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009A -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009A
KR20130105009A KR1020120027069A KR20120027069A KR20130105009A KR 20130105009 A KR20130105009 A KR 20130105009A KR 1020120027069 A KR1020120027069 A KR 1020120027069A KR 20120027069 A KR20120027069 A KR 20120027069A KR 20130105009 A KR20130105009 A KR 2013010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hot rolled
workability
material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888B1 (ko
Inventor
박광균
배진호
노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88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Abstract

본 발명은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확보를 위한 고가의 합금 원소의 첨가와 조관 후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고도 강재의 성분계와 제조조건을 정밀 제어함으로써, 재질편차가 적고 저항복비 특성을 구현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킨 유정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열연강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HOT-ROLLED STEEL SHEETS WITH SUPERIOR WORKABILITY AND LOW MECHANICAL PROPERTY DEVI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라인파이프, 해양구조물 또는 유정용 강재 등에 주로 사용되는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라인파이프, 해양구조물 또는 유정용 강재 등에는 주로 고장력 열연강판이 사용되며,
특히, 상기 열연강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정관용 강관은 고강도, 내외압 압괴강도, 인성, 내지연 파괴특성, 내황화수소 균열성 및 가공성 등이 요구된다. 이에, 상술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열연강판을 강관으로 조관한 후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고강도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정관용 강관은 이음매 없는 강관(seamless steel pipe)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심리스(seamless) 강관을 제조하는 방법은, 고온에서 가열된 빌릿(billet)을 천공 압연기로 천공한 뒤, 플러그밀(plug mill), 맨드릴밀(mandrel mill) 등의 압연기를 이용하여 압연한 후, 레듀사(reducer) 또는 사이저(sizer)를 이용하여 축경 또는 두께를 가공한 뒤, 담금질하고 템퍼링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이용할 시 담금질 및 템퍼링 열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가열로, 균열로의 설치가 필요하고, 고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심리스(seamless) 강관을 최종 압연한 후에 열처리를 하지 않고도 우수한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에 적당한 비조질 유정강관을 개발하여 제공되고 있으나, 여전히 가공성의 확보를 위해 저항복비를 확보한 비열처리 유정용 강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재질편차가 적은 열연강재의 제조는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고탄소강에 다양한 합금 원소들을 첨가하여 강재를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고탄소강에 대한 냉각 중 복잡한 상 변태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열연 코일 길이 및 폭방향 편차, 형상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실수율도 많이 낮은 상황이고, 고가의 합금 원소의 첨가로 제조원가가 높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아울러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재질 편차가 적고, 저항복비 특성을 가짐으로써 가공성이 향상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상기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1~0.50%, Si: 0.01~0.50%, Mn: 0.1~2.0%, Cr: 0.01~0.6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하기 수학식으로 표시되는 Ceq가 0.65~0.80을 만족하고, 항복비(YR)가 0.65 이하인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을 제공한다.
[수학식]
Ceq = C + Mn/6 + Cr/5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상술한 성분계를 가지고 상기 수학식으로 표시되는 Ceq가 0.65~0.80를 만족하는 강재를 1000~12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재를 Ar3~Ar3+50℃에서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냉각한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같이 성분계 및 제조조건을 최적화시켜 조절하는 경우, 열연강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재질편차가 적고, 저항복비 특성이 구현되어 가공성이 향상된 유정관용 열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에 있어서, 강도 확보를 위한 고가의 합금 원소의 첨가와 조관 후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고도 강재의 성분계와 제조조건을 정밀 제어함으로써, 재질편차가 적고 저항복비 특성을 구현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킨 유정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열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열연강판에 있어서, 성분을 제어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성분원소의 함유량은 모두 중량%를 의미한다.
C: 0.01~0.50%
탄소(C)는 강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원소이나, 다량 첨가할 경우에는 용접성, 성형성 및 인성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그 함량을 0.01~0.50%로 제한한다.
C의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에는 동일한 강도를 발휘시키기 위해 다른 합금원소를 상대적으로 다량 첨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며, 반면 0.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성, 성형성 및 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Si: 0.01~0.50%
실리콘(Si)은 용강을 탈산시키는 원소이고, 또한 고용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원소이므로, 0.01~0.50% 범위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Si의 함량이 0.01% 미만일 경우에는 용강의 탈산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므로 청정한 강을 얻기 어려우며, 반면 0.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간압연시 Si에 의한 붉은형 스케일이 형성되어 강판 표면의 형상이 매우 나쁘게 되며, 연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Mn: 0.1~2.0%
망간(Mn)은 강을 고용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로서, 0.1% 이상 첨가되어야 소입성 증가효과와 더불어 고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강공정에서 슬라브를 주조시 두께 중심부에서 편석부가 크게 발달되고 최종제품의 용접성을 해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Cr: 0.01~0.60%
크롬(Cr)은 직접 급냉시 강의 경화능을 증가시키며, 내부식성 및 내수소 균열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몰리브덴(Mo)과 같이 펄라이트 조직의 생성을 억제하여 양호한 충격 인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Cr을 0.01% 이상으로 첨가하여야할 필요가 있으나, 과량 첨가할 경우에는 현장 용접 후 냉각 균열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고, 강 및 이의 용접열영향부(HAZ)의 인성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함량을 0.6%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성분 이외에 첨가될 수 있는 합금 성분의 첨가를 수반하지 않는다.
즉, 니오븀(Nb)은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 아주 유용한 원소이나, 초세립 압연 기술을 이용한다면 첨가하지 않으며, 몰리브덴(Mo)은 소재의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매우 유효한 원소이나 고가의 원소이므로 첨가하지 않는다. 또한, 바나듐(V)은 효과는 Nb와 유사한 Nb 보다는 덜 명백한 효과를 갖지만, V를 Nb와 함께 첨가할 경우에는 현저한 효과를 생성하는 원소이다. 하지만, 이 역시 고가의 원소이므로 첨가하지 않는다. 다만, Mo 또는 Ti 원소 같은 경우에는 강중 불순물로서 트레이스(Trace)량 정도로 존재할 수는 있다.
강중 또 다른 불순물로서 N이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N의 함량은 강판의 특성을 해치치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조관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는 강판 조성을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하면서, 이와 더불어 하기 수학식으로 표시되는 Ceq를 0.8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Ceq = C + Mn/6 + Cr/5
상기 수학식은 강판의 용접성 확보가 가능한 성분관계를 경험적 수치로 얻은 것이다. 즉, 강중 C, Mn, Cr의 원소는 탄소 당량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탄소 당량이 높을수록 용접성은 열화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정관용 열연강판이 사용될 때, 주로 시공되는 용접방법인 점용접시 용접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반복실험을 통해 설명하면, 상기 수학식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학식에 의해 계산된 값이 0.8을 초과하면 용접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성분계를 가지는 강판으로서,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이 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으로 내부조직의 종류와 형상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압연 부위별 냉각 패턴 등에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강판 전체의 미세조직을 동일하게 얻을 수 없는 바, 적어도 미들부(middle)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어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연강판에서 미들부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 기준으로 50~60%의 페라이트 및 40~50%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의 미들부는 강판 전체의 중심이 되는 지점으로부터 헤드부, 테일부 방향으로 각각 20 m 내의 부위를 지칭하며, 강판의 조직을 상기와 같이 제어할 경우에는 강판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재질편차를 적게 하는데에 유리하다.
이와 더불어, 열연강판 헤드(head)부에서는 50~60%의 페라이트, 25~35%의 펄라이트, 5~10%의 침상 페라이트 및 5~10%의 상부 베이나이트를 포함하고, 테일(tail)부에서는 50~60%의 페라이트, 25~40%의 펄라이트 및 5~10%의 상부 베이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강판의 헤드부는 압연 시작지점으로부터 15 m 내의 부위이며, 강판의 테일부는 압연이 종료되는 지점으로부터 15 m 내의 부위를 지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강판의 재질편차뿐만 아니라, 가공성도 향상시킴으로써 상술한 성분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유정관용 강관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저항복비(YR)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합금원소 및 미세조직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미세조직이 너무 미세해질 경우에는 저항복비 달성에 부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일정 수준으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페라이트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6~1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펄라이트 콜로니의 평균 크기는 5~12μm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온에서 강판에 존재하는 미세조직은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변태된 조직이므로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상온에서 존재하는 미세조직의 크기 역시 미세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를 작게 제어하여 결정립계의 분율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평균 크기가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성분계를 가지며 내부조직 조건을 충족하는 강판은 0.65 이하의 저항복비(YR)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은 유정관용 제품에 적용되기 매우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하는 열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해 도출된 가장 바람직한 방법에 대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은 개략적으로, 상술한 성분계를 만족하는 강재를 재가열하고, 압연 및 냉각한 후 권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 상세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재 가열: 1000~1250℃
강재의 가열공정은 후속되는 압연공정을 원활히 수행하고 목표하는 강판의 물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강을 가열하는 공정이므로, 목적에 맞게 적절한 온도범위 내에서 가열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때, 강판 내부의 석출형 원소들이 충분히 고용될 수 있을 정도로 균일하게 가열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너무 높은 가열온도로 인하여 결정립이 과다하게 조대화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야 한다.
강재의 가열온도가 1000℃ 미만일 경우에는 이후 압연공정시 부적합하며, 반면 1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지나치게 조대화 되어 결국 강판의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그 결과 강판의 인성이 극히 열화된다. 따라서, 적절한 가열온도 범위는 1000~1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 조건
강판이 재질균일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미세한 크기로 존재하여야 하는데, 이는 압연온도 및 압하율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Ar3(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온도)~Ar3+50℃의 온도 범위에서 한 패스당 압하율 20% 이상을 유지하면서 총 압하율이 50% 이상 되도록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은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통하여 결정립을 작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만일 압연을 다단계로 실시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후 결정립 성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단계의 압하율 및 시간을 잘 제어하여야 한다.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의 정도는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하율 및 온도에 의하여 지배를 받게 된다. 이때, 패스당 압하율이 너무 낮으면 재결정이 부분적으로만 발생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균일하지 않게 되어 목적하는 재질균일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각 단계의 압하율을 20% 이상으로 제한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은 최종 판재의 재질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냉각 조건
냉각속도는 강판의 인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며,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강판의 내부조직의 결정립이 미세화되어 인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에 경질조직이 발달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판의 내부조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냉각속도의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는 온도까지 냉각하여 줄 필요가 있다.
상기 열간압연을 마친 강판을 ROT(Run Out Table) 내에서 페라이트역 냉각을 위해 오스테나이트 영역인 720~820℃의 온도 범위에서는 20~40℃/s로 강냉한다. 강냉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한 한 빠르게 변태영역으로 진입시키기 위함이며, 다만 초기 냉각속도가 20℃/s 미만일 경우에는 변태영역으로의 진입이 늦어져 입자가 조대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반면 40℃/s를 초과하여 너무 빠르게 냉각할 경우에는 ㅍ판 형상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냉각에 의해 강판의 온도가 페라이트역으로 변태되는 영역인 600~750℃로 되면 10~20℃/s로 중냉시킨다. 이때, 냉각속도가 10℃/s 미만일 경우에는 입자가 조대화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20℃/s를 초과할 경우에는 판 에지(edge)부에서 과냉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냉각에 의해 강판의 표면온도가 중간 온도이력(Middle Temperature)인 590~610℃ 범위로 되면,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공냉한다. 상기 중간 온도이력에서 공냉을 수행함으로써 강판의 최적 미세조직을 구현시킬 수 있다.
권취 조건
냉각을 완료한 열연강판의 길이방향 재질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권취 시 헤드(head)부 및 테일(tail)부에서 온도가 상승되는 U 모양의 권취 패턴을 구현하였다. 이때, 권취온도는 최적 미세조직을 확보하기 위해 600~62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 패턴 권취시, 헤드(head)부와 미들(middle)부 간의 온도차는 80~100℃이며, 미들(middel)부와 테일(tail)부 간의 온도차는 100~120℃이다.
열연코일의 권취 후 자연 공냉시, 코일의 위치별 서로 다른 냉각이력 특히, 미들(middle)부의 경우 헤드(head)부나 테일(tail)부에 비해 느린 냉각속도에 의해 재질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권취시 패턴변화를 부여해 줌으로써 전장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하기 표 1의 성분 조성을 갖는 강을 연속주조법에 의해 슬라브로 제조한 후, 이를 하기 표 2와 표 3에 나타낸 조건으로 열간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하였다.
강종 C Mn Si Cr Mo Ti Ceq* YS TS El YR N** 비고
A1 0.25 1.6 0.01 0.10 0.10 0.030 0.54 500 689 20 0.73 0.176 비교강
A2 0.30 1.8 0.20 0.20 0.30 0.030 0.64 550 700 21 0.79 0.193 비교강
A3 0.36 1.2 0.03 0.30 0.25 0.025 0.62 525 702 19 0.75 0.201 비교강
A4 0.39 1.5 0.25 0.32 0.01 0.005 0.70 420 724 27 0.58 0.256 발명강
A5 0.43 1.7 0.30 0.28 0.02 0.001 0.77 398 753 24.5 0.53 0.242 발명강
A6 0.41 1.6 0.27 0.45 0.01 0.002 0.77 411 720 23.2 0.57 0.249 발명강
(상기 표 1에서, YS(yield strength)는 항복강도이며, TS(tensil strength)는 인장강도이고, El(elongation)은 연신율, YR(yield ratio)은 항복비를 나타낸 것이며, N** 값은 가공경화지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Mo 및 Ti의 함량은 강중 불순물로서 트레이스(Trace)량을 나타낸 것이다.)
강종
가열로내
결정립 크기
(μm)
Ar3~Ar3+50℃에서 패스당 압하율(%) 총 압하율
(%)
미들(middle)부 비고
페라이트
분율(%)
펄라이트
분율(%)
A1 48 - - 40 55 비교강
A2 58 - - 45 45 비교강
A3 65 - - 43 45 비교강
A4 45 23 55 55 45 발명강
A5 39 24 54 54 46 발명강
A6 48 23 55 57 43 발명강
강종 마무리 압연온도(℃) ROT 냉각조건 권취 온도(℃) 비고
Zone1 Zone2 Zone3 평균 헤드
(head)
부위
테일
(tail)
부위
온도
(℃)
냉각속도
(℃/s)
온도
(℃)
냉각속도
(℃/s)
온도
(℃)
A1 830 810 21 695 37 560 623 710 700 비교강
A2 824 801 20 730 22 633 618 708 630 비교강
A3 890 850 25 744 21 644 600 650 615 비교강
A4 765 735 25 680 12 595 605 689 713 발명강
A5 754 733 21 673 11 600 610 702 725 발명강
A6 738 721 20 623 15 605 611 709 720 발명강
(상기 표 3에서 Zone1은 압연 후 1차 냉각을 적용하는 조건을 나타낸 것이며, Zone2는 1차 냉각 후 2차 냉각을 적용하는 조건을 나타낸 것이며, Zone 3은 2차 냉각 후의 온도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간압연하여 얻어진 강판의 기계적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인장강도 측정을 위한 인장 시험편은 압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서 채취하였는데, 이 방향은 유정용 강관의 API(American Petrolum Institute) 규격에 정해진 방향이다. 즉, 인장 시험편으로서 API 5L 규격을 갖는 시험편을 이용하였으며, 인장시험은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 10mm/min에서 실시하였다.
발명재와 비교재의 물성 결과는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성분범위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강 1 내지 3의 경우에는 65 이하의 저항복비가 달성되었으며, 가공성 지수인 N** 값도 우수하게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강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성분범위는 만족하나, Ceq 값과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로서, 미들부의 미세조직이 최적으로 생성되지 못함에 따라 항복비의 규격이 초과되고, 가공성이 열화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중량%로, C: 0.01~0.50%, Si: 0.01~0.50%, Mn: 0.1~2.0%, Cr: 0.01~0.6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하기 수학식으로 표시되는 Ceq가 0.65~0.80을 만족하고,
    미들부(middle)부의 미세조직이 면적분율로 50~60%의 페라이트 및 40~50%의 펄라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수학식]
    Ceq = C + Mn/6 + Cr/5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헤드(head)부에서는 50~60%의 페라이트, 25~35%의 펄라이트, 5~10%의 침상 페라이트 및 5~10%의 상부 베이나이트를 포함하고, 테일(tail)부에서는 50~60%의 페라이트, 25~40%의 펄라이트 및 5~10%의 상부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6 내지 10 μm이고, 상기 펄라이트 콜로니의 평균 크기가 5 내지 12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은 초기 오스테나이트 평균 결정립도가 5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은 가공경화지수가 0.20~0.30 이고, 항복비(YR)가 0.6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6. 중량%로, C: 0.01~0.50%, Si: 0.01~0.50%, Mn: 0.1~2.0%, Cr: 0.01~0.6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하기 수학식으로 표시되는 Ceq가 0.65~0.80을 만족하는 강재를 1000~12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재를 Ar3~Ar3+50℃에서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냉각한 후 권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수학식]
    Ceq = C + Mn/6 + Cr/5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하는 단계 후 오스테나이트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하는 단계는 압연 패스당 압하율이 20% 이상이고, 총 압하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오스테나이트 영역인 720~820℃의 온도 범위에서는 20~40℃/s의 속도로 강냉하고, 600~750℃ 온도 범위에서는 10~20℃/s의 속도로 중냉한 후, 590~610℃의 온도 범위에서 냉각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하는 단계는 600~62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편차 및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20027069A 2012-03-16 2012-03-16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69A KR101382888B1 (ko) 2012-03-16 2012-03-16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69A KR101382888B1 (ko) 2012-03-16 2012-03-16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09A true KR20130105009A (ko) 2013-09-25
KR101382888B1 KR101382888B1 (ko) 2014-04-08

Family

ID=4945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69A KR101382888B1 (ko) 2012-03-16 2012-03-16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57A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고강도 강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688B2 (ja) * 1976-05-31 1985-04-20 松下電工株式会社 モ−タ用刷子
US5509977A (en) * 1992-01-30 1996-04-23 Japan Casting & Forging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plates and sheets excellent in uniform elongation after cold work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7224351A (ja) * 1994-02-14 1995-08-22 Japan Casting & Forging Corp 冷間加工後の一様伸びの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43054B2 (ja) * 1995-05-30 2001-03-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成形後の降伏強度低下の少ない高強度熱延鋼板、それを用いて成形されたパイプ及びその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57A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고강도 강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888B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970B1 (ko)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8423B1 (ko) 조관후 강도변화가 작은 스파이럴 강관용 후물 열연 고강도api-x80 급 강재 및 제조방법
EP3042976A1 (en) Steel sheet for thick-walled high-strength line pipe having exceptional souring resistance, crush resistance properties, and low-temperature ductility, and line pipe
JP6048626B1 (ja) 厚肉高靭性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78598B1 (ko) 저항복비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항복비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KR100987347B1 (ko) 고강도 저항복비 철근의 제조방법
KR101940872B1 (ko) 유정관용 열연강판, 이를 이용한 강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60078624A (ko)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강관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528B1 (ko) 재질 편차가 작은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US11578392B2 (en) High-strength high-toughness hot-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20511B1 (ko)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7619A (ko) 열연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KR101795882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KR101382888B1 (ko) 재질편차가 적고, 가공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8527B1 (ko) 용접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KR102252106B1 (ko) 항복강도 620MPa급 이상의 내진철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항복강도 620MPa급 이상의 내진철근
JP2006213957A (ja) 材質均一性に優れた高伸びフランジ成形性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546138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9137B1 (ko) 용접성 및 하이드로포밍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97367B1 (ko) 강관 제조용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86330B1 (ko) 재질이 균일한 고강도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990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열연강재 및 그 제조 방법
JP5464169B2 (ja) 加工性に優れた引張強度628MPa以下の高張力厚鋼板
KR101675677B1 (ko) 비열처리형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9901B1 (ko) 가공성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유정관용 열연강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강도 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