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700A -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700A
KR20130104700A KR1020120026428A KR20120026428A KR20130104700A KR 20130104700 A KR20130104700 A KR 20130104700A KR 1020120026428 A KR1020120026428 A KR 1020120026428A KR 20120026428 A KR20120026428 A KR 20120026428A KR 20130104700 A KR20130104700 A KR 2013010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ine
pattern sheet
target plate
conductive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공훈
Original Assignee
예원에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원에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원에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700A/ko
Publication of KR2013010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44Targets having two or more electrically-conductive layers for short- circuiting by penetrating project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41J1/01Target disc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tructure or surface, e.g. clay pigeon targ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라인으로 구성되는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는 2장의 패턴 쉬트를 서로 교차하게 배치하고 일측의 패턴 쉬트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다른 패턴 쉬트에서 검출되는 전류를 통해 발사체의 탄착점을 판독할 수 있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제 1 도전성 라인들이 일정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제 1 패턴 쉬트, 제 2 도전성 라인들이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제 2 패턴 쉬트, 및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패턴 쉬트와 상기 제 2 패턴 쉬트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제 1 패턴 쉬트 및 상기 제 2 패턴 쉬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적판;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들 중 상기 발사체의 탄착에 의해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접촉하여 전류가 검출되는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는 탄착점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System of determining point of impact on target}
본 발명은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라인으로 구성되는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는 2장의 패턴 쉬트를 서로 교차하게 배치하고 일측의 패턴 쉬트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다른 패턴 쉬트에서 검출되는 전류를 통해 발사체의 탄착점을 판독할 수 있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사체를 발사 또는 투척하여 그 탄착점에 의해 점수를 측정하는 BB 탄 발사 총기류를 이용한 스크린 사격 게임, 다트 게임, 야구 투수 게임, 스크린 골프 게임 등에 있어서 발사체의 탄착점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사체의 탄착점을 판독하는 시스템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234834호 "시청각적 확인기능을 갖는 표적장치" 및 특허출원 제10-2003-0072701호 "탄착점에서 빛이 나는 고무스위치 기반 전자표적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234834호는 분할링과 같이 표적판을 정해진 영역별로 분할하여 해당 영역의 탄착여부를 탐지하는 센서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예컨대 분할링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표적판을 구현한 경우 원형 표적에 대한 탄착만 센싱할 수 있을 뿐이고, 사람 형상, 사각 형상, 또는 동영상으로 구현된 이동 표적에 대한 탄착을 센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정확한 판독을 위해 센싱구간을 조밀하게 구현할수록 다량의 센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설계 및 조립이 복잡해지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세한 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탄착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실내온도의 변화 등에 의한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출원 제10-2003-0072701호는 다수의 고무스위치를 표적판에 배치하여 탄착점을 판독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탄착점 마다 고무스위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설계 및 조립이 복잡해지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사체의 종류에 따라 반발력에 차이가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 입력압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발사체에 대한 범용적인 탄착점 판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개별적인 스위치 또는 센서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두 장의 패턴 쉬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패턴 쉬트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탄착에 의해 도전성 라인이 교차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를 센싱하는 방법으로 탄착점을 판독함으로써 탄착점 판독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위치 또는 센서와 같은 기구적 구조를 포함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발사체의 탄착에 의한 충격 누적에도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두 장의 패턴 쉬트의 도전성 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점 마다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엠보싱 패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탄착에 의한 압력을 정확하게 패턴 쉬트에 전달함으로써 센싱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영상이 투영되는 영상 스크린을 전면에 더 포함함으로써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이동 표적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제 1 도전성 라인들이 일정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제 1 패턴 쉬트, 제 2 도전성 라인들이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제 2 패턴 쉬트, 및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패턴 쉬트와 상기 제 2 패턴 쉬트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제 1 패턴 쉬트 및 상기 제 2 패턴 쉬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적판;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들 중 상기 발사체의 탄착에 의해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접촉하여 전류가 검출되는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는 탄착점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 중 어느 하나씩 일정 시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탄착점 판독부는 상기 전류가 검출된 시간을 통해 상기 탄착점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전류가 검출된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통해 상기 탄착점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적판은, 상기 스페이서 쉬트와 상기 제 2 패턴 쉬트가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을 통해 상기 제 2 패턴 쉬트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상기 제 2 패턴 쉬트 방향으로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엠보싱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패드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적판은, 상기 제 2 패턴 쉬트와 상기 엠보싱 패드가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을 통해 상기 엠보싱 패드와 접하고, 영상이 투영되는 영상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쉬트는, 전자잉크로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는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 쉬트는, 전자잉크로 형성되는 제 2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는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가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은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름의 동심원 형태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직선 형태로 일정 각도씩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상기 동심원 형태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상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직선 형태로 일정 각도씩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상기 방사상 직선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름의 동심원 형태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쉬트는, 절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패턴 쉬트의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 및 상기 제 2 패턴 쉬트의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의 교차점 마다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상기 발사체의 탄착시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컨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의 교차점 마다 상기 도전성 라인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컨택 포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쉬트, 상기 스페이서 쉬트, 상기 제 2 패턴 쉬트는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개별적인 스위치 또는 센서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두 장의 패턴 쉬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패턴 쉬트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탄착에 의해 도전성 라인이 교차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를 센싱하는 방법으로 탄착점을 판독함으로써 탄착점 판독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위치 또는 센서와 같은 기구적 구조를 포함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발사체의 탄착에 의한 충격 누적에도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두 장의 패턴 쉬트의 도전성 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점 마다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엠보싱 패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탄착에 의한 압력을 정확하게 패턴 쉬트에 전달함으로써 센싱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영상이 투영되는 영상 스크린을 전면에 더 포함함으로써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이동 표적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판독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 쉬트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쉬트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 쉬트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패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판 구성요소의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상태의 표적판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 상태의 표적판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턴 쉬트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패턴 쉬트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표적판(100), 전원공급부(200), 및 탄착점 판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적판(100)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쉬트가 중첩되어 형성된다. 표적판(100)은 제 1 패턴 쉬트(110), 제 2 패턴 쉬트(130), 및 스페이서 쉬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패턴 쉬트(110)는 제 1 도전성 라인(111)들이 일정방향으로 반복 배치되고, 제 2 패턴 쉬트(130)는 제 2 도전성 라인(131)들이 제 1 도전성 라인(111)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어 구성된다. 제 1 도전성 라인(111) 및 제 2 도전성 라인(131)은 예컨대 전자잉크, 스트립 라인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제 1 패턴 쉬트(110) 및 제 2 패턴 쉬트(130)는 절연성 필름 또는 연성 PCB와 같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패턴 쉬트(110)는 반드시 연성의 재질일 필요는 없으나 탄착에 의해 제 1 패턴 쉬트(110) 쪽으로 휘어져야 하는 제 2 패턴 쉬트(130)는 반드시 연성의 재질로 형성하여야 한다.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은 상호간 교차하여 일종의 좌표를 형성하도록 설계한다. 탄착점 판독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을 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교차점이 많아지도록 설계할 수 있고, 반대로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단가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는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을 보다 여유있게 배치함으로써 교차점을 감소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제 1 도전성 라인(111)이 도 2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 경우 제 2 도전성 라인(131)은 도 4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다. 반대로 제 1 도전성 라인(111)이 도 4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 경우 제 2 도전성 라인(131)은 도 2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패턴 어레이(113)와 제 2 패턴 어레이(133)는 반드시 서로 직교하는 직선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극좌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도전성 라인(111)이 도 10과 같이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름의 동심원 형태로 반복배치되는 경우 제 2 도전성 라인(131)은 도 11과 같이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직선 형태로 배치된다. 반대로 제 1 도전성 라인(111)이 도 11과 같이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도 10과 같이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름의 동심원 형태로 반복배치될 수 있다.
한편, 탄착시 제 2 도전성 라인(131)과 제 1 도전성 라인(111)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성 라인(111)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131)의 교차점 마다 도전성 라인(111,131)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컨택 포인트(112,132)를 도전성 라인(111,13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쉬트(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패턴 쉬트(110)와 제 2 패턴 쉬트(13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제 1 패턴 쉬트(110) 및 제 2 패턴 쉬트(130) 사이에 개재된다.
발사체(10)가 발사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접촉하게 되면 합선으로 인해 탄착시 탄착점을 판독할 수 없게 된다. 스페이서 쉬트(120)는 이러한 합선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제 1 패턴 쉬트(110)의 제 1 도전성 라인(111) 및 제 2 패턴 쉬트(130)의 제 2 도전성 라인(131)의 교차점 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탄착시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컨택 홀(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쉬트(120)는 절연성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컨택 홀(141)을 펀칭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0)는 제 1 도전성 라인(111)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탄착점 판독부(300)는 제 2 도전성 라인(131)들 중 발사체(10)의 탄착에 의해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접촉하여 전류가 검출되는 제 2 도전성 라인(131)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와 반대로 전원공급부(200)가 제 2 도전성 라인(131)에 전원을 공급하고, 탄착점 판독부(300)가 제 1 도전성 라인(111)을 통해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부(200)는 마치 TV 주사방식과 같이 제 1 도전성 라인(111)들 중 어느 하나씩 일정 시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탄착점 판독부(300)는 전류가 검출된 시간을 통해 탄착점을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라인(111)을 검출하고, 전류가 검출된 제 2 도전성 라인(131)을 통해 탄착점을 형성하는 제 2 도전성 라인(131)을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탄착점 판독을 설명한다. 예컨대 제 1 도전성 라인(111)이 10개가 반복 형성되고, 전원공급부는 0.01 초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각각의 제 1 도전성 라인(111)에 전원을 공급한다고 가정한다. 발사체(10)의 탄착에 의해 탄착점에 위치하는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이 발생하여 최초 전원공급으로부터 1.04 초 경과시 다섯 번째 제 2 도전성 라인(131)에서 전류가 검출되었다면, 탄착점은 네 번째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다섯 번째 제 2 도전성 라인(131)의 교차점이 탄착점임이 판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은 두 장의 패턴 쉬트(110,130) 만으로 다수의 탄착점을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위치 또는 센서와 같은 기구적 구조를 포함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발사체의 탄착에 의한 충격 누적에도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표적판(10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표적판(100)을 구성하는 제 1 패턴 쉬트(110), 스페이서 쉬트(120), 제 2 패턴 쉬트(130)는 서로 접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2 패턴 쉬트(130)의 후면에 직접 발사체가 탄착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발사체(10)의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 발사체의 탄착에도 불구하고 탄착시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어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이 접촉하지 않아 탄착점을 판독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탄착시 탄착점에 가해지는 압력을 집중시킴으로써 탄착점 판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적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보싱 패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패드(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쉬트(120)와 제 2 패턴 쉬트(130)가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을 통해 제 2 패턴 쉬트(130)와 접하고, 제 1 도전성 라인(111)과 제 2 도전성 라인(131)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제 2 패턴 쉬트(120) 방향으로 형성되는 볼록부(141)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엠보싱 패드(14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지나치게 빠른 속도의 발사체(10)로 인한 탄착 충격을 흡수하여 표적판(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표적판(100)은 고정된 타겟 뿐만 아니라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이동 타겟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표적판(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패턴 쉬트(130)와 엠보싱 패드(140)가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을 통해 엠보싱 패드(140)와 결합하고, 빔 프로젝트 등에 의해 영상이 투영되는 영상 스크린(1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발사체 100 : 표적판
110 : 제 1 패턴 쉬트 111 : 제 1 도전성 라인
112 : 컨택 포인트 120 : 스페이서 쉬트
121 : 컨택 홀 130 : 제 2 패턴 쉬트
131 : 제 2 도전성 라인 132 : 컨택 포인트
140 : 엠보싱 패드 150 : 영상 스크린
200 : 전원공급부 300 : 탄착점 판독부

Claims (11)

  1. 발사체의 탄착점을 판독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도전성 라인들이 일정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제 1 패턴 쉬트, 제 2 도전성 라인들이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제 2 패턴 쉬트, 및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패턴 쉬트와 상기 제 2 패턴 쉬트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상기 제 1 패턴 쉬트 및 상기 제 2 패턴 쉬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적판;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들 중 상기 발사체의 탄착에 의해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접촉하여 전류가 검출되는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는 탄착점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들 중 어느 하나씩 일정 시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탄착점 판독부는 상기 전류가 검출된 시간을 통해 상기 탄착점을 형성하는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고, 상기 전류가 검출된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통해 상기 탄착점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판은,
    상기 스페이서 쉬트와 상기 제 2 패턴 쉬트가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을 통해 상기 제 2 패턴 쉬트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상기 제 2 패턴 쉬트 방향으로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엠보싱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패드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판은,
    상기 제 2 패턴 쉬트와 상기 엠보싱 패드가 결합하는 면의 반대면을 통해 상기 엠보싱 패드와 접하고, 영상이 투영되는 영상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쉬트는, 전자잉크로 형성되는 제 1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는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패턴 쉬트는, 전자잉크로 형성되는 제 2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는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가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세로방향으로 반복배치된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은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름의 동심원 형태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직선 형태로 일정 각도씩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상기 동심원 형태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상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직선 형태로 일정 각도씩 반복배치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이 상기 방사상 직선인 경우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지름의 동심원 형태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쉬트는,
    절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패턴 쉬트의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 및 상기 제 2 패턴 쉬트의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의 교차점 마다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이 상기 발사체의 탄착시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컨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은 상기 제 1 도전성 라인 및 상기 제 2 도전성 라인의 교차점 마다 상기 도전성 라인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컨택 포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쉬트, 상기 스페이서 쉬트, 상기 제 2 패턴 쉬트는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KR1020120026428A 2012-03-15 2012-03-15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KR20130104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428A KR20130104700A (ko) 2012-03-15 2012-03-15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428A KR20130104700A (ko) 2012-03-15 2012-03-15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00A true KR20130104700A (ko) 2013-09-25

Family

ID=4945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428A KR20130104700A (ko) 2012-03-15 2012-03-15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13B1 (ko) * 2012-06-26 2014-07-24 대한민국 자동 감지 사격 시스템
WO2015147407A1 (ko) * 2014-03-28 2015-10-01 주식회사 한궁세계화연구소 표적판용 다중 접점식 위치 감지 장치
WO2021112378A1 (ko) * 2019-12-05 2021-06-10 주식회사 건파워 탄환의 분산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격 게임용 모니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13B1 (ko) * 2012-06-26 2014-07-24 대한민국 자동 감지 사격 시스템
WO2015147407A1 (ko) * 2014-03-28 2015-10-01 주식회사 한궁세계화연구소 표적판용 다중 접점식 위치 감지 장치
US20170131068A1 (en) * 2014-03-28 2017-05-11 3Ip Hangung Co., Ltd Multi-contact typ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for target board
US9885546B2 (en) 2014-03-28 2018-02-06 3Ip Hangung Co., Ltd Multi-contact typ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for target board
WO2021112378A1 (ko) * 2019-12-05 2021-06-10 주식회사 건파워 탄환의 분산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격 게임용 모니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38595U (zh) 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的动态输入表面
KR102258651B1 (ko)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방법
JP4297506B2 (ja) 近接感応センサー
KR20130104700A (ko) 표적판의 탄착점 판독 시스템
US20150233684A1 (en) Darts game apparatus
WO2014139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board
CN204808271U (zh) 软性电路板及其应用之触控装置
KR100671751B1 (ko) 퍼팅 연습기
CA2964216A1 (en) A toy constru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a spatial structure to be detected by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KR101549518B1 (ko) 표적판용 다중 접점식 위치 감지 장치
CN102591486A (zh) 主动式电磁笔
US20220334656A1 (en) Arrangement for recognition by a touch-sensitive sensor matrix
CN102243534A (zh) 按键控制装置
CN204464170U (zh) 多方向感测器
CN205028245U (zh) 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的输入结构
US7100922B2 (en) Bull's eye target device
US20090127790A1 (en) Electronic target device
CN208920961U (zh) 一种自动计分靶装置
US20160179202A1 (en) Touch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100012981A (ko) 전자 다트 장치
KR20110027929A (ko) 스크린 상의 타격 위치 감지 장치
JPH0750689Y2 (ja) 感圧センサー
TWI717152B (zh) 操作支援裝置
KR20100004612U (ko) 충격 위치 감지용 센서
JP2017076246A (ja) 入力デバイス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