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768A -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768A
KR20130104768A KR1020120026597A KR20120026597A KR20130104768A KR 20130104768 A KR20130104768 A KR 20130104768A KR 1020120026597 A KR1020120026597 A KR 1020120026597A KR 20120026597 A KR20120026597 A KR 20120026597A KR 20130104768 A KR20130104768 A KR 20130104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rofile
owner
operation mod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047B1 (ko
Inventor
정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047B1/ko
Priority to US13/778,874 priority patent/US9100801B2/en
Priority to ES13157304T priority patent/ES2804453T3/es
Priority to EP13157304.0A priority patent/EP2677774B1/en
Priority to CN201310081151.XA priority patent/CN103312534B/zh
Publication of KR2013010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68A/ko
Priority to US14/808,020 priority patent/US95101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 재 생성 방법에 있어서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PROFILE MANAGEMENT IN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자주 사용하는 와이 파이 P2P 그룹 리스트, 동작 모드, P2P 그룹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프로파일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선호하는 P2P 기기 그룹을 재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P2P 기기와의 P2P 그룹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P2P 그룹이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자주 사용하게 되는 그룹일 경우, 즉, 추후에 다시 같은 그룹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P2P 그룹과의 연결을 위해 기기 발견(discovery)후, 연결을 위해 기기들을 하나하나 선택해야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기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그룹을 재 생성함에도 불구하고, 매번 기기를 하나하나 선택해야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와이 파이 P2P 그룹의 리스트, 동작 모드, P2P 그룹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프로파일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선호 P2P 기기 그룹을 재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 재 생성 방법에 있어서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 생성 방법에 있어서 그룹 명칭 및 연결될 애플리케이션을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을 재 생성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고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그룹 명칭 및 연결될 애플리케이션을 입력 받고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선호 P2P 그룹의 기기를 사용자가 매번 하나하나 재 연결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리스트에서 선택하거나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함으로써 간단히 선호 P2P 기기 그룹을 복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통해 P2P 그룹의 생성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기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1:N 그룹을 구성할 수 있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이 기존 P2P 기술 대비 가지는 장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1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2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3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4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5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제 1 도면이다.
도 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제 2 도면이다.
도 9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제 3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기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핑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와이 파이 P2P(Wi-Fi Peer to Peer or Wi-Fi Direct) 기술은 기존의 와이 파이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와이 파이 기기 사이에 기존의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 의 매개체인 액서스 포인트(access Point)없이 다이렉트한 연결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와이 파이 기술의 경우 액서스 포인트를 통한 인터넷 연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와이 파이 기기간 직접 통신에 대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이러한 부분은 블루투스(Bluetooth)가 어느 정도 메우고 있었으나 전송 거리 및 전송 속도를 고려할 때 와이 파이 다이렉트는 블루투스가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을 메우게 될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기존에도 와이 파이 기술에는 애드 혹(Adhoc)모드라고 하는 직접 연결을 지원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보안의 취약함, 전력 소모 문제, 스루풋(Throughput)이 11 Mbps로 제한되는 점 등 여러 가지 단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와이 파이 P2P는 WPA2 의 보완모드를 지원함으로써 보완의 취약성을 보완하였으며, WSC(Wi-Fi Simple 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보다 간단한 와이 파이 기기 사이의 연결성을 지원한다.
또한, 와이 파이 P2P는 IEEE 802.11n까지 지원하여 애드 혹 대비 스루풋을 대폭 개선하였으며, 향상된 전력 소모 알고리즘이 추가되었다.
  특히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술은 블루투스 와는 달리 1:N 모드를 지원하여 개의 기기 사이의 연결 이외에도 그 이상의 기기들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지원하는 기기에서 2개 이상의 기기들이 연결되는 1:N P2P 그룹을 선호(Favorite) 그룹을 프로파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와이 파이 다이렉트(와이 파이 P2P)의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1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와이 파이 P2P을 이용하여 와이 파이 기기를 서로 연결할 시에 생성되는 그룹을 P2P 그룹 이라고 한다. 1:1 연결을 가정할 때 하나의 기기는 그룹 소유자(Owner)로써 동작하고 나머지 피어(상대) 기기는 클라이언트(Client)(기기)(120, 122, 124, 126)로 동작한다.
이때, 그룹 소유자(110)는 무선 랜 네트워크의 액서스 포인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다른 클라이언트(120, 122, 124, 126)는 무선 랜 네트워크의 스테이션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레거시 와이 파이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본 발명의 각 P2P 그룹에서 기기는 기존 레거시 와이 파이와 같이 미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와이 파이 P2P 연결과정에서 그룹 소유자 협상이라는 P2P 만의 프로토콜을 통해 동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특히,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이용한 P2P 그룹은 도면에서와 같이 1:1 연결뿐 아니라 1:N 연결도 가능하며, 그룹 소유자(110)의 능력에 따라 수용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수가 정해진다. 이러한 1:N 연결이 가능한 점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가 기존 P2P 기술과 구별되는 중요한 장점이 된다.
이제, 와이 파이 다이렉트 디스커버리 기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와이 파이 기기가 액서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SCAN(Probe Request/Probe Response 메시지 교환)과정을 이용하듯이, 와이 파이 P2P 기기 사이의 연결을 통해 P2P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 기기의 존재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P2P 발견 과정이라 한다. 기본적인 P2P 발견 과정 역시 SCAN과정과 마찬가지로 Probe Request와 Probe Response 메시지 의 교환을 이용한다.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기 사이의 연결 과정을 다음과 같다.
먼저, Provision Discovery Exchange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P2P 발견 과정을 통해 원하는 상대 기기의 존재를 확인한 경우, 와이 파이 P2P 기기는 먼저 연결을 희망하는 상대 기기와 Provision Discovery Exchange과정을 실행한다. 상기 Provision Discovery Exchange과정은 와이 파이 P2P 규격에 정의된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이다.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기는 Provision Discovery Request메시지를 통해 연결을 희망하는 상대 기기에게 원하는 방식의 WSC 구성 방법을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받은 상대 기기는 이를 팝업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를 요청한다.
상기 팝업에는 Provision Discovery를 요청한 기기 명칭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게 되어 요청을 받은 상대 기기의 사용자는 연결을 수용할 지 여부 및 WSC 을 활성화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Provision Discovery Exchange에 이용되는 WSC 구성 방법에는 PBC, PIN from Display, PIN from Keypad 가 있다. PIN from Display 방식으로 요청 받은 상대 기기는 이를 수용할 경우 WSC PIN을 디스플레이 하면서 사용자에게 트리거를 요청하게 되며, PIN from Keypad 방식은 사용자에게 PIN 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 트리거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Provision discovery Exchange과정이 끝나면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기 사이에 그룹 소유자 협상(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기 사이의 연결에서 액서스 포인트는 필요하지 않지만 어떤 기기가 액서스 포인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지에 대한 결정 과정이 동적으로 수행된다.
그룹 소유자 협상 과정은 GO Negotiation Request / Response 및 Confirm 메시지 교환에 의해 완료된다. 이 때 양 기기는 각 기기가 지정한 그룹 소유자 Intent 값을 비교하여 큰 값을 지정한 기기가 그룹 소유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밖에도 연결 후 생기는 P2P 그룹의 속성 및 Operating channel, listen timing 등을 이 과정을 통해 결정한다.
이제Provisioning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룹 소유자 협상 과정이 끝나면 그룹 소유자 기기는 WSC registrar 로써 동작하고 클라이언트 기기는 WSC Enrollee로 동작하여 서로 크레덴셜을 교환하는 Provisioning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이 끝나면 두 기기가 P2P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그룹 Formation 과정이 종료된다. 그룹 Formation 과정까지 종료되면 그룹 소유자는 실제 동작 채널로 이동하여 그룹 소유자로써의 역할을 시작하고, 그룹 클라이언트는 Provisioning 과정을 통해 확인한 크레덴셜을 이용하여 그룹 소유자에 접속함으로써 두 와이 파이 P2P 기기의 연결이 최종 형성된다.
이제, 지속 그룹(Persistent Group)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그룹 소유자 협상 과정에서 양 기기는 지속 그룹을 형성할지 아니면 임시(Temporary)그룹을 형성할 지 결정한다.
이러한 점에서 지속 그룹으로 결정되는 경우 양 쪽 P2P 기기들은 자동적으로 크레덴셜(Authentication type, encryption type, 네트워크 키, SSID) 및 지속 그룹 에서의 역할(그룹 소유자 or 그룹 클라이언트)을 저장하게 된다.
즉, 다음 연결 시부터는 사용자의 연결 요청 시 크레덴셜이 저장된 기기들은 Provision Discovery Exchange, Group Owner Negotiation, Provisioning 등 과 같은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iscovery 과정(Provision Discovery Exchange)에서 발견된 기기들 중 연결을 원하는 기기가 이전에 지속그룹으로 지정된 기기일 경우 위와 같은 연결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 그룹 의 속성을 포함하는 Invitation request/response 메시지 교환을 통해 그룹 소유자 기기는 바로 그룹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기기는 바로 저장된 크레덴셜을 통해 접속하는 방식으로 연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제, Invitation Process 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미 특정 P2P 기기가 어떤 P2P 그룹에 속해 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다른 P2P 기기와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P2P그룹과의 연결을 끊고, 연결을 원하는 P2P기기와의 새로운 P2P 그룹을 생성할 수 도 있다.
그러나, 기존 P2P 그룹 과의 연결도 유효해야 하는 경우를 위해 와이 파이 다이렉트 규격에서는 새롭게 연결하고자 하는 P2P기기를 기존 그룹에 연결 시키는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즉, 이미 P2P 그룹에 속한 기기가 discovery과정을 통해 연결을 원하는 P2P 기기를 검색하고, 그 P2P기기에게 현재 그룹의 ID 및 속성 정보를 포함하여 invita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초청하게 된다.
초청받은 P2P기기는 invitation response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수락할 경우 초청된 그룹의 그룹 소유자에게 연결한다. 이 때 Invitation request 메시지는 해당 그룹의 그룹 소유자 및 그룹 클라이언트에 상관없이 모두 할 수 있다.
이제, 와이 파이 P2P 그룹 (1:N) 그룹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 파이 다이렉트 기술이 다른 근거리 P2P 기술과 구분되는 큰 특징중의 하나는 그룹 소유자를 중심으로 1:N 의 그룹의 생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N+1 개의 P2P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공유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2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P2P 그룹소유자(210) 및 P2P클라이언트(220, 222, 224)가 존재하고, 이 경우, 상기 P2P 그룹소유자(210)가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의 컨텐츠를 TV 및 오디오 장치와 같은 P2P클라이언트(220, 222, 224)로 전송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3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P2P 그룹소유자(310), P2P클라이언트(320, 322, 324, 326) 및 액서스 포인트(330)가 존재하고 P2P 그룹소유자(310)가 사무실에서 이용 가능한 프린터, PC, 전자 사전 등의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은 사용자의 기기가P2P 그룹의 그룹 소유자 이면서 와이 파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액서스 포인트(330)와 연결하는 동시(concurrent) 동작 역시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4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P2P 그룹소유자(410) 및 P2P클라이언트(420, 422)가 존재하고, 카메라, 켐코더 등의 촬영 장비와 P2P 그룹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1:N의 경우를 도시한 제 5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P2P 그룹소유자(510) 및 P2P클라이언트(520, 522, 524, 526)가 존재하고, 사용자의 기기(520)가 그룹 소유자가 아닌 클라이언트로써 특정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참여하여 그룹을 생성할 수 도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도면들은 이용 가능한 극히 일부의 1:N 그룹의 예일 뿐이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따라 다양한 P2P기기와의 그룹 생성이 가능하다.
특히,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은 휴대폰, 노트북, 타블렛 등의 모바일 기기뿐 아니라 TV, 모니터, 오디오, 냉장고, 프린터, 데스크 탑, 카메라, 캠코더, 프로젝터 등 거의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현재 연결된 P2P 그룹을 재 사용 하고 싶은 경우 임의의 이름을 선호 P2P 기기 그룹의 이름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현재 연결 된 P2P 그룹 중에 일부만 재 사용 하고 싶은 경우 해당 기기만 선택하여 임의의 이름과 함께 선호 P2P 기기 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다.
선호 P2P 기기 그룹이 지정되면, 사용자의 기기는 선호(Favorite) P2P 그룹으로 지정된 기기의 리스트 및 현재 사용자의 기기의 동작 모드, 현재 그룹의 크레덴셜 정보 등을 프로파일화하여 저장한다.
특히, 선호 P2P 기기 그룹으로 지정된 P2P 그룹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사용자의 임의의 선택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생성되기를 원하는 경우, 매칭을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발명은 지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재 시작 시 자동으로 매칭되어 있는 선호 P2P 기기 그룹을 재 생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매번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및 동일한P2P 그룹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P2P 기기를 검색하여 일일이 연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6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600)는 메모리(6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6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6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631), 외부 포트(660), 오디오 서브시스템(650), 스피커(651), 마이크로폰(6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670), 터치스크린(6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690)를 포함한다. 메모리(610)와 외부 포트(6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6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6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6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6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6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6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22) 및/또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6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6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622)는 메모리(6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622)는 메모리(6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623)는 전자 장치(6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6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621) 및 메모리(6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6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660)는, 전자 장치(600)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6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691) 및 제1 광 센서(6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691) 및 광 센서(6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693)은 제2 광 센서(694)와 결합하여,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광 센서(692) 및 제2 광 센서(694)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 6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 6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6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631)은 전자 장치(6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Wi-Fi(Wireless Fidelity)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통한 WiFi 다이렉트 통신이 필요하므로, 도 6에서,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24)과 제2 무선 통신 시스템 중 하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서브 시스템일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630)과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이 스피커(651) 및 마이크로폰(6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스피커 (speaker)(651) 및 마이크로폰(6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프로세서 유닛(6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6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651)로 전달된다. 스피커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6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마이크로폰(6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수신한 전기 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6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6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6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6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6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671)는 터치 스크린(6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6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6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6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 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6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6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690)에 하나 이상의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 포함 가능하다. 또한, 버튼은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로커 버튼(rocker button) 등을 사용 가능하다)].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680)은 전자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6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6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6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60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6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6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6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611) 모듈, 통신 모듈(612), 그래픽 모듈(6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614) 및 CODEC 모듈(615), 카메라 모듈(6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617)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217)은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 제어를 위한 와이 파이 애플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이 메모리(610)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6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6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630, 631)이나 외부 포트(6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613)은 터치스크린(6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6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6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6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610)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6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제 1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와이 파이 다이렉트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1:N P2P 그룹 에 속하여 사용 후, 재 사용을 목적으로 선호 P2P 그룹을 지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우선 P2P 그룹을 지정을 시작할 때, 사용자는 현재 형성되어 있는 P2P 그룹 의 기기 리스트 중 원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705 단계).
이후,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친숙한 이름으로 현재 선호 P2P 그룹의 명칭을 지정하고(710 단계), 사용자는 현재 지정한 선호 P2P 그룹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시작 시 자동적으로 재 생성 되기를 원할 경우 선택적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다(715 단계). 이 경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자동적으로 선호 P2P 그룹이 전자 장치에서 재 생성된다.
선호 P2P 그룹이 지정되고, 사용자의 명칭 지정 및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될 경우, 전자장치는 현재 지정된 선호 P2P 그룹에 속한 기기의 리스트를 추후 재 생성이 용이하도록 속성을 재 정의하고, 재 정의 하는 선호 P2P 그룹 업데이트를 백그라운드로 진행한다 그리고 선호 P2P 그룹이 업데이트 되면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기기의 리스트 및 내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상대 기기의 동작 모드를 저장한다(720 단계). 이 경우, 상기 P2P 그룹에서 검색된 기기에 대한 정보, 즉, 기기 리스트 및 해당 기기의 동작 모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P2P 그룹의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P2P 그룹 명칭, 상기 명칭에 대한 프로파일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선호 P2P 그룹에 액서스 포인트의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는 액서스 포인트의 접속 크레덴셜(SSID, security info)을 저장하며, 현재 선호 P2P 그룹의 크레덴셜(그룹 ID, Security Info)을 저장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선호 P2P 그룹된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과 사용자가 입력한 친숙한 명칭과 매칭되도록 프로파일 번호를 지정한다.
도 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제 2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에서 백그라운드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선호 P2P 그룹의 백그라운드 과정이 시작되면(805 단계), 현재 사용된 P2P 그룹에서의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검사한다(810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 파이 P2P 그룹은 그룹 소유자를 중심으로 구성되므로, P2P 그룹 소유자의 존재는 꼭 필요하다.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 모드인 경우(810 단계), 현재 생성된 그룹이 지속 그룹인지 검사한다(820 단계). 만약, 지속 그룹인 경우 선호 P2P 그룹 백그라운드 업데이트 과정을 완료한다(830 단계). 이 경우, 상기 P2P 그룹에서 검색된 기기에 대한 정보, 즉, 기기 리스트 및 해당 기기의 동작 모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P2P 그룹의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P2P 그룹 명칭, 상기 명칭에 대한 프로파일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속 그룹으로 지정되면 현재 P2P 그룹의 크레덴셜 및 동작 모드를 해당 전자 장치가 저장함으로써 이후 Provision Discovery Exchange, Group Owner Negotiation Exchange, Provisioning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 인해 연결과정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호 P2P 그룹의 재 생성이 와이 파이 다이렉트 규격의 지속 그룹 속성에 기반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P2P 그룹이 지속 그룹이 아닌 경우(820 단계), 그룹의 속성을 지속 그룹의 속성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수행한다(835 단계). 이 과정을 위해서는 선택된 기기 리스트의 모든 기기와 일일이 지속 그룹의 관계를 맺기 위해 Group Owner Negotiation Exchange 및 Provisioning 과정을 수행한다.
현재 그룹의 속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재 연결 없이 빠르게 그룹의 속성을 지속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Group Owner Negotiation Exchange 을 포함한 연결 과정을 다시 거쳐도 무방하지만 기기가 많을 경우 후자의 경우는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다양한 응용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미 현재 선택된 선호 P2P 그룹이 지속 그룹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선택된 모든 기기는 현재 그룹의 크레덴셜 및 그룹 소유자 기기 정보 등을 저장하여 지속 그룹을 다시 업데이트 한다, 이후, P2P 그룹 백그라운드 업데이트 과정을 완료한다(830 단계).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 모드가 아니지만(810 단계), 그룹 소유자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815 단계), 생성된 그룹이 지속 그룹인지 검사하는 과정(820 단계) 및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그룹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815 단계), 자동 그룹 소유자 생성 과정을 수행한다(825 단계). 이 경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고, 상기 그룹을 지속 그룹으로 지정하여 그룹의 속성을 지속 그룹의 속성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수행한다(825 단계). 이러한 과정은 825 단계 또는 835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기기들을 초대 과정을 이용하여 지속 그룹을 재 생성하여 업데이트 한다(835 단계). 이 때, 전술한 크레덴셜 저장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A,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제 3 도면이다.
상기 도 9A, B를 참조하면, 선호 P2P 그룹 프로파일을 재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선호 P2P 그룹으로 설정된 특정한 친숙한 명칭을 선호 P2P 그룹 리스트에서 선택하거나, 링크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선호 P2P 그룹을 시작할 수 있다(910 단계).
이후, 전자 장치는 저장된 선호 P2P 그룹용 프로파일 리스트 중 친숙한 명칭에 매칭되는 프로파일 번호를 찾고, 찾은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저장된 정보를 획득한다(915 단계).
만약, 저장된 기기 리스트에 액서스 포인트 정보가 있는 경우(917 단계), 해당 액서스 포인트를 스캔하고 저장된 액서스 포인트의 크레덴셜을 이용하여 연결한다(919 단계). SCAN 및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인 경우(920 단계), 저장된 P2P 그룹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한다(930 단계).
이후 백그라운드 P2P 발견 과정을 통해 저장된 기기 리스트들을 검색하고(945 단계), 기기가 발견되는 경우(960 단계), 발견되는 기기에게 지속 그룹 생성을 위해 초청 메시지를 전송한다(970 단계). 백그라운드 P2P 발견 과정이 완료되면(980 단계), 선호 P2P 그룹 재 생성이 완료된다(985 단계).
만약, 선호 P2P 그룹을 재 생성하는 과정 동안 저장된 기기 리스트의 검색 및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960 단계), 타임 아웃이 되지 않을 때까지(965 단계) 백그라운드 P2P 발견 과정을 통해 저장된 기기 리스트의 검색 및 연결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945 단계).
만약, 타임아웃이 된 경우(965 단계), 현재 연결되지 않는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975 단계)
만약,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가 아닌 경우(920 단계), 먼저 백그라운드 P2P 발견 과정을 수행하고 (925 단계) 그룹 소유자 기기를 타임 아웃 이전까지940 단계) 검색한다(935 단계).
검색된 경우, 다른 기기들을 초대하기 위하여 저장된 P2P 그룹 크레덴셜 정보를 이용하여 지속 그룹의 생성을 트리거한다(950 단계). 이후 나머지 기기들을 대상으로 선호 P2P 그룹 백그라운드 업데이트 과정(945 단계) 및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검색되지 않고 타임아웃이 된 경우(940 단계), 선호 P2P 그룹 백그라운드 업데이트 과정을 종료하고(955 단계) 현재 연결되지 않는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975 단계)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 재 생성 방법에 있어서,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 모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기 전에,
    재 생성할 그룹의 명칭을 입력 받는 고정과,
    재 생성할 그룹의 명칭에 매칭하는 프로파일 번호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파일 번호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에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그룹 재 생성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종료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되지 않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된 기기 중에서 그룹 소유자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소유자가 검색된 경우, 지속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는 과정과,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된 기기 중에서 그룹 소유자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소유자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그룹 재 생성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액서스 포인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액서스 포인트를 스캔하는 과정과,
    상기 액서스 포인트의 크레덴셜을 이용하여 상기 액서스 포인트에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정보는
    검색된 기기 리스트 및 해당 기기의 동작 모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P2P 그룹의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P2P 그룹 명칭 및 상기 명칭에 대한 프로파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 지정 방법에 있어서,
    그룹 명칭 및 연결될 애플리케이션을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정보는,
    검색된 기기 리스트 및 해당 기기의 동작 모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P2P 그룹의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P2P 그룹 명칭 및 상기 명칭에 대한 프로파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이고,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인 경우,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가 아니지만 그룹 소유자가 존재하고,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인 경우,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가 아니고 그룹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인 경우,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이 아닌 경우, 상기 그룹을 지속 그룹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을 재 생성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 모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고,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고,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한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획득한 프로파일의 정보에서 동작 모드를 확인하기 전에,
    재 생성할 그룹의 명칭을 입력 받고.
    재 생성할 그룹의 명칭에 매칭하는 프로파일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프로파일 번호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에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그룹 재 생성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종료할 시,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검색되지 않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가 아닌 경우,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 중에서 그룹 소유자를 검색하고,
    상기 그룹 소유자가 검색된 경우, 지속 그룹을 생성하고,
    검색한 기기를 초대하고,
    상기 초대가 완료된 경우, 상기 그룹 재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동작 모드가 그룹 소유자가 아닌 경우,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 중에서 그룹 소유자를 검색하고,
    상기 그룹 소유자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그룹 재 생성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액서스 포인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액서스 포인트를 스캔하고,
    상기 액서스 포인트의 크레덴셜을 이용하여 상기 액서스 포인트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정보는
    검색된 기기 리스트 및 해당 기기의 동작 모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P2P 그룹의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P2P 그룹 명칭 및 상기 명칭에 대한 프로파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그룹을 지정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그룹 명칭 및 연결될 애플리케이션을 입력 받고,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정보는
    검색된 기기 리스트 및 해당 기기의 동작 모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P2P 그룹의 크레덴셜, 액서스 포인트 크레덴셜, P2P 그룹 명칭 및 상기 명칭에 대한 프로파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할 시,
    상기 그룹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이고,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인 경우,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가 아니지만 그룹 소유자가 존재하고,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인 경우,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장치가 그룹 소유자가 아니고 그룹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를 자동 그룹 소유자로 설정하고,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인 경우,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이 지속 그룹이 아닌 경우, 상기 그룹을 지속 그룹으로 설정하고,
    그룹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026597A 2012-03-15 2012-03-15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4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97A KR101842047B1 (ko) 2012-03-15 2012-03-15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3/778,874 US9100801B2 (en) 2012-03-15 2013-02-27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group profil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ES13157304T ES2804453T3 (es) 2012-03-15 2013-02-28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gestionar un perfil de grupo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directa por Wi-Fi
EP13157304.0A EP2677774B1 (en) 2012-03-15 2013-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group profil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CN201310081151.XA CN103312534B (zh) 2012-03-15 2013-03-14 用于管理wi‑fi直连通信系统中的组简档的方法和设备
US14/808,020 US9510163B2 (en) 2012-03-15 2015-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group profil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97A KR101842047B1 (ko) 2012-03-15 2012-03-15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68A true KR20130104768A (ko) 2013-09-25
KR101842047B1 KR101842047B1 (ko) 2018-03-26

Family

ID=4777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597A KR101842047B1 (ko) 2012-03-15 2012-03-15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100801B2 (ko)
EP (1) EP2677774B1 (ko)
KR (1) KR101842047B1 (ko)
CN (1) CN103312534B (ko)
ES (1) ES280445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831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99B1 (ko) * 2012-11-06 2019-03-2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JP6093026B2 (ja) * 2013-03-12 2017-03-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ダイレク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p2pグループ形成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10314084B2 (en) * 2013-07-09 2019-06-04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9832597B2 (en) * 2013-08-04 2017-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device-to-device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63594A4 (en) * 2013-10-29 2017-06-07 Kortek Industries Pty Ltd. Adaptable multi-mode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US9501259B2 (en) * 2013-11-22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Audio output device to dynamically generate audio ports for connecting to source devices
US10149139B2 (en) 2013-12-26 2018-12-04 Nec Corpora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by communication terminal
US10250698B2 (en) * 2014-08-25 2019-04-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pre-association service discovery
KR102208438B1 (ko) * 2014-11-2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084114A1 (en) * 2014-11-26 2016-06-02 Nec Corporation Mechanism for quick connection in wireless peer to peer networks
US9544755B2 (en) * 2015-01-30 2017-0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non-scannable device discovery
CN110602223B (zh) * 2015-06-15 2021-10-1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点对点设备及其搜索匹配方法
CN104936258A (zh) * 2015-06-17 2015-09-23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终端及系统
CN107926075B (zh) 2015-08-14 2021-12-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支持异构环境下的数据通信的系统和方法
US10264609B2 (en) * 2015-09-29 2019-04-16 Universiti Brunei Danssalam Method and system for ad-hoc social networking and profile matching
US9756286B1 (en) * 2016-08-05 2017-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munication event
CN107087265A (zh) * 2017-03-23 2017-08-22 嘉兴爱尔特云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连接多个WiFi‑Direct群组的通信装置及方法
WO2019000229A1 (zh) * 2017-06-27 2019-01-0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线设备的配对方法和装置以及计算设备
KR102366312B1 (ko) 2017-09-20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의 재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8683793B (zh) * 2018-03-26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图标的显示方法和移动终端
WO2019196253A1 (zh) * 2018-04-12 2019-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组网方法及设备
CN109587667B (zh) * 2018-11-23 2021-06-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连接建立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N110213017B (zh) * 2019-04-30 2021-11-12 普联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终端设备
US11159610B2 (en) * 2019-10-10 2021-10-26 Dell Products, L.P. Cluster formation offload using remote access controller group manager
CN115643542B (zh) * 2022-11-29 2023-05-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投屏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9581B2 (en) 2005-09-07 2011-05-24 Patentratings, Llc Method of determining an obsolescence rate of a technology
US20070094279A1 (en) * 2005-10-21 2007-04-26 Nokia Corporation Service provision in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CN101617518B (zh) 2007-02-19 2012-09-05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在通信网络中实现用户群服务的方法和装置
CN101594578B (zh) * 2008-05-30 2013-08-28 华为终端有限公司 直连链路的建立方法、站设备及通信系统
KR101700937B1 (ko) 2009-12-22 201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JP5343841B2 (ja) * 2009-12-22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559340B2 (en) 2009-12-22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in Wi-Fi direct network
US8493992B2 (en) 2010-02-04 2013-07-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related WiFi and USB protocols and other application framework processes, circuits and systems
JP5598081B2 (ja) * 2010-05-17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831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7774B1 (en) 2020-05-06
US20150334538A1 (en) 2015-11-19
EP2677774A2 (en) 2013-12-25
US9510163B2 (en) 2016-11-29
ES2804453T3 (es) 2021-02-08
EP2677774A3 (en) 2014-07-23
CN103312534B (zh) 2018-01-09
US9100801B2 (en) 2015-08-04
KR101842047B1 (ko) 2018-03-26
US20130242805A1 (en) 2013-09-19
CN103312534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047B1 (ko)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399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connection using Wi-Fi protected setup in portable terminal
US9967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KR102005771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ip 주소 할당 방법 및 장치
US912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920245B1 (ko)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취소 시 대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08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based identity recognition
US1032131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528850A (ja) シームレスな通話移行
CN110832947B (zh) 一种组网方法及设备
CN105704110B (zh) 一种媒体传输方法、媒体控制方法及装置
WO2019057119A1 (zh) 基于移动终端的wifi热点连接方法及移动终端、存储介质
US201400475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access point and peripheral device
KR102045944B1 (ko)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401526B1 (ko) 이기종 장치 간 서비스 프로파일 공유 방법, 그 이동 단말기,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181159B1 (ko)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RU278218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bluetooth-устройств
US107647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