성을 증대 시켜 본 시장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시장의 규모를 확대시키고 마루 바닥재의 하자를 줄이는데 크게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바닥재들이 제조사의 규칙에 따라야만 설치가 가능한 체결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변화가 많은 시공 현장에서 융통성 있는 시공을 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바닥재가 설치되는 현장의 사정과 시공자의 능력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가장 정상적이고 평범한 현장에서만 가능한 체결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설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상기의 소위 완벽한 기계적 체결 구조를 갖는 바닥재들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오차와 하자에 대하여 대처할 방법이 없다.
특히 PVC 보조물이 바닥재의 제조 과장에서 삽입되어 상기 보조물의 탄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바닥재는 기본적인 바닥재와 PVC 보조물이 오차 없이 완벽하게 작동한다는 전제하에서 원하는 정확한 체결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두 재료 중 어느 하나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연결 부위에 단차가 생기거나 또는 체결력이 떨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즉 기본적인 바닥재와 PVC보조물이 연극의 대본처럼 완벽하게 일치해야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시공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PVC 보조물이 삽입된 바닥재는 설치가 편리하다는 장점 뒤에 위와 같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바닥재 패널들을 서로 조립할 때 기본적인 바닥재를 먼저 조립한 후 PVC 보조물을 상황에 따라 삽입하거나 또는 바닥재를 제조할 때 PVC 보조물을 미리 삽입하나 바닥재의 조립 과정에서는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PVC 보조물을 이용하거나 그렇지 아니함으로 시공자에게 보다 많은 융통성을 부여하여 바닥재 설치에 대한 자신감을 증가 시켜 바닥재의 최종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닥재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은, 주로 직사각형의 구조로 형성되나 정사각형의 구조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표현의 편의상 본 발명의 바닥재는 직사각형 이고 마주보는 두 쌍의 대향 측면에서 길이가 긴 한 쌍을 장변이라 하고 또 다른 길이가 짧은 한 쌍을 단변이라 부른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장변과 단변이 각각 다른 체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닥재의 용도에 따라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각각의 구조가 별도의 다른 구조와 만나서 어느 바닥재의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바닥재에는 서로 평행하며 마주보는 두 쌍(제1쌍,제2쌍)의 측면이 형성되며 제1쌍 및 제2쌍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각각 홈부와 혀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쌍의 마주보는 두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에는;
바닥재 표면과 거의 직각으로 만나는 홈전면부,
바닥재의 내부로 둥굴게 진입하며 혀부의 돌출부 및 보조물을 동시에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는 제1수용부,
홈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립과 하부립의 끝에서 위로 돌출된 상향돌출부,
하부립의 상부를 형성하는 홈기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쌍의 마주보는 두 측면 중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혀부에는;
홈전면부와 만나고 홈부의 전면부보다 아래로 훨씬 길게 형성되어 그의 일부가 홈부의 수용부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즉 홈부의 수용부에 삽입된 보조물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혀전면부,
홈부의 수용부 안으로 진입하나 수용부의 내부 폭에 비하여 두께가 훨씬 얇은 형태로 형성되는 혀돌출부,
홈부의 상향돌출부를 수용하는 제3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쌍의 두 측면에 형성된 홈부와 혀부는 보통 바닥재의 장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부위가 긴 장변은 혀부가 홈부의 내부에 쉽게 진입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러므로 상기의 설명과 같이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 제1수용부를 홈부 의 내부에 둠으로써 혀부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혀부가 충분히 회전할 수 없는 설치 현장에서 바닥재의 시공을 용이 하게한다.
이때 제1수용부의 상부와 혀돌출부의 상부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보조물을 삽입하거나 또는 시공전 홈부의 내부에 접착제를 충진하여 두 바닥재의 수직이동을 막아준다.
상기 제2쌍의 마주보는 두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에는;
보조물을 보관하는 제2수용부,
전면부와 동일하게 하향 직선상에 위치한 기저부 측면,
홈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립과 하부립의 끝에서 위로 돌출된 상향돌출부,
하부립의 상부를 형성하는 홈기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쌍의 마주보는 두 측면 중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혀부에는;
보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4수용부,
홈부의 기저부 측면과 마주하는 혀전면부,
혀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혀기저부,
홈부의 상향돌출부를 수용하는 제3수용부 형성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보조물이 바닥재 체결에 있어서 언제나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제1쌍의 측면에 구성된 체결 구조(제1구조)는 바닥재를 회전에 의하여 삽입하기에 불편하거나 부적절할 때 필요하다.
즉 바닥재의 크기가 크거나 무거워서 회전에 의한 체결이 어렵거나 불편할 때 그리고 공간이 좁아서 바닥재의 회전이 불가능할 때 설치하고자하는 바닥재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홈부에 혀부를 올려 놓은 다음 설치하고자하는 바닥재를 밀면 혀부가 쉽게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된 두 바닥재에서 상부립의 하부면과 혀돌출부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에 보조물을 삽입하여 체결을 완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바닥재의 장변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장변이 회전에 의하여 조립될 때 그의 단변이 동시에 접혀지며 체결되는 방식(fold down)을 사용하는 바닥재라면 제1의 구조는 사용이 어렵다.
이때는 바닥재의 제조시 미리 보조물을 바닥재의 홈부에 삽입하여 놓고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보조물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즉 설치 현장의 평활도가 좋고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며 그다지 넓지 않은 공간에서는 보조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순히 요철 모양으로 구성된 홈부와 혀부의 체결 요소들로 부터 충분힌 체결력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 현장의 평활도가 불량하거나 하부에 난방을 실시하는 현장에서는 바닥재의 이동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바닥재의 수직 및 수평이동을 저지해야한다. 즉 홈부와 혀부가 결합된 후 제2수용부와 보조물의 틈사이로 틈의 넓이 보다 두꺼운 두께의 스틱을 밀어 넣으면 보조물은 스틱이 삽입되어 들어오는 압력을 받아서 반대편에 구성된 제4수용부 쪽으로 이동하고 결국에는 보조물이 제2수용부와 제4수용부의 중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체결된 두 바닥재의 수직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제2구조).
제2구조는 제1구조와 함께 어울려서 바닥재의 마주보는 두 쌍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두 구조는 또 다른 구조들과 만나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구조는 바닥재의 장변에 형성하고 단변에는 별도의 다른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구조는 회전이동이 가능한 다른 체결 구조를 장변에 형성한 다음 단변에만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종래의 발명에서 보조물이 삽입된 바닥재들은 바닥재의 체결 과정에서 보조물이 반드시 함께 구동되어서 체결이 완성되었다. 그러므로 보조물의 문제는 곧 바닥재의 품질과 직결되었고 복잡한 설치 현장에서 별도의 처리 방법을 구할 수 없어서 체결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닥재는 보조물의 사용 여부를 시공자가 현장의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자의 융통성이 커지고 현장의 사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패널은 보조물의 사용 여부를 시공자가 현장의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시공자의 융통성은 커지고 설치 현장의 사정에 맞는 시공이 가능함으로 결과적으로 바닥재 품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에 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의 제1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이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이 보조물과 함께 작용하여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의 제2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에서 보조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에서 사용되는 보조물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에서 사용되는 보조물의 이동을 돕는 도구의 형태들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홈부 21 : 상부립 27 : 제1수용부
25 : 하부립 23 : 상향돌출부 24 : 홈기저부
30 : 혀부 32 : 혀돌출부 33 : 제3수용부
50 : 홈부 51 : 제2수용부 52 : 보조물
53 : 하부립 54 : 상향돌출부 56 : 제4수용부
57 : 전면부 58 : 혀기저부 62 : 도구
80 : 보조물 85 : 걸림부 100 : 바닥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패널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의 평면 구조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닥재 패널을 a,a'방향으로 절단 했을 때 장변의 두 측면에 형성된 홈부와 혀부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100)은 한 쌍의 대향하는 장변(110,120)과 또 다른 서로 대향하는 단변(130,1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100)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목재, 합판, PB, MDF, HDF, PVC 및 이들의 혼합물 혹은 화합물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재 패널(100)의 상면에는 특정한 무늬나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 모양지, 무늬목, 전사, 무늬가 인쇄된 PVC film 등으로 장식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식 층의 상측에는 수지, PVC , AL2O3 , UV TREATMENT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면에는 수지로 함침된 보호 층 혹은 상면 층의 균형 층, PVC 혼합물 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닥재 패널의 네 측면(110,120,130,140)에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는 물질(파라핀, 수지, 오일)을 도포 또는 함침 시켜 수분 및 습기로부터 바닥재 패널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 모서리의 일부를 경사지게 제거한 다음 페인팅, 전사, 테이핑등의 방법으로 노출된 부위를 장식하여 바닥재 전체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100)의 장변에는 기본적으로 일 측면(110)에 홈부를 구비하고 반대쪽 측면(120)에는 혀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일측면(110)의 홈부와 이웃하는 바닥재의 타측면에 있는 혀부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바닥재 전체의 설치를 계속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에서 장변(제1쌍)의 홈부에는 바닥재의 표면을 구성하는 상부립(21)과 상부립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절단된 홈전면부(22), 상기 홈전면부(22)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수용부(27), 홈부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하부립(25),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로 돌출한 상향돌출부(23) 등이 기본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부에 구성된 각 체결 요소들은 종래의 공지된 바닥재에 형성된 것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상하의 폭이 넓은 제1수용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재의 체결시 보조물을 이용하여 원활한 체결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가 체결된 후에 상부립(21)의 하부면(26)과 혀돌출부(32)의 상부면(35) 사이에 보조물이 위치할 수있는 적당한 공간(40)이 확보된다.
즉 종래의 바닥재들 에서는 모두 상부립(21)의 하부면(26)과 혀돌출부(32)의 상부면(35)이 접촉함으로 바닥재의 안정적인 체결력을 확보하고 체결된 후 단차를 방지하는 것에 비하면 전혀 상이한 구조이다.
전면부(22)는 접촉하는 두 전면부(22,31)의 원활한 접촉을 위하여 다소 경사지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의 하단부(29)는 충돌을 완화 시키기 위하여 리세스를 구성할 수 도 있다.
홈기저부(24)에서 제1수용부(27)와 이웃하는 부분(24-1)은 보조물의 보관을 쉽게 하기 위하여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수용부의 내부(28)는 보조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패널에서 장변의 혀부(30)에는 홈부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전면부(31)가 구성된다. 이때 전면부는 하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조물이 삽입되었을 때 그의 이동을 제지 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한다. 즉 일반적인 바닥재에서 두 전면부(22,31)가 일치하는 것에 비하여 전혀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혀돌출부(32)의 전면(36)은 보조물을 밀어 올리는데 적당하도록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부의 상향돌출부(23)을 수용하는 제3수용부(33)을 형성하며 하부립의 상부(25-1)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혀기저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에 의하여 두 측면(23-1,33-1)이 접촉할 때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두 접촉면(23-1,33-1)이 아주 작은 틈을 형성하면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혀돌출부(32)의 두께가 가늘기 때문에 보조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혀부가 회전 이동을 할 때 혀돌출부(32)의 파손을 막는데 중요하다.
최초로 결합된 본 발명의 바닥재는 도3 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부립(21)의 하부면(26)과 혀돌출부(32)의 상부면(35) 사이에 공간이 있기 때문에 두 바닥재는 아직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도4에서 와 같이 상기의 공간에 보조물(41)을 삽입하여야 비로소 체결이 완성된다.
그러나 설치 현장이 양호하거나 바닥재의 크기와 무게가 적당할 때는 도4의 a와 같이 보조물(41)을 바닥재의 홈부에 놓은 다음 설치 하고자하는 바닥재의 혀부를 밀어 올리면 보조물이 홈부의 벽을 따라 상승하여 도4의 c에서 처럼 체결이 완성된다.
또한 도3에서 보조물(41)을 삽입하지 않아도 혀기저부(34) 와 하부립(25)의 상부(25-1)에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체결에 무리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재는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보조물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자에게 많은 융통성이 부여된다. 편의상 상기 장변(제1쌍)에 형성된 홈부와 혀부를 조합하여 제1 구조라고 한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닥재 패널을 b,b'방향으로 절단 했을 때 단변의 두 측면에 형성된 홈부와 혀부의 단면도이다.
도5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재는 단변(제2쌍)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홈부(50)와 혀부(55)가 형성된다. 홈부에는 장변에 형성된 홈부(20)와 대부분의 체결 요소들이 유사하나 제2수용부(51)의 내부 폭이 보조물(52)의 폭과 거의 일치하며 바닥재의 제작 과정에서 미리 보조물(52)을 삽입하여 설치해 놓은 것이 다르다.
한편 혀부(55) 역시 장변에 형성된 혀부(30)와 대부분의 체결 요소들이 유사하나 혀부의 몸통에 제4수용부(56)를 구성하여 홈부에서 밀려나온 보조물(52)을 수용하는 공간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2수용부(51)와 제4수용부(56)는 서로 일치하게 형성하여 보조물의 이동을 쉽게 한다. 즉 제2수용부의 하부면(51-2)과 제4수용부(56)의 하부면(56-2)을 동일 직선상에 놓이게 하고 제2수용부의 상부면(51-1)과 제4수용부(56)의 상부면(56-1)역시 동일 직선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보조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장변이 체결된 두 바닥재는 자동적으로 단변도 결합되어 도6과 같은 결합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도6에서 에서와 같이 바닥재(60)는 상 방향(61)으로 열려있는 상태가 되어 설치 장소의 평활도가 이상적이지 않으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9에서와 같이 제2수용부(51)의 내벽(51-3) 과 보조물(52)과의 공간(51-4)에 그 공간의 폭 보다 두꺼운 형태의 도구(92)를 삽입한 후 끝 까지 밀거나 혹은 넓적한 도구(91)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면 보조물(52)이 제4수용부(56)쪽으로 밀리면서 제2수용부(51) 와 제4수용부(56)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된 두 바닥재의 수직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보조물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바닥재에서는 바닥재의 체결 동작과 동시에 보조물이 작동하기 때문에 외부의 예기치 않은 요인들로 인하여 보조물이 바닥재와 함께 정확하게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체결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닥재에서는 보조물은 바닥재가 체결되는 동안에는 전혀 움직이지 않고 현장의 상황에 따라 시공자의 판단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구동되고 또한 보조물이 구동되는 동안에 보조물의 형태가 변화지 않기 때문에 구동 원리가 단순하여 보다 정확한 체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은 제2 구조에 삽입된 보조물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물(80)은 바닥재의 체결 시 절대로 그의 형태가 변하지 않아야하며 오직 시공자의 선택과 외부에서 받는 힘에 의하여 이동(위치 변경)만 한다. 그러므로 보조물의 형태는 간단하다. 즉 보조물(80)이 홈부(50)의 제2수용부((51) 쪽에 위치한 측면(81)은 곡면이거나 직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쪽의 측면(83)은 어떤 형상을 갖든지 반드시 모서리는 완만하거나 제거되어 보조물이 혀부(55)의 제4수용부(56)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중요한 것은 보조물(80)이 홈부(50)의 제2수용부(51) 쪽에 위치한 측면(81)에는 표면보다 깊은 걸림부(85)를 구성한다. 즉 도7 에서와 같이 보조물(52)이 혀부의 제4수용부(56) 쪽으로 이동하여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미 설치된 바닥재를 분리해야할 문제가 발생했다면 원활한 바닥재의 분리를 위하여 먼저 보조물(52)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도8 에서와 같이 보조물의 상기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85)에 끝이 구부러진 도구를 걸어서 밖으로 당기면 보조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재의 분리가 용이해 진다.
또한 상기 보조물의 재료는 상기 바닥재의 수직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목재, PVC,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편의상 상기 단변(제2쌍)에 형성된 홈부와 혀부를 조합하여 제2구조라고 한다.
제2구조는 제1구조와 함께 어울려서 바닥재의 마주보는 두 쌍의 측면(단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두 구조는 또 다른 구조들과 만나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구조는 바닥재의 장변에 형성하고 단변에는 별도의 다른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구조는 회전이동이 가능한 다른 체결 구조를 장변에 형성한 다음 단변에만 이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서,
    일 바닥패널의 마주보는 두 장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는;
    바닥재의 표면을 구성하는 상부립과 상부립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절단된 홈전면부, 상기 홈전면부의 내부에 혀돌출부를 수용하고도 공간이 남도록 넓게 마련되는 제1수용부, 홈부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하부립,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로 돌출한 상향돌출부 등이 기본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가 체결된 후에 상부립의 하부면과 혀돌출부의 상부면이 접촉하지 않고 상기 상부립의 하부면과 혀돌출부의 상부면 사이에 보조물이 위치할 수 있는 적당한 공간이 확보되며,
    일 바닥패널의 마주보는 두 장변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혀부는;
    홈부의 전면부와 접촉하며 혀돌출부의 상부면이 상부립의 하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홈부의 전면부보다 아래로 훨씬 길게 형성되어 보조물이 홈부의 제1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보조물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 할 수 있는 혀전면부. 보조물을 위로 밀어 올리는데 적당하도록 가공된 혀돌출부, 홈부의 상향돌출부를 수용하는 제3수용부를 형성하며 하부립의 상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혀기저부가 형성되어 포함된 바닥재.
  2.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서,
    일 바닥패널의 마주보는 두 단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는;
    홈전면부와 그의 내부에 보조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홈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립,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로 돌출되며 경사진 측면을 갖는 상향돌출부를 형성하며 모든 체결 요소들이 혀부의 수직 하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고,
    두 단변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혀부는;
    혀부의 내부에 보조물을 수용하는 제4수용부가 형성되고 제4수용부의 하부면과 제2수용부의 하부면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제4수용부의 상부면과 제2수용부의 상부면도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하부립의 상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혀기저부, 상향돌출부를 수용하며 경사진 측면을 갖는 제3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는 바닥재의 제작시 보조물이 삽입되나 혀부가 홈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진입할 때는 구동하지 않고 홈부와 혀부가 결합된 후 오직 외부에서 인위적인 힘을 받을 때만 보조물이 제2수용부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2수용부와 제4수용부의 중간에 위치하며 두 바닥재의 수직 이동을 저지하고, 보조물은 구동시 형태에 변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목재, 합판, PB, MDF, HDF, PVC 및 이들의 혼합물 혹은 화합물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재의 상면에는 특정한 무늬나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 모양지, 무늬목, 전사, 무늬가 인쇄된 PVC film 등으로 장식 층이 형성되며, 장식 층의 상측에는 수지, PVC , AL2O3, UV TREATMENT 층 등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수지로 함침된 보호 층 혹은 상면 층의 균형 층, PVC 혼합물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바닥재의 측면에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는 물질(파라핀, 수지, 오일)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수분 및 습기로부터 바닥재를 보호해주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서,
    일 바닥패널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는;
    홈전면부와 그의 내부에 보조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홈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립, 하부립의 단부에서 위로 돌출되며 경사진 측면을 갖는 상향돌출부를 형성하며 모든 체결 요소들이 혀부의 수직 하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타 측면에 형성되는 혀부는;
    혀부의 내부에 보조물을 수용하는 제4수용부가 형성되고 제4수용부의 하부면과 제2수용부의 하부면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제4수용부의 상부면과 제2수용부의 상부면도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하부립의 상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혀기저부, 상향돌출부를 수용하며 경사진 측면을 갖는 제3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는 바닥재의 제작시 보조물이 삽입되나 혀부가 홈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진입할 때는 구동하지 않고 홈부와 혀부가 결합된 후 오직 외부에서 인위적인 힘을 받을 때만 보조물이 제2수용부의 외부로 이동하여 제2수용부와 제4수용부의 중간에 위치하며 두 바닥재의 수직 이동을 저지하고, 보조물은 구동시 형태에 변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수용부 쪽을 향하는 보조물의 측면에 끝이 휘어진 도구를 걸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KR1020120027471A 2012-03-19 2012-03-19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KR20130105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471A KR20130105947A (ko) 2012-03-19 2012-03-19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471A KR20130105947A (ko) 2012-03-19 2012-03-19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47A true KR20130105947A (ko) 2013-09-27

Family

ID=4945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471A KR20130105947A (ko) 2012-03-19 2012-03-19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59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2479A (zh) * 2018-06-01 2019-12-10 浙江菱格木业有限公司 用于地板安装的辅助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2479A (zh) * 2018-06-01 2019-12-10 浙江菱格木业有限公司 用于地板安装的辅助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9826C2 (ru) Стеновая или потолочная панель и стеновой или потолочный узел
US8037656B2 (en) Flooring boards with press down locking mechanism
US7805903B2 (en) Locking mechanism for flooring boards
CA2809984C (en) Covering panel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lurality of same
US7487622B2 (en) Interlocking frame system for floor and wall structures
US20100325969A1 (en) Adapto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s around tubs, showers, and the like
US8707640B2 (en) Removable bulkheads for building fixtures
JP2007182751A (ja) タイル
US9388583B2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WO2017211078A1 (zh) 一种地板的拼接机构
EP3282066B1 (en)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elongated elements and an arrangement comprising the same
EP3655598A1 (en) Panels with a detachable protruding lip for wall- ceiling- or floor coverings
KR20150103619A (ko) 조립식 바닥재와 보조물 및 조립 방법이 합쳐진 바닥재 시스템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US200500720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achably fixing a surface component to a background
WO2008088239A1 (fr) Unité de raccordement de panneaux de construction
KR20130105947A (ko) 보조물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바닥재
US10400458B1 (en) Interlocking flooring system using locking strips
WO2016001886A1 (en) A support arrangement for a structural lining
WO2015160813A1 (en) Sliding paneling system for buildings
JP7286443B2 (ja) コーナーカバーとその取り付け方法
JPH035464B2 (ko)
JP4288271B2 (ja) 自在間仕切り構造
JP4099809B2 (ja) レンガ壁およびレンガ壁施工方法
WO2014097197A1 (en) Junction cap member, plaster board retaining system and kit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